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합주거 외관에 드러나는 보이드 공간의 계획 특성 연구 : 네델란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건축가의 집합주거 사례를 중심으로

        오상목,이승곤,조인성,오세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2

        본 연구는 고층 고밀화 및 획일화 되어가는 국내 집합주거 풍경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네델란드 집합주거 에 도입된 보이드 공간의 계획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특징과 시사점을 집합주거와의 3가지 관계성 측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내부적 관계성 (단위주호와의 관계성)측면규모 면에서는 비교적 소규모로 발코니 및 테라스 형태를 하며 개인화 및 사유화된 사적인 성격의 보이드로 목적이 분명하고 특정한 형태를 나타냈다. 개인이나 가족의 커뮤 니티 강화를 위한 가족 정원의 개념의 보이드라고 할 수 있으며 거주자간의 교류와 독립성을 조절할 수 있는 공간의 특성을 갖게 된다. 2) 내/외부적 관계성(공유공간과의 관계성) 측면:일정한 규모의 크기 보다는 주동 내에서 움직이는 거주자의 동선과 결합되며 주동 내/외부의 시각적 소통을 통한 커뮤니티 향상에 기여한다. 경제적 효율 때문에 기존의 주동 내 최소면적으로 계획되었던 공유공간(복도, 계단, 코어)의 조합 방식을 변형하여 이동 통로로써의 보행 공간의 기능뿐만이 아닌 또 다른 기능의 확장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3) 외부적 관계성(단지 및 도시와의 관계성) 측면:거주자 외에 불특정 다수가 이용할 수 있고 비교적 규모가 크며 필로티, 옥상정원, 중정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주요한 기능은 주동 내 주민들과 지역 주민들이 만날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고층 고밀화된 주 동의 위압감을 줄여주고 내부에서 외부로, 외부에서 내부로 시각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시적 차원의 공공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계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예를 들어 거주민들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도 개 방되는 보이드 공간을 만들어서 그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게 됨을 앞선 사례에서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공간 지각법칙을 통한 도시 가로의 3차원 보이드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상업 가로 중심으로-

        김연지,송석재,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끝없이 이어지는 길의 연속은 마치 영화의 필름과 같은데, 매 순간 공간 속에 있는 인간은 그 공간을 바라보고 인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 보행환경을 설계함에 있어 가로변 건축물에 따른 시각적 요인과 물리적 구성요소간의 상호관계를 보행자의 지각 특성에 근거하여 건축물의 형태에서 오는 공간분석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아울러 가로경관의 구성요소인 가로 건축물에 따라 보행자의 가시율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한다. 삶의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도시가로의 분석방법을 발전시켜 3차원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공간 지각법칙에서 보이드와 솔리드가 어떻게 보이는가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보행자가 가로를 바라볼 때의 관점과 그에 따른 풍경을 연구한다. 도시가로에 대한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그 중 건물 형태에 대한 것을 끌어와 가로 보이드를 분석할 기반을 만든다. 선별한 사이트 가로를 3차원 아이소비스트를 이용한 가시분석을 진행하여 보이드율을 파악한 다음 영향요소를 주출한다. 공간구문론을 기반으로 도시가로의 보이드 의의와 공간을 해석하여 도시가로의 다양한 보이드의 중요성과 3차원 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도출한다. (결과) 분석모델은 3차원 가시분석으로 보행자의 시점을 보이드의 비율과 함께 객관적인 수치로 보여준다. 가로의 테두리를 뚜렷하게 나타내주는 단서로써 실제 보행자들이 인지하는 가로의 성격을 파악할 자료가 되고, 도로와 인도의 분리에 대한 차이점이 보행자의 시야 각도와 인지시점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행자의 상업가로 인지시점을 방해하고, 연속적인 맞벽 건축물은 일정한 피겨의 가시율을 주지만, 인접 또다른 가로가 사라져 보이드에 대한 다양성이 없어지며 이는, 또다른 가로가 건축물의 열린 공간과 맞물려 큰 3차원 보이드를 생성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로경관에 대한 이미지와 장소성을 계획할 때 과정의 합리성과 객관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가로의 장면들을 인지하는 관점 또한 보행자들마다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급격하게 떨어지는 지점에서는 공간 심리에 적합한 건축 형태와 보이드를 형성하는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공간 지각법칙과 도시가로 환경의 상호관계성을 통해 다양한 연구 방법을 강화시켜 심층적인 분석을 보완해 나간다면, 도시가로에 많은 사람들이 심리적 만족을 얻는 풍요로운 시지각 형태가 연결되어 더욱 강한 공공성을 가지는 가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endless succession of streets is like a film in a movie, and every moment, humans in space look at and perceive the space.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s the spatial analysis from the form of the architecture based 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in designing a street pedestrian environment and explains how the pedestrian's visibility appears according to the street architectur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treet landscape. The purpose is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by developing an analysis method for urban streets tha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vitality of life. (Method) First, the theoretical preliminary research on how voids and solids appear in the laws of spatial perception is conducted to study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looking across and the resulting landscape. Second, the components of urban streets are derived and building forms to create a basis for analyzing street views are drawn out. Third, the landscape of selected sites is visually analyzed using 3D Isovist to determine the void rate, and then the influencing factors are extracted. Fourth, based on the spatial syntax theory, the significance and space of voids in urban streets are analyze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various voids in urban streets and the possibility of three-dimensional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model is a three-dimensional visual analysis that shows the pedestrian's point of view in objective figures along with the ratio of voids.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separation of the road and the sidewalk affects the pedestrian's viewing angle and perception point.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commercial street interferes with the perception point of the pedestrian, and the continuous butt-wall architecture gives a certain figure visibility, but the diversity of the void is lost due to the disappearance of another adjacent stree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open space of the architecture to create a large three-dimensional void. Through this process, the rationality and objectivit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when planning the image and sense of place for the streetscape. (Conclusions) This also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the landscape scene will vary from pedestrian to pedestrian. At points where there is a sharp drop, special attention is needed to form architectural forms and voids that are suitable for spatial psychology. If the interrelatedness of spatial perception laws and urban street environments is studied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to complement the in-depth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urban streets can become streets with a stronger public character by connecting rich visual perception forms that provide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many people.

      • KCI등재

        공간 지각법칙을 통한 도시 가로의 3차원 보이드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상업 가로 중심으로-

        김연지 ( Kim Yeonji ),송석재 ( Song Seokjae ),김용성 ( Kim Youngs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끝없이 이어지는 길의 연속은 마치 영화의 필름과 같은데, 매 순간 공간 속에 있는 인간은 그 공간을 바라 보고 인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 보행환경을 설계함에 있어 가로변 건축물에 따른 시각적 요인과 물리적 구성요소간의 상호관계를 보행자의 지각 특성에 근거하여 건축물의 형태에서 오는 공간분석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아울러 가로경관의 구성요소인 가로 건축물에 따라 보행자의 가시율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한다. 삶의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도시가로의 분석방법을 발전시켜 3차원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공간 지각법칙에서 보이드와 솔리드가 어떻게 보이는가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보행자가 가로를 바라볼 때의 관점과 그에 따른 풍경을 연구한다. 도시가로에 대한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그 중 건물 형태에 대한 것을 끌어와 가로 보이드를 분석할 기반을 만든다. 선별한 사이트 가로를 3차원 아이소비스트를 이용한 가시분석을 진행하여 보이드율을 파악한 다음 영향요소를 주출한다. 공간구문론을 기반으로 도시가로의 보이드 의의와 공간을 해석하여 도시가로의 다양한 보이드의 중요성과 3차원 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도출한다. (결과) 분석모델은 3차원 가시분석으로 보행자의 시점을 보이드의 비율과 함께 객관적인 수치로 보여준다. 가로의 테두리를 뚜렷하게 나타내주는 단서로써 실제 보행자들이 인지하는 가로의 성격을 파악할 자료가 되고, 도로와 인도의 분리에 대한 차이점이 보행자의 시야 각도와 인지시점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행자의 상업가로 인지시점을 방해하고, 연속적인 맞벽 건축물은 일정한 피겨의 가시율을 주지만, 인접 또다른 가로가 사라져 보이드에 대한 다양성이 없어지며 이는, 또다른 가로가 건축물의 열린 공간과 맞물려 큰 3차원 보이드를 생성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로경관에 대한 이미지와 장소성을 계획할 때 과정의 합리성과 객관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가로의 장면들을 인지하는 관점 또한 보행자들마다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급격하게 떨어지는 지점에서는 공간 심리에 적합한 건축 형태와 보이드를 형성하는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공간 지각법칙과 도시가로 환경의 상호관계성을 통해 다양한 연구 방법을 강화시켜 심층적인 분석을 보완해 나간다면, 도시가로에 많은 사람들이 심리적 만족을 얻는 풍요로운 시지각 형태가 연결되어 더욱 강한 공공성을 가지는 가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endless succession of streets is like a film in a movie, and every moment, humans in space look at and perceive the space.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s the spatial analysis from the form of the architecture based 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in designing a street pedestrian environment and explains how the pedestrian's visibility appears according to the street architectur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treet landscape. The purpose is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by developing an analysis method for urban streets tha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vitality of life. (Method) First, the theoretical preliminary research on how voids and solids appear in the laws of spatial perception is conducted to study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looking across and the resulting landscape. Second, the components of urban streets are derived and building forms to create a basis for analyzing street views are drawn out. Third, the landscape of selected sites is visually analyzed using 3D Isovist to determine the void rate, and then the influencing factors are extracted. Fourth, based on the spatial syntax theory, the significance and space of voids in urban streets are analyze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various voids in urban streets and the possibility of three-dimensional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model is a three-dimensional visual analysis that shows the pedestrian's point of view in objective figures along with the ratio of voids.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separation of the road and the sidewalk affects the pedestrian's viewing angle and perception point.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commercial street interferes with the perception point of the pedestrian, and the continuous butt-wall architecture gives a certain figure visibility, but the diversity of the void is lost due to the disappearance of another adjacent stree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open space of the architecture to create a large three-dimensional void. Through this process, the rationality and objectivit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when planning the image and sense of place for the streetscape. (Conclusions) This also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the landscape scene will vary from pedestrian to pedestrian. At points where there is a sharp drop, special attention is needed to form architectural forms and voids that are suitable for spatial psychology. If the interrelatedness of spatial perception laws and urban street environments is studied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to complement the in-depth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urban streets can become streets with a stronger public character by connecting rich visual perception forms that provide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many people.

      • KCI등재

        데이터 기반 설계를 통한 도심 복합시설의 최적 보이드 유형 설계 연구

        손상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인류는 신석기 시대부터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 도구를 통해 기록하고 소통하면서 상상하던 것들을 구체화 시켜왔다. 최근 흔히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는 정보기술 중심의 빠른 발전은 데이터란 도구를 통해 경제 사회 문화 분야 전반에 지대한 변화를 이끌고 있다. 건축설계 분야에서도 도시 건축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자인 단계의 대안 선택을 효과적으로 돕는 데이터 기반 설계가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디자인 도구로서 더 수준 높은 설계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 도심의 상업지역을 대상지로 설정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최적화하며, 건물의 성능을 빠르게 평가 및 시각화하여 설계자가 최종 대안을 객관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과거 설계자의 자의적 판단에 의존했던 설계 방식과는 다른 객관적 분석을 토대로 이를 설계 프로세스에 활용하는 새로운 설계 방법론으로 발전될 수 있다. (연구방법) 도심 속 대표 가로변 상업지구를 대상지로 선정한다. 도시풍경에 개방성과 다채로움을 부여할 수 있는 보이드 공간을 배치하고 주요 가로변으로부터의 가시성을 측정한다. 보이드 공간의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이드 바닥면의 일조시간을 측정한다.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높은 가시성과 쾌적한 일조시간의 균형을 이루는 최적 보이드 유형을 도출한다. 이 도출된 대안을 기준으로 해당 대지에 단위주호-단지-도시와 소통을 이끄는 3가지 유형의 복합시설을 계획한다. 이를 위해 3차원 모델링 도구인 라이노(Rhino3d), 비주얼 프로그래밍 도구인 그래스호퍼(Grasshopper), 유전자 알고리즘 바탕의 다목적 최적화 프로그램 디스커버(discover)를 이용한다. 대안 선정 결과로 선택된 3가지 유형의 보이드 프로토타입을 형태 설계안으로 최종 제안한다. (결과) 최종안은 최적 형태가 반영된 유형별 설계안이며 도심 속 보이드 공간 활용법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포함한다. 먼저 도심의 대표 가로변에 면한 상업지구에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대안을 도출하고 대상 시설에 최적화된 3가지 유형의 보이드 공간을 담은 복합시설 형태를 구체적으로 계획한다. 기존의 주거와 상업공간을 바탕으로 보이드 공간 설계를 통해 도시 거주자들을 위한 공공 공유공간 , 단위주호간 소통을 위한 소규모 공유마당, 단지를 위한 옥상정원, 놀이 공간 등의 다양한 행위가 벌어질 수 있는 공유정원으로 구체화한다. (결론) 본 연구는 건축물 성능분석, 최적화, 유형별 형태 도출 및 시각화 그리고 최종 결과가 반영된 설계안 제안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건축 도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안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향후 활용성까지 고려한 유형별 프로토타입 제안으로 구체화한다.

      • KCI등재

        도심봉제산업 재생을 위한 건축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보이드 개념을 적용한 창신동 봉제산업단지 계획안

        강혜주,최동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rchitectural design plan for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wing industry in Changsindo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d the effective connection of housing and industry and forming a community space as a shared space by applying the concept of void. The contents of the proposal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a physical environment that can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in Changsindong where the residence and sewing industry are mixed. Second, the proposed industrial complex increases the value of the sewing industry as urban industrial facilities and to maintain it. Third, the concept of void is applied to provide space for connecting the residence and the industry. The concept of void proposed in this study is not only to effectively connect spac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residence and industry, but also as a planning factor to form a shared space that generates community among people. 본 연구는 창신동을 중심으로 하는 봉제산업의 유지, 보전, 발전을 위한 새로운 형식의 공간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이드의 개념을 적용하여 주거와 산업의 효과적인 연결과 공유공간으로서의 커뮤니티 공간 형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획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신동에서 나타나는 주거지와 봉제작업장의 혼재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능을 구분하여 경사지 특성을 갖는 대지에 수직적으로 계획한다. 둘째, 건축공간계획에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보이드 개념을 적용하여 공간의 내부 커뮤니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본 계획안의 보이드 공간은 각각의 시설을 구분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시설의 커뮤니티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창신동 봉제산업단지에 적용된 보이드의 개념은 주거와 산업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공유공간의 기능적, 형태적 계획요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 치유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종합병원 계획 연구

        이기륜(Lee KiRyun),박재승(Park JaeSeung)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2010 한양고령사회논집 Vol.1 No.1

        해방이후 전후복구시기인 ’50년대의 비계획적인 도시개발, ’60년대 경제개발정책과 더불어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 최초건설, ’70년대 산업기지 도시건설, ’80년대 Newtown to town 그리고, 2000년대의 계획도시 개념의 신도시 건설로 국토 및 지역개발 목적의 신도시와 대도시 문제해결 목적의 신도시로 두 가지 정책 목적에 의해 추진되었다. 사람과 도시는 공존(共存)이라는 관계에 있다. 그 관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선 사람과 도시가 어우러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신도시의 계획에 있어서 병원 건축은 건축물 자체만으로도 도시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 특히, 도시의 시작점에 위치한 종합병원이라면 도시라는 공간에서 중요한 랜드마크가 되어야 한다. 무(無)의 공간인 보이드는 수직적·수평적 보이드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수직적인 보이드가 보통이지만, 수평적인 보이드라 할 수 있는 복도공간이 더해지면, 공간의 다양성을 이룰 수 있다. 특히, 공간에 자연적 요소를 도입한다면 보이드로서 자연과의 소통을 이룰 수 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 병원건축은 치유환경, 쾌적한 환경, 친숙한 환경을 목적으로 하는 환자중심의 병원으로 변화를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변화 속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치유환경은 ‘자연’과 ‘사회’와 ‘공간’이라는 중요한 인자 속에서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자연’과 ‘사회’와 ‘공간’을 이용한 치유환경적인 종합병원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안을 제시함에 있다. Mankind and cities are in a coexisting relationship. And this relationship can only exist in a space where mankind and cities harmonize. Normally, within the hospital, the lobby and the hall act as this space. On the other hand, the space that is formed from the separation of the elevation area can be used to harmonize patients and doctors as well as the hospital and the city that the hospital lies in. Mankind and cities are in a coexisting relationship. This relationship can only exist in a space where mankind and cities harmonize. And all cities have a building that can be regarded as its landmark. When making plans to build a new city, the building of a hospital itself can be regarded as a landmark of that city. Especially, hospitals that are built at the entrance of a city must, without a doubt, become the most important landmark of that city. Void spaces can be either vertical or horizontal. Normally, hospitals are designed using vertical voids. However, adding horizontal voids provides space for a lobby and allows the designer to design the space for various purposes. Also, adding natural elements to the void space allows the hospital to harmonize with nature through the void. The construction of modern hospital is focused on building a patient-oriented hospital, providing them with a pleasant and familiar environment for better treatment. Also, the construction is to advance under the key factors ‘nature,’ ‘society’ and ‘space’ that will provide for healing environment. This paper provides a detailed deign for a general hospital that provides a better healing environment through ‘nature,’ ‘society’ and ’space.’

      • KCI등재

        OMA의 보이드 개념의 특성에 대한 연구

        장용순(Chang Yong-Soo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8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strategy of void” and the carecteristic of the void in the projets of OMA-Rem Koolhaas. Denying the fantasy of omnipotence of architecture, the void of OMA means not only the emptiness but also the instability, indeterminacy of program. The Melun-Senart projet(1987) called the strategy of void Ⅰ, and the french national library project(1989) called the strategy of void Ⅱ are the examples in the contrast of void and solid. From 1996, OMA-Koolhaas do experiments on the strategy of void actively with the others concepts of OMA such as architectural promenade, inclined plate, etc.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void,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architectural genealogy and developpement of this concept in the projects of Koolhaas from 1975 to 2006, and compare the variation of the concept of ‘poche’ of Beaux-art and the concept of servant space/served space of Louis Kahn, etc. This study intends to precise the meaning of void in the projects of Rem Koolhaas.

      • KCI등재

        르 코르뷔지에의 보이드에 의한 자유로운 평면 구성에 관한 연구

        김연준(Kim, Yon-Ju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6

        For Le Corbusier, Plan Libre was a primordial element of architecture and became one of the main themes of architecture during his career. Being conceived by the need of new structure system, called Dom-Ino, Plan Libre was applied to most of his works through the studies of its function and form. I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earlier simple functional Void into several types having more complex typolo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ypologies and the aspects of evolution of Plan Libre in terms of the compositions of Void in the works of Corbusier. The Void Composisition of Plan Libre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its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evolution of these categories is also qualified by means of some criteria, such as form, space. And analyzing the use of Void, a significant point was found, that Void is not just for composition of Plan Libre but of whole space including open space. In conclusion, Plan Libre is an efficient method which controls the composition and creates emotional atmosphere in the space of Corbusier and is adopted and applied with variety.

      • KCI등재

        렘 콜하스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밀집과 보이드를 적용한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박소라(Park, Sola)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3 No.6

        Rem Koolhaas has pursued new architectural approaches with conventional ones. Around the 1990s when large-scale projects occurred with the union of Europe ahead, Koolhaas recognized the limits to the existing methods for responding to such changes. Accordingly, he came to use design methods based on ‘congestion’ and ‘void’ as strategical alternatives, which became the moment for him to leap forward from the previous working sphere based in Europe to becoming an architect who would be commissioned a number of large-scale global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his design methods which utilized congestion and void, and to derive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projects based on such methods. First of all, the study looked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definition and process of congestion and the void as design methods, and analyzed his projects to which such methods were appli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 void that removes a space of singularity; 2) the void that penetrates space while making a flow; and 3) the void that is formed by vertical extrusion. The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s made in this way were identified as 1) the single-body appearance made by congestion and the following types of space made by the void: 2) the non-uniformly shaped space that looks like floating; 3) the flexible space with various flows and directions; 4) the space with virtual possibilities that embrace contingent events. This understanding of Rem Koolhaas’s design methods which were attempted in various ways at his critical turning point will be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overall world of his works.

      • KCI등재

        렘 쿨하스의 자유로운 평면에 의한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연준,이승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4

        르 코르뷔지에에 의해 창안되어 발전된 건축의 5원칙 중 하나인 자유로운 평면은 평면을 구성하는 단순한 사용으로부터 보이드를 동반하면서 층간의 수직관계에 의한 공간의 확장 및 외부공간의 구성에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 이후 렘 쿨하스에 이르러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즉 그의 건축에서는 기존의 건축에서 시도하지 못하였던 대담한 형태 및 공간이 구상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여러 유형의 자유로운 평면이 구성되어 독특한 공간 특성을 만들어 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자유로운 평면은 그의 작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그 규모와 형태의 다양함, 그리고 사용범위 등에서 그의 건축을 정의할 수 있는 하나의 건축적 요소로 볼 수 있다. 이 자유로운 평면이 어떤 배경을 가지고 나타나며 전개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은 그의 건축을 이해하는 하나의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자유로운 평면 구성에 있어 르 코르뷔지에가 미친 영향과 서로간의 차이점을 살펴 자유로운 평면이 어떻게 진화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렘 쿨하스의 건축에서 자유로운 평면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건축에서 착상되어 형태 및 공간적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o Rem Koolhaas, Plan Libre was a primordial element of architecture and became one of the main themes of architecture during his career. For applying new geometry system, Topology, into architecture, Plan Libre has been adopted to most of his works through the studies of its function and form. I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earlier simple functional void into several types having more complex typolo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ypologies and the aspects of evolution of Plan Libre in terms of the quality of space in the works of Rem Koolhaas. His Plan Libre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its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evolution of these categories is also qualified by means of some criteria, such as in-between space, void and circulation. And analyzing these criteria, a significant point was found, that Plan Libre is not just for composition of plans but of whole space including open space. And also a certain affluence of Le Corbusier, the creator of Plan Libre, is found in several aspects. In conclusion, Plan Libre is an efficient method which controls the composition and creates emotional atmosphere in the space of Rem Koolhaas and is adopted and applied with var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