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장형 프로세서를 위한 저전력 분기 예측기 설계 기법

        김철홍,송성근,Kim, Cheol-Hong,Song, Sung-G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6

        프로세서의 파이프라인 길이가 점차 길어지고 한 사이클에 이슈되는 명령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기 예측기의 정확도는 프로세서의 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내장형 프로세서를 설계하는데 있어서는 전력 효율성이 가장 중요한 설계 고려 사항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므로, 내장형 프로세서의 분기 예측기를 설계할 때에는 성능과 전력 효율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gshare 분기 예측기가 적용된 내장형 프로세서에서 선택적인 BTB (Branch Target Buffer)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저전력 분기 예측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분기 예측기 내에서 BTB는 직전 명령어가 테이큰 (Taken) 분기로 예측되지 않는 경우에는, PHT (Pattern History Table)의 예측 결과가 테이큰인 경우에만 접근된다. PHT의 예측 결과가 테이큰인 분기 명령어의 경우에만 다음에 인출될 명령어의 주소를 BTB 접근을 통해 얻은 주소로 결정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같은 선택적인 BTB 접근으로 인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전 명령어가 테이큰분기로 예측된 경우에는 PHT의 예측 결과에 관계없이 BTB는 항상 접근된다. 선택적인 BTB 접근을 하기 위해, 제안하는 분기 예측기 내의 PHT는 기존 분기 예측기의 PHT와 비교하여 1 사이클 일찍 접근되도록 구현한다. 1 사이클 빠른 접근을 위해 제안하는 PHT는 한 번의 접근을 통해 두 개의 예측 결과를 동시에 얻어오게 구현하고, 이를 통해 PHT의 접근 횟수도 줄임으로써 분기 예측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 또한 얻게 된다. 제안하는 분기 예측기는 하드웨어 오버헤드나 예측 정확도의 감소 없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분기 예측기는 기존의 분기 예측기와 비교하여 $35{\sim}48%$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결과를 보인다. In designing a branch predictor, in addition to accuracy, microarchitects should consider power consumption, especially for embedded processors. This paper proposes a power-aware branch predictor, which is based on the gshare predictor, by accessing the BTB (Branch Target Buffer) only when the prediction from the PHT (Pattern History Table) is taken. To enable the selective access to the BTB, the PHT in the proposed branch predictor is accessed one cycle earlier than the traditional PHT to prevent the additional delay. As a side effect, two predictions from the PHT are obtained through one access to the PHT, which leads to more power savings. The proposed branch predictor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not requiring any additional storage arrays, not incurring additional delay (except just one MUX delay) and never harming accurac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edictor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by $35{\sim}48%$ compared to the traditional predictor.

      • KCI우수등재

        분기손익조정효과와 이익예측오차 및 이익예측정확성

        백원선 ( Wonsun Paek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학연구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분기손익조정효과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 및 이익예측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기손익조정효과는 특정 분기의 손익이 해당 분기가 아닌 다른 분기에 인식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는 다양한 손익항목의 추정과 배분을 허용하는 발생주의 회계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특정 분기의 비용을 (1) 해당 분기의 매출과 대응되는 비용과 (2) 다른 분기의 매출과 대응되는 비용으로 구분할 때 재무분석가가 특정 분기의 비용 중에 다른 분기의 매출과 대응되는 비용의 크기와 방향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한 채 이익을 예측한다면 실제이익보다 이익예측치가 큰 낙관적인 예측오차가 생길 뿐 아니라 그 정확성도 낮아질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분기손익조정효과가 클수록 이익예측은 낙관적이며, 그 정확성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분기 매출과 동일 기간에 대응되는 비용에서는 분기손익조정효과와 이익예측오차 및 이익예측정확성간에 유의한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비용과 동일 회계연도에 속하는 매출 외에 직전 회계연도와 직후 회계연도의 매출을 포함하여 추정한 분기손익조정효과를 이용한 분석에서도 분기손익조정효과는 이익예측오차 및 이익예측정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무분석가가 분기손익조정효과를 이익예측에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and bias and accuracy of analysts’ quarterly earnings forecast error.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is known as a non-contemporaneous recognition of a portion of earnings for a quarter in other quarters. This phenomenon might be caused by a fundamental feature of the accrual basis of accounting that allows various estimates and allocation on revenues and expenses.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settling-up effect of expenses that are associated with sales for different quarters. If financial analysts provide earnings forecasts without fully considering the settling-up effect of expenses between quarters, it is expected that quarterly earnings forecasts are more optimistically biased and less accurate. Empirical finding generally supports my expectation. The more settling-up effect of expenses, the more optimistic earnings forecast error, and the less accurate earnings forecasts. However, such a result is not observed for non-settling-up effect of expenses contemporaneously matched with sales in the same quarter. This result suggests financial analysts do not fully reflect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in forming their earnings forecasts. Thus, information users should be careful in using analysts’ forecasts for their investment decisions.

      • KCI등재

        세트 연관 캐쉬를 사용한 2단계 적응적 분기 예측

        심원,Shim, 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9 No.4

        조건부 분기 명령어는 분기 벌칙을 야기함으로써 명령어 수준의 병렬도 향상에 제약을 가한다. 고성능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의 등장으로 인해, 정확한 분기 예측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이를 위해 동적 분기 예측의 일종인 2단계 적응적 분기 예측(2-level adaptive branch prediction)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2단계 적응적 분기 예측이 상당히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도에 따른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단계 적응적 분기 예측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트 연관 캐쉬를 이용한 캐쉬 상관 분기 예측기(cached correlated branch predictor)를 제안하고, 기존의 방식에 비해 예측의 정확도는 증가하고, 비용은 줄어든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한다. 세트 연관 예측기의 경우 전역과 지역 방식의 가장 좋은 예측 실패율은 각각 5.99%, 6.28%이며, 이는 종래의 2단계 적응적 분기 예측 방식에서의 가장 좋은 결과인 9.23%, 7.35%에 비해 각각 54%, 17% 향상된 결과이다. Conditional branches can severely limit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 level parallelism by causing branch penalties. 2-level adaptive branch predictors were developed to get accurate branch prediction in high performance superscalar processors. Although 2 level adaptive branch predictors achieve very high prediction accuracy, they tend to be very costly. In this paper, set-associative cached correlated 2-level branch predictors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cost problem in conventional 2-level adaptive branch predictors.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cached correlated predictors deliver higher prediction accuracy than conventional predictors at a significantly lower cost. The best misprediction rates of global and local cached correlated predictors using set-associative caches are 5.99% and 6.28% respectively. They achieve 54% and 17% improvements over those of the conventional 2-level adaptive branch predictors.

      • 신경망의 분석을 통한 방향 정보를 내포하는 분기 예측 기법

        곽종욱,김주환,전주식,Kwak Jong Wook,Kim Ju-Hwan,Jhon Chu Shik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2 No.1

        파이프라인과 슈퍼스칼라 방식 그리고 동적 스케줄링 기법이 일반화된 시스템 구조 하에서, 분기 명령어에 대한 분기 예측 정확도는 프로세서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적인 성능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분기 예측이 실패했을 경우 잘못된 분기 예측으로 인한 페널티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페널티는 파이프라인의 길이가 깊어지고 더욱 많은 수의 명령어가 동시에 실행되는 환경일수록 더 큰 값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분기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분기 예측과 관련된 신경망을 구축하여 이론 통해 분기 예측에 필요한 각 요소별 가중치의 경향을 분석한다. 그 결과, 높은 가중치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기존의 분기 예측 기법에 추가시킨 새로운 형태의 분기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새로운 기법은 실행 구동방식의 시뮬레이터인 Simple Scalar를 통하여 모의실험 되었으며,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분기 명령어의 방향 정보를 내포하는 새로운 기법(direction-gshare)"이 기존의 gshare 기법과 비교하여 동일한 하드웨어 복잡도를 가지면서도 일반적인 Bimodal 기법이나 이단계 적응형 분기 예측 기법 혹은 그의 변형인 gshare 기법에 비하여 분기 예측의 정확도가 최대 4.1%, 평균 1.5%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최적의 방향 정보 내포량에 대해서는 최대 11.8%, 평균 3.7%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In the pursuit of ever higher levels of performance, recent computer systems have made use of deep pipeline, dynamic scheduling and multi-issue superscalar processor technologies. In this situations, branch prediction schemes are an essential part of modem microarchitectures because the penalty for a branch misprediction increases as pipelines deepen and the number of instructions issued per cycle incre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branch prediction scheme, direction-gshare(d-gshare),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At first, we model a neural network with the components that possibly affect the branch prediction accuracy, and analyze the variation of their weights based on the neural network information. Then, we newly add the component that has a high weight value to an original gshare scheme. We simulate our branch prediction scheme using Simple Scalar, a powerful event-driven simulator, and analyze the simulation results. Our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bimodal, two-level adaptive and gshare predictor, direction-gshare predictor(d-gshare. 3) outperforms, without additional hardware costs, by up to 4.1% and 1.5% in average for the default mont of embedded direction, and 11.8% in maximum and 3.7% in average for the optimal one.

      • KCI등재

        분기 명령어의 조기 예측을 통한 예측지연시간 문제 해결

        곽종욱,김주환,Kwak, Jong-Wook,Kim, Ju-Hw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6 No.5

        정교한 분기 예측기의 설계는 오늘날의 프로세서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분기 예측의 정확도가 더욱 더 중요해 지면서 정확도의 향상을 위한 다수의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예측 지연 시간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 지연 시간 문제를 해결하고자 조기 예측 기법 (ESP, Early Start Prediction)을 제안한다. 조기 예측 기법은 분기 예측에 있어서 활용되는 분기 명령어의 주소 대신 그것과 일대일 대응이 되는 기본 블록의 시작 주소 (BB_SA, Basic Block Start Address)를 이용한다. 즉, 분기 명령어의 주소가 사용되는 기존의 환경에서, BB_SA를 활용하여 조기 예측을 시작함으로써, 예측 지연 시간을 숨긴다. 또한 제안된 기법은 짧은 간격 숨김 기법(short interval hiding technique)을 통해 보다 더 나은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은 예측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예측 지연 시간이 1 사이클인 이상적인 분기 예측기의 성능에 0.25% 이내로 근접한 IPC 결과를 얻었다. 또한 기본 블록의 시작주소와 분기 명령어 사이에 짧은 간격을 가질 경우에 대한 개선 방법을 추가적으로 적용시킬 경우,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여 평균 4.2%, 최대 10.1%의 IPC 향상을 가져왔다. Precise branch prediction is a critical factor in the IPC Improvement of modern microprocessor architectures. In addition to the branch prediction accuracy, branch prediction delay have a profound impact on overall system performance as well. However, it tends to be overlooked when the architects design the branch predictor. To tolerate branch prediction delay, this paper proposes Early Start Prediction (ESP) technique. The proposed solution dynamically identifies the start instruction of basic block, called as Basic Block Start Address (BB_SA), and the solution uses BB_SA when predicting the branch direction, instead of branch instruction address itself.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can be further improved by combining short interval hiding technique between BB_SA and branch instruction.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solution hides prediction latency, with providing same level of prediction accurac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edictors. Furthermore, the combination with short interval hiding technique provides a substantial IPC improvement of up to 10.1%, and the IPC is actually same with ideal branch predictor, regardless of branch predictor configurations, such as clock frequency, delay model, and PHT size.

      • KCI등재

        분기 선예측과 개선된 BTB 구조를 사용한 분기 예측 지연시간 은폐 기법

        김주환(Ju-Hwan Kim),곽종욱(Jong-Wook Kwak),전주식(Chu-Shik Jh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0

        현대의 프로세서 아키텍처에서 정확한 분기 예측은 시스템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최근의 연구들은 예측 정확도뿐만 아니라, 예측 지연시간 또한 성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예측 지연시간은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기 예측지연시간을 극복하기 위한 분기 선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분기장치를 인출 단계에서 분리함으로써, 분기 예측기가 명령어 인출 장치로부터의 아무런 정보도 없이 스스로 분기 예측을 진행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을 지원하기 위해, BTB의 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기법이 동일한수준의 분기 예측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대부분의 예측지연시간을 은폐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제안된 기법은 항상 1 싸이클의 예측 지연시간을 가지는 이상적인 분기 예측기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최대 11.92% 평균 5.15%의 IPC 향상을 가져온다. Precise branch predictor has a profound impact on system performance in modern processor architectures. Recent works show that prediction latency as well as prediction accuracy has a critical impact on overall system performance as well. However, prediction latency tends to be overlooked. In this paper, we propose Branch Pre-Prediction policy to tolerate branch prediction latency. The proposed solution allows that branch predictor can proceed its prediction without any information from the fetch engine, separating the prediction engine from fetch stage. In addition, we propose newly modified BTE structure to support our solution.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proposed solution can hide most prediction latency with still providing the same level of prediction accuracy. Furthermore, the proposed solution shows even better performance than the ideal case, that is the predictor which always takes a single cycle prediction latency. In our experiments, IPC improvement is up to 11.92% and 5.15% in average, compared to conventional predictor system.

      • KCI등재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과 효율적 복구 기법

        곽종욱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5 No.4

        Branch prediction accuracy is critical for system performance in modern microprocessor architectures. The use of speculative update branch history provides substantial accuracy improvement in branch prediction. However, speculative update branch history is the information about uncommitted branch instruction and thus it may hurts program correctness, in case of miss-speculative execution. Therefore, speculative update branch history requires suitable recovery mechanisms to provide program correctness as well as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recovery logics for speculative update branch history. The proposed solutions are recovery logics for both global history and local history. In simulation results, our solution provides performance improvement up to 5.64%. In addition, it guarantees the program correctness and almost 90% of additional hardware overhead is reduced, compared to previous works. 분기 명령어에 대한 예측 정확도는 시스템의 전체 성능 향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은 미완료 분기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추측적으로 사용하여 분기 예측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분기 명령어의 가장 최근 기록을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분기 예측의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하지만 미완료 분기 히스토리는 올바르지 못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적절한 복구 기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에 대한 성능 향상의 정도를 살피고,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으로 인해 요구되는 적절한 복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전역 분기 히스토리를 사용하는 분기 예측기와 지역 분기 히스토리를 사용하는 분기 예측기에 각각 적용 될 수 있는 방식들이다. 모의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이 최대 5.64%의 성능향상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프로그램 수행의 정확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90% 이상의 하드웨어 요구량의 감소를 가져왔다.

      • KCI등재

        우리나라 기업의 분기이익의 시계열속성과 예측능력

        김정교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회계정보연구 Vol.28 No.4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분기이익의 시계열속성에 관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다섯 가지 분기이익 예측모형(랜덤웍모형 2개, Box-Jenkins 방법론에 따라 식별된 모형 3개)의 예측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2000-2009년 기간(40개 분기)에 걸친 193개 상장기업의 분기이익자료를 이용하여 분기이익의 횡단면적 자기상관함수를 조사한 결과 분기이익시계열에 (a) 인접분기요소와 (b) 계절성요소가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기업규모를 기준으로 전체표본을 세 개의 부분표본(대기업, 중기업, 소기업)으로 분할하여 표본자기상관계수를 조사한 결과, 대기업과 중기업의 경우 자기상관계수의 발생패턴이 전체표본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소기업의 경우 인접분기요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시계열속성 분석결과를 근거로 다섯 가지 예측모형의 예측능력을 분석한 결과, 평균절대비율오차와 오차의 평균순위로 측정한 예측정확성 측면에서 Brown-Rozeff모형(1979)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분석결과는 미국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모형의 우수성은 매출액의 계절성, 유⋅무형자산 원가의 기간적 배분으로 인해 감가상각비에 나타나는 이동평균속성,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분기이익조정실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자기회귀속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기업규모별 예측능력분석에서는 대기업과 중기업에서는 모형의 우수성이 나타났으나, 소기업에서는 예측모형간 우수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wofold: (1) to provide descriptive evidence on the time-series properties of quarterly earnings of Korean listed company and (2) to assess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a set of quarterly earnings prediction models: two random walk models and three models identified using the Box-Jenkins methodology. Using the quarterly earnings data of 193 listed firms over the 2000-2009 period(40 quarters), I provide empirical evidence documenting that the quarterly earnings series has (a) an adjacent quarter-to-quarter component and (b) a seasonal component, based on inspection of the cross-sectional autocorrelation function of quarterly earnings. The results concerning predictive performance(one-step-ahead quarterly earnings forecasts) indicate that the Brown-Rozeff(1979) model significantly dominates the random walk with drift model, seasonal random walk with drift model, Foster model(1977), and Griffin(1977)-Watts(1975) model in the predictive ability. Investigating whether the predictive dominance of the model pertains to firms of varying size or is constrained to a particular size stratum based on the notion that firm size is an economic determinant of earnings persistence, I find that the forecast errors of larger firms a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smaller firms.

      • KCI등재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과 효율적 복구 기법

        곽종욱,Kwak, Jong-W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5 No.4

        분기 명령어에 대한 예측 정확도는 시스템의 전체 성능 향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은 미완료 분기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추측적으로 사용하여 분기 예측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분기 명령어의 가장 최근 기록을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분기 예측의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하지만 미완료 분기 히스토리는 올바르지 못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적절한 복구기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에 대한 성능 향상의 정도를 살피고,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분기 정보의 추측적 사용으로 인해 요구되는 적절한 복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전역 분기 히스토리를 사용하는 분기 예측기와 지역 분기 히스토리를 사용하는 분기 예측기에 각각 적용 될 수 있는 방식들이다. 모의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이 최대 5.64%의 성능향상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프로그램 수행의 정확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90% 이상의 하드웨어 요구량의 감소를 가져왔다. Branch prediction accuracy is critical for system performance in modern microprocessor architectures. The use of speculative update branch history provides substantial accuracy improvement in branch prediction. However, speculative update branch history is the information about uncommitted branch instruction and thus it may hurts program correctness, in case of miss-speculative execution. Therefore, speculative update branch history requires suitable recovery mechanisms to provide program correctness as well as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recovery logics for speculative update branch history. The proposed solutions are recovery logics for both global history and local history. In simulation results, our solution provides performance improvement up to 5.64%. In addition, it guarantees the program correctness and almost 90% of additional hardware overhead is reduced, compared to previous works.

      • KCI등재

        3차원 구조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분기 예측 기법에 관한 온도 효율성 분석

        안진우,최홍준,김종면,김철홍,Ahn, Jin-Woo,Choi, Hong-Jun,Kim, Jong-Myon,Kim, Cheol-H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9 No.2

        프로세서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기법 중 하나로 명령어 수준의 병렬성을 높이는 추론적 수행(Speculative execution)이 사용되고 있다. 추론적 수행 기법의 효율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는 분기 예측기의 정확도이다. 하지만, 높은 예측율을 보장하는 복잡한 구조의 분기 예측기를 최근 주목 받고 있는 3차원 구조 멀티코어 프로세서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발열 현상이 큰 장애요소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구조 멀티코어 프로세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기 예측기의 높은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기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효율성을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첫번째 기법은 분기 예측기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분기 예측기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동적 온도 관리 기법이고, 두번째 기법은 3차원 구조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각 층 별로 온도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복잡도를 지닌 분기 예측기를 차등 배치하는 기법이다. 두 가지 기법 중에서 복잡도를 고려한 차등 배치 기법은 평균 $87.69^{\circ}C$의 온도를 나타내는 반면, 동적 온도 관리 기법은 평균 $89.64^{\circ}C$의 온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 층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율을 각 기법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동적 온도 관리 기법의 온도 변화율은 평균 $17.62^{\circ}C$을 나타내었고 복잡도 차등 배치 기법의 온도 변화율은 평균 $11.17^{\circ}C$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온도 분석을 통하여 3차원 멀티코어 프로세서에서 분기 예측기의 온도를 제어하였을 경우, 복잡도 차등 배치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성능적인 측면을 분석한 결과, 동적 온도 관리 기법은 해당 기법을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평균 27.66%의 성능하락을 나타내었지만, 복잡도 차등 배치 기법은 평균 3.61%의 성능 하락만을 나타내었다. Speculative execution for improving instruction-level parallelism is widely used in high-performance processors. In the speculative execution techniqu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accuracy of branch predictor. Unfortunately, complex branch predictors for improving the accuracy can cause serious thermal problems in 3D multicore processors. Thermal problem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processor performance. This paper analyzes two methods to solve the thermal problems in the branch predictor of 3D multi-core processors. First method is dynamic thermal management which turns off the execution of the branch predict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ranch predictor exceeds the threshold. Second method is thermal-aware branch predictor placement policy by considering each layer's temperature in 3D multi-core processors. According to our evaluation, the branch predictor placement policy shows that average temperature is $87.69^{\circ}C$, and average maximum temperature gradient is $11.17^{\circ}C$. And, dynamic thermal management shows that average temperature is $89.64^{\circ}C$ and average maximum temperature gradient is $17.62^{\circ}C$. Proposed branch predictor placement policy has superior thermal efficiency than the dynamic thermal man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the proposed branch predictor placement policy degrades the performance by 3.61%, while the dynamic thermal management degrades the performance by 27.6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