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867년 「薩摩琉球?」에 대한 일고찰 : 사쓰마번과 류큐왕국의 양자 관계를 중심으로

        장혜진 ( JHANG Hyejin )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2020 東硏(동연) Vol.8 No.-

        1867년 파리만국박람회에 참가한 나라로서 '사쓰마류큐국'은 사실상 사쓰마번을 말한다. 사쓰마번은 동아시아 세계의 류큐왕국의 독립성을 내세워 일본대군정부와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정부로서 참가하는 것을 의도하였다. 그러나 사쓰마류큐국의 정부는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닌, 일본의 부국강병을 추진하고 서구문명과 교류하고자 했던 사쓰마번이 막부의 정치적 간섭을 받지 않기 위해 류큐왕국을 내세운 외교 전략 중 하나였다. 사쓰마번이 파견한 사절단은 류큐국왕사절단으로 사칭하였고, 실제로 류큐왕국 측은 참가하지 않았다 그러함에도 사쓰마번이 사쓰마류큐국이라는 이름을 걸고 파리만국박람회 참가했던 것은 류큐왕국을 자유자재로 지배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류큐왕국의 유일관계은폐정책과 ‘목지·은하사건’을 비롯한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류큐의 수리왕부는 사쓰마번과의 일정 거리를 두고 정치적 균형을 맞추며 동아시아 세계에서 독립된 왕국으로서 존재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다만 ‘사쓰마류큐국‘이란 칭호를 사용함으로써, 류큐가 국제적으로 동아시아 세계에서 독립 왕국으로서 존재한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사쓰마번과 류큐왕국과의 정치적 유착관계가 표면적으로 드러나게 되었으나, 사쓰마번은 근본적으로 류큐왕국이 일본의 막번체제와 정치적 주종관계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공식화하면서 류큐와 일본 사이에 명확히 선을 긋고 있는 입장을 보이는 데 의의가 있으며, 사쓰마번에 의해 일본으로부터 정치적으로 독립된 류큐왕국이라는 점을 서양 세계에 알린 기회가 되었다. International Exposition in 1867, Satsuma-Ryukyu actually refers to Satsuma domain. Satsuma domain intended to participate as a government of equal status with the Japanese shogunate government, citing the independence of the Ryukyu Kingdom in the East Asian world. But the government of Satsuma-Ryukyu was not real. Satsuma domain, who wanted to push for Japan's "increasing wealth and military power" and interact with Western civilization, was one of the diplomatic strategies using the Ryukyu Kingdom to avoid political interference from Japanese shogunate government. The delegation sent by Satsuma domain impersonated the royal delegation of the Ryukyu Kingdom, and in fact, the royal delegation did not participate. Nevertheless, Satsuma domain's participation in the Paris International Exhibition under the name Satsuma-Ryukyu does not mean that he freely controlled the Kingdom of Ryukyu. As can be seen in the Concealment Policy and the 'Makishi-Onga Incident', It can be seen that Ryukyu has been trying to exist as an independent kingdom in the East Asian world, balancing politics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Satsuma domain. However, by using the title "Satsuma-Ryukyu," it remains unchanged that Ryukyu exists internationally as an independent kingdom in the East Asian world. Although the political ties between Satsuma domain and the Kingdom of Ryukyu were ostensibly revealed, Although the political ties between Satsuma domain and the Kingdom of Ryukyu were ostensibly revealed, Satsuma domain is essentially meaningful in that he is clearly drawing a line between Ryukyu and Japan, formalizing that the Kingdom of Ryukyu is not in a political mainstream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It was also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Western world that Ryukyu was politically independent from Japan by Satsuma domain.

      • 논문(論文) : 조선사기장과 사쓰마(薩摩) 도자기

        이미숙 ( Mi Suk Lee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사쓰마(薩摩)는 현재 일본 큐슈(九州) 서남쪽 가고시마현의 옛지명이다. 사쓰마 도자기(薩摩燒)는 이곳 사쓰마에서 만들어진 도자기를 총칭한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의 다도인들은 조선의 도자기를 선호하였다. 茶道人 중의한 사람인 사쓰마지역의 영주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는 조선에 왔을 당시 조선의 사기장을 계획적으로 끌고 온 것으로 보인다.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에서 잡혀온 것으로 전해지는 金海는 사쓰마의 官窯인 帖佐系統의 흐름을지도하고 申武信·申主碩 형제의 도움을 받아 타테노요(竪野窯)의 陶祖가 되었다. 그리고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에서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에게 잡혀온 卞芳中은 쵸사요(帖佐窯)의 창업에 종사하였고, 民窯의 시작인 류몬지요(龍門司窯)의 도조가 되었다. 전라북도 남원에서 잡혀온 朴平意는 民窯풍의 쿠시키노(串木野)계통의 흐름을 지도하고 그의 아들과 함께 백토를 발견하여 나에시로가와요(苗代川窯)의 陶祖가 되었다. 沈壽官 家의 시조인 沈當吉은 무관으로서 피난하는 왕족을 호위하다가 시마즈 요시히로에 의해 체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쓰마 도자기는 그 시대의 문화, 사상이나 藩主의 窯業에 따른 영향이 도자기 제품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쿠로몽(黑薩摩)이라 불리는 검은색의 일상 생활용 도자기와 시로몽(白薩摩)이라 불리는 사쓰마 번주 취향의 백색도자기가 있다. 니시키데(錦手), 킨란데(金.手), 벳코우 도자기(鼈甲.)가 같은 지역에서 동시에 제작되었다. 1867년 조선사기장의 후손인 朴正官이 파리박람회에 錦手大花甁을 출품하여 사쓰마 도자기를 알리면서 해외에 수출할 수있는 기회를 얻었다. 1873년 沈當吉의 후손인 12대 沈壽官이 오스트리아 만국박람회에 大花甁을 출품하여 명성을 얻었고, 1954년에는 13대 심수관이 미국의 디자인전에 1위로 입상하였다. 이와 같이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사기장의 후손들은 몇백년의 시간동안 흥망성쇄를 거듭하면서 오늘날 까지 선조들의 陶業을 이어오고 있다. Satsuma (薩摩) is old name of current southwest area of Kagoshima, Kyushu (九州) in Japan and Satsuma pottery (薩摩燒) is called all pottery made in Satsuma. At time around the war between Japan and Chosun, people of tea ceremony in Japan preferred pottery made in Chosun. When Yoshihiro Shimazu (島津義弘)who was a lord of Satsuma area as well as one of people of tea ceremony stayed in Chosun during the war, it seemed like that he brought master potters to his area intentionally. It``s said that Hae Kim was captured in Seongsan, Koryong-Goon Kyungsang north Province and he taught the trends of Chyowoosa system (帖佐系統) which was a pottery run by local government and became the ancestor of pottery in Tatenoyo (竪野窯) with helps from two brothers, Moosin Shin and Jooseok Shin. In addition, Bangjoong Byun was taken away from Seongsan, Koryong-Goon Kyungsang north Province by Yoshihiro Shimazu and was engaged in start-up of Chyosayo(帖佐窯) and became the ancestor of Ryomongiyo(龍門司窯)which was the first public pottery. Pyungeul Park was taken away from Namwon, Jeonra north Province and taught the trends of public pottery-like Kyshikino (串木野) system and discovered the white clay with his son and therefore, became the ancestor of pottery in Naeshirogawhayo (苗代川 窯). It``s said that Danggil Shim was captured by Shimazu and was the ancestor of family for Sookwan Shim, while he``s escorting the royal family as a military officer. Satsuma pottery reflected culture of that era, ideas and tastes of porcelain of the lord and were shown on the pottery. Black pottery was used for everyday life and called Kuromong (黑薩摩)and white pottery was called Siromong (白薩摩) and was the taste of the lord. They were made in Nisikide (錦手), Kinrande (金瀾手) and Betkowoo pottery (鼈甲燒) simultaneously. In 1867, Jeongkwan Park who was a descendant of Chosun master potter submitted KeumSooDaeHwaByung (錦手大花甁) to Paris Expo exhibition and introduced the Satsuma pottery and had opportunities to sell overseas. In 1873, Sookwan Shim who was a 12th generation from Danggil Shim who``s a Chosun master potter submitted DaeWhaByung(大花甁) to Austria Expo exhibition and gained the reputation. In 1954, Sookwan Shim who was 13th generation won the top prize in US design exhibition. Accordingly, descendants of Chosun master potters taken away during the war between Japan and Chosun have been followed to the ancestral pottery while they experienced every vicissitude of fortune for several hundred years .

      • KCI등재

        임진왜란 피랍도공 沈壽官家와 도자 연구

        방병선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Joseon potter Shim Soo Gwan was kidnapp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from 1592 to 1599 and first lived in Gorai-cho and then moved to Naeshirogawa. The 12th Shim Soo Gwan(1835-1906) established the personal pottery kiln of Kyokugozan[玉光山] in 1871 and a pottery painting studio in 1888. From 1878 to 1897, he opened a Tokyo branch office and exported Satsuma ware under the supervision of his brother Shim Soo Sung[沈壽誠]. In the early years, Shim Soo Gwan family maintained Joseon style of pottery but from the 5th generation, the Satsuma style was fully explored. The 12th generation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Kinrande and over glazed ware and also black glazed bowls. 본고는 임진왜란 당시 피랍 도공 심수관가의 기원과 전개, 도자 양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심수관가는 일본 납치 초기 사쓰마 고라이쵸에서 지내다 지금의 나에시로가와로 이주하여 대대로 藩窯에서 작업하였다. 廢藩 직후 12대 심수관(1835-1906)은 1871년 나에시로가와 도기회사에서 일하면서 국내외 박람회 등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직접 玉光山陶器製造場과 陶器畵硏究所를 차렸으며, 동경 지점에서는 동생 沈壽誠 감독하에 수출용 사쓰마 도자기를 제작하였다. 심수관요는 사쓰마 인근의 백토와 天草 도석을 원료로, 유약은 균열유를 기본으로 백유와 흑유, 갈유 등을, 가마는 연방식 등요를 사용하였다. 심수관요 초창기는 조선 도기 양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5대부터는 사쓰마 도자양식을 따랐다. 특히 12대 沈壽官은 白薩摩를 바탕으로 한 금채자기, 상형백자 등을 제작하여 사쓰마 자기의 典範으로 자리하였다.

      • KCI등재

        사쓰마번(薩摩藩)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조선인(朝鮮人) 연구의 현황과 과제

        류미나,허지은 한일관계사학회 2024 한일관계사연구 Vol.83 No.-

        에도(江戶)시대 사쓰마번(薩摩藩)의 나에시로가와(苗代川, 현재의 미야마(美山))에는 조선인 마을이 있었는데, 이곳에 임진・정유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온 조선인 포로들이 정착하여 생활했다. 이들 조선인 포로와 그들이 거주한 나에시로가와에 관한 연구는 1920년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인들의 나에시로가와 정착 과정과 이들을 관리한 사쓰마번의 조선인에 대한 정책 연구, 그리고 조선어통사의 성립 배경과 역할 및 이들을 육성한 조선어학습서에 관한 연구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나에시로가와에 정착한 조선 도공들의 행적과 그들이 남긴 작품에 관한 연구, 나에시로가와의 이미지를 만든 역사 서술에 대해 검토한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나에시로가와 정착 조선인에 대한 연구의 전반을 살펴보고, 나아가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끌려온 조선인들의 연구 현황,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 초기 조선 도공들의 나에시로가와에서의 삶을 다룬 연구는 그 정착 과정 및 사쓰마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이국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나에시로가와의 조선인들의 모습이 강조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가운데 한국 사회는 현재까지 도공 문화를 계승하고 있는 그들의 후손에 주목하게 됐고, 일본에 끌려간 조선인 도공들은 점차 ‘임진왜란 이후 민족 정신을 지켜온 상징’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그들의 역사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었고, 그들의 삶을 부분적으로 평가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에서는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서 ‘일본 도자 문화와 한일관계’라는 틀을 세우고 미시적인 차원에서 그들의 삶을 고찰할 수 있는 주제 몇 가지를 선정해 보았다. 도공 기술의 실례와 그것이 일본 도자 문화에 끼친 영향, 그리고 그러한 도자 문화의 영향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인에 의해 수집된 한반도 도자기의 수집 과정 또한 시야에 넣었다. 나아가 식민지 조선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한반도 도요지 발굴과 일본 열도의 도요지와의 관계, 그리고 그것을 추적하는 일본인들의 발굴 목적 역시 좋은 연구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가나표기로 된 나에시로가와 조선인들의 도자기들과 그 의미를 종래의 문자 해석 연구의 틀을 넘어 역사학적, 언어학적 연구를 학제간의 협동 작업으로 시도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했다. 뿐만아니라 현재 나에시라가와, 즉, 미야마의 특산물로 남아 있는 ‘고려병(高麗菓子, これがし), 그리고 그곳에 세워진 다마야마신사(玉山神社)의 공물인 ‘시로(シロ)’처럼 조선 도공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마련한 제사 및 문화를 좀 더 구체적으로 연구할 것을 제안했다. 나아가 이들 조선 도공들이 한 지역을 넘어 타지역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생활했는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함을 제시했다. During the Edo period, there existed a Joseon Koreans village in the area of Naeshirogawa in Satsuma domain (present-day Miyama), where Joseon Koreans captives brought to Japan during the Imjin and Jeongyu Wars settled and lived. Research on the Naeshirogawa region and the lives of Joseon Koreans began in the 1920s, focusing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Joseon Koreans in Naeshirogawa and examining Satsuma domain's policies towards Joseon Korean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role of Joseon interpreters ('Joseon-tongsa'), and studies on educational materials nurturing these interpreter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addition, studies on the deeds of Joseon potters who settled in Naeshirogawa, the works they left behind, and the historical description that created the image of Naeshirogawa are being conducted. Building upon this prior research, this paper examines the overall study of settled Joseon Koreans in Naeshirogawa and evaluates the current research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ies on Joseon Koreans brought to Japan after the Imjin War. As a result, research on the life of early Joseon potters in Naeshirogawa focused on the settlement proces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atsuma Domai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earance of Koreans living as foreigners was emphasized. As research progresses on them, Joseon Koreans society has begun to focus on the descendants of those who have continued to inherit the pottery culture, and it has become evident that Joseon Koreans potters taken to Japan have gradually been regarded as symbols who have upheld their national spirit since the Imjin and Jeongyu Wars. However, such perspectives hind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history, potentially leading to partial assessments of their liv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establishing a framework focusing on 'Japanese pottery culture and Japan-Korea relations', selecting several themes for micro-level analysis of their lives. These themes include examining examples of pottery technology and its influence on Japanese pottery culture, as well as the collection process of Korean Peninsula pottery by Japanese colonists under the influence of such pottery culture. Furthermore, it suggest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cavations of Korean Peninsula pottery in colonial Korea and those on Japanese islands, along with the excavation purposes pursued by Japanese researchers. Additionally,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conducting historical and linguistic research beyond traditional textual interpretation methods, particularly in analyzing Naeshirogawa Korean pottery and its significance. Moreover, it proposes further research into the rituals and culture established by Joseon Koreans captives to maintain their identity, such as the 'Goryeo-byeong(高麗菓子, これがし)' preserved as a specialty of Miyama and the offerings at Tamayama Shrine(玉山神社). Lastly, it suggests examining how these Joseon Koreans captives established relationships and lived beyond their immediate locality.

      • KCI등재

        일본 개항 전후의 시마즈 가문과 슈세이칸 사업

        김석희 ( Seokhe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고의 목적은 슈세이칸 사업의 역사를 통해 일본의 개항이 변방에서 시작되었다는 점, 완전한 단절상태에서 전면적인 개항으로 전환된 것이 아니라 부분적 개항 상태에서 전면적인 개항으로 전환된 것임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현재의 가고시마(鹿児島) 지역, 사쓰마번(薩摩蕃)의 시마즈가(島津家)와 슈세이칸(集成舘) 사업을 중심으로, 일본의 개항이 국가-지역-개인이라는 중층성과 상호관계성을 토대로 준비되었다는 점, 그리고 과거와의 연결성 안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찰하는 방법으로 전개한다. 막부가 쇄국정책을 강화하고 있던 시기에도 변방 사쓰마번에서는 대대로 서구와의 교역에 눈을 돌렸다. ‘개항’ 이전부터 사쓰마번은 슈세이칸 사업(集成舘事業)을 시작하였다. 슈세이칸 사업은 제철, 조선업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 최초의 근대적 산업단지였다. 사쓰마 번주 시마즈 나리아키라(島津成彬)는 난학자들과 기술자들을 등용하였다. 사쓰에이 전쟁으로 초토화된 후에 재건된 슈세이칸은 현대 일본 산업의 기틀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개항은 실질적으로 변방에서 시작되었을 뿐 아니라, 부분적 개항 상태에서 전면적인 개항으로 전환된 것이었다. 개항을 전면적인 쇄국에서 전면적인 개항으로 인식하는 것은 서구 중심적 인식론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rough the history of the Shuseikan Project that the opening of Japanese ports to foreign trade started with a peripheral area and that the partial opening led to the overall opening, not that the overall opening of all ports was conducted at once in a country attempting to stay isolated.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opening of Japanese ports had been prepared based on a multi-layered approach of nation-region-individual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centering around the Shimazu Family and the Shuseikan Project in Satsuma-han (part of modern-day Kagoshima prefecture); and that it was conducted in connection of the area’s past history. Even during the period when the shogunate government was reinforcing its national isolation policy, in Satsuma-han, which was a peripheral area, people had already been turning to trade with the West for generations. Before the opening of their ports, Satsuma-han started the Shuseikan Project, which was Japan’s first modern industrial complex focusing on the ironmaking and shipbuilding industries. Shimazu Nariakira, the lord of Satsuma-han, employed scholars in Dutch studies and engineers. After being devastated by the Bombardment of Kagoshima, Shuseikan was rebuilt to become the foundation of modern Japanese industry. As a result, the opening of Japanese ports basically started with a peripheral area. In addition, there was transition from a partial opening to an overall opening. It is Western-centered epistemology to recognize the opening of these ports as a change from total isolation of the country to its full-scale opening.

      • KCI등재

        1810년 일본인의 청국표류 체험과 강남지역의 사회상 : 『청국표류도淸國漂流圖』를 중심으로

        박화진(Park, Hwa-J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5

        본 논문은 1810년 청국 강남지역에 표류한 일본인 표류민의 청국표류 체험 및 여정, 그들이 체험한 청국 강남지역 사회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청국표류도』는 1810년 7월 22일 류큐국 나하를 출항한 일본 사쓰마번 백성 등 29명이 청국 강남지역에 표착하여 동년 12월 23일 나가사키에 귀항할 때까지의 체험을 기록한 것이다. 나가사키를 거쳐 사쓰마번으로 귀향한 이후 그들의 청국 표류체험을 작성하여 사쓰마번에 제출한 표류일기인데, 수정을 거쳐 다시 그림 등을 작성·추가한 것으로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청국표류도』의 회화자료는 당시 청국 강남지역의 풍경과 생활상, 시가지 모습(전원·성곽·거리·가옥·상점·항구 등) 등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어 19세기 초 청국 사회와 서민생활상은 물론, 전근대 한·중·일 삼국의 해양교류 양상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모리야마 데이지로를 비롯한 일본인들은 표류 과정 중에 ‘한 줄기 갈대처럼 쓰러져 전복될 찰나의 곤궁과 진실로 목숨을 건 위험, 극한 상태의 슬픔 등등, 이루 다 말로는 표현할 수 없었던’ 고난 속에 1810년 9월 5일 장쑤성 하이먼 지역에 상륙하여, 동년 12월 5일 귀항 선박에 탑승할 때까지 청국 강남 여러 지역을 경유하면서 매우 다양하고 즐거운 청국 사회 견학·체험을 하였다. 『청국표류도』는 험난한 바다에서의 표류체험을 비롯하여 일본인 표류민들이 청국 강남지역에서 받았던 구휼접대, 일본으로 출발하는 항구의 자푸에 이르는 여러 경유지의 명승절경과 명산지 풍경 등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리하여 일본인 표류민들은 작별할 때, 청국인이 베푼 따뜻한 인정과 접대에 대해 ‘실로 천년에 한 번 만날 수 있을까 말까 하는 매우 귀중한 만남이었다.’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향후 19세기 전반 한·중·일 3국 해양교류사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바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t out the Drifting Experience of Japanese and journey, the Social Situation of Jiangnan of the Qing in 1810. 『The Picture of drifting to the Qing Dynasty淸國漂流圖』 was written by Japanese castaway which were aboard the ship. They started at Naha of Ryukyu in July 22th of 1810 year and floated to Jiangnan of the Qing Dynasty. The Japanese castaway of 27 person landed at Haimen(海門) of Jiangnan of the Qing, and stayed for 87 days in China. They returned to their country and submitted a story of their experience about folating of the Qing to Sastuma-Han. Sastuma-Han editted the story and added 43 sheets of paintings. 『淸國漂流圖』 were formed with three volumes, the preface wa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the main text was writtten by Hentaigana[変態仮名] which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ocial situation of Jiangnan of the Qing of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was described very intimately in 『淸國漂流圖』. Therefore 『淸國漂流圖』 is very important materials to come near the society and the ordinary folks of Qing, and the situation of exchange at sea of three countries such as Korea and China and Japan in 19th century. Japanese including Moriyama Deyiziro had much difficulty at wandering, they expressed their danger such as ‘as if they were broken down such as a branch reed and overthrown to the bottom of the sea’. But they were rescued with fish ship of Chinese, landed at Haimen of Jiangnan of the Qing on September 5, 1810. Also they stayed for 87 days, and had diverse and unique experience. The relief system of Qing was very excellent to Japanese drifter, Japanese estimated very highly such as ‘one meeting in a millennium occurrence’. Japanese drifter appreciated very much for the kindness of Chinese.

      • KCI등재

        유구(琉球) 한문학의 성립배경

        이성혜 ( Lee Seong-hea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1 No.-

        인류문명사에 있어서 문자나 문학의 성립 시기가 분명하지 않듯이, 유구에 언제 한문이 전래되었는지, 한문학은 언제쯤 성립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학자들은 가장 이른 시기로 14세기 전후로 보고 있다. 유구 한문학의 성립 배경에는 두 가지 系譜가 있다. 그 중 하나는 ‘五山僧계보’이고, 다른 하나는 ‘閩人三十六姓계보’이다. 첫째, 13세기 후반 일본 승려의 도래로 유구에 한자와 가나문자가 동시에 전해졌다고 한다. 이후 14세기와 15세기에 다시 일본 승려가 도래하는데 이들도래승은 일본 오산계통의 승려로 불교 포교자인 동시에 한문 지식을 갖춘 교육자로 유구 한문학의 성립과 전개에 기여했다. 이 시기 僧門 한문학의 성과는 鍾銘과 碑記를 통해 나타나며 그 대표적인 작품이 「수리성 정전의 종명(首里城正殿の鐘銘)」이다. 둘째, 閩人 36성의 이주 시기는 분명하지 않고, 1392년·1394년·1396년 세 가지설이 있다. 그러나 유구의 학자들은 대체로 이보다 빠른 시기인 1372년 察度王이 명나라 招諭를 받은 때부터 일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들 귀화인들은 중국에서 습득한 한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유구의 외교문서를 전담했다. 그리고 여기에 한 가지 추가하고자 하는 것은 일본 사쓰마번(薩摩藩)의 침공과 유가사상의 정착이다. 1609년 일본 사쓰마번이 유구를 침공하고, 유구지배의 필요성으로 유구에 신분제를 실시하는데 이를 위해 유가사상을 보급했다. 즉, 사쓰마번의 침공으로 유가사상이 확대되면서 유구 한문학의 융성기가 된다. 이때 많은 한시와 한문 작품이 창작되었다. 따라서 진정한 유구 한문학은 이 시기부터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유구에 한문학이 성립되고 전개되었다. It’s not uncertain when Chinese letters were introduced to Yugu(琉球) and whe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as formed in that region. However, researchers generally agree that it was around the 14th century. Three events, they say, made greatest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Yugu. One is the arrival of Japanese Buddhist monks, another is immigration by people of 36 last names who lived in Min, Fujian Province, China and the other, invasion by Sathuma Province, Japan. Chinese character and Gana letters were introduced to Yugu by Japanese Buddhist monks, Seongam(禪鑑) earliest, followed by Noejung Beopin(賴重法印) and Gae Eun(芥隱) in order who were 100 years away from each other. These monks not only propagated Buddhism, but also educated Chinese lette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Yugu. Their accomplishments can be found in bell inscriptions and records that were made when they were working in Yugu. Another contribution to the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f Yugu was the immigration of 36 last names from Min(閩), China. The time when they first came to Yugu is known as 1392, 1394 or 1396, but not certain. However, many researchers of Yugu assume that those immigrants first arrived earlier, or in 1372. The naturalized citizens took in charge of diplomatic documentation for Yugu based on the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at they had learned in their mother country. 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Yugu since Sathuma Province’s invasion. To govern Yugu, that province implemented a social status system, for which Confucianism was distributed. The Confucianism-based status system started with separation between the scholastic and the farming classes, generation of family genealogy and formation of clans. That system was completed in 1690 when Gyedojwa(系圖座) was established as a governmental agency of family genealogy management. Around that time, Confucian ideology and the consciousness of clanship became more an more prevalent across the scholastic class of Yugu, leading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the region.

      • KCI우수등재

        明治 신정부와 箱館戰爭 전후처리

        심기재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1

        This paper examines Enomoto judgement, an important postwar processing to Hakodate War, by analyzing the movements of the important figures of the Meiji new government. First,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postwar processing to Hakodate War was that lenient judgement was given to the surrenders. Second, the main reason it took as long as two and a half years until the pardon was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Choshu group(proponents of capital punishment theory) and Satsuma group(advocates of pardon theory) as to the severity of the surrenders’ punishment. Another reason for the delay was that there were som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like Sanjo’s objection and the Satsuma and Choshu union plan. Third, Enomoto judgment, finally reached amid hot debates and compromises, was the result of various political efforts by diverse parties led by Satsuma group rather than Kuroda’s individual efforts. Lastly, Enomoto judgement was a significant political task; it was important especially to Satsuma group, which was competing with Choshu group for political hegemony. An early finalization of Enomoto judgement was urgently needed 1) to resolve the chronic personnel shortage of the new government and 2) to promot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ception that the government is enforcing a fair personnel policy and that the Emperor Meiji is benevolent, thus helping to suppress people’s political uneasiness. 본고는 하코다테 전후처리의 핵심인 에노모토 처분의 정치과정에 대해 메이지 신정부 요인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전후처리의 가장 큰 특징은 첫째 관대처분이 실시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사면에 이르기까지 2년 6개월여의 시간이 소요된 가장 큰 이유는, 처분 수위를 놓고 엄벌론(死罪論)의 조슈파와 관대론(赦免論)의 사쓰마파 사이에 대립이 존재했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처분이 늦어진 또 다른 이유로는 논의과정에서 산조의異論·삿초합일책(薩長合一策)등과 같은 처분을 방해하는 국내외 제반 정치사정이 있었다. 셋째 우여곡절 끝에 실현된 에노모토 처분은 구로다 일개 개인의 노력보다는 사쓰마파를 중심으로 한 복합적인 정치적 노력의 결과물이었다. 마지막으로 에노모토 처분은 주요 정치과제로서, 정국 주도권을 둘러싸고 조슈파와 경쟁하는 사쓰마파에게는 정치적 의미가 남달랐다. 유능한 구막신의 발탁 등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신정부의 만성적인 인재부족상황의 해소 및 공평한 인사정책에 입각한 천황 자비의 국내외 과시를 통해 정국 및 민심 불안정을 억제하는데 처분의 조기 해결은 반드시 필요했다.

      • KCI등재

        심수관가(沈壽官家)가 갖는 역사적 의의에 대한 재고찰 : 메이지기 일본 수출도자 산업계에 나타난 사쓰마현상 을 중심으로

        노유니아(ROH, Junia) 일본사학회 2021 일본역사연구 Vol.56 No.-

        The Shim Su-gwan (Chin Jukan in Japanese) family in Kagoshima, Japan, which is Satsuma ware producer,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media and scholars because it is the only abducted pottery maker family during the 16th century Japanese invasion of Korea which has kept their Korean last name and passed it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owever, most of the discussions focused on the national identity and identification of the first-generation ancestor. As a result, no full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family s pottery business and works. In this paper, I will re-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him Su-gwan family in the context of the industry of Japanese export ceramics in the early Meiji era. It was during the 12th generation (1835-1906) that the fame of the family was firmly established. Satsuma ware, which the Satsuma domain exhibited at the Paris International Exposition of 1867 independently from the Edo Shogunate, gained popularity in Europe and established itself as a key export item of Japonism. Interestingly, as Satsuma ware became widely popular in Western countries, the so-called Satsuma phenomenon occurred, in which Satsuma-style pottery was made under the name &Satsuma& throughout Japan, in Kyoto and Kanazawa, the production centers of traditional Japanese ceramics, as well as in cities adjacent to export ports such as Nagasaki, Kobe, Yokohama, and Tokyo, and then exported. In this paper, I focus on this Satsuma phenomenon and analyze the role of the 12th Shim Su-gwan at the center of the phenomenon. In particular, I investigate his activities as a manager and leader of Satsuma producers, which have up until now been overlooked. Furthermore, I point out the double hurdle for the Shim Su-gwan family of being from Kagoshima, Japan s southernmost region, and being a descendant of foreigners. Even today, the stigma of being the descendants of Korean potters and the role as the guardian of Koreanness exert an impact on the family. Moreover, people project the image of a modern artist onto Shim Su-gwan while overlook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ceramic production in the industry fiel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him Su-gwan family, we need to consider the Korean-Japanese modern history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art since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