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경음악의 템포와 호감도가 선한 음식과 악한 음식의 소비에 미치는 효과

        박세훈 ( Park Sehoon ),정혜지 ( Chung Hae Ji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2

        배경음악은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환경적 단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음악의 템포와 호감도가 소비자의 선한 음식과 악한 음식의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했다. 음악의 소비 경험에 관한 이전 연구들에 기초해서, 본 연구는 템포가 빠른(vs. 느린) 음악을 들을 때 음악 청취 시간이 증가할 것이고, 이러한 효과는 음악의 호감도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 기대하였다. 따라서 배경음악의 청취 시간 증가는 주의실패를 야기해서, 자기조절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감시를 어렵게 하므로 이중처리과정 모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템포가 빠른(vs. 느린) 배경음악일 때 악한 음식의 소비량이 증가하는 반면, 템포가 느린(vs. 빠른) 배경음악일 경우 선한 음식의 소비량이 증가할 것이고, 이러한 효과는 배경음악의 호감도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또한 선한 음식과 악한 음식이 동시에 제공될 경우, 템포가 빠른(vs. 느린) 배경음악일 때 상대적으로 악한(vs. 선한) 음식의 소비량이 증가할 것이고, 이러한 효과 또한 배경음악의 호감도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 두 차례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2(음악템포: 빠른 vs. 느린) x 2(음악호감도: 좋아하는 vs. 좋아하지 않는) x 2(음식 유형: 악한 vs. 선한) 혼합설계를 활용한 실험 1에서는 동일한 1개의 음악을 대상으로 템포와 호감도를 조작하여서, 배경음악의 템포와 호감도가 악한 음식의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상대적으로 악한(vs. 선한) 음식의 소비에 미치는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실험 1과 실험 설계는 동일하지만 외적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험 1과 달리 템포와 호감도에서 차이가 나는 4개의 현실 음악을 사용하고, 실험 1과 다른 선한 음식과 악한 음식을 이용한 실험 2를 통해 실험 1의 결과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서 배경 음악의 템포가 선한 음식의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배경음악의 호감도가 선한 음식의 소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밝히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music is one of the important environmental cues that can affect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the tempo and the likability of background music on the consumer's consumption of virtue and vice foods. Building on prior researches on the consumption experience of music, we expected that the time duration of listening to music is increased when the musical tempo is fast(vs. slow) and that this effect is moderated by the likability of music. The increased time duration of listening to background music makes it harder for consumers to monitor themselves for self-regulation because it causes the failure of attention. We applied dual-process model to this situation and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proposed. First, we predict that the consumption of vice food is increased under the fast(vs. slow) background musical tempo condition, whereas the consumption of virtue food is increased under the slow(vs. fast) tempo condition, and that these effects are moderated by the likability of music. Furthermore, when virtue food and vice food are provided simultaneously, it is expected that the relative consumption of vice(vs. virtue) food is increased under the fast(vs. slow) background musical tempo condition, and that this effect is also moderated by the likability of music.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By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chieved by using a 2(music tempo: fast vs. slow) x 2(music likability: likable vs. unlikable) x 2(food type: virtue vs. vice) mixed design, the effects of the background musical tempo and likability on the consumption of vice food and on the relative consumption of vice(vs. virtue) food were confirmed. Next, the results of experiment 2, which used the same experimental design as the experiment 1 but the different musics and foods for increasing external validity, confirm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gain. Moreover, they confirmed the effect of the background musical tempo on the consumption of virtue foo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ikability of music.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provide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TV 광고 배경음악 유형별 특성과 적합성에 관한 연구

        최일도,한상필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TV광고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음악들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를 이미지 유형별로 분류하여 광고 전체 이미지와의 적합성 및 브랜드 이미지와의 적합성을 알아보 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광고배경음악 유형 및 장르별 광고 배경음악이 지니는 이미 지와 개성을 유형화함으로써 광고 제작 과정에 있어서 제품이나 브랜드 유형별로 적합한 배경음악의 이미지를 고려할 수 있는 근거로 제시하고자 했다 . 연구 결과 , 배경음악이라는 광고 표현요소의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역할은 단순한 음악효과의 논리로 설명될 수 없었다 . 브랜드 이미지와의 적합성을 살펴볼 때 배경음악의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역할은 음악 형태의 고유성보다는 사회적 상황에 의한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 음악의 5 가지 구성요소 (음률·선율·화성·음색·형식)의 유사성과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TV advertising executive to identify existing forms of music used as background music and the purpose of the review of the suitability and relevance of the ad and brand image, the whole image by classifying it as image type. This study would be presented as a basis for considering the image as the background music for brand or type of product types and genres in music advertising background commercial production process by having typed the image and personality through this music. According to a study in general practice background classical music discussions related to the lack of validity it was found. The cause is interpreted as limited because it was a genre that area nine minutes for the music they subject themselves to a discussion of the background music. The music itself, even though that would have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region due to non-verbal communication was an area determined by the fragmentary classified as an object of study.

      • KCI등재후보

        매장에서 사용되는 배경음악의 트렌드 변화 연구 - 스타벅스 배경음악을 중심으로 -

        김보연,김정우 대중음악콘텐츠학회 2022 대중음악콘텐츠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tarbucks' background music,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of emotional marketing, to reveal musical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and to find out the trend change of background music used in a shop through differences from existing studies.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 visited the Starbucks store and collected 91 songs to be used as samples, and based on previous studies, musical elements such as tonality, tempo, genre, instrumentation, lyrics, and release year were set up as analysis items. Based on analysis of each item, playlist created by Starbucks had a high proportion of the latest pop song which is in tonal ambiguity and faster than medium tempo and a music with and lyrics. These results are contrary to the existing background music theory, which is kn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such as major, slow tempo, and lyricsless music. They are also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on Starbucks background music, which mainly consists of old pop song and jazz music. Therefore, it was seen that there had been a change in background music of Starbucks' store, which is believed to reflect the purpose of customers' store visits, age groups, and musical tastes due to a shift in gener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s the first attempt to specif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arbucks' background music through various musical elements and examine changes in the trend of background music based on this. The musical elements used in the analysis will also present a new theoretical standard for background music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감성 마케팅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손꼽히는 스타벅스 배경음악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고객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음악적 요소들을 밝혀내고,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통해 배경음악의 트렌드 변화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분석을 위해 연구자는 스타벅스 매장을 방문하여 표본으로 사용할 91곡의 음악을 수집하였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배경음악 분석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조성, 템포, 장르, 악기 구성, 가사 유무, 발매연도 등의 음악적 요소를 분석항목으로 설정하였다. 각 항목의 분석 결과 스타벅스의 플레이리스트는 모호한 조성과 중간 템포 이상의 빠르기를 가진 최신 팝 음악 그리고 가사가 있는 음악들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장조, 느린 템포, 가사가 없는 음악과 같이 고객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기존 배경음악의 이론과 배치된다. 또한 올드 팝, 오래된 재즈 음악을 주로 사용한다는 과거의 스타벅스 배경음악에 관한 선행연구와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스타벅스 매장 음악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세대교체에 따른 고객의 매장 방문목적, 연령대, 음악적 취향 등을 반영한 것으로판단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을 통해 스타벅스 배경음악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배경음악의 트렌드 변화를 살펴본 첫 시도임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분석에사용된 음악적 요소들은 배경음악 연구의 새로운 이론적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거시적 관점으로 본 영화장면과 배경음악의 구조적 연계성: ‘디 아워스’와 글래스의 음악에 관한 분석적 고찰

        이상윤(Sang Yoon Lee)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7

        본 연구는 장편영화 디 아워스 에 쓰인 배경음악과 장면의 구조적 연계성을 영화의 거시적인 형식적 측면으로 분 석하였다. 이 영화의 거시적 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 개 악곡( The poet acts , I m going to make a cake , Choosing life , Escape! )의 형식 분석 결과는 단락 변주에 의한 전개, 단일 단락 구성, 단락 A에서 B로의 전개와 같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The poet acts 가 쓰인 3개 장면의 내용에 나타난 공통점은 이 음악에 강조된 반복적 성격에의한 일관성과 상호관계를 맺는다. I m going to make a cake 의 5개 음악 및 Choosing life 의 2개 음악에 나타난 단락 A와 B의 형식적 구별은 해당 장면의 내용적 구별도 상반되게 나뉘는 공통점이 나타난다. Escape! 의 2개 음악이 쓰인 2개 장면은 영화 전체의 스토리 구조에서 각각 발단과 최극단 절정으로 배치되면서 거시적 맥락에서 밀접하게 다루어졌다. 이 영화 스토리상 본론의 시작, 클라이맥스, 본론의 마무리 장면이 모두 형식적으로 변화를 표현하는 배경음악을 배치함으로서 영화장면에서 이야기의 거시적 전환과 관계를 맺었다. 이 영화의 시제 전개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패턴의 반복적 순환성은 배경음악의 반복적 특징과 관계가 깊다. 영화의 내재적 세계와 극중 소설 델러웨이 부인 으로 설정된세계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것은 배경음악이며, 이에 따라서 배경음악은 영화 속 인물들의 시공간적 매개로 작용하는 존재성을 지닌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connectivity between background music and scenes used in the feature film The hours in terms of the macroscopic formal aspects of the film. The music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ilm s macro structure is the four background music ( The poet acts , I m going to make a cake , Choosing life , Escape! ). These music were analyzed in three types, such as expansion by paragraph variation, single paragraph composition, and paragraph A to B development. The similarities in the contents of the three scenes with The poet acts correlate with the consistency of repetitive personality emphasized in this music. The formal distinction between paragraphs A and B in the five music of I m going to make a cake and in the two music of Choosing life shows that the contents of the scenes are also divid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two scenes in which the two music of Escape! were arranged in the story structure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xtreme climax of the whole film were handled closely in the macro context. In the story of the film, the beginning of the main text, the climax, and the end of the main text all formally related to the macro transformation of the story in the film scene by arranging the background music expressing the change. The repetitive circularity of a certain pattern in the flow of the tense change of this film is deeply related to the repetitive characteristic of the background music. It is the background music that connects the intrinsic world of the film with the world set as the novel Mrs. Dalloway in the film. Therefore, the background music has the existence which acts as a space - time mediator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 KCI등재

        단편 애니메이션 “More”의 배경음악과 스토리의 관계 분석

        위칭룽(Qinglong Yu),이상윤(Sang-Yoon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마크 오스본의 단편 애니메이션 “More”의 배경음악에 나타난 리듬 및 감정 특징과 스토리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둘 간의 유기적 관계를 고찰하였다.“More”의 배경음악인 New Order의 “Elegia”는 애니메이션 보다 앞서서 발표된 음악으로 본 작품의 기초가 되었다. 배경음악은 일정한 화성진행 패턴이 반복되는 리듬 특징으로 미니멀 음악적 성향을 지닌다. 배경음악의 전반부는 일정한 감정 변화 패턴의 반복으로 구성되고 후반부는 보다 급격하게 변화된 양상의 감정 표현을 나타낸다. 애니메이션의 스토리에서도 전반부의 장면은 주인공이 집과 공장을 오가는 단순반복적인 삶의 장면구성으로 인하여 배경음악의 리듬 특징과 매우 유사하다. 후반부 장면의 스토리상 절정부분은 배경음악의 감정 표현과 대비된 극적 효과를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배경음악의 반복적인 리듬 특성은 영상의 숏과 장면 편집에 많은 영향을 주며, 음악의 감정 특징은 스토리텔링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배경음악에서 미니멀음악과 같은 회기적 특징은 영상 속 주인공의 스토리에 드러난 회기적 성향과 서로 비슷하다. In this study, the rhythm and emotion characteristics and story of Mark Osborne’s short animation“More”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music and story is analyzed. New Order’s “Elegia”, the background music of“More”, became the basis of the work that was presented before the animation“More”. Background music has a minimalistic musical tendency with a rhythm feature that repeats the pattern of a certain chord progression. The first half of the background music consists of a repetition of a certain emotion change pattern and the second half expresses emotion expression of a more rapidly changed phase. In the story of animation, the first part of the animation story is very similar to the rhythm feature of the background music because the main character shows a simple repetitive life going from house to factory. The second half of the animation story shows dramatic effects compar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background music. Overall, the repetitive rhythm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music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animation shorts and scene editing, 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music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storytelling of the animation. As in the minimalist music, the recurring features in the background music are similar to the recurrent tendencies revealed in the main character’s story of the animation.

      • KCI등재

        광고 배경음악에 의한 브랜드 인식의 유형과 형태에 대한 분석 연구

        최일도(Il Do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3

        본 연구는 기존에 집행된 TV광고를 수집해 그 광고들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곡들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를 이미지 유형별로 분류해 광고 전체 이미지와의 적합성 및 브랜드이미지와의 적합성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됐다. 연구는 배경음악을 사용한 광고 200편에 대한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진행됐다. 내용분석은 두 명의 코더들에게 광고 배경음악의 유형과 이미지의 적합성을 묻는 순서에 따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광고 배경음악에 대한 코딩은 고관여와 저관여, 감성과 이성이라는 분류법을 사용해 영역별로 분석했다. 광고물은 2004년부터 2006년 사이의 광고비 지출 규모를 기준으로 결정했다. 연구의 결과 광고 배경음악의 유형과 제품의 영역은 고전적 조건에 비추어 볼 때 서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고 배경음악의 특성과 제품 및 브랜드의 이미지가 적합하지 않은 부분도 나타났다. 이 부분은 추후 광고 배경음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음악의 기능적 특성에 따른 제품의 이미지 및 브랜드 이미지의 적합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논의로 전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echnical base for how to use background music by examining brand image distinction from the product characteristic in the adverti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contents analysis for tv-commercials background music. The subjects of this analyses are 200 tv-commercials background music. Two coders were given some advertising and questionnaire for type of background music and calibrating of compatible image. Advertising for the coding were checked from each product category from hi-involvement and low-involvement with sensitive and reason. The representing tv-commercials of each category is decided according to advertising expenditure in 2004-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There is no strong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music genre. That is, the results argue that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music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regarding their functions and role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choosing background music for advertising. Furthermore, it would be so desirable to study how much the music conforms to brand image.

      • KCI등재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박선영(Seon-Young Park),홍순옥(Soon-Ock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배경음악을 활용한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과 경남 지역 유치원의 유아교사 272명이며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는 과반수에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의 목적은 풍부한 정서발달에 두고 있었으며, 배경음악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개념에 대한 이해에 대한 어려움을 위해 다양한 배경음악의 보급을 가장 필요로 하였다. 셋째,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 프로그램 개발은 대체로 필요로 하였다. 넷째, 배경음악을 활용한 동화감상 프로그램은 주 1~2회, 10~20분의 대집단형태로서 오전 대집단활동 시간에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사전활동, 도입방법, 전개 시 질문기법, 마무리방법, 평가방법, 확장 활동방법이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using background mus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2 early childhood teachers of kindergartens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the awareness of childrens appreciation of fairy tales using background musi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performing fairy tales using background music were less than half of them. Secondly, the purpose of appreciation of fairy tales using background music was to develop rich emo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ystematic knowledge and concept of background music, it was necessary to supply background music in various life styles. Third, development of a fairy tale appreciation program using background music was generally required. Third, development of a fairy tale appreciation program using background music was generally required. Fourth, a fairy tale appreciation program using background music is appropriate for the large group activity time of 10~20 minutes one or two times a week and it was necessary to have a concatenated structure of pre-activities, introduction methods, questioning techniques in development, finish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and extension activity methods.

      • 패션 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소비자의 접근행동에 미치는 영향

        기현명(Ki Hyunmyoung),이유리(Yuri Lee) 한국마케팅과학회 2005 한국마케팅과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소비자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서 비디오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매장 내 배경음악의 템포 효과와 광고사진 분위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중ㆍ저가 영 캐주얼 의류 브랜드 매장 한 곳을 선택하여 비디오 촬영한 후, 2(빠른 템포 vs. 느린 템포)×2(섹시한 사진 분위기, 밝고 경쾌한 사진 분위기) 요인 설계를 이용하여 4개의 자극물을 조작하였다. 또한 음악 및 사진 자극이 제공되지 않은 자극물을 포함 통제 집단을 구성하였다. 총 289개의 설문의 수집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 집단과 각 4개의 실험 집단과의 비교 분석 결과, 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없는 통제집단은 정서적, 행동적 반응 모두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의 유무는 소비자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둘째, 점포 내 배경음악의 템포 및 광고사진 분위기와 소비자의 점포 내 긍정적 정서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걸과, 배경음악의 템포에 의한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광고사진의 분위기 차이에 따른 점포 내 소비자의 긍정적인 정서상태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셋째, 소비자의 점포 내 긍정적인 정서상태는 소비자의 긍정적 접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 자체의 품질이나 다양성, 상품의 가격과 같은 직접적인 상품 요인 외에 배경음악과 광고사진 같은 점포 내의 분위기 요소들이 소비자들에게 즉각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켜 상품 자체 요인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소비자들의 점포 내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임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usic(tempo) and advertising photograph(type) in a fashion store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and approach behavior and to suggest competitive in-store atmospheric strategies. To test the conceptual model, this study used a video simulation method. Researchers selected a fashion casual wear retail store for young people and videotaped to provide realistic store settings. Two different levels of background music(fast, slow) and advertising photograph(sexy, cheerful) were inserted into the video clip generating four stimuli. Including a stimulus for the control group, 5 video clips were created. A total of 289 subjec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fter viewing a two-minute video cl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vertising photograph in a sto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in-store emotional state, whereas musical tempo did not. Second, the effect of in-store consumers" emotional state on behavioral reponses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ositive emotional state lead to consumers" approach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background music and advertising photograph in a fashion store affected consumers" in-store emotional state, and ultimately these affected consumers" positive approach behavior. Thus retailer should try to create a pleasant store environment using effective store atmospheric factors like background music and advertising photograph.

      • KCI등재

        음악 감상이 중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강경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음악감상이 중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정상범주의 지능 수준을 가진 중학생 3 집단, 총 1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1차 측정에서 각 집단에 아무런 처치 없이 FAIR 검사 1을, 그리고 4개월 후 전경음악집단, 배경음악집단, 무음악집단으로 나누어 FAIR 검사 2를 실행하였다. SPSS 12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능력지수(P), 통제지수(Q) 그리고 지속성지수(R)에서 전경음악집단, 배경음악집단, 무음악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기술통계에서 전경음악집단이 능력지수, 통제지수, 지속성지수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론은 도출하지 못하였다. 능력지수에서 전경음악집단과 무음악집단이, 통제지수에서는 무음악집단과 배경음악집단이 그리고 지속성지수에서는 전경음악집단과 무음악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긍정적 정서와 낮은 각성수준의 배경음악은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 of music on atten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104 students with normal ranged intelligenc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performed FAIR test 1 without any treatment in the first measurement. 4 months later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background music group, a foreground music group and a non-music group and performed FAIR test 2 under each condi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using SPSS 12 Analysis Covariance(ANC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ackground music group, the foreground music group and the non-music group in selective attention score(P), quality control score(Q) and continuation score(R). In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background music group showed highest score in selective attention, quality control and continuation and the foreground music group lowest score.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ective attention score between the foreground music group and the non-music group, in quality control score between the non-music group and the background music group and in continuation score between the foreground music group and the non-music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ackground music which induces positive emotion and low arousal level has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attentiveness.

      • KCI등재

        인지과제 수행에 있어 배경음악의 효과

        김보성,김진호,민윤기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the preference and the form of lyrics in background music while participants performed cognitive tasks on performances of cognitive tasks.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checked their preferences about given twenty musics in experiment 1, and non-lyric condition (MR), Korean-lyric condition and Japanese-lyric condition was configured as the form of lyrics in experiment 2. In addition, we used both the visual working memory task as the non-verbal cognitive task, and the verbal working memory task as the verbal cognitive task in experiment 1 and 2.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preferences for musics did not induce changes on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 in experiment 1, and the group who heard the background music of Japanese-lyric were excellent in performing on the cognitive task than the others. It suggested that affect of the background music would not so enough to impact on the change of task performances as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music like a lyric, and the systematic ignore-strategy would be involved in the processing of background music. 본 연구는 인지과제 수행 시 청취하게 되는 배경음악에 있어 본인이 선호하는지의 여부 및 배경음악에 포함된 가사의 형태가 인지과제를 수행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실험 참가자로 하여금 주어진 20개 음악의 선호도를 체크하도록 하였으며, 연구 2에서는 동일한 음악에 가사가 없는 조건, 한국어 가사 조건, 일본어 가사 조건을 구성하였다. 또한 비언어적 인지과제로 시각 작업기억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인지과제로 음운 작업기억 과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는 배경음악의 선호도의 차이가 유의하게 인지과제 수행의 변화를 유도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2에서는 일본어 가사가 포함된 배경음악을 청취한 집단의 인지과제 수행이 다른 조건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배경음악을 통해 유도될 수 있는 호오(好惡)도의 감성이 가사와 같은 배경음악이 가진 특성들이 과제 수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만큼 크지 않으며, 배경음악의 처리과정에 있어 실험 참가자의 체계적인 무시전략의 영향 가능성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