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격식체 종결어미 ‘아요’와 ‘세요’의 사용 양상 연구

        박기선 ( Park Keese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이 논문은 초급 한국어 문법 항목 중 비격식체 종결어미인 ‘해요체’에 해당하는 ‘아요’와 ‘세요’의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두 종결어미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학습 초기에 가장 먼저 접하는 종결어미이며 이후 한국어로 의사소통 시 실제로 사용 빈도도 매우 높기 때문에 적격한 상황에서 그에 해당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아요’와 ‘세요’의 사용 양상에 따른 문법 정보의 제시가 이루어져서 학습자의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을 유도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공적 상황과 사적 상황에서 두루 사용되는 ‘아요’와 ‘세요’가 나타내는 [서술], [질문], [명령], [청유]의 의미 기능을 확인하고 유사 문법 항목으로서 두 종결어미의 사용 양상을 비교했다. 그 결과 두 종결어미는 모두 공적 상황(30.1%)에 비해 사적 상황(69.9%)에서 더 많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사적 상황에서 ‘아요’에 비해 ‘세요’는 대화자 간의 관계가 다소 거리감이 있을 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동형이의 문법 항목으로서 ‘아요’와 ‘세요’의 의미 기능별 사용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아요’는 [서술(75%)] > [질문(14.4%)], [명령(10.1%)], [청유(0.23%)] 순으로 사용 빈도가 나타났으며 ‘세요’는 [명령(66.9%)], [서술(27.4%)], [질문(5.26%)], [청유(0.3%)] 순으로 사용 빈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급 한국어 비격식체 종결어미 ‘아요’와 ‘세요’의 동형이의 문법 항목으로서 문법 정보 기술을 보완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terns of using ‘ayo’ and ‘seyo’ in their spoken corpora under the informal sentence ending ‘haeyo style’ category among the elementary-level Korean grammar items. These two sentence endings are two of the first sentence endings that Korean learners encounter in their early days of study. The frequency of their actual uses is very high in Korean learners' communication. It is thus important that Korean learners should be able to use them for their meanings in proper situations.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needs to provide gramma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patterns of ‘ayo’ and ‘seyo’ inducing learners' accurate and fluent communication. The study thus examined the semantic functions of ‘ayo’ and ‘seyo’ widely used both in public and private situations including [description], [question], [order] and [request] and compared these two sentence endings in their use patterns as similar grammar items. The results show that both of the sentence endings were used in higher frequency in private situations(69.9%) than public ones(30.1%). Interlocutors used ‘seyo’ more than ‘ayo’ when they had a sense of distance between them in conversation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use patterns of ‘ayo’ and ‘seyo’ as homograph grammar items by the semantic function. While ‘ayo’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n [description(75%)], which was followed by [question(14.4%)], [order(10.1%)], and [request(0.23%)] in the order, ‘seyo’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n [order(66.9%)], which was followed by [description(27.4%)], [question(5.26%)], and [request(0.3%)] in the order.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to supplement the description of grammar information of ‘ayo’ and ‘seyo’ two informal sentence endings in elementary Korean, as homograph grammar items.

      • KCI등재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와 한국어의 복수 형태에 대한 비교 연구

        강덕수 ( Kang Ducksoo ),박기선 ( Park Keeseon )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0 No.-

        이 논문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에서 나타나는 복수 접미사의 형태와 통사 구조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 언어들 간의 계통론적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에벤어와 에벤키어에서 대표적인 복수 접미사의 형태는 {-l}이지만 이형태 {-til}은 여전히 ‘am-til’ (아버지들) 및 ‘en-til’ (어머니들)과 같은 어휘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접미사는 한국어의 복수 접미사 {-tul<sup>1</sup>)}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복수 접미사형태뿐만 아니라 이 언어들 간에는 구문 구조와 사용법(간접소유표지 등)에서도 여러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어와 퉁구스어(에벤어·에벤키어)의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양상에 대해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이 언어들의 심층에는 계통적으로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언어들 간의 관련성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한국외국어대학교·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 KCI등재

        세종학당의 한국어 초급 콘텐츠 재정비 및 활용 방안 연구 -온라인 세종학당 ‘사이버 한국어 초급’과 누리-세종학당 한국어 초급 콘텐츠를 중심으로-

        노채환 ( Roh Chaehwan ),박기선 ( Park Keeseon ),안유진 ( An Yujin )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contents reorganization plan and linkage utilization plan by analyzing the ‘Cyber Korean Beginner’ of the online King Sejong Institute developed in 2019 and the previously developed contents of Nuri-King Sejong Institute. To this end, reorganization of contents plan was established, and the contents were reviewed by selecting target contents based on the learners demand. Afterwards, meta-analysis and tagging of the 160 contents was conducted. Based on this analysis, it was proposed to find a way to maximize the linkage between contents and information sharing through micro-contentization, segmentation, re-editing, and strengthening of search functions. In addition, a method for linking and utilizing online contents for beginners through contents reorganization was proposed.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University of Niigata Pref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