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박물관 교육의 사회적 가치 연구 : 국립부여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식

        김선영,한상헌 국립중앙박물관 2018 박물관 교육 Vol.2 No.-

        본 연구는 이용자의 관점에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매력 요인과 인식을 살펴보고,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사회적 가치를 탐구하였다. 국립부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참여자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별로 적극적인 참여자를 선별해 심층면담을 진행하면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이 주는 사회적 가치와 교육프로그램에 내재된 매력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앞으로 박물관 교육이 공교육의 보완재로서 뿐만 아니라, 지역격차 해소와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가치 실현의 비중이 더 높아져야 할 것임을 말해준다. 국립박물관이면서 지역박물관인 국립부여박물관의 박물관 교육은 사회통합의 기능, 교육격차의 완화 등의 공공성과 지역성 인식 등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는 나타내주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단지 부여박물관뿐만 아니라 국내의 다른 공공박물관, 민간박물관에 이르기까지 두루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 many hold public education in less esteem, social bonds are weakening, and the gaps between regions and social classes are deepening. To create a more sustainable society, it is indeed necessary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future education which considers the lifelong learning systems created by public education and local communities as well as the identities of local communit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trend of museums evolving into multi-function complexes that provide education,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rather than simply housing spaces for the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relics. Museum education is significant for its social value as it contributes to accelerating social integration, narrowing the educational divide, and building the identities of local communities. Based on existing views of the social value of museum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museum education programs are appealing to and being received by their users and further explores social value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The main features of the education programs at the Buyeo National Museum a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f a user satisfaction survey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indings, this study indicates that museum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make greater efforts to play a socially significant roles by narrowing regional gaps and invigorating local communities, as well as serving as a supplement to public education.

      • 지역아동센터 학생의 박물관 교육 경험 분석 : 부산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은,고미정 국립중앙박물관 2018 박물관 교육 Vol.2 No.-

        본 연구는 교육기회가 적은 저소득층의 아동들이 박물관 교육에 참여했을 때 어떤 효과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 그들에게 미친 학습 경험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부산박물관에서 2015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학생을 위한 “드림드림박물관교실” 참여 아동들을 선정하였다. 지난 4년간 운영된 본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 및 설문지, 그리고 드림드림박물관교실을 운영한 교육강사 3인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저소득층 학생들이 직면한 교육 환경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회와 잠재력의 가치를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박물관 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접점을 알아보고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점쳐보았다. This article the Busan Museum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useum education by analyzing the participants of “Dream Museum Class (hereafter, “Dream Class”), which has been operated for disadvantaged local children since 2015. The research data included the product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ream Class over the last four year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three lecturers involved in the program. Based on an analysis of the above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effects can be expected from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as well as the meaning of such progra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programs influenced the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and the implications for museum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육과정과 연계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엄마꿈박물관의 꿈의 나라 만들기를 중심으로

        이보람 ( Lee Bo Ram ),조재경 ( Cho Jae Ky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2013년 학교연계 박물관 교육 사업으로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이 시행된 이래 박물관은 교실 밖 학습의 장으로서 사회교육의 기능을 분담하게 되었고 이후 교육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수요는 급증하였다. 정규교육은 표준화된 교과과정을 바탕으로 교육기관과 교사에게 부여된 자율성에 의해 학습이 시행되고 있는 반면 박물관은 각기 고유한 관심과 영역에 따른 특화를 추구하고 있으므로 확장된 학교교육이 기대하는 인적, 물적 환경에 부응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는 시행의 효과를 검증할 주요 과정이자 장치이므로 향후 학교와 협업적인 관계로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화된 지역박물관으로서 연계교육사업인 ‘길 위의 인문학’을 수행하기 위해 실험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수행결과를 평가하였다. 교육과정 연계 박물관 창의체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주제를 중심으로 전시 내용, 전시 유물, 교과 교육과정을 통합하였다. 1차시 수업은 전시 기반 학습으로 관찰자가 박물관에 기획 전시된 다양한 미디어정보를 통해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탐구하도록 하였다. 이어지는 2차시 수업은 학습자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사회 참여 의식 고취를 목표로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1,045명을 대상으로 총 46회의 시범수업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수행평가를 위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박물관 체험교육 활동에 매우 흥미가 높았고 관련 교과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체험 활동이 기존의 사고로 부터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계기로 평가되었으며 다수가 재참여 의사를 표시했다. 수업 후 교사들은 대체로 박물관 체험교육 활동이 학생들의 사고를 확장하고 창의성을 높이며 역사의식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수준은 평균보다 낮았으며, 이는 정책 차원의 교육과정 연계 박물관 체험학습이 시행 초기단계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박물관이 학교 밖 수업의 장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과정에 기반한 다양한 체험교육프로그램 및 학습도구를 개발하고 박물관 교육에 대한 홍보와 학습 공간 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national curriculum was revised with the aim of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and spreading culture. The institutional basis of museum education was set up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 for school education by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2009, an exam-free semester in 2016, and an exam-free grade in 2018. In 2013, the government conducted a humanities education on the museum road as the school-related museum education project. Accordingly, the museum has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social education as a place for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Also, the demand for curriculum-related museum education program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eative education program for the humanities on the museum road. The survey of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the program was conducte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trials. To develop the museum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curriculum, the exhibition contents and exhibition artefacts were integrated with one theme. The first class is an exhibition-based learning, and the learner explores the basic principles of democracy. The second class was designed as a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to encourage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what right values are and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This program surveyed 1,04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 total of 46 classes. As a result, students showed their interest in museum experience education activities, which were helpful to them in understanding the related subjects. Also, experiential activities were evaluated as a chance for new thinking and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The teachers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and interest about the class. In addition, the museum experiential education activities help students to expand their thinking, to enhance their creativity and to cultivate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humanities on the museum road was lower than average. This implies that curriculum-based museum education, which is being carried out at the policy level, is currently in its infancy stage. Therefore, to activate museums as a place for outside classroom activiti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based on school curriculum. Also, there is a need to expand educational space and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the school-related museum education.

      • KCI등재후보

        현대 구미 박물관 교육의 중요 쟁점과 그 시사점에 관한 연구

        최성희(Sung-Hee Choi)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과 교육 Vol.13 No.1

        전통적으로 박물관은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소장품 또는 예술 작품을 수집하고, 보존하고, 전시하는 장소였지만, 이제 박물관은 "교육"이라는 수단을 통하여 관람객들을 적극적으로 박물관 안으로 수용하려고 하고 있다. 박물관이 교육 기관으로서 관람객들과 적극적인 소통의 장소가 되기 위해서는, 관람자 연구를 비롯한 박물관 교육에 관한 다각적이고 전 방위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박물관 교육에 관한 연구는 박물관에서 행해지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그리고 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단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잇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박물관 교육이 교육 프로그램에 국한 된 것이 아닌, 박물관의 전시와 행정 그리고 나아가 소장품에 대한 해석과 박물관의 비전에 걸쳐져 있는 것임을 조명한다. 이를 위해, 구미의 박물관 교육의 중요 쟁점들을 박물관 교육의 목적, 다문화주의, 박물관과 학교/교육과정, 에듀케이터의 교육, 시각문화교육의 다섯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쟁점들을 소개 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쟁점들이 한국의 박물관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고찰한다. This paper focuses on examing the contemporary issues in the field of the museum education in U.S. and other European countries in other to provide the theoretical frames for museum education in Korea. For this examination, I divided current issues into five categories of museum philosophy, multiculturalism, the partnership of museums with schools, the qualification of museum educator, and visual culture studies. First, for the studies of museum philosophy, I introduced the concepts of a post-museum, the trans-cultural identity of museums, a forum-like museum, and a therapeutic museum and analyzed its promises and drawbacks into Korean museum education. Paricularly, I emphasized that Korea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theories of de-colonialism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eums under Japanese colonization, to assess the needs of museum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it. The second topic that I discussed is multiculturalism. I provided the histor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ism in museums, which was initiated from accepting the differences among diverse cultural groups but developed toward building the interests in socially and culturally marginalized groups. I also pointed out the urgent needs to include multiculturalism into comprehensive working systems in Korean museums, beyond expanding the access to museums and introducing Korean culture to the member of multicultural family. As the third issue, the diverse examples of school-museum partnership such as project MUSE and New York City Museum School were provided. Not only the lack of curriculum theory for museum education but also the difficulty of curriculum development was discussed. As well, its potentials, needs, and promises were discussed. The forth topic is about the qualification of museum educators. I reported the emphasis of qualification was changed from art history only toward balancing with education, technology and strong communication skills. Finally, the need of study toward visual culture into museum education was discussed. Even though visual cultures in museum education have not been actively studied yet in U.S. the possibilities of visual culture studies through aesthetic education, reflective/critical pedagogy, and post-museum were challenged.

      • KCI등재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기반한 박물관 교육담당자의 구성주의 박물관교육 실천 활동에 관한 분석

        최지혜(Jihye CHOI),강인애(Inae KANG),진선미(Sunmi JIN)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7

        본 연구는 박물관교육의 방향성을 구성주의에 두는 견해가 대세를 이룬 이후 박물관 교육담당자들이 구성주의 박물관교육을 실천함에 있어 겪어온 어려움과 해결책들을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이라는 분석틀을 활용해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으로는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담당자 4인을 선정, 심층면담하였고 질적 자료 분석은 NVivo11을 활용해, 코딩 분석하였다. 이에 교육담당자별로 대응책과 해결방안이 상이했던 1차 모순과 달리 대응방안이 유사한 2차 모순 내 ’보여지는 관습적 박물 관교육’을 구성주의적 박물관교육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교육담당자들의 발전적 모습에 집중, 분석한 결과, 박물관에서 교육 의 입장은 박물관교육을 전문분야로 인식하지 못한 채 박물관교육의 근간인 전시물기반학습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학생 수만을 고려한 보여주기식의 단순 상시 체험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야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하지만 교육담당자들 은 보조전시물을 활용한 특색있는 교육 기획과 개별적 질적 평가 수행을 통해, 박물관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박물관 교육 공동체의 변화를 이끌고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담당자들의 활동체계를 분석하여 구성주의 박물관교육 환경을 더욱 확장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방안을 제공하고 활동이론이 박물관교육 담당자들의 활동체계를 특정 맥락 안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유익한 분석틀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understand work practice of museum educators in adapting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which overthrows traditional practices of museum education in many ways, yet has been regarded as main stream of museum education. For the purpos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hereafter, Activity theory) has been utilized as a framework to analyz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and to offer a understanding of the whole work activity of the museum educators. Data collected from deep interviews with 4 constructivist museum educator selected were analyzed using Nvivo11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analytic components of the Activity theory. The results showed contradictions and tensions, which occur within multiple interrelated activities to implement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by the museum educators. Yet, the educators tried hard to overcome the challenges by their practice. Such efforts by them would come to the terms of evolution of the museum education community over all. On the top of that, this study clearly presented the Activity theory as an useful tool to understand and present a professional work practice such as museum education field.

      • 한국 박물관에서의 포용(inclusion)의 의미

        국성하(Kook, SungHa)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20 박물관교육연구 Vol.- No.24

        우리나라에서 박물관교육은 포용성 확대의 방법으로 기능했다. 누구를 교육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포용), 누가 교육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나(배제)의 관점에서 교육을 실행하기 시작한다. 소외계층교육, 다문화교육 등이 박물관·미술관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이는 우리나라의 포용성 또는 다문화성의 시초가 된다. 또한 법적, 제도적, 정책적 장치들에서 그 방법이 나타나 있다. 국내에서는 「문화기본법」,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등을 제정·시행하였고,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 계획」,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 계획」 등을 성안했으며, 「무지개다리 사업」 등 다양한 포용적 사업이 운영되었다. 박물관교육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박물관교육이 곧 포용으로 생각되었지만, 박물관교육이 보편화되면서는 박물관에서 배제되는 계층이 없는 것이 포용으로 생각되기에 이르렀다. Museum education was a way of increasing inclusion in Korea. Museum educator started museum education from these questions; who should be the education participants(inclusion), who were the left over(exclusion). Education for the neglected classes, multi-cultural education carried out from museums, and these are the bases of museum inclusion or multi-culturalism. The ways of inclusion are in the various laws, institutions, and policies, such as 「Framework Act on Cultur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etc. Before the generalization of museum education one regarded the museum education as inclusion, after the generalization inclusion regarded as no left over in museums.

      • KCI등재후보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다문화 역량 강화

        최종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1

        이 논문은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하여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자질과 역할을 제시하고, 박물관에서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문화다양성 이해를 통해서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국 문화에 익숙한 사람이 타민족의 문화적 이질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전통과 문화향유권을 인정하고,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편견을 없애고, 관용을 통해서 범민족 공동체 성원으로서 공생공존 그리고 화애화합 할 수 있도록 타문화 전시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분석, 기획, 개발, 실행, 평가, 환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타문화전시 연계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자민족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자민족문화의 정체성과 전통을 이해하고, 범민족 공동체 성원으로서 타민족의 인권과 문화향유권, 문화다양성 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특히 다문화체험학습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하고, 타문화전시 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분석, 기획, 개발, 실행, 평가, 환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구촌 문화에 대한 이해와 다국어 사용에 대한 직무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박물관 에듀케이터와 다문화교육 참가자 사이에 쌍방향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물을 통한 직관교육과 오감을 통한 체험학습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pose the qualification and role of a museum educator, for the purpose of reinforcement of a museum educator's capac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examine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useum, and to suggest the scheme for the capacity-build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cultural diversity. One who is accustomed to his native culture, understands difference of the other ethnic culture, acknowledges the tradition and culture right of the other ethnic group, casts away a prejudice base on the cultural diversity; and should able to exist and live, love and harmony each other as a member of the pax-ethnic community through tolerance and furthermore should able to analysis, plan, develop, implement, evaluate and feedback in sustainabl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nd so on connected with the exhibition of the other cultures. One should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the identity and tradition of one's ethnic culture, and should have actively to utilize particularly multi-cultural experience learning program and so on as a member of pax ethnic community in order to acknowledge and practise the human right, culture right, cultural diversity and so on.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the multi-culture education program, we do reinforce a museum educator's capacity-building, to build the capacity to analysis, plan, develop, implement, evaluate and feedback the othe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the exhibition of the other cultures, and should continuously have to practise the job education of understanding a global culture and communicating in different language. Thus we need actively to utilize the intuitive education through original object and the experience learning through five senses to perform effectively the multi-culture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 museum educator and ihe participants of the multi-culture education.

      • KCI등재

        역사박물관 학예사의 박물관 교육 운영과 실천

        안주홍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본고에서는 역사박물관 학예사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천하는 전 과정에서의 박물관과 박물관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방법,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이들의 인식과 실천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공과 경력, 개인적 신념 및 경험・흥미, 상황적 요인 등이 상호작용해서 박물관 현장에서 드러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 교육을 ‘역사교육’의 일환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전공과 경력에 따른 차이로 박물관 교육목표는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 교육의 큰 틀을 ‘역사교육’안에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필수적인 지식을 역사내용지식과 소장 자료에 대한 이해였다. 이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역사내용지식은 단순한 역사지식이 아닌 역사학의 기본개념과 원리, 그리고 역사의 학문적 구조와 역사가의 태도까지도 포함하는 것이었고, 전시물외에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장 자료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박물관의 교육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려고 했고,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기초로, ‘주제중심 학습’과 ‘인물학습’으로 구성했고, 교수학습방법은 ‘강의법’, ‘제작학습’, ‘체험학습’을 적절하게 혼합해서 활용하고 있었다. 다만, 경력과 전공・박물관 상황적 요인, 개인적 경험과 신념에 따라 이들의 실천 양상은 차이가 있었고, 실제 기획의도와 다르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력과 전공, 박물관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따라 몇 가지 박물관 교육학예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남길 수 있다. 박물관 교육과정에서 박물관의 특성과 경력, 전공을 고려해야 한다. 초임자와 경력자를 구분하고, 교육학 전공자와 아닌 자, 역사계 전공자와 아닌 자, 국공립박물관과 사립박물관, 박물관의 규모에 따라 교육담당학예사의 교육이 달라져야 한다. 첫째, 초임 학예사들에게는 각 박물관 차원에서 소장 자료 교육이 따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임자들은 자신의 이론적 경험을 토대로 생각해 왔던 박물관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므로 박물관 차원에서 이들에게 새로운 이론적 경험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면, 박물관 내부에서 박물관의 정체성과 교육목표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는 교육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 전공자라 하더라도 초임자라면 한 박물관에서 5년 이상 프로그램을 꾸준히 발전시켜온 경력자의 사례를 공유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간접 경험으로 간접 경력을 더 쌓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는 학예사는 자주 박물관을 바꾸기 보다는 한 박물관에서 오랜 기간 교육프로그램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역사학전공자들의 경력은 역사교육전공자의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를 보완해주기도 한다. 실제 경력자는 교육학전공자가 아니지만, 실제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교육방법을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이론적 바탕이 없기 때문에 자신감을 표출하지 못했다. 이를 근거로, 굳이 교육학 전공자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교육학전공자가 아닌 사람들도 전문성을 꾸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자문단을 구성해서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urators of history museums perceived museums and museum education and how curators operate the education program.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factors influenced the curators' perception and practice using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various factors influenc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curators. Factors such as major, career, individual faith, experience, interest, and museum situation, are revealed in the museum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them. The study participants thought of museum education as a part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the education purposes they perceived were different because of their different majors and careers. As the study participants perceived the framework of museum education within ‘history education,’ they regarded the history cont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seum collection as necessary knowledge. The history content knowledge they thought of as important included the basic concept and principle of history, academic structure of history, and attitude of historians, not just historic knowledge. They also thought that there was need to fully understand the materials the museum possessed as well as exhibits. To realize educational purpose of museums, they wanted to design a ‘systematic education course,’ constructed the eduction into ‘themecentered learning’ and ‘figure learning’ based on ‘learners’ development stage’ and used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 where ‘lecture method,’ ‘manufacturing learning,’ and ‘experience learning,’ are appropriately mixed. However. their practice aspec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areer, major, museum situation, individual experience and faith and there were cases that were practiced differently from actual planning intention. Despite the practical efforts of them, they felt difficulties according to career, major, and museum situation. These give some implication about education for museum education curators. In the process of museum re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s and career and major of curators should be considered. The education for curators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if they are beginners or experienced curators, if their major is education or historyrelated or others, if the museum is national or private museum, and if the museum is large or small. First, the beginners should receive separate education for museum collection from the museum. The beginners want to realize the museum education that they have been thinking based on theoretical experience. Therefore, if museums need to suggest new theoretical experience to them, the museums should prepare the education that enables curators to discuss the identity of the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 within the museums. Second, Even if beginner majored in pedagogy, there is a need to share the cases of experienced curators who have steadily developed the programs in one museum for more than 5 years. Through such indirect experiences, they can accumulate indirect career. And education curators need to improve the education program for a long time in one museum rather than changing their museum. Also, the museums should make an environment where curators always can receive educational and contentwise advices by constructing an education program advisory panel to steadily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urators who did not major in education rather than persisting with only education majors. In addition, it is also desirable to open an education theory reeducation course.

      • 모두를 위한 플랫폼 : 다문화시대 사회통합을 위한 박물관교육에 대한 논의

        김은영 국립중앙박물관 2017 박물관 교육 Vol.1 No.-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에 사회적 통합이라는 가치 하에 박물관 교육의 역할을 생각해 보고, 이에 따른 담론과 이에 대한 박물관 교육 전문 인력의 실천에 대한 함의를 도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박물관을 움직이는 가장 큰 축은 ‘관람객’과 ‘참여’이며 이에 따라 다문화시대라는 시대변화에 박물관은 빠르게 부응해야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박물관이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는 존재한다. 아직 불충분한 박물관 교육 이론과 박물관교육에 대한 낮은 인식과 국한된 업무범주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다문화시대에 박물관이 가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위해서는 첫째, 박물관의 교육적 역할이 가능하도록 지속적 발전과 지원이 가능한 조직과 정책이 수반되어야 하며, 둘째, 시대적 요구에 맞는 박물관 교육에 대한 재개념화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박물관 교육은 박물관 안에서 머물지 않고 그 역할에 대해 시대적 흐름과 변화의 맥락을 읽고 그 역할을 규정해야 한다. 이는 관람객과의 소통만큼 조직 내부자의 협력관계, 관련 연구기관 등과의 유기적 협력관계 구축은 더욱 단단한 사회통합 기능을 수행하는데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과정이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두를 위한 실천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Migration leads the world into the multicultural era In Korea, efforts have been made to find solutions for harmony, coexistence and conflicts among citizens from different culture. Though the nation's multicultural policy had focused on the government-led social cohesion, now is the time to implement policies and measures for respecting and harmonizing diverse social groups and culture. In the context, museum can become the best place to integrate multicultural values. First, the introduction of new museology has changed the paradigm of museum from exhibition to visitor. The biggest issues for museum operation are how museum will deliver its program to visitors and how they will receive them. To tackle the issue, psychology and pedagogy have combined with museum education theories. Second, museum is a place of political intention and purpose. In the multicultural era, social cohesion is achieved when various cultures can exist horizontally and harmoniously regardless of race, religion and region. In this regard, museum can become the optimal education space where different agendas get together. Museum is a place where people can go beyond the horizontal boundary of nation and group and the vertical boundary of time. For social cohesion, museum should fulfill its educational role. Rather than focusing on individual museum's program, we should redefine the role of overall museum education by providing more integrated organization and support. Museum can provide a place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sympathy on various culture while considering any isolated cultural identity. Museum education is necessary to get out of narrow sense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o respond to the change and needs of the time.

      • 고판화의 박물관교육 활용과 확장 : - 명주사 고판화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상길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0 박물관교육연구 Vol.- No.5

        이 논문에서는 고판화의 박물관 교육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는 것으로 고판화박물관 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소장품인 고판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박물관교육의 확장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고판화의 박물관교육의 확장 방안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교육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 유물의 수집으로부터 시작되 며, 사라져가는 문화재의 수집을 통해 박물관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뿌리를 찾을 수 있 는 민족정체성을 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지식전달 매체인 인쇄문화의 기초인 고판화는 태생적으로 교육적 활용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서책의 삽화를 활용하여 종교교육이나 윤리 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셋째, 고판화를 새기기 위해 서는 원화의 의도적인 생략과 디자인화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창의성 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민화판화의 자료 속에는 대중을 위한 교육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예술판화를 통해 인간의 심성을 순화하는 미술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문양판화(능화판, 시전지판 등)를 활용하여, 인간의 삶 속에서 아름다움을 실현할 수 있는 생활예술을 실천할 수 있는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여섯 번째는 고판화자료의 국 가별, 시대별, 장르별 분석을 통해 중국․한국․일본판화의 문화적 소통 사례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문화소통의 증거물인 자료를 통해 문화는 끊임없이 뒤섞이면 서 새롭게 변하고 학산 되는 다문화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