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 초 ‘司膳’명자기의 성격

        박경자 ( Kyungja Park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사선서(司膳署)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 사이(1380-1420년대)에 왕실(王室)의 일상식사와 궁궐 안에서 공적(公的)인 용도의 음식제공을 담당한 관청이다. ‘司膳’명자기는 ‘司膳署’를 의미하는 ‘司膳’ 두 글자가 표기된 자기이다. ‘司膳’명자기에 대한 학계의 지금까지의 연구는 자기의 사용주체, 생산지역, 생산지에서 사용처인 궁궐까지의 운송 담당자와 운송방식에 관한 것이다. 그 내용은 첫째, 司膳’명자기의 사용주체는 왕실이다. 둘째, 그 생산지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여러 지역이다. 셋째, 생산지에서 궁궐까지의 운송 업무는 왕실의 식사를 담당한 조직인 사옹(司饔)이 수행하였다. 넷째, 운송방식은 사옹이 제작지에 직접 내려가서 현물의 세금(貢物)으로 수취하여 궁궐까지 육로(陸路)로 운송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司膳’명자기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와 달리 ‘司膳’명자기의 사용주체가 왕실이 아니라 이조 소속의 관사인 사선서이고, 공부(貢賦) 운송시스템인 육로가 아니라 국가가 구축한 운송방식인 해로(海路) 운송이었다. 또 공납자기를 상납하는 주체는 해당 군현(郡縣)이었다. 즉, ‘司膳’명자기는 사선서가 왕실에 대한 조석상식(朝夕常食) 제공이 아니라, 공적인 용도의 음식제공에 사용한 관용자기(官用磁器)이다. 이러한 결과는 『조선왕조실록』의 내용과 가마터에 대한 고고학적인 발굴 결과에서 확인한 세 가지 사실을 바탕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조선 초에 왕실이 일상식사에 사용한 그릇은 자기가 아니라 은기(銀器)였다. 둘째, ‘司膳’명자기의 사용처는 궁궐 안팎의 관청영역이었다. 셋째, 조선 초에 ‘司膳’명자기를 포함한 공물(貢物)은 해로로 운송되었다. The Saseonseo(司膳署) was a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1380~1420’s) in charge of daily meal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provision of food for public use in the palace. ‘Saseon(司膳)-inscribed’ porcelain is a ceramic ware engraved two letters ‘Sa司 and Seon膳’ which means ‘司膳署’. The research on the ‘Saseon(司膳)-inscribed’ porcelain has been focused on the main users, the place of production, the person in charge of transportation and the method of transport. The contents cover; First, the subject of use was the royal family. Second, the production sites located over various regions in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Third, the transportation from the place of production to the palace was performed by Saong(司饔), the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royal meal. Fourth, the Saong went directly to the place of manufacture, received the tax in kind, and transported it to the palace by land. In this paper, the author clarifies the main subject of the above-mentioned ‘Saseon(司 膳)-inscribed’ porcelain was not the royal family, but the Saseonseo(司膳署). In addition, the transportation method was not by land but by sea route transportation, a government-built freight system. It is proposed that the responsibility for transportation lied with the local authorities of the region where the porcelain produced. Therefore, the ‘Saseon(司膳)-inscribed’ porcelain was adopted by the Saseonseo to provide food for public official purpose, not for the royal family. In order to prove the results, the author ascertained three respects based on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the vessel used by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was not a porcelain but a silver-ware, the porcelain was used in government offices outside the palace either and that it was made as a tribute and transported by sea.

      • 개발에 있어 일조권사선제한의 영향력 해석

        최창규(Choi, Chang Gyu) 한국공간환경학회 2004 공간과 사회 Vol.22 No.-

        일조권사선제한은 주택시가지 내에서 이면도로에 접한 중소형 대지의 개발용적을 강하게 제한하는 수단이다. 본 연구는 복잡한 작용구조 때문에 기존에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일조권사선제한을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모델링함 으로써 이를 구조화시키고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해석된 일조권사선제한의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조권사선제한은 주택시가지 내 대지의 건축 가능공간을 강하게 제한함으로써 개발용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일조권 사선제한은 대지의 형상, 정북방향에 대한 각도와 남측 깊이 등에 의해 그 작용력의 강도가 크게 변화한다. 셋째, 대지의 남측 깊이와 도로의 너비는 일조권사선 제한과 도로사선제한의 기준이 되어 건축가능공간을 제한하며, 제한에 대한 상호관계의 강도는 도로사선제한의 영향력이 강하면 일조권사선제한의 영향력이 약해지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갖는다. Even though the setback regulation for the right of light in residential districts strongly effects building envelope and permissible bulk in real estate development, the physical control for buildings has few comparative studies regarding the structure and conditions. Consideration for development focuses on big development hardly affected by the regulation. Furthermore, the setback control could not be easily studied due to the puzzling regulation conditions.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omplex structure, helping real estate developers as well as urban planners to deal with the regulation. Modeling and simulating the permissible bulk in the setback regulation for the right of light, this research can show three results as following. First, the setback regulation is critical for the permissible bulk in residential zones. Second, the effect of the regulation is greatly affected by shape, angle to due north, and depth to south of lots. Third, the stronger the effects of the setback regulation by road, the less powerful the action by the right of light.

      • KCI등재후보

        永郞의 자취와 신라 四仙설화

        여성구(Yeo, Sung-gu)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영랑을 주목한 이유는 영랑이 『삼국유사』 백률사조에 등장하는 안상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승려 안상은 부례랑 혹은 (준)영랑의 낭도라는 설이 있다. 이 밖에 여러 명의 영랑이 보이고 있어 일단 관련 설화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영랑설화는 4仙 속의 영랑과 영랑단독설화로 나눌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기왕의 연구와 지명유래설화에 주목하여 4선설화를 먼저 살펴보았다. 본고의 자료는 문헌에 보이는 설화 내용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영랑의 자취는 평안도·함경도를 제외한 전역에서 확인된다. 4선 혹은 영랑이 들렀거나 머물며 遊賞한 곳이기 때문에 지명이 붙여졌으며, 영랑설화 중에는 이러한 지명유래설화가 많다. 四仙설화의 관련 유적은 四仙峯, 四仙亭, 四仙巖 등이 있고, 이 설화에서 五仙巖, 六仙臺, 八仙臺, 九仙峯 설화가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사선설화의 내용에서 영랑이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으며, 다음이 술랑, 안상, 남석의 순이다. 이를 보면 四仙설화의 중심 인물은 영랑이라고 할 수 있다. 4선설화의 원형은 영랑 등 신라4선이 동해안 일대를 유람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4선설화의 형성시점은 신라시대라고 생각되며, 문자로 정착되지 못하면서 많은 변이가 이루어졌고, 새로운 신화소들이 추가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신라4선설화에 근거하여 당시의 인물을 추가해 오선암, 육선봉 등의 지명이 새롭게 나타난다. 나아가 신라4선을 모두 조선의 실존 인물로 대체하여 조선4선, 조선5선, 조선6선, 조선8선이 등장한다. 화랑으로서의 4랑보다는 신선 이미지의 4선설화가 더욱 성행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신라4선설화는 조선시대에 신선의 의인화 과정을 거치면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신선사상으로 정착되어갔다. The reason why I paid attention to Yeongrang is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Ansang that appears in the BaekryulSa of Samguk Yusa. There is a theory that the monk AnSang is not Buryerang but a rangdo of (Jun)Youngrang. And there are several Yeongrangs, so I tried to consider the related tales first. Yeongrang tale can be divided into Yeongrang in 4seon(仙) and Yeongrang single t ale, t his st udy first looked a t t he 4 seon folk t ales. The t races of t he 4seon are confirmed throughout the country except Pyeongan and Hamgyeongdo. Related ruins include Saseonbong(四仙峯), Saseonjeong(四仙亭), and Saseonam(四仙巖), etc., and it is thought that they are derived from Ohseonam(五仙巖), Yukseonru(六仙樓), Palseondae(八仙臺) and Guseonbong(九仙峯). The prototype of the tal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Silla 4seon including Yeongrang cruised around the East Coast. The formation period of the 4seon tale is thought to be the Silla period, and many variations were made while not being settled by letters, and new myths were added.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Silla 4seon tale, the characters of the time were added, and Ohseonam and Yukseonbong appeared newly. And all 4seon are replaced by the actual characters of Joseon, and the Joseon 4seon, the Joseon 5seon, the Joseon 6seon, and the Joseon 8seon appear. 4seon tales are more prevalent than 4rang(4郞). Silla 4Seon tale was settled as a realistic and concrete Shinseon idea through the process of personification of Shinseon.

      • KCI등재

        건축법 개정에 따른 일조권사선제한의 남측방향으로 적용 효과와 개정안의 보완 개선 방안

        이장범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개정된 건축법에 따른 일조 환경의 변화에 대해 북쪽으로 개정 건축법이 지니고 있는 문제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개선 효과 또한 미미한 것이었다. 북측 방향과 같이 남측 방향으로 개정된 일조권 사선제한을 적용한 경우 개선 효과에 대해서도 분석할 필요가 있고,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정된 일조권사선제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일조권사선제한 규정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정된 기준의 효과와 개선 방향을 확인한 후 일조권사선제한의 합리적인 보완 기준 방안의 대안을 제시 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건축법의 개정전 일조권사선제한 적용하여 분석한 기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기존 주거지의 일조환경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이후 개정전 분석과 동일한 조건의 배치 상태를 대상으로 개정 후 기준을 적용하여 일조 분석을 시행, 일조 환경 상태의 비교분석 결과를 통해 개정된 기준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건물은 0도(정남향), +15도, +30도, +45도를 적용하여 각 방위각별로 법적인 일조 만족 상태를 확인하였다. 옥탑과 발코니 증축에 의한 불법 건축의 경우를 동시에 비교 분석함으로써 개정된 기준의 한계를 파악하고 합리적인 일조권사선제한으로 거듭나기 위해 추가로 개선 또는 보완 가능성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대안 제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로 일조의 특성은 구기준과 신기준이 거의 동일하였지만 개정된 신기준은 구기준보다 다소 일조시간이 불리하였다. 개정된 규정에 의한 남측 방향 1.5m 이격은 남실제 일조시간 개선이라는 측면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일조권사선제한을 남측 방향과 좌우 측면 인접대지의 2 방향으로 적용하는 경우 남측과 측면 인접대지 2 방향으로 일조권사선제한하기 보다는 도로측에서 보이는 좌우측면 인접대지방향으로는 맞벽 건축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일조권사선제한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조시간에 큰 영향 없이 평면계획의 합리성, 외관의 정형화로 미관 제고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revised architectural slant line restriction for daylight, and the method of supplement to enhance the rationality of the revised standard. The scope of study is limited to buildings of 5-story high. Basically this study has been done on the basi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ld and the newly revised standard considering azimuth angle 0, 15, 30 and 45.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aylight condition in revised standard, applying architectural slant line restriction for daylight toward south, has no effect than previous standard, and the supplementary method to enhance the rationality of standard was to decrease the distance toward right north direction from 1.5m to 1.0m. Decreasing this distance made the building take daylight more and also space in the south of the lot. In addition to this result,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slant line restriction for daylight to one side not two sides was more rational to form the building of regular shape with no decrease of duration of daylight. Therefore in this paper 1.0m distance and only one side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slant line restriction for daylight rather than 2 sides was suggested as a method to enhance the rationality of the revised standard of architectural slant line restriction for daylight.

      • KCI등재

        『아비달마구사론』에 나타난 사선정(四禪定)의 의미와 의의

        김준호(Kim, jun-ho)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이 글은 『아비달마구사론』?에서 ‘계경(설)(契經)(說)’이라는 형태로 곳곳에서 인용되고 있는 경설들이 현존하는 남북 양전에서 온전한 형태로 그대로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하나의 주제나 주장을 논증하기 위해서는 해석학적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다. 이러한 전제에 따라 초기불전에서 비롯하여 아비달마 문헌들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사선정에 대한 『구사론』의 해석을 주제로 삼은 것이 이 글의 중심을 이룬다. 『구사론』에서 사선정(四禪定)에 대한 서술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제8 「정품(定品)」에서 사선정의 각 단계에서 성취되는 내용에 대한 논술은 중점적으로 분석되어야 할 부분이다. 또한 『구사론』의 각 품에 서술되어 있는 특정 주제 또는 문제의 논증에서 사선정 및 사선정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발견되는 사선설(四禪說) 특히 사선정의 각 단계에 대한 논술을 모두 검토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그러나 중심 과제는 산스크리트어본 『구사론』과 한역 『구사론』에서 인용된 아가마 경문이 현존하는 남북 양전에서 서술 내용 그대로가 발견되는가에 있다. 다음으로 인용된 아가마를 경증을 삼아 전개한 『구사론』의 논술이 갖가지 초기 불전의 경설에서 드러나는 특정의 설명이나 주장을 충실하게 계승한 것인지 아니면 비판한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도 주된 과제이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atur-jh?na is said the Abhidharmako?abh??ya. This system of explanation is quoted the Abhidharmako?abh??ya has important status to dig out the original ?gama before the North and South Buddhist Canon. In the the Abhidharmako?abh??ya, the name of 8th chapter is samapatti which means meditatiion, and that is made up catt?ro appamana citt?ni, mindfulness, catur-jh?na. Out of these meditation, catur-jh?na appeared more valuable thing has contained the essence of meditation. My concern is how high is the status of catur-jh?na by comparison with another meditation. For the sake of achieving this work, I examine the doctrines on catur-jh?na is quoted the Abhidharmako?abh??ya. Because, it has so much discordant theory of meditation between P?li Canon and Chinese Agamas. These result would indicate there are so much various views about the essence of meditation in the Early Buddhism. And it also shows that can be learned the important of compare and contrast method in the five P?li Canon and the four Chinese Buddhist texts.

      • KCI우수등재

        르 코르뷔지에 건축에서 수평성과 수직성의 사선적 통합

        박성용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3

        In exploring the modernity of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attempts an integrated analysis ranging from simple architectural facts to thearchitectural concepts of a specific architect. The integration of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through oblique movements and compositions inLe Corbusier's works that focused on early house projects was analyzed. This study includes masonry 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structure, the examination of Le Corbusier and Perret's horizontal window-vertical window debates, the two prototypes of Le Corbusier'shouses, the oblique movement of the architectural promenade, and Le Corbusier's one vanishing point perspective. The analysis resultsrevealed that the traditional masonry structure and modern RC structure respectively contained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Through thedebates between Le Corbusier and Perret, it became evident that horizontal windows represent modernity and vertical windows representtraditional styles. The two prototypes of Le Corbusier's houses contained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by slabs and walls, respectively. Thehorizontality limitedly accommodates the verticality by stacking slabs, but as a part of the architectural promenade, the oblique movementwithin the spatial volume achieved the integration of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Upon analysis of the oblique composition in Le Corbusier'sone vanishing point perspective, it was possible to reconfirm that the oblique movement and composition were important spatial characteristicsin understanding his architecture. This study examined the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of architecture from the general facts of architecturalstructure and Le Corbusier’s architectural concepts to overcome the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by oblique integration. This study ismeaningful in understanding Le Corbusier and modern architecture in an integrated way through facts and concepts. 본 연구는 근대건축을 탐구함에 있어 단순한 건축적 사실에서 르 코르뷔지에라는 특정 건축가의 개념에 아우르는 통합적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사선이동과 구도를 통한 코르뷔지에 건축의 수직성과 수평성의 통합을 분석했다. 분석은, 1) 조적구조와 철근콘크리트구조라는 단순한 건축적 사실에 대한 분석, 2) 코르뷔지에와 페레의 수평창-수직창 논쟁, 3) 코르뷔지에 주택의 두 원형인 <돔-이노 주택>과 <시트로앙 주택>의 분석, 그리고 4) 마지막으로 건축적 산책로의 사선이동과 코르뷔지에의 1소점 투시도에 대한 분석 순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통 조적구조는 수직성을 근대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수평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2) 코르뷔지에와 페레의 논쟁을 통해서는 수평창은 근대성을 수직창은 전통양식을 대변했다. 3) 코르뷔지에 주택의 두 원형인 <돔-이노 주택>과 <시트로앙 주택>은 각각 슬라브와 벽체를 통해 수평성과 수직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돔-이노 주택>의 수평성은 슬라브의 적층이라는 제한된 방법으로 수직성을 수용한다. 4) <시트로앙 주택>의 공간 볼륨 속의 사선이동은 수평성과 수직성의 통합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사선이동은 건축적 산책로의 한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선을 통한 건축공간의 구성은 코르뷔지에의 1소점 투시도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사선이동과 사선구도가 그의 건축을 규정하는데 중요한 공간적 특성임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건축의 수평성과 수직성이라는 일관된 주제를 건축구조라는 일반적 사실에서 코르뷔지에라는 특정 건축가의 건축 개념으로까지 관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사실과 개념의 통합적 이해라는 점에서 코르뷔지에와 근대건축을 이해하는 방식으로서 차별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유가사지론』권5ㆍ8에 현토된 점토의 위치 세분에 대하여

        서민욱(徐民旭)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5 No.-

        이 글은 동일한 위치에 현토된다고 논의되어 온 15 위치의 단점들과 15-25 위치의 수평선들, 35 위치의 사선ㆍ역사선들, 45 위치의 사선ㆍ역사선들, 53 위치의 사선ㆍ역사선들이 그 현토 위치가 규칙적으로 변별되며, 대응하는 자토도 다름을 밝히고자 하였다. 살펴본 결과, 15 위치의 단점들은 +15(ㆍ):?, 15(ㆍ):?, 15~25(ㆍ):??으로, 15~25 위치의 수평선들은 15~25(-):?, +15~25(-):???으로, 35 위치의 사선ㆍ역사선들은 34~35(/):????, +35(/):????, 34~35(\):????, +35(\):????으로, 45 위치의 사선ㆍ역사선들은 44~45(\):?????, +45(/):?????, 44~45(\):?????, +45(\):?????으로, 53 위치의 사선ㆍ역사선들은 52(/):?????, 53(/):????, +53(/):????, +52(\):????, +53(\):????으로 변별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구차제정’(九次第定)을 통한 붓다의 반(般)열반은 사실일까 허구일까?

        박대용(Park, Dae-Y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2

        이 논문은 ‘구차제정’(九次第定, nava anupubbavihāra-samāpattiya)을 통한 붓다의 반열반(즉 무여열반/입멸)이 사실인지 아니면 허구의 가상인지 논의하기 위함이다. 주지하다시피 최후의 순간 붓다는 그가 35세 때 이미 성취했던 일련의 무상정등각의 성취 과정들이 새삼스럽게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여러 문헌에 따르면, 붓다는 구차제정의 정점인 상수멸정(想受滅定)의 상태가 아니라 다만 색계 제4선(catuttha jhāna)을 출정해 곧바로 반열반에 들었다고 전한다. 최초의 정각을 고려하면, 붓다는 그 자신의 성취 과정에 대한 분명한 선정 체험들을 제자들에게 일러 줄 수 있었지만, 반면 그가 최후의 입멸 과정에서 나타난 자신의 반열반의 선정체험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에게도 전해 줄 수 없었으며, 다만 그의 제자인 천안제일 아누룻다의 신통에 의해 그 현상들이 인지되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제자들은 그가 상수멸정을 정점으로 하는 구차제정의 순관과 역관을 마치고 최종적으로 사선(四禪)을 통해 반(般)열반에 드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충분히 유추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붓다는 재세 시 구차제정을 통한 깨달음의 완성과 윤회의 중지를 빈번히 설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입멸 시 색계 사선(色界四禪)을 통해 반열반(般涅槃, parinirvāṇa)에 들것이라고 한 다수의 불교 문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붓다의 입멸 과정을 통해서—지난날 성도 이전 싯다르타가 외도 스승인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에게서 배웠지만 이내 버렸던 무소유처와 비상비비상처라는 불교와 다소 이질적 요소들로 구성된—사무색정(四無色定)을 포함한 구차제정의 순관과 역관을 행함으로써, 불교는 당시 인도에서 유행했던 선정 수행 체계들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색계 사선을 열반의 최종 단계에 적용함으로써, 혹자는 “사무색정 ⊂ 상수멸정 ⊂ 색계 사선”과 같은 가치 평가가 자연스럽게 발생했다고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붓다가 열반의 궁극적 완성을 위해 구상한 가장 핵심적 개념은 색계 사선이 자명하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whether Buddhas Perfect Nirvāṇa (parinirvāṇa, 般涅槃) was partly true or fabricated according to the “Nine Steps of (Jhānas) Attainments” (=nava anupubbavihāra-samāpattiya, 九次第定). As is known, in the process of Buddhas meditation toward Perfect Nirvāṇa, there was probably no need to search for Anuttara-samyak-saṃbodhi (無上正等覺), which had been already achieved at his age of 35. According to various texts, Buddha did not reach Perfect Nirvāṇa at meditation stage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saññā-vedayitanirodha, 想受滅定), but he rightly entered the Parinirvāṇa from 4th Jhāna (catuttha jhāna, 第四禪). Regarding the First Enlightenment, there was an apparent remark to his pupils about his own experience with Jhāna and its process. However, Buddha could not discuss the samadhi of the Perfect Nirvāṇa process with his believers, and this is perceived only through his pupil -Anuruddha-and his occult power. We can assume that Buddhas believers could sufficiently infer the last steps of the process to reach complete Nirvāṇa through the Four Jhānas (四禪) and Nine Steps of (Jhānas) Attainments (九次第定), of which the peak is the Jhāna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想受滅定). When Buddha was alive, he used to frequently preach the cessation of reincarnation through the Nine Steps of Attainments. In contrast, there is also extensive evidence in Buddhist scriptures that there were many preachings by Buddha on reaching the Perfect Nirvāṇa just through Four Jhānas. As a result, through a step-by-step meditation process towards his complete Nirvāṇa, Buddha inclusively converged the “Four Attainments of Arūpa-loka” and the final stage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which are disparate aspects from Buddhism, by searching in order and in reverse order searching through the Nine Steps of (Jhānas) Attainments-which did not appear in the First Enlightenment. By applying the Four Jhānas methods to Nirvāṇas final phase, one might insist that the evaluation of values, such as the Four Attainments of Arūpa-loka (四無色[處]定) ⊂ the final stage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想受滅定) ⊂ the Four Jhānas of Rūpa-loka (色界四禪), also naturally took place. Consequently, it is obvious that the concept of Four Jhānas appears to be the most significant core meditation process in order for Buddha to achieve Nirvāṇa.

      • KCI등재

        고려 말-조선 초 공납자기 생산체계의 변화

        박경자(Park, Kyung-ja) 한국중세고고학회 2021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0

        고려시대에 전라도 강진 요장(窯場)의 공납자기(貢納磁器) 생산은 14세기 3/4분기에 중단되었다. 이후 공납자기 생산지는 1389년 이전에 강진 이외의 다른 지역으로 옮겨졌고, 1392년 조선 건국 이후에는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여러 요장으로 확산되었다. 자기의 생산은 특정한 기술력을 지닌 사기장인(沙器匠人)과 가마를 포함한 요업시설을 갖추어야 가능하다. 이 점에서 14세기 4/4분기부터 강진 이외의 여러 요장에서 생산된 공납자기는 특정한 종류의 공물(貢物)을 국가에 대한 신역(身役)으로서 생산한 정역호(定役戶) 공물에 해당한다. 조선은 국가 사무를 수행한 여러 관사의 재원을 공물로 충당하였고 자기는 여러 공물 중 한 종류였다. 조선 초 공물의 조달체계는 크게 분정(分定)과 상납(上納)으로 구분된다. 중앙정부가 공안(貢案) 개정을 통해 공액(貢額)을 정하여 도(道) 단위로 분정하고, 도가 이를 군현(郡縣)에 나누어 정하였다. 공납자기의 경우 지방관이 관할군현의 정역호인 사기장인호로부터 자기를 징수하여 중앙정부에 상납하였다. 1392년부터 1417년 사이에 관사의 재원으로 조달된 자기관련 업무를 수행한 관사에는 사선서(司膳署)와 장흥고(長興庫)가 있다. 사선서는 어선을 포함한 궁궐 안의 음식제공을 담당하였고, 장흥고는 그릇의 관리는 전담하였다. ‘司膳’명과 ‘長興’명자기는 조선 초의 대표적인 공납자기이다. 그러나 1417년 4월에 조선 정부는 공납자기의 양(액수)을 관사별로 나누어 정하고, 이를 분정받은 군현에는 자기를 납부할 관사명을 표기하여 생산하도록 하였다. 이 조치 이후 공납자기에 관사명과 생산 군현명인 지명(地名)이 표기되었다. 이상의 공납자기 생산체계 변화는 태종대의 공안개정 논의, 세종조상정공안이 반영된 것으로 그 결과는 1424년 이후 『世宗實錄』地理志에 139개소에 달하는 자기소(磁器所)로 기재되었다. During the Goryo period, production of the ceramic ware(貢納磁器) for tax payment of Gangjin ceramics workshop(窯場) was discontinued in the third quarter of the 14th century. Since then the production site of the ceramic ware for tax payment was moved to other regions outside of Gangjin before 1389, and after 1392, when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it spread to various ceramics workshops in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For the ceramic ware production, ceramic craftsman with specific technical skills and pottery facilities including kilns. In this respect, since the fourth quarter of the 14th century, it is possible that the ceramics for the public payer produced in various places other than Gangjin is that produced certain kinds of tributes as new tax payment method for Jeongyeokho(定役戶) by a physical labor(身役). Joseon Dynasty secured the finances of the various government offices that carried out public affairs as a tribute and ceramic ware was one of several tributes. The procurement system of the early Joseon tribute is largely the divided(分定) and the offering a tribute(上納). The central government shall establish Gong-an(貢案) that was reinforced with its status as a national budget ledger worthy of name through its revisions and divide it into the province(道), and the provinces shall divide it into local counties(郡縣) and prefectures. In case of a ceramic ware as a tribute, the local authorities collect the ceramic ware from the chief craft masters who are the households for tax payment(定役戶) of jurisdictional county, and pay them back to the central government. Between 1392 and 1417, the government offices that carried out the ceramic-collecting related work procured by government offices include the (司膳署) and Jangheung-go(長興庫). Saseonseo(司膳署) was in charge of providing food in the palace, including fresh fish and Jangheung-go wa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ceramic ware. The ceramic ware with name-marked "司膳" and the "長興", are representative ones for tax payment. However, in April 1417, the quantity (amount) of the ceramic ware for tax payment was decided by government office, and the counties(郡縣) received the allocation and ordered tax payer pottery to produce them with indicating the name of government office to be paid on the ceramic ware. After the measures they started to mark the name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of the production place on the ceramic ware. The changes in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ceramic ware for tribute system discussed above were reflected from discussion of the Gong-an Revision (貢案改定)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and the Gong-an(貢案) presented in King Sejong period (世宗朝詳定貢案) and the results listed as 139 places of ceramics workshops after 1424 in the Sejong sillok jiriji (世宗實錄 地理志,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 KCI등재

        지구단위계획시 일조권 사선제한의 효율적 적용 방안과 일조특성을 고려한 아파트의 새로운 주동배치 연구

        이장범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0 No.1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necessities of new District Unit Planning method in the Residential Area. Even though we are applying architectural building code concerning ‘Architectural Slant Line Restriction for Daylight', daylight conditions are not satisfying minimum 2 hours of continuous duration for the multi-family houses and also apartments. So it is needed to study rational new method of design to get satisfying daylight condition. With an aid of 3 dimensional daylight analysing program, we can get precise results for the daylight condition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zimuth angles. Finally applying new design method which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o the multi-family houses and also apartmen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daylight, we can have apartment complexes and the multi-family houses which are perfect in daylight, as a result it gives better view to dwellers and good cityscape than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