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자원으로서의 알래스카 빙하지형

        권동희 ( Dong Hi Kw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3 No.3

        알래스카 빙하 투어는 앵커리지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대표적인 관광 사이트는 맥킨리산, 마타누스카빙하, 엑시트 빙하, 프린스 윌리엄 사운드 등이다. 이들 사이트들은 모두 앵커리지로부터 약 2~3시간 거리에 있다. 맥킨리산에서는 거대한 곡빙하, 모레인, 이동하는 애추와 암석빙하 등을 관찰할 수 있다. 마타누스카 빙하에서는 산록빙하와 표석, 엑시트 빙하에서는 빙하성유수퇴적평야 그리고 프린스 윌리엄 사운드에서는 피오르 지형과 해안빙하 등의 특징적인 경관을 각각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빙하지형 중 일반 관광객의 빙하투어에 활용되는 경관은 곡빙하, 피오르, 해안빙하 정도이며 나머지 빙하지형은 그 경관이 학술적으로도 중요하고 뛰어난 감상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향후 이들 빙하경관을 주제로 한 구체적인 콘텐츠(개념, 뷰포인트 등)의 개발과 이용이 기대된다. The glacier tour is centered on Anchorage, and typical tourist sites include Mt. McKinley, Matanuska Glacier, Exit Glacier, and Prince William Sound. These sites are all two or three-hour drive from Anchorage. In Mt. McKinley, huge valley glacier, moraine, migratory talus, and rock glacier, etc. can be observed. Piedmont glacier and erratic boulder can been seen in Matanuska Glacier; outwash plain, in Exit Glacier; and fjord and tidewater glacier, in Prince William Sound. Of these glacial landforms, however, only valley glacier, fjord, and tidewater glacier are used in the glacier tour for general tourists; the other topographies are not properly utilized even though they are academically important and worth observing. For the next several years, the development and use of specific contents (concept and viewpoint, etc.) on these glacial topographies are expected.

      • KCI우수등재

        육상 빙하 지형을 이용한 동남극빙상 열 체제와 흐름 기작 변화 복원

        이현희 대한지리학회 2024 대한지리학회지 Vol.59 No.2

        육상 빙하 지형은 과거 빙하와 기저 지형 간에 발생한 물리적 상호작용과 변형의 결과를 보존하고 있으며, 지형면에 나타나는 구성 물질의 분석은 빙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친 열 체제와 영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동남극빙상 말단부의 테라노바 만에 나타나는 빙하 지형으로부터 온난 빙하와 한랭 빙하의 열 체제 경계와 영향력을 시공간적으로 복원하고 빙하 거동 변화와의 관계성을 해석하였다. 점차 강화되고 있는 온난화에 의해 온난 빙하 열 체제의 영향력과 빙하 소모 속도는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미래의 빙하 소모와 해수면 상승 속도는 기존의 예측보다 훨씬 높아질 위험이 나타난다. The physical interactions and deformations between paleo-glaciers and underlying landforms are preserved in terrestrial glacial landforms. Analyzing their composition provides insights into the glacial thermal regime and its effects on glacial flow. This study focuses on reconstructing the boundaries and influence of Warm-Based and Cold-Based glacial thermal regimes in a spatiotemporal context through a survey of glacial landforms in Terra Nova Bay, the terminal region of the East Antarctic Ice Sheet. The analysis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ermal regimes and changes in glacial dynamic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ing influence of Warm-Based glacial thermal regimes, coupled with rising glacial ablation, poses a higher risk of future ablation and sea-level rise than previously anticipated.

      • KCI등재

        백두산 빙하지형의 존재 가능성과 제4기 화산활동과의 관계

        이성이(Sungee Lee),성영배(Yeong Bae Seong),강희철(Hee-Cheol Kang),최광희(Kwang Hee Choi)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2

        백두산의 현재 지형은 반복적인 화산활동과 함께 신생대 제4기 기후변화로 추동된 빙하 활동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여전히 백두산 빙하지형의 존재에 대한 의문들은 해소되지 못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외조사를 통하여, 빙하지형에 관련된 지형들을 제시하고, 이의 연대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제4기 화산 활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가속기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빙하의 후퇴 이후 지표면에 노출되었을 백두산 천지 서사면의 빙하 기반암 지형 면에 대하여, 우주선 유발 동위원소 36Cl의 농도를 측정하여 46~26ka의 표면노출연대를 얻었으며, 이는 적어도 천지 서쪽 사면은 지난 최종빙기 이후의 화산활동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을 지시하며, 특히 대략 천 년 전에 있었다고 보고되는 폭발성 분화에도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화산 쇄설물의 비대칭적 퇴적을 고려했을 때, 계절적으로 이 분화는 북서풍이 탁월한 겨울철에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빙하지형과 이의 연대 결과를 바탕으로 지형 발달과정을 복원해보면, 백두산의 빙하 지형은 지난 빙기까지 곡빙하(valley glacier)들이 연합한 빙모(ice cap) 형태에서 고립된 곡빙하를 거쳐 화산체 내부의 소규모 권곡(cirque) 형태로 변화한 것으로 추론된다. Since the suggestions on the paleo-glacial landforms in and around the northern high mountains of Korean Peninsula by some western and Japanese scientists in the early 1900s, the likelihood of the glacier existence in the Baekdusan over the Quaternary glacial period has been had in common among most of the Korean geomorphologists. In the other meaning, some have cast doubt on the likelihood the paleoglacier in the Baekdusan because there has been no unequivocal evidences for the glacier such as striation, moraines, except morphologic characteristic landforms possibly related to glacier. Here we show some evidences for the existence of the glacier in the Baekdusan and their cosmogenic 36Cl exposure ages over the late Quaternary and would put forward a model on the Quaternary landscape evolution of the Baekdusan,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1000 AD explosive eruption and the glacial landforms. The exposure ages constrained by cosmogenic 36Cl abundances of the col surface of the western slope located below the glacier yield 46~26 ka, which is inphase with the last glacial period. Given all the evidences above,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glacier existed on the Baekdusan over the late Quaternary and the style of glaciation changed from extensive ice cap through valley glacier to restricted cirque.

      • KCI우수등재

        남극 캠벨 빙하 돌발 붕괴의 기작 규명 - 얼음과 불 -

        이현희 대한지리학회 2023 대한지리학회지 Vol.58 No.2

        남극 빙상의 두께 변화가 기록된 빙하지형의 연구는 인간이 맞닥뜨릴 미래기후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정확하고 중요한 정보를 구축하는데 필수적이다. 동남극 빙상의 캠벨 빙하(Campbell Glacier) 말단부에 형성된 모레인은 MIS 6 이래로 지속된 빙하의 소모로 형성되었다(PGM: >640 masl, LLGM: 150~90 masl, LGM: 90 masl). 이러한 소모 중심적 변화에는 ‘건조한 빙하기의 빙하 성장 억제’와 ‘온난한 간빙기의 급격한 빙하 소모’가 주요 원인으로 확인된다. MIS 5 중반에급작스럽게 발생한 약 170 m 두께의 빙하 소모(97.0~90.8 ka)는 멜버른 화산(Mt. Melbourne)의 분출시기(118.2~94.4 ka)와일치하며, 모레인에 나타나는 지형・지질학적 증거 역시 빙하(얼음)와 화산(불)의 상호작용에 의한 빙하의 돌발 붕괴를 지시한다.

      • KCI우수등재

        남극 테라노바 만의 빙해양 지형에 남겨진 고빙하의 증거 - 테라노바 빙붕의 복원 -

        이현희 대한지리학회 2023 대한지리학회지 Vol.58 No.4

        빙하 지형의 존재는 과거 빙하의 형태와 흐름 방향, 그리고 빙하 유역 간 물리적 상호 작용에 대한 단서와 통찰을 제공한다. 근래의 다양한 지형 분석 기법과 측량 기술의 개발을 바탕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빙해양 환경에서도 수심 자료를 획득하고 지형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표면 거칠기 분석과 수심 위치 지수 분석을 통해 남극의 로스해 대륙붕에 형성된 다양한 규모의 빙해양 지형을 감지하였으며, 거대 빙하 침식선형 구조, 드럼린, 모레인, 빙하 접지대, 해저융기부, 해곡, 해퇴 등의 분포와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빙해양지형과 육상 빙하지형의 기록들을 기반으로 고빙하 “테라노바 빙붕”의 존재를 발견하였고, 과거 빙하의 다차원적 유역 규모와 유역 간 물리적 상호작용을 해석하여 구체적인 빙하 거동을 복원하였다. The existence of glacial landforms provides clues and insights into past glacier shapes and flow directions, and physical interactions between glacier drainages. The recent development of various topographical analyses and surveying technologies has made it possible to acquire bathymetric data and analyze topography even in a glaciomarine environment with poor accessibility. This study detected glaciomarine landforms in various scales developed o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Antarctic Ross Sea through Surface Roughness and Bathymetric Position Index analyses, and the distribu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ega-Scale Glacial Lineations, Drumlinoids, Moraines, Grounding Zone Wedges, Ridges, Troughs, and Banks were analyzed. The existence of a paleo-glacier “Terra Nova Ice Shelf” was found based on the records of glaciomarine and onshore glacial landforms, and its detailed ice dynamics were reconstruct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multi-dimensional scales of paleoglacier drainages and phys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drainages.

      • KCI우수등재

        A Preliminary Geomorphic Overview of Late Quaternary Glacier Fluctuations in the South Shetland Islands, West Antarctica

        Yeong Bae Seong(성영배),Hyoun Soo Lim(임현수),Ho Il Yoon(윤호일),Yong Il Lee(이용일),Yeadong Kim(김예동),Lewis A. Owen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5

        2005~2006 남반구 여름기간 동안 서남극 남쉐틀랜드 군도의 빙하지형 및 그에 관련된 제4기 후기 기후변화에 대하여 조사했다. 빙하지형학적 증거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는 이 지역에서 세 번 이상의 빙하 전전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첫번째는 광범 위한 빙하활동으로서 최종빙기 최성기(LGM)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해저지형과 빙하기저 융빙수 하천, 그리고 찰흔의 기록에 의하면 빙상의 중심이 지금의 북쪽 대륙붕에 있었고 약 1000m의 두께와 바닥면의 온도가 어는점 이상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는 달리 홀로세 후기에도 최소 두 번 이상의 빙하 전진이 있었는데 이들은 현재의 해안선을 넘지 못하는 매우 제한된 범위였고 빙하의 기저면이 어는점 이하에 있어서 침식활동이 미약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제한된 빙하활동은 약 2천년전 그리고 소빙기에 각각 발생하였다. The timing and extent of glaciations during the Late Quaternary in the South Shetland Islands, West Antarctica were defined using field mapping, geomorphic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Landforms of glacial erosion and deposition, in particular subglacial meltwater channel erosion, suggest that at least three glaciations occurred during the late Quaternary within the study region. During the global LGM, glacial troughs (such as Maxwell Bay and Admiralty Bay) were overdeepened by an ice stream moving south from an~1000m-thick ice cap centered on the present-day continental shelf to the north. This ice was responsible for the subglacial meltwater channel erosion, and glacial polished and striated bedrock on the Fildes Peninsula. The recent local glaciations occurred about 2,000 years ago and during Little Ice Age (LIA). During these glaciations, glaciers were less extensive than the previous one and less erosive as a cold-based ice.

      • 마지막 빙하기 이후 YD 기후변화와 고인류의 이동

        오성남(Oh, Sung Nam) 세계환단학회 2020 세계환단학회지 Vol.7 No.1

        빙하기의 기후변화를 단초로 선사시대 인류가 티벳고원으로 이주한 과정과 메커니즘은 기후학자와 고고학자뿐만 아니라 인류학자와 유전학자에게도 중요한 관심사이다. 따라서 환단고기에서 밝힌 신석기시대 천산天山을 중심으로 환국이 건설된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본 연구는 인류가 남긴 기록문화 중 아직 진위 여부를 가리지 못한 환단고기에 수록된 『삼성기』와 『태백일사』라는 비전사서秘傳史書의 기록과 현대과학으로 지적한 기후변화 예측모델 결과가 정합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삼성기 상, 하』에는 약 9천 년 전환국이라는 인류 시원국가가 티벳고원과 시베리아에 걸쳐 존재하였다고 한다. 짧은 빙하기 영거드라이아스기Younger Dryas (YD)가 종료된 BP 1만 년 직후 신석기 혁명의 조건형성과 이 비전사서에서 지적하는 9천 년 전이라는 시점이 대략 일치하는 대목이다. 동방에서 온 환족이 수메르문명을 개척한 증거는 배달민족의 종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일찍 아프리카에서 아라비아와 인도로 흩어져 중앙아시아로 왔을 수 있다는 주장으로 뒷받침될 수 있다.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의 남아시아 지배시기와 경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많은 인류 유전학자, 고생물학자 및 고고학자들은 고인류의 이동이 동아프리카로부터 분산되어 BP1) 6만 년에서 BP 4만 년에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대한 증거는 매우 약하다. 특히 인간 유전학적 골격 증거가 부족하다. 그러나 우리는 지구의 기후변화를 살펴보면 BP 300,000년에서 BP 12,000년에 이르는 빙하기의 변동은 고인류의 분산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와 함께 고고학적 및 고생물 환경연구를 통해 그들의 주장을 지지하게 된다. 북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 및 남부아시아에 있는 호모사피엔스의 초기 인류가 호모에렉투스 원주민과의 교접함과 홍적세(Pleistocene) 기간 동안 남아시아 지역으로 이주하여 퍼져 나감을 빙하기의 도래와 함께 기후변화 역사는 현재보다 훨씬 더 복잡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남아시아 전역에 걸친 호모사피엔스의 확장에 대하여 (1) 인간골격에 대한 유적 (2) 현대인의 유전자 연구 (3) 기후변화 예측 모델의 과거기후 시뮬레이션 결과 등 3가지로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YD는 아간빙기 기간에 BP 12900∼11500년 동안 짧게 갑자기 나타난 차고 건조한 하인리히 기후였다. 또한 문명 이전에 사람(Homo)이라 불릴 만한 생명체들의 첫 흔적들은 BP 300만 년경에 아프리카 올두바이에서 나타났고, 최초의 농사는 BP 11,000년 시기에 남서 아시아 아부후레이라Abu Hureyra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첫 문명은 BP 5,500년에 메소포타미아에서 나타났다. 공교롭게도 지난 300만 년은 빙하기(이후 빙기라 함)가 17∼19 번이나 나타났던 격동적인 기후변동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첫 빙기는 BP 300만년에 시작되었고, 마지막 빙기는 YD와 함께 BP 11,500년에 끝이 났다. 하지만 최근 1만여 년은 BP 8200년에 출현한 한 미니 빙기를 제외하면, AD1360∼1860년에 있었던 소빙하기(Little Ice Age)를 포함하더라도 기후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시기이다. BP 11만 년 플라이스토세에서 시작된 지구 마지막 빙하기인 뷔름빙기가 BP 1만 4천 년에 끝나고 다시 온난한 기후가 되었을 때 대 홍수와 해수면 상승을 피하여 티벳고원지역으로 이주한 호모사피엔스는 환단고기에서 언급한 환국인들이었다. 중앙아시아에서 짧은 빙기인 YD를 접한 이들은 요르단 강 지역까지 진출하였다가 가혹한 가뭄을 피하여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지역으로 이주하여 수메르문명을 일구었다.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한 고인류의 이동은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 육지로 이어진 통로를 통하여 아메리카 대륙과 일본열도로 이동하였음은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지구가 온난해짐에 따라 해수면이 상승하여 두 지역 간의 지상 경로는 사라졌다. 따라서 일본의 후기 구석기시대의 출현은 한국의 후기 구석기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연구는 마지막 빙기 이후 인류의 이동과 신석기 혁명을 통한 정주 여건 형성을 추적하여 한국의 비전사서의 환국 관련 기록의 사료적 가치를 방증하는 기초 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아의 초기 Homo Sapiens가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반과 교접했을 가능성을 수용하는 모델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아직은 고인류의 이동과 관련하여 남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에 대하여 결정을 내리기에는 이르다. 남아시아 전역에 퍼져있는 호모사피엔스가 어떻게, 언제, 얼마나 자주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조사는 기후변화 예측모델(GCM)의 접합연구로 통합되어 연구됨으로써 인류의 이동과 인구의 변화가 홍적세 초기 단계임을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in ice age to the migration of prehistoric human beings would be significant interests to a variety of scientists in the area of climatology, archeology, anthropology and genetics. This study remarked on the consistency between the records of Hwandangogi and the scientific results obtained from a climate change prediction model. The book describes that a primordial nation called Hwanguk had been present in a wide territory ranged from Tibet to Siberia 9,000 years ago. The period of neolithic revolution which occurred just after the short Younger Dryas glacial period was almost similar to the time point of the record, which indicated the foundation of the first nation in the world. This means the hypothesis that Sumer, the stem of Western civilization was originated from an Eastern land would be reliable. This article will review the research findings on the climate changes after Younger Dryas and migration of prehistoric human beings to support the authenticity of the descriptions in the record.

      • 프랜츠 요셉 빙하의 지형적 특성과 빙하 후퇴의 원인

        심인선 ( In Sun Sim ) 한국동굴학회 2004 동굴 Vol.63 No.-

        프랜츠 요셉 빙하는 해발고도 250 m의 낮은 고도에 위치한다. 프랜츠 요셉 빙하는 낮은 고도에도 불구하고 타즈만해에서 불어오는 습윤한 편서풍과 고산의 지형적 특색으로 빙하가 존재한다. 지난 소빙기를 끝으로 지구의 기후 온난화로 빙하는 점점 후퇴하고 있으며 2002년과 2003년 사이에도 빙하는 후퇴했다. 후퇴의 원인을 기후요소로 비교 분석하여 후퇴의 원인이 기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빙하 주변에 알파인 단층이 지나가며 변성암이 분포하고 빙하 후퇴의 흔적으로 찰흔과 그루브가 다수 관찰되고 있다 The Franz Josef Glacier is sited 250 m above sea level. The moisture westerly winds from Tasman Sea and the feature of the alp geomorphology have made the Franz Josef Slatier. That is why the Franz Josef Slatier is. The Franz Josef Slatier has receded during the past century in response to global warming since the end of the Little ice Age in the 1890s. Even between 2002 and 2003, the Franz Josef Glacier is confirmed retreatins. This is confirmed by climate factors. The expressing of the Franz Josef Slatier retreating in 2003 which is advanced air temperature and amount of precipitation in 1998 than compared another years. There are lots of metamorphic rock as known biotite, schist, greywack and the Alpine Fault is passing near the Franz Josef Glacier. The grooved and scratching trend surface the rock are observed as the evidence of retreating glacier left.

      • KCI우수등재

        남극 테라노바 만 빙하의 해양 빙상/빙벽 불안정성 평가

        이현희 대한지리학회 2023 대한지리학회지 Vol.58 No.3

        남극 빙상은 남극 대륙 위에 두껍게 성장해 흘러내려가며, 말단부에서 빙붕이나 빙설로 변형되어 해양으로 소모되고 있다. 온난화와 같은 기후 요인과 더불어 지형적, 해양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양 빙상 불안정성과 해양빙벽 불안정성은 빙하의 소모를 가속시키고 있다. 빙하 접지선 배후의 기저 지형은 해양에 떠있는 빙하의 지지력에 영향을 미치며, 빙하 접지선 전면부의 빙하 표면 균열은 빙벽의 붕괴와 분리를 야기한다.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한 빙하기저 지형과 빙하 표면의 형태 분석은 이러한 위험요소가 나타나는 지역을 찾아내고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남극빙상 말단부의 소모를 유발하는 위험인자들을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 평가하는 연구를 통해 해수면의 추가적인 상승 위기를 예측하고 대비해야 한다.

      • KCI등재

        벨링스하우젠 해의 동쪽 대륙붕과 대륙대의 코어의 점토광물을이용한 기원지 연구

        박영규,김진욱,이기환,이민경,김성한,유규철,이재일,김진욱 한국광물학회 2019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2 No.3

        Variations in grain size distribution and clay mineral assemblage are closely related tothe sedimentary facies that reflect depositional conditions during the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Gravity cores BS17-GC15 and BS17-GC04 were collected from the continental shelf and rise in the eastern Bellingshausen Sea during a cruise of the ANA07D Cruise Expedition by the Korea PolarResearch Institute in 2017. Core sediments in BS17-GC15 consisted of subglacial diamicton, gravellymuddy sand, and bioturbated diatom-bearing mud from the bottom to the top sediments. Core sedimentsin BS17-GC04 comprised silty mud with turbidites, brownish structureless mud, laminated mud, andbrownish silty bioturbated diatom-bearing mud from the bottom to the top sediments. The clay mineralassemblages in the two core sediments mainly consisted of smectite, chlorite, illite, and kaolinite. Theclay mineral contents in core GC15 showed a variation in illite from 28.4 % to 44.5 % in down-corechanges. Smectite contents varied from 31.1 % in the glacial period to 20 % in the deglacial periodand 25.1 % in the interglacial period. Chlorite and kaolinite contents decreased from 40.5 % in theglacial period to 30.3 % in the interglacial period. The high contents of illite and chlorite indicated aterrigenous detritus supply from the bedrocks of the Antarctic Peninsula. Core GC04 from thecontinental rise showed a decrease in the average smectite content from 47.2 % in the glacial period to20.6 % in the interglacial period, while the illite contents increased from the 21.3 % to 43.2 % fromthe glacial to the interglacial period. The high smectite contents in core GC04 during the glacial periodmay be supplied from Peter I Island, which has a known smectite-rich sediment contributed by AntarcticCircumpolar Currents. Conversely, the decrease in smectite and increase in chlorite and illite contentsduring the interglacial period was likely caused by a higher supply of chlorite- and illite-enrichedsediment from the eastern Bellingshausen Sea shelf by the southwestward flowing contour current. 남극 벨링스하우젠 해(Bellingshausen Sea)의 동쪽 대륙붕과 대륙대에 위치한 중력코어(BS17-GC15,BS17-GC04)를 2017년 ANA07D 탐사 동안 획득하였다. 두 코어를 이용하여 벨링스하우젠 해의 해양퇴적물 내 빙기-간빙기에 따른 점토광물의 분포와 성인을 조사하였다. 두 코어에 대해 퇴적상의 특성을 기술하고, 입도 분석,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여 점토광물의 조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퇴적학적 특성에 따라 BS17-GC15 코어는 세 개의 퇴적상들로 구분되며 이들은 마지막 빙하기, 전이퇴적상, 간빙기 시기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BS17-GC04 코어는 하부에 빙하기저부 기원의 저탁류의 조합으로 퇴적되는 저탁류 퇴적층과 니질층이 관찰되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실트질 엽층이나타나며 상부에서는 생물교란 흔적이 포함된 반원양성 니질층이 나타난다. 퇴적상이 변함에 따라 점토광물의 함량비도 다르게 나타난다. BS17-GC15 코어는 시기에 따라 일라이트가 평균 28.4~44.5 %로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스멕타이트는 빙하기 때 평균 31.1 %에서 20 %로 감소하였다가 간빙기때 25.1 %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녹니석과 카올리나이트의 합은 빙하기 때 평균 40.5 %에서 간빙기 때 30.4 %로 감소하였다. 빙하기 동안 퇴적물이 남극 반도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에 높은 일라이트와 녹니석 함량을 보인다. 반면, 대륙대에 위치한 BS17-GC04 코어는 빙하기 때 스멕타이트의함량이 평균 47.2 %에서 상부로 갈수록 평균 20.6 %까지 감소하고 일라이트는 하부에서 평균 21.3 %에서 43.2 %로 증가한다. 빙하기 동안의 높은 스멕타이트 함량은 근처의 스멕타이트가 풍부한 퇴적물인 피터 1세 섬에서 퇴적물이 남극순환류에 의해 운반되었을 것으로 예상되고, 그 이후 간빙기에는상대적으로 서쪽으로 흐르는 등수심 해류의 영향으로 동쪽의 벨링스하우젠 해의 대륙붕 퇴적물로부터 일라이트와 클로라이트가 풍부한 퇴적물이 운반되었을 것이라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