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철홍,Kim, Cheul-Hong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11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1 No.1
Background: There is controversy regarding the relative perioperative benefits of desflurane when used for induction of anesthesia. Inhalation induction with desflurane alone causes adverse airway events, such as coughing, bronchospasm, laryngospasm, and copious secretion of varying sever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esflurane minimize cardiovascular activation during induction. Methods: Sixty ASA I and II patien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1 MAC or 1.5 MAC of desflurane during manual vernilation or not. Patients received propofol (2 mg/kg) to induce loss of consciousness (LOC). Rocuronium (0.8 mg/kg) was given at LOC and the trachea was intubated after 90 seconds of manual breathing support with or without inhaled anesthetics. Vital signs and adverse airway events were recorded until 10 minutes post-intubation. Results: A significant increase 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seen in no desflurane group. The stable vital signs were seen in desflurane groups. The adverse airway events were increased in 1.5 MAC group but 1 MAC group. Conclusions: Desflurane was able to be stabl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t 1 MAC but adverse airway events were increased at 1.5 MAC of desflurane.
A Massively Parallel Algorithm for Fuzzy Vector Quantization
김철홍,김종면,Huynh, Luong Van,Kim, Cheol-Hong,Kim, Jong-My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6 No.6
퍼지 클러스터링 기반 벡터 양자화 알고리즘은 퍼지 클러스터링 분석이 벡터 양자화 프로세스 초기단계에서 초기화에 덜 민감하게 하기 때 문에 데이터 압축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퍼지 클러스터링 처리는 훈련 벡터 공간에 포함된 불확실한 양적 공식의 복잡한 프레 임워크 때문에 상당한 계산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당한 계산량 부하를 극복하기위해 본 논문은 4,096 프로세싱 엘리먼트로 구성된 어레이 아 키텍처를 이용하여 퍼지 벡터 양자화 알고리즘의 병렬 구현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병렬 구현은 4,096 프로세싱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링 프로세스 동안 효과적인 벡터 할당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계산적으로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병렬 구현은 기존 의 다른 어레이 아키텍처를 이용한 구현보다 성능 및 효율 측면에서 상당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동일한 130nm 기술에서 제안한 병렬 구현은 오늘날의 ARM이나 TI DSP 프로세서를 이용한 구현과 비교하여 약 1000배의 성능 향상 및 100배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향상된 성능 및 에너지효율에서 제안한 병렬 구현의 잠재가능성을 입증한다. Vector quantization algorithm based on fuzzy clustering has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data compression since the use of fuzzy clustering analysis in the early stages of a vector quantization process can make this process less sensitive to its initialization. However, the process of fuzzy clustering is computationally very intensive because of its complex framework for the quantitative formulation of the uncertainty involved in the training vector space. To overcome the computational burden of the process, this paper introduces an array architect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fuzzy vector quantization (FVQ). The arrayarchitecture, which consists of 4,096 processing elements (PEs), provides a computationally efficient solution by employing an effective vector assignment strategy during the clustering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that the proposed parallel implementation providessignificantly greater performance and efficiency than appropriately scaled alternative array systems. In addition, the proposed parallel implementation provides 1000x greater performance and 100x higher energy efficiency than other implementations using today's ARMand TI DSP processors in the same 130nm technolog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parallel implementation shows the potential for improved performance and energy efficiency.
김철홍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7 No.-
반천수(潘天壽, Pan Tianshou, 1897-1971)는 20세기 중국 회화사를 대표하는 위대한 화가이자 중국화의 발전을 위하여 헌신해 온 교육가로서 오창석(吳昌碩1844-1927), 제백석(齊白石 1863-1957), 황빈홍(黃賓虹1864-1955)과 함께 중국 근현대화단의 4대가(四大家) 중 한 사람이다. 반천수가 활동했던 당시의 중국화단은 서양화의 유입으로 전통 문인화가 점차 쇠퇴해가던 시기였다. 이런 상황에서 반천수는 굳건히 전통을 지키면서도 그 속에서 중국화의 창신(創新) 을 이루고자 노력하였고 개성이 넘치고 독창적인 회화 형식을 창출함으로써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표출해 내었다. 특히 그의 ‘화조 산수화’는 실경사생(實景寫生)을 통하여 터득한 창작 회화형식으로서 화조화와 산수화의 융합이자 전통 중국화의 회화범주를 과감히 깨뜨린 창신(創新)의 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자연미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현대적 예술 정신이 깃들어 있다. 반천수의 ‘화조 산수화’ 작품의 특징은 첫째, 서예의 필법을 응용한 강기골의 운필로 필선이 강하고 기세가 넘치며 독창적인 구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실경사생을 통한 일각식(一角式) 근경산수(近景山水)를 구현하여 현장감 넘치는 화면을 만들어 내었다. 셋째, 화면을 집중시키는 반공석(潘公石)을 과감하게 배치하여 화면을 경영하면서 조험(造险)과 파험(破脸)의 경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들었다. 넷째, 화면의 네 면을 모두 에워싸는 사면 포위식(四面包圍式) 구도는 그림 속에 또 다른 여백의 공간을 만들어내어 그려진 경물들과 강한 대비를 이루며 허실 상생(虛實相生)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Pan Tian-shou(1897-1971) was a great artist representing the 20th Century Chinese Painting History and an educator who had dedicated for development of the Chinese paintings and is called one of the four great artist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Circle with Wu Chang-shih(1844-1927), Qi Bai-shi(1863-1957), and Huang Bin-hong(1864-1955). Pan Tian-shou had tried to keep concretely the traditions and to seek how to make new things in it and expressed its own artistic world with his original and creative painting styles in the situations that traditional literati paintings due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paintings. The 'bird-and-flower and landscape painting' is the artist's own creation through the technique of painting the actual landscapes and the combination of both the oriental bird-and-flower painting and landscape one, and could be considered as a successful result of making a new thing which broke boldly the boundaries of the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The paintings from mutual combination between bird-and flower and landscape have caused new impressions for natural beauty, reflecting the spirit of modernity. Pan Tian-shou's works of 'bird-and-flower and landscape painting' have powerful lines made from the utilization of writing method of caligraphy with his own creative picture composition. He created the screens full of presence, realizing unilateral nearby landscape painting through the method of painting actual landscape and arranged bold pān gōng shí(潘公石) focusing on the screen, crossing freely the boundaries of creating roughness and destroying roughness(险). In addition, his painting position of four-direction enclosing(四面 包圍式) of the entire screen creates another space of blank, making strong contrast with things and creating the co-existence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things(虛實相生).
김철홍 국어교과교육학회 2013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2 No.-
만복사저포기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김시습의 불운했던 삶과 연관 지어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 작품이 창작되기 전까지 그가 어떠한 삶 을 살아왔는지를 살펴보면 알려진 바와는 달리 그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해 분개하고 자신의 불운한 신세를 한탄하는 삶을 산 것은 아니었다. 그 가 관서, 관동, 호남, 금오 지역을 유람하며 쓴 시를 모은 사유록(四遊錄)을 보더라도 그가 쓴 시에는 수많은 사찰과 승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종교적 인 신심(信心)을 자극하는 내용들이 많았다. 이것은 유람이 계속되면서 불도 에의 관심이 세월이 쌓임에 따라 신앙의 깊은 경지에 이르게까지 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가는 만복사저포기를 자신의 짝 없는 외로운 심정이나 세상에 대한 울분과 한탄을 표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작한 것이 아니라 그가 평소 추구하던 정신적인 가치를 담아내고자 창작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양생은 색에 대한 망념으로 인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본성을 상실하여 부처님과 내기까지 하면서 부처님의 영험을 확인하려 하였다. 인간의 본성 은 원래가 깨끗하기 때문에 각자 자기의 성품을 바로 보면 본성을 회복할 수 있으나, 마음이 미혹하여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큰 선지식의 도움을 받 아 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부처님의 영험으로 양생은 자신이 그토록 원했던 아름다운 처녀와 운우지락을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지만, 여인 과의 영원한 이별로 인해 그것이 결국 헛된 망념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 다. 그래서 모둔 재산을 다 팔아 여인을 위한 재를 올린 뒤, 그도 자신의 본성을 회 복하기 위해 지리산으로 들어가게 된다. 작품 창작 전의 작가의 삶의 모습과 작품 분석을 통해 이 작품은 김시습 이 ‘현실 세계에서 추구하는 욕망이란 모두 허망한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런 망념에 집착하기 보다는 자신의 본성을 발견하여 윤회를 끊고 열반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 더욱 가치 있는 것’이라는 불교적 가르침, 즉 당시에 불교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던 자신이 생각하던 정신적 가치를 작품 속에 담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