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르투갈·스페인 시장용 명대 크락자기 연구

        방병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0 강좌미술사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origin and the inflow background of Chinese Ming Dynasty blue and white porcelain of Kraak style imported into both the Iberian Peninsula Portugal and Spain.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Portugal market, blue and white of the Santos Palace, Lisbon, had the various kinds and styles of kraak porcelain from 16th to 18th century. Thus the delft ware that decorated the border frame of pyramid ceiling fulfilled with Chinese porcelain, showed the hierarchy of the ceramics. And the kraak porcelain from wrecked ship of 16th century was designed with both subject pattern of the center without outlines and freely positioned border patterns. In terms of the Spain market, the characteristics of kraak porcelain was very similar to the that of the Portugal’s kraak porcelain. However, from the 1600s and on, the kraak porcelain which included dishes, ewer and kundika from wrecked ship and the palace and plaza, demonstrated the stylized frame section without the space. 본 논문은 이베리아 반도 포르투갈, 스페인 양국에 수입된 중국 명대 청화백자 크락양식의 기원과 유입 배경을 살펴보고, 양식 변천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포르투갈의 경우 필자가 직접 실견, 조사한 산토스(Santos)궁 자기방 천장의 청화백자는 크락양식의 다양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피라미드 형태의 중국 청화백자 테두리를 델프트 도기로 장식하여 도자의 위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16세기 침몰선 출토 크락자기는 대체로 구획된 윤곽선 없이 중앙의 주제문과 자유롭게 배치된 테두리 문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파악하였다. 다음 스페인의 명대 크락자기 양상은 16세기의 경우 대체로 포르투갈과 유사하지만 17세기 이후는 1600년 침몰선 출수품, 왕궁과 광장 등의 고고학 발굴품, 정물화 등에만력과 숭정 연간의 변화된 크락양식이 표현되었다. 접시, 정병, 주자 등 다양한 기형에 여백 없이 구연부 테두리에 윤곽선으로 구획하였으며, 구획 공간의 여백은 더 넓어지고 시문은 양식화되는 것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반니 벨리니의<The Feast of the Gods>에 등장하는 명대 청화백자

        방병선,李喜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2 美術史學 Vol.- No.26

        본고는 조반니 벨리니의 <The Feast of the Gods>에 등장하는 세 점의 청화도자의 제작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15세기와 16세기 초 중국과 이슬람, 이태리 사이에 벌어진 문화 교류의 단면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그림의 작가와 주문자, 제작배경, 화풍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그림에 등장하는 그릇들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해서 그릇의 내용과 성격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그림에 등장하는 청화도자와 15-16세기 명과 이란, 터키 도자와의 양식 비교를 통해 그 제작지를 밝히고 당시 교류 상황에 대해 논하였다. 여러 문헌 사료와 무역 관계, 벨리니의 작업 과정과 알폰소 공작의 주문 의도 등을 볼 때 그림에 등장하는 청화도자들은 그가 보고 관찰했던 것을 그대로 화폭에 옮겨 놓은 것들로 추정하였다. 벨리니의 그림은 1514년 이태리에서 그려졌지만 당시 중국과 이태리의 직접적인 도자 교류는 없었다. 그림의 청화도자와 15-16세기 이슬람에서 출토된 명대 청화백자와 여러 박물관 수장품들과의 양식비교를 통해 그림에 등장하는 세 점의 청화도자 중 두 점은 당시 시리아 등지에서 출토된 명대 홍치연간 청화백자와 양식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들 그릇들은 중국에서 이슬람으로 수출된 그릇들로 이슬람에서 다시 이태리로 선물로 왔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당시 이태리에서 명대 청화백자는 최고의 그릇이었고 신분을 과시할 수 있는 위세품이었다. 벨리니가 직접 목격한 명대 청화백자는 15세기 후반 이집트 맘룩 술탄의 선물로 베니스에 인도된 그릇들로, 알폰소 공작의 주선으로 벨리니가 직접 목격하고 스케치하여 그림에 삽입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나머지 한 점의 청화자기는 상하로 정렬된 종속문대와 몸체의 듬성듬성하게 배치한 당초문 등에서 명대 청화백자보다는 이슬람에서 제작된 청화도자에 더 가까워, 16세기 초 이란이나 터키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론하였다. 15세기 이후 이들 지역의 장인들은 중국 청화백자를 갈망하는 유럽 소비자들의 욕구를 어느 정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청화도자들을 생산할 기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벨리니의 그림에 등장하는 청화도자는 두 점의 명대 청화백자와 한 점의 이슬람 청화도자이며 이는 당시 중국과 이슬람, 이슬람과 유럽의 도자 교류의 실상을 잘 보여주는 예인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roducer of the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the Giovanni Bellini’s <The Feast of the Gods> and discuss the cultural exchange among China and Islam, Italy from the 15th to the 16th century.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ainter and the orderer, the background, the painting style of this painting. This study involves the stylistic analysis of the porcelains of the Ming and the Islamic countries(Iran, Turkey) in the 15-16th centuries to find the production sites of the porcelains in the painting. Investigating the documents of the porcelain trade between China and Italy, and Alfonso’s intent to ask Giovanni Bellinni to paint, I propose Giovanni Bellini watched himself and painted the real Ming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Venice that might be gifted from the Egyptian Sultans in the 15th century. Even the painting was finished in 1514 by Giovanni in Italy, there was no porcelain trade between China and Italy. Analysing the styles of the porcelain in the painting and the Ming porcelains excavated in the Islam countries and collected in the several museum, I suppose two of the three porcelains in the painting have stylistic similarity with the Ming porcelain of the Hongzhi era(1488-1505) excavated in the Syria. These porcelain should be exported from China to the Islam world in the 15th century and later gifted to the Italy. Italian consumers perceived the Ming Blue and white porcelain to be the best vessel and the symbol of high social level. Through the arrangement of Alfonso Duke, Bellini watched the Ming porcelain that might be the gifts of the Egypt Mamluck Sultans to the nobles in Venice and sketched for his painting. On the contrary, another blue ware in painting with symmetrical subordinate motifs and flower scrolls in more space, different from the Chinese style, was classified as the Islamic blue ware made in the 15th to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Because Islamic potters who copied Chinese Blue and White in the early period, began to make blue wares of their own style from the end of the 15th century. Iran and Turkey potters supplied the high-quality blue wares to the European consumers who wished to own the Chinese Blue and White but couldn’t.

      • KCI등재

        조선 전기 한양의 도자 : 청화백자를 중심으로

        방병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구 한국미술사연구소 ) 2002 강좌미술사 Vol.19 No.-

        After the Blue and White of the Yuan and the Ming China was first introduced to Chosun, Chosun began to make its own Blue and White since the reign of King Sejo(1455-1468). But it cost too much to make the Blue and White due to the expensive pigment that had to be imported from China. The official painters who went to official Journey to Yenching had to act as the importers of pigment. At that time China also had to import cobalt material from Islam, which made the pigment's price more expensive. Blue and White was used as the ritual and reception ware of gifts to the foreign representative rather that as the commodity. So their shape was formed after the metal ritual ware and Chinese ware. The styles' of Blue and White were divided into two; one was similar to the style of the Chinese Blue and White and the other was the unique Chosun style which emphasized the space and the painterly expressions. All of them showed the aesthetics and the sense of beauty that Chosun consumers had pursued. Owing to the fact that the official painters were responsible for the painting on the porcelain, the porcelain represented the contemporary painting. However, thanks to the solid body, the restricted range of color usage and the material different from paper of silk, the painting style of the Chosun Blue and White had its own unique beauty. The Blue and White took a role as the important data to know the contemporary painting style because of the scarcity of the painting during the early period. They are supposed to be used to examine the date of the introduction, the popularity of painting styl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Chinese and Chosun painting. The bamboo, the pine tree and the plum blossom that symbolized the loyalty of the literatie, the dragon that represented the royals, the bird and flower, and the figure were painted. But the landscape and the folk-painting that became popular in the later period did not appear, which meant the narrow range of Blue and White's consumers compared with that of the later period and the different taste. In conclusion the Blue and White of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was the high class luxury as well as the work of art that represented the beauty and aesthetics of Chosun.

      • KCI등재
      • KCI등재

        정조 연간(1776-1800) 백자 연구의 諸문제

        방병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2 강좌미술사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ssues of Joseon white porcelain research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o do so, the study covers prior research, historical materials, excavated data, and form analysis by dividing ceramic policy and the compilation of works. First, King Jeongjo believed that the decorations on the body of white porcelain wares should be frugal in line with the fundamentals of Neo-Confucianism, while Park Je-ga and Lee Hee-kyung argued in favor of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ceramics manufacturing technology from China and Japan and institutional reform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artisans and production. However, they did not have their own manufacturing technology to take the lead in the actual reform. Moreover, it was considered as a suggestion since they had already risen to the establishment. The main reasons behind Jeongjo’s policy to ban the blue and white wares for the royal family were that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 could not use the same vessels and poor management surrounding the Bunwon royal kilns, particularly with the intention to solve mishandlings regarding white clay excavation. In addition, King Jeongjo decided to reduce production in order for sudden requests of the royal family to be more readily manufactured. However, these policies were not successful due to the prevalence of sumptuous tendencies and continuous production by Bunwon royal kilns. The use of colorful bowls for King’s mother Lady Hyegeyong’s sixtieth birthday gathering shows the intention of King Jeongjo to strengthen royal power, bu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as an example for the success of the policy. The first example among inscriptions and the excavated data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s a blue and white porcelain beveled bottle bearing the inscription ‘丙申’. It is possible that this bottle was produced in commemoration of the enthronement year of King Jeongjo. It is estimated that it was made in 1776 due to its angular shape and colors, although the painted autumn landscape design and mountain stream design had been schematized. Next, a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a chrysanthemum flower stone design and the inscription ‘무신 경수궁二’, had been newly revealed. The inscription ‘二’ refers to the quality of medicine as the ware was used as a medicine jar. Due to the schematized design of chrysanthemums and stones, the year of 무신 is estimated to be 1848. Lastly, the composition of excavated artifacts from Princess Hwayu and royal noble consort WonBin Hong’s tombs has been analyzed to discuss the influx of imported porcelain from China and Japan as well as preferences of consumers. On the other hand, high quality vessels excavated from the tomb of Crown Prince Munhyo and the Jeongjo’s first burial grounds were considered pure white porcelain from the Bunwon kilns which were based on the text Gukjo Oryeui(國朝五禮儀) , the code of five national rites.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shape of the porcelain placenta jar of King Sunjo would be the standard for reviewing the form of the white porcelai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본 논문은 정조 연간 조선백자 연구의 쟁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자관과 도자정책, 편년작 등으로 나누어 선행연구와 문헌사료, 발굴자료, 양식분석 등을 통해 고찰하였다. 먼저 도자관의 경우 정조는 유교성리학의 근본에 맞게 백자 장식은 검박해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 박제가와 이희경은 중국이나 일본으로부터 선진 도자 제작기술 도입과 장인 관리와 생산 등에 관련한 제도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실제 개혁에 앞장서기에는 자체 제작기술이 없었고 이미 기득권층에 올라 언사에 그친 것으로 보았다. 다음 정조의 청화백자와 갑번 금지 정책의 이유를 군신이 동일한 그릇을 쓸 수 없다는 신분 계급에 대한 인식과 분원을 둘러싼 여러 폐단, 특히 백토 굴토에 따른 적폐를 해결하고 갑작스런 별번에도 쉽게 대응하기 위해 생산량을 줄이되 그 대상을 첫 번째 이유와 연관된 갑기와 화기 금지로 실행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사치풍조의 만연과 지속적인 사번으로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혜경궁 홍씨 회갑연 등에서 보이는 화려한 그릇 사용은 정조의 왕권강화의 의도를 보여주지만 정책의 성공을 위한 모범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정조 연간 명문 자료와 출토 자료 중 첫 번째로 ‘丙申’명 청화백자각병은 정조 즉위년을 기념하여 별번을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고, 동정추월과 산시청람의 문양이 일부 도식화되었으나 팔각 기형과 유색 등으로 보아 1776년작으로 추정하였다. 다음 ‘무신경수궁二’명 청화백자국화괴석문호는 ‘二’라는 명문이 약재의 품질 상하를 지칭하는 글자임을 새로 밝히고 이를 추가하는 시기를 정조 20년(1796) 이후로 상정하였고, 유태의 질과 국화와 괴석의 도식적 표현 등을 고려하여 무신년을 1848년으로 추정하였다. 끝으로 화유옹주와 원빈홍씨묘 출토품의 구성을 분석하여 당시 중국과 일본 수입자기 유입과 수요층의 기호 등을 논의하였다. 반면 문효세자와 정조 초장지 출토 명기는 순수한 분원산 백자로 국조오례의 를 따르고자 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순조 태호와 정조의 초장지 항아리 기형은 정조 연간 양식 고찰에 기준이 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임진왜란 피랍도공 沈壽官家와 도자 연구

        방병선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Joseon potter Shim Soo Gwan was kidnapp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from 1592 to 1599 and first lived in Gorai-cho and then moved to Naeshirogawa. The 12th Shim Soo Gwan(1835-1906) established the personal pottery kiln of Kyokugozan[玉光山] in 1871 and a pottery painting studio in 1888. From 1878 to 1897, he opened a Tokyo branch office and exported Satsuma ware under the supervision of his brother Shim Soo Sung[沈壽誠]. In the early years, Shim Soo Gwan family maintained Joseon style of pottery but from the 5th generation, the Satsuma style was fully explored. The 12th generation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Kinrande and over glazed ware and also black glazed bowls. 본고는 임진왜란 당시 피랍 도공 심수관가의 기원과 전개, 도자 양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심수관가는 일본 납치 초기 사쓰마 고라이쵸에서 지내다 지금의 나에시로가와로 이주하여 대대로 藩窯에서 작업하였다. 廢藩 직후 12대 심수관(1835-1906)은 1871년 나에시로가와 도기회사에서 일하면서 국내외 박람회 등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직접 玉光山陶器製造場과 陶器畵硏究所를 차렸으며, 동경 지점에서는 동생 沈壽誠 감독하에 수출용 사쓰마 도자기를 제작하였다. 심수관요는 사쓰마 인근의 백토와 天草 도석을 원료로, 유약은 균열유를 기본으로 백유와 흑유, 갈유 등을, 가마는 연방식 등요를 사용하였다. 심수관요 초창기는 조선 도기 양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5대부터는 사쓰마 도자양식을 따랐다. 특히 12대 沈壽官은 白薩摩를 바탕으로 한 금채자기, 상형백자 등을 제작하여 사쓰마 자기의 典範으로 자리하였다.

      • KCI등재

        임란 전후 피랍 도공 연구- 가고시마 나에시로가와지역을 중심으로

        방병선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7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trace and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the Naeshirogawa potters in the Kagoshima area, who were taken from Jose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and where the change of the work is known until today. Among these potters, Park Pyeong-eui discovered white clay and glaze materials, made white ceramics and was ordered to inherit the name of the pottery industr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is work earned him a position to oversee ceramics production and his son succeeded him. However, after the Meiji Restoration, Park's descendants renamed themselves "Dogo" and even became World War II war criminals. Furthermore, Shimdang-gil, who is the ancestors of Shim Soo-gwan was also recognized his technique from the feudal lord after his settlement in Naeshirogawa. Shim Soo-gwan, a descendant of the 12th gener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recognized worldwide for his excellent skills and became a major potter of Satsuma pottery. The art of making pottery by descendants after the 12th generation is highly regarded in that it is still a constant success.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try to evaluate the pottery making ability of the abducted person, the activities of the descendants, including assimilation into Japan.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emotional evaluation of the act of the kidnapping should be refrained but thoroughly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work. 본 논문은 임진왜란 전후 피랍된 도공 가운데 가고시마 사쓰마 나에시로가와 지역 도공들의 행적을 고찰하여 그들을 어떤 시각으로 보아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박평의는 백토와 유약 원료 등을 발견해서 백도기를 만들어 번주로부터 대대로 도자 제작업을 세습하고 이름을 계승하도록 명받는다. 이러한 그의 업적으로 도자 제작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그의 아들도 이를 이어나갔다. 그러나 메이지 유신 이후 박평의 후손들은 일본식 개명을 단행하여 ‘도고’씨로 이름을 바꾸고 심지어 2차대전 전범이 되기까지 하였다. 다음 심당길, 즉 심수관의 선조 역시 나에시로가와 정착 후 번주로부터 기술을 인정받아 그 업을 세습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12대 후손인 심수관이 탁월한 실력으로 세계적으로 기술을 인정받아 사쓰마 도자기의 대표 주자가 되었다. 12대 이후 후손들의 도자 제작 기술은 심수관만 못하나 지금까지도 꾸준히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결국 일본 피랍 조선 도공에 대한 평가는 피랍 당사자의 도자제작 능력과 행적, 후손들의 활동과 일본 동화 등을 분리해서 시도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면에서 본고는 피랍 혹은 망명 예술가의 행적과 그 후손들에 대한 감정적 평가를 자제하고 철저한 문헌 조사와 작품 평가 등을 통해 새롭게 보아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