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경적 고찰을 통한 새로운 불확실성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

        권명중(Myung Joong Kwon) 한국기독교경제학회 2014 OIKONOMOS Vol.1 No.2

        이 논문은 점증하는 불확실성에 대응해서 기존의 불확실성 이론이 불확실성 관련 경제현상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주목하면서 불확실성문제에 대한 물리학 및 경제학 이론과 성경의 설명을 분석하고, 불확실성에 대한 새로운 측정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불확실성의 경제이론은 불확실성의 상황을 외생적으로 처리하고 정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불확실성 현상의 설명범위를 제한하였다. 그러나 물리학과 성경은 불확실성을 인과관계로 파악함으로써 불확실성이 본질적으로동태적인 현상으로 인식한다. 물리학과 성경의 관점을 불확실성의 측정에 반영하여 만든 새로운 불확실성 측정방법은 불확실성의 범위를 내생화시키고, 측정할 수 없는 불확실성도 분석 수 있게한다. 새로운 불확실성 측정방법은 불확실성 현상을 현재 보다 더 정확하게 측정하여사회구성원 사이에 위험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고, 불확실성을 줄여 국민의 후생증가에 기여한다.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w way of measuring uncertainty by first reviewing the physics and economic theories of uncertainty and biblical anecdotes about drawing lots, and then applying their point of views into measuring uncertainty. The existing economic theory of uncertainty treats uncertain situations exogenously and analyses it statically. As result of that, it confines the range of uncertainties that can be explained. However, Physics and Bible treat uncertain situations as the results of causality and thus analyse them dynamically. The new method on measurement of uncertainty, which reflects the physics and biblical point of views, can endogenize the ranage of uncertainty and deal with unmeasurable uncertain situations. Moreover, it can measure uncertain situations better than the existing method of measurement, and thus enhance resource allocation of risks among people and economic welfare.

      • KCI등재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유현(Yuhyeon Bak),송철종(Cheol Jong S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5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국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 경제정책불확실성이 장기와 단기의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국내 경제정책 불확실성의 비율로 구성한 상대적 불확실성을 이용하였다.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으로 일본, 중국, 미국을 고려하였다. 또한 주성분분석을 통해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한국 고유 요인과 주변국과의 공통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장기와 단기 국채 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경제정책 불확실성 중 한국의 고유 요인은 단기 국채 수익률을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 중국, 미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한국의 단기국채 수익률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대적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이용한 경우,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때 한국의 단기 국채수익률이 상승하였다. 이는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국가 고유 요인과 공통 요인으로 구별해야 불확실성이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Korean and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 First of all, the effect of domesti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s was analyzed, and then relative policy uncertainty, which was constructed as a ratio of Korea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o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used.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nsidered for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addition,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divided into Korea-specific factors and common factors with Japan, China and US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and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Second, Korea's unique factor i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Third, the economic policy uncertainties of Japan, China, and the U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Fourth, in case of analyzing the effect of relativ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 rises when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relatively greater than China's. This implies that the impact of uncertainty on government bond yields can be clearly understood only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distinguished as a country-specific factor and a common factor.

      • KCI등재

        소비자의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애리 ( Yu Ae Ri ),김상희 ( Kim Sang Hee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일상적인 구매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불확실성 유형과 이러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비자들의 행동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정보의 증가와 마케팅 환경의 변화 등의 이유로 소비자의 불확실성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불확실성의 중요성,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불확실성 유형, 그리고 불확실성 감소 행동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견지향(discovery oriented)의 목적을 갖는 Ethonographic 면접법을 통해 불확실성의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Ethonographic 면접 결과,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불확실성 유형은 불확실성 대상에 따라 제품, 판매자, 소비자, 그리고 거래과정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나타났다. 제품과 관련된 불확실성 유형으로는 제품성능, 가격, 정보에 대한 불확실성, 판매자에 대한 불확실성 유형으로는 판매원과 기업에 대한 불확실성, 소비자에 대한 불확실성 유형으로는 자신의 선택에 대한 불확실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거래과정에 대한 불확실성은 유통경로, 정보보안, 미래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나타났다.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이처럼 다양한 불확실성을 경험하는 소비자들은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행동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전략은 추가적인 정보탐색,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험 또는 주변인들의 조언이나 추천을 얻는 방법 등으로 나타났고, 판매원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전략은 정보탐색, 판매원과의 친숙감과 신뢰 형성으로 나타났다. 기업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전략은 정보탐색, 주변인들의 조언이나 추천의 수용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선택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전략은 주변의 조언이나 추천 수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과정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전략은 정보탐색 활동, 사회 제도의 활용, 주변인들의 조언이나 추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통합하여 일반적인 구매의사결정 상황에서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을 유형화하였다. 이는 다양한 불확실성 유형과 불확실성 감소 행동을 토대로 학문적 그리고 실무적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Uncertainty has been defined as a major determinant of consumer's decision making process. Some of the most compelling studies documented that the role of uncertainty in the processing of new product adoption, B2C e-commerce, and high-tech product. Despite the acknowledged importance of consumers' uncertainty, the content of previous studies is far from general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study aims to suggest investigation of the consumers' uncertainty in general decision making proces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o find the type of uncertainty and uncertainty reduction behavior. In study 1,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define a dimension of consumers' uncertainty as product performance, price, information, salesperson, company, distribution channels, self-choice, information security, and future in general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n,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information search, product recall, salesperson recall, recommendation of salesperson,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 social institutional assurance are uncertainty reduction behaviors. In study 2, we tested a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The type of uncertainty and uncertainty reduction behaviors are clearly obtained by integrated approac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ese result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paper discusses the consumers' uncertaint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nature of uncertainty in general decision making process. Second, this study propose that the type of uncertainty and uncertainty reduction behavior in which qual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integrated in practice. In this dissertation, it made important statements on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consumers' uncertainty.

      • KCI등재후보

        소득불확실성이 부의 축적과 소비에 미치는 효과

        신관호,주원 한국은행 2002 經濟分析 Vol.8 No.1

        본 논문은 대우가계패널조사(1993-1998)를 이용하여 한국의 경우에도 소득불확실성에 기인한 예비적 저축의 동기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소득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논문은 Carroll and Samwick(1997)의 방법에 의해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을 항구적 충격과 일시적 충격으로 분해하여 각각의 분산을 소득불확실성의 대리변수로 삼았다. 그 결과 부의 축적에 관한 한 Carroll and Samwick의 불확실성 측정치가 매우 유의하지 않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부를 감소시키는 등 이론과 상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부의 경우, 본문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였고 그 대안으로서 소비를 직접 분석할 것을 제안하였다. 예비적 저축 동기이론에 따르면,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목표부(target wealth)를 높게 가지려 하므로 예비적 동기의 저축이 증가하여, 항상적 소득에 비해 소비수준이 하락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소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이론이 제시하는 방향으로 매우 유의하게 소비가 반응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의 변화를 통한 예비적 저축동기는 발견하지 못했지만, 소비에 있어서는 그러한 동기가 보여지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의 불확실성 추정 및 평가

        배연정 ( Yeonjoung Bae ),서교 ( Kyo Suh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2005년 교토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기간이 만료되는 2012년 이후에는 우리나라도 기후변화협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으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이 권고하는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보고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2006 IPCC 가이드라인은 1996 IPCC 가이드라인, GPG2000(Good Practice Guideline 2000) 및 GPG-LULUCF(GP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에서 정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중 발전적인 방법론을 채택하고 있는데, 불확실성의 분석 및 평가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는 부문의 불확실성을 국가의 순배출 총계 및 추세에 대한 불확실성의 추정치로 조합하기 위한 두 가지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접근법 1은 오차의 확산을 통한 접근법으로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한 일부 가정들에 기초한 단순한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계산 절차이고, 접근법 2는 몬테카를로 모의실험(Monte Carlo Simulation)에 기초를 두며 보다 일반적인 적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축산, 경종 및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포함하는 농업분야에서는 에너지 및 폐기물 등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식보다 통계자료의 구득, 배출계수 산정의 어려움 그리고 배출량 산정식의 복잡성으로 인해 불확실성을 추정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불확실성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기반으로 해야 하는 등 어려움이 있어 지금까지의 연구가 매우 미약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계량화하기 위해 오차의 확산을 통한 접근법과 몬테카를로 모의실험을 통한 접근법을 통해 산정하고, 두 접근법에 의한 불확실성 추정값을 상호 비교하여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의 불확실성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원중 가축의 장내발효 및 분뇨처리 부분과 농경지에서의 직/간접 배출량을 대상으로 배출계수의 불확실성과 활동자료에 대한 확률밀도함수의 불확실성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국가 단위의 불확실성을 추정하기 위해 오차의 확산을 통한 접근법과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접근법을 각각 적용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각 부문의 불확실성에 큰 영향을 주는 배출계수 및 활동자료를 추출하여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환경 불확실성이 목표관리의 효과성과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갑두 ( Gab Doo Lee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3 세무회계연구 Vol.0 No.36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경영혁신의 기본적인 토대라 할 수 있는 목표관리의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해서는 기업의 경영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이해와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환경 불확실성이 목표관리의 효과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조직구성원들이 환경을 복잡하고 동태적으로 인식할수록 목표 설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반면에 환경을 적대적으로 인식할수록 목표설정에 참여를 주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의 불확실성의 속성 가운데, 경쟁의 치열함과 산업의 침체 등 기업이 직면한 환경이 그 기업 혹은 개인에게 호의적이지 않고 불리하거나 적대적인 특성을 적대성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복잡성이나 동태성과는 달리 훨씬 심각하고 통제하기 어려운 불확실성으로 인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불확실성의 속성 가운데 상대적으로 복잡성을 전반적으로 낮은 불확실성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는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동태성과 적대성을 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환경의 불확실성의 특성에 따라 불확실성은 인지하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적대성이 가장 불확실성이 높은 요인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환경의 불확실성의 특성에 따라 조직 구성원들의 인지 정도가 다르며 이에 따라 직무에 대한 태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는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은 직무의 변화와 혁신을 유도하여 조직 만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불확실성의 정도가 통제의 범위를 지나치게 벗어나면 조직만족이나 조직만족이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조직구성원들이 목표설정에 참여할수록, 그리고 목표실행에 있어서 내재적 동기부여가 높을수록 조직만족도는 높아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목표관리시스템의 운영에 만족할수록 조직만족은 낮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만족은 단순히 목표관리시스템의 도입과 운영에 의해 결정되기 보다는 목표관리과정에서 구성원의 실질적인 참여와 이를 바탕으로 한 내재적 동기부여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Currently, most corporations are confronting ever changing and competitive management environments and endeavoring to secure superior business advantages to survive in the marketplace. In other words, they nee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risks arising from the uncertainty of business environments and thus to improve their organizational cultures that are more likely to be objective oriented. MBO approaches are evaluated to be effective as they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onsistent and shared organizational objectives that can facilitate the clear division of jobs and the rational administration of tasks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The first hypothesis, that is, uncertainty of environm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racteristics of MBO, was accepted in the study. Among others, the objectives setting factor had the strongest effect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MBO. The second hypothesis that characteristics of MBO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was also accepted. Most of all, the objectives evaluating factor had the greatest effect on job performance. Hypothesis number three, that is, uncertainty of environm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was accepted as well. In specific, the competitiveness factor had the stronges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e fourth hypothesis stating that characteristics of MBO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of environments and job performance, was also accepted. Particularly, the objectives evaluating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hich indicates that management by objectives should be an important corporation business strategy under uncertainty of management environments.

      • KCI등재

        환경적 불확실성과 기업 간 협력이 공급사슬유연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상오(Sang-Oh Kim),윤선희(Sun-Hee Youn) 한국산업경영학회 2008 경영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환경 불확실성이 공급사슬관리의 기업 간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아울러 기업 간 협력이 공급사슬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품별 공급사슬 적절성이 기업간 협력과 공급사슬유연성에 조절변수의 효과가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환경 불확실성은 고객 불확실성과 공급자 불확실성, 경쟁자 불확실성, 기술 불확실성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 각각의 불확실성이 기업 간 협력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한 후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환경 불확실성은 기업 간 협력실행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고, 환경 불확실성 중 공급자 불확실성과 경쟁자 불확실성도 기업 간 협력 실행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고객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은 기업 간 협력실행에 비유의적이나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기업 간 협력실행은 공급사슬 유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또한 이들 협력 관계 요인들과 공급사슬 유연성 사이에 제품별 공급사슬의 적절성이 조절변수로서의 의미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uccessful supply chain management requires the integration of the entities in a value chain to create a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information exchange and shared decision-making across value chains. Both effective and ineffective firms in supply chains use their management processes to achieve multiple performance outcomes. The primary differences are in the way they handle environmental uncertainty, nature of partnerships, usage of IT Tools, scope and quality of information flows and supply chain integration.<BR>  This paper has three specific objectives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firm collaboration practice(Supply chain Partnership, Usage of IT Tools, Information Quality, Support of CEO) and supply chain flexibility. The important relationships to be tested include; (1)the direct impact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inter-firm collaboration practice (2)the direct impact of inter-firm collaboration practice and supply chain flexibility (3)A moderating effect of matching supply chains with produ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firm collaboration practice and Supply chain Flexibility.<BR>  This study shows that supplier uncertainty have a negative effect and the collaboration practice have an effect on the flexibility of supply chain, but the matching supply chains with products have no effect on the inter-firm cooperation and th flexibility of supply chain as a moderating variable.<BR>  In result, we could read that the inter-firm collaboration practice that enable firms to exchange the substantial information about the risks and the business results on basis of inter-firm vision sharing and reliability can affects the flexibility of supply chain. In succeeding study, we think that the increase of sample size, the research of the big effective variable, the impact of heterogeneous variable and control variable need to be reflected.

      • 脫추격형 기술혁신의 불확실성 대응 전략

        송위진,박동오,강윤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과거 외국의 기술을 도입하여 기술혁신을 추진하던 추격 시기와는 달리 스스로 새로운 궤적을 형성해나가는 脫추격형 혁신 활동이 몇몇 분야에서 나타나면서 기술혁신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추격형 기술개발과정에서는 개발해야 할 기술이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개발의 불확실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 기술이 개발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특정의 설계 방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脫추격 단계에서의 기술혁신은 많은 경우 모방할 대상이 없으며, 또 그 기술이 개발가능한 것인지도 미리 알기 어렵다. 따라서 脫추격 단계에서 기술혁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脫추격 단계에서 나타나는 기술·경제적 불확실성 관리의 핵심을 기술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과 정당성 확보라는 요소로 정리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개념적 틀과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궤적을 형성하는 기술혁신의 경우 그것과 관련된 기술지식이 확보되어야 하고, 또 사회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정당성이 확보되어야만 기술혁신활동이 성공적으로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2장에서는 산업형성기의 기술·경제적 불확실성의 특성과 대응 방안을 살펴본다. 이 논의는 脫추격형 기술혁신 과정에서 불확실성과 대응방안을 살펴보는 준거점을 제공하고 있다. 脫추격형 기술혁신은 새로운 기술혁신을 통해 신산업을 형성하거나 기존 산업을 재활성화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불확실성이 산업형성기의 불확실성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게 된다. 산업형성기에 접하는 불확실성을 기술적 불확실성과 정당성 확보와 관련된 불확실성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예지능력의 강화, 실험과 실패를 통한 학습, 개방형 혁신과 사용자 참여, 기술·사회시스템에 대한 기대(expectation)형성 등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어떻게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이 이루어지는지를 정리한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脫추격형 혁신의 특성을 정리하고, 脫추격형 혁신의 사례를 정해 기술혁신과정에서 직면하는 불확실성의 내용과 그에 대한 대응활동을 분석한다. 이 때 앞서 제시한 대응방안들을 준거점으로 해서 脫추격형 혁신활동에서 나타난 특성들을 정리한다. 줄기세포연구, 와이브로 기술개발, 파이넥스 기술개발 사례를 대상으로 예지능력, 실패학습, 사용자 참여, 기대형성 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앞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脫추격형 혁신활동에서 기술적 불확실성과 정당성 관련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방향에 대해 정리한다.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脫추격형 혁신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1. 예지활동의 강화 우리나라 정부부처에서 신기술개발 관련 과학기술계획이나 전략기획 활동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계획이나 로드맵이 시나리오 접근보다는 단선적인 발전과정에서 시기별로 수행해야할 사업이나 개발해야 할 기술들이 배열되는 형태로 서술되어 있다. 이는 과거 추격시기의 기획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추격단계에서는 선진국이 가는 궤적을 왜 따라가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궤적의 시나리오를 탐색하는 활동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기술궤적은 복수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주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던 것이다. 향후 복수의 궤적을 탐색하는 관점들이 기술기획 등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궤적이 당연한 것이 아니며 다양한 진화적 발전 궤적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궤적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안은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가지고 있는 집단들이 기획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것이다. 다른 가치관과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 이해당사자들이 서로 논쟁하고 토론하는 장을 조성하여 복수의 궤적들이 검토되고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실험과 실패를 통한 학습 그 동안 우리는 선진국에 의해 주어진 궤적을 따라가면서 답이 있는 문제들을 해결해왔기 때문에 문제의 대한 복수 대안을 선택하는 접근은 채택하지 않았다. 또 해결해야 할 문제가 답이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일정 수준이상의 노력을 기울이면 실패를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실패는 용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병렬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불확실성이 높은 기술개발사업에 반영하고, 성실한 실패를 인정하고 학습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일본이 실패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과를 만들고 실패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실패로부터 학습을 촉진하려는 노력은 여러 가지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많다. 또한 실패한 사업의 경우 서둘러 덮어 버릴 것이 아니라 실패로부터 학습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3. 개방형 혁신과 사용자 참여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혁신체제는 국내적으로 폐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기업들 간에, 기업과 대학·연구소들에 밀접한 교류가 없이 각개약진 식으로 발전해왔다. 근래에 와서 변화가 나타나고는 있지만 이와 같은 사업 방식은 아직도 많은 혁신주체들의 행동들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협력을 위한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 개방과 협력은 그냥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전적으로 축적된 공통의 지식기반과 사회적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4. 사회·기술시스템에 대한 담론 형성 현재 우리나라에서 기술발전과 공진화하는 사회의 모습에 대한 담론형성 능력은 상당히 취약하다. 특정 기술이 널리 사회에 자리 잡게 되면서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어떤 변화가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탐구 능력이 충분히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외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기술과 동시에 구성되는 사회에 대한 전망에도 외국에서 제시된 논의들을 그대로 수용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제는 다양한 사회·기술시스템에 대한 담론들이 토의되면서 공론이 형성되는 장이 필요하다. 그 동안 정부주도의 발전 과정에서 사회·기술시스템에 대한 담론은 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추격단계에서는 이러한 접근이 가능했을지 모르지만 발전궤적이 열려 있는 脫추격 단계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공론 형성의 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기술시스템의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 KCI등재

        수문·기상레이더기반 정량적 강우량 추정과정에서의 불확실성 분석

        이재경,Lee, Jae-Kyoung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5

        수문 기상레이더는 강우량을 바로 추정하지 못하고 여러 단계의 정량적 강우량 추정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많은 불확실성 발생요소가 존재한다. 불확실성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정량적 레이더기반 강우량 추정과정에서 보정방법을 이용하여 각 단계별 불확실성을 줄이는 연구들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전체 과정에 대한 포괄적인 불확실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각 단계별 불확실성의 상대적인 비율도 제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레이더강우량 추정과정의 각 단계별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불확실성 전파를 나타낼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초기와 최종 불확실성, 각 단계별 불확실성의 변동과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레이더기반 추정과정의 불확실성 정량화와 전파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Maximum Entropy Method (MEM)와 Uncertainty Delta Method (UMD)를 적용하였다. 세 번째로 레이더기반 강우량 추정과정의 불확실성 정량화를 위해 2개 품질관리 알고리즘, 2개 강우량 추정방법, 2개 후처리 강우량 보정방법을 2012년 여름철 18개 사례에 대하여 사용하였다. 적용결과, MEM에서 최종 불확실성(후처리 강우량 보정 불확실성: ME = 3.81)이 초기 불확실성(품질관리 불확실성: ME = 4.28)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UMD에서도 최종 불확실성(UMD = 4.75)이 초기 불확실성(UMD = 5.33)보다 작게 나타나 불확실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레이더강우량 추정단계의 불확실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이더강우량 추정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적합한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각 단계별로 불확실성이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방법이 명확히 불확실성을 정량화할 수 있으며 정확한 정량적 레이더 강우추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Many potential sources of bias are used in several steps of the radar-rainfall estimation process because the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radars measure the rainfall amount indirectly. Previous studies on radar-rainfall uncertainties were performe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each step by using bias correction methods in the quantitative radar-rainfall estimation process. However, these studies do not provide comprehensive uncertainty for the entire process and the relative ratios of uncertainty between each step. Consequently, in this study, a suitable approach is proposed that can quantify the uncertainties at each step of the quantitative radar-rainfall estimation process and show the uncertainty propagation through the entire process. First, it is proposed that, in the suitable approach, the new concept can present the initial and final uncertainties, variation of the uncertainty as well as the relative ratio of uncertainty at each step. Second, the Maximum Entropy Method (MEM) and Uncertainty Delta Method (UDM) were applied to quantify the uncertainty and analyze the uncertainty propagation for the entire process. Third, for the uncertainty quantification of radar-rainfall estimation at each step, two quality control algorithms, two radar-rainfall estimation relations, and two bias correction methods as post-processing through the radar-rainfall estimation process in 18 rainfall cases in 2012. For the proposed approach, in the MEM results, the final uncertainty (from post-processing bias correction method step: ME = 3.81) was smaller than the initial uncertainty (from quality control step: ME = 4.28) and, in the UDM results, the initial uncertainty (UDM = 5.33) was greater than the final uncertainty (UDM = 4.75). However uncertainty of the radar-rainfall estimation step was greater because of the use of an unsuitable relation. Furthermore, it was also determined in this study that selecting the appropriate method for each stage would gradually reduce the uncertainty at each step.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new approach can significantly quantify uncertainty in the radar-rainfall estimation process and contribute to more accurate estimates of radar rainfall.

      • KCI등재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가?

        홍희정 ( Hee-jung Hong ) 한국회계학회 2024 회계저널 Vol.33 No.1

        최근 국내·외적으로 예기치 못한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기업의 전략적인 경영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제적 불확실성 지수에 대한 문헌의 확장 및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불확실성의 대표적 측정치인 Baker et al.(2016)의 EPU index와 최근 이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 및 보완된 Cho and Kim(2023)의 New EPU index를 동시에 활용하여 경제적 불확실성이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불확실성과 연구개발투자의 복합적인 관계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지표를 활용한 대부분의 분석결과에서 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은 연구개발투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의 가치는 하락하고,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불확실성과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가치에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고/낮은 경우와 연구개발투자의 상호작용항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은(낮은) 경우는 낮은(높은) 경우에 비해 기업이 연구개발투자를 할수록 기업가치에 각각 유의한 양(+)과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편적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투자를 감소시키지만 역설적으로 기업이 연구개발투자를 증가시킨다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추가분석에서 선도기업과 비(非)선도 기업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선도기업과 달리 비(非)선도기업의 경우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연구개발투자를 증가시킬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이 높은 경우 시장의 경쟁강도가 낮아지므로 비(非)선도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증가는 선점우위/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전략적인 의사결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특정 산업(하이테크산업, 제약·바이오산업) 및 다양한 대용치(자산화/비용화된 연구개발비, 연구개발집약도, 연구개발비증감율, KEPU), Fixed-effects model, Heckman’s two-stage 등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연구의 강건성이 확보되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이 경제적 불확실성 상황에서 전략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한다면 다른 기업에 비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업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기업과 투자자에게 경제적 불확실성 수준에 따른 연구개발투자전략 및 가치투자에 대한 유용성을 제공하고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경제정책 당국자에게는 전략적인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정책수립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R&D investment and how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affects firm valu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firms decrease R&D investment. Second, 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creases, firm value decreases, and as R&D investment increases, firm value increases. This means that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have opposite effects on firm value. Third,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using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variables classified as high/low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R&D investment, R&D investment has a positive(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low). This means that, in general, R&D investment decreases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 but paradoxically, the firm value rises when R&D investment increases strategically in a situation wher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 Therefore, the investment effect of R&D has a differential effect on firm value according to the high/low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provides new evidence that firms can secur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other firms and increase the firm value if they strategically invest in R&D, even under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t also provides companies and investors with the usefulness of R&D strategies and value investm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