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유현(Yuhyeon Bak),송철종(Cheol Jong S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5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국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 경제정책불확실성이 장기와 단기의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국내 경제정책 불확실성의 비율로 구성한 상대적 불확실성을 이용하였다.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으로 일본, 중국, 미국을 고려하였다. 또한 주성분분석을 통해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한국 고유 요인과 주변국과의 공통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장기와 단기 국채 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경제정책 불확실성 중 한국의 고유 요인은 단기 국채 수익률을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 중국, 미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한국의 단기국채 수익률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대적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이용한 경우,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때 한국의 단기 국채수익률이 상승하였다. 이는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국가 고유 요인과 공통 요인으로 구별해야 불확실성이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Korean and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 First of all, the effect of domesti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s was analyzed, and then relative policy uncertainty, which was constructed as a ratio of Korea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o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used.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nsidered for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addition,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divided into Korea-specific factors and common factors with Japan, China and US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and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Second, Korea's unique factor i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Third, the economic policy uncertainties of Japan, China, and the U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Fourth, in case of analyzing the effect of relativ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 rises when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relatively greater than China's. This implies that the impact of uncertainty on government bond yields can be clearly understood only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distinguished as a country-specific factor and a common factor.
박유현(Yuhyeon Bak) 한국주택학회 2018 주택연구 Vol.26 No.4
본 논문은 전국의 특별시 및 광역시, 경기도를 대상으로 하여 주택담보대출 (LTV 및 DTI) 규제가 아파트 가격 안정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택담보대출은 정책이 시행되는 시점마다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서울 및 수도권 등으로 나뉘어 지역마다 다르게 적용되었다. 이에 대상 지역을 대출규제가 강화되는 지역과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국내주택시장이 지역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가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성향점수매칭으로 선택편의를 보정한 후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가격상승률에 대한 규제 강화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007년과 2009년에 시행된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는 가격상승률을 0.39% ~ 1.2% 만큼 하락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과 2017년에 시행된 대출규제 강화는 단기에만 가격상승률을 하락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계금융위기 이후에는 주택담보대출규제에 따른 가격상승률 하락효과의 크기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규제방향의 잦은 변경에도 불구하 고, 주택담보대출 규제강화로 인한 차입제약이 투기수요 가능성을 제한함으로써 가격 안정 화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ing mortgage loan regulations (LTV and DTI) on housing price appreciation in Korea. The applied areas of the regulations were altered when the policies were implemented and the regulations vary from areas to areas. I classify the areas into regulated and non-regulated regions. Then selection bias is correcte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considering that the housing market is localized, and next the policy effect is analyzed with difference-in-differen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i) stricter mortgage loan regulations in 2007 and 2009 decrease the housing price growth rate; (ii) the tightening of regulations in 2011 and 2017 brings down housing price appreciation in the short term; (iii)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magnitude of the policy effect has steadily diminished. Even though the direction of the policy is frequently changed, the trend implies that the tightening of mortgage loan regulations effectively stabilize housing price appreciation as borrowing constraints restrict the possibility of speculative demand.
비공유 저장장치를 가지는 클러스터 기반 시스템에서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이용한 스트리밍 방법
박유현 ( Bak¸ Yuhyeon ),정진환 ( Jeong¸ Jinhwan ),이용주 ( Lee¸ Youngju ),우상민 ( Woo¸ Sangmin ),김갑동 ( Kim¸ Gapdong ),김학영 ( Kim¸ Hagyo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일반적인 비 공유 저장장치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편향된(skewed) 요청 문제를 피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비 공유 저장장치 모델로 설계/구현된 클러스터 기반의 시트리밍 서버에서 사용자의 편향된 컨텐츠 요청에 대처할 수 있고 스트리밍 서비스 중인 서버 또는 NS 카드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스트리밍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다중 스트리밍 방법인 MDC(Multiple Description Coding)를 적용한 스트리밍 전송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단일 세션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MDC 를 활용하여 다중 세션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서버의 부하가 같아지고, 특정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스트리밍 서비스가 끊어지지 않으면서 MDC 의 특성인 적응형 서비스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NGIS에서 부분 컨텐츠 복제를 이용한 컨텐츠 스트리밍 방법
박유현(BAK Yuhyeon),배승조(BAE Seungjo KIM),김진미(Jimee KIM),김창수(Changsoo WOO),우상인(Sangmin JEON),전승협(Seunghyup LEE),이원재(Wonjae KIM),김영준(Myungjoon)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Ⅰ
인터넷 인프라의 발달로 인터넷 서비스의 분야는 점차 넓어지고 서비스 대상 데이터도 과거의 문자, 숫자형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비디오와 같은 대용량의 컨텐츠를 QoS에 맞게 서비스하기 위해서 새로운 제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스트리밍 가속화가 가능한 NS (network-storage) 카드를 개발하였다. 이 논문은 NS 카드를 장착한 시스템에서 인기 많은 비디오 데이터를 QoS 와 저장공간의 효율을 위해 부문 컨텐츠 복제 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전체 컨텐츠를 복제하여 서비스하는 방법과는 달리 컨텐츠의 부문을 복제하고 서비스 시점에서 나머지 부분을 복제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지연 시간이 늘어나지 않으면서 저장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중 디스크립션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협업 프록시 구조 설계
이승은(Seung-eun Lee),한종욱(Jong-wook Han),한동윤(Dong-yun Han),박유현(Yuhyeon Bak),김경석(Kyong-sok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D
최근 많은 사용자들이 인터넷 상에서 비디오나 오디오 같은 규모가 큰 미디어 콘텐츠(Media contents)의 정보 전달을 효율적으로 제공 받기를 원하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은 인터넷 트래픽의 아주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우리는 클러스터형 협업 프록시를 기반으로 한 다중 디스크립션비디오 스트리밍 구조를 제안하여 네트워크와 서버의 부하를 클러스터된 일반 프록시들에게 균등하게 분산 시킨다. MDC(Multiple Description Coding)[1]를 적용하여 캐싱 공간(Caching space)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다중 세션을 통해 디스크립션을 서비스함으로써 스트리밍 서비스 중인 프록시 또는 전체 데이터를 저장하고 하는 서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끊어지지 않는 계속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일반 프록시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디스패처가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적응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을 이용한 P2P 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이승은(Seung-eun Lee),한동윤(Dong-yun Han),박유현(Yuhyeon Bak),김경석(Kyong-sok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최근 인터넷 접속 환경의 발달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 성능 향상의 영향으로 단순한 정보의 전달뿐만 아니라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 콘텐츠(contents)의 정보 전달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것은 인터넷 트래픽의 아주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분산하기 위하여 우리는 P2P(Peer-to-Peer)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본 논문은 Tapestry를 미디어 콘텐츠 스트리밍 환경에 맞게 변형하며, 노드와 네트워크의 부하를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MDC(multiple description coding)를 이용하여 하나의 콘텐트를 다중 트리에 분산한다. 제안된 메커니즘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