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僞滿洲國 조선계 작가 안수길과 ‘민족협화’

        이해영(Li, Hai-yi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본고는 당시 안수길이 위만주국 조선계의 대표적 작가로 인정받고 있었고 스스로도 본인의 위치를 그렇게 자리 매김 하려고 했던 점에 착안하여 그의 문학을 위만주국 조선계 문학 즉 위만주국의 ‘소수민족’ 문학의 위치에서 살펴보았다. 안수길의 만주시기 문학을 위만주국 ‘소수민족’ 문학의 위치에서 바라본다는 것은 바로 ‘민족협화’를 핵심 키워드로 그의 문학을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민족협화’와 그의 만주시기 문학이 지향했던 북향정신이 어떤 내적 연계를 맺고 있는지, 그가 어떻게 ‘민족협화’를 통해 그토록 끈질기게 탐구했던 민족공동체 생존의 내적 근거를 찾아냈는지를 구명하였다. 위만주국은 비록 ‘민족협화’를 건국이념으로 내세웠지만, 위만주국의 민족관계는 이와는 무관하게 여전히 모순과 갈등으로 충만되었으며 이러한 모순과 충돌, 갈등은 특히 토지의 소유권과 경작권을 둘러싼 위만주국 농촌사회에서 더욱 집중적으로 드러났다. 위만주국 농촌사회에서 일본의 개척이민정책에 의해 조선인 농민은 중국인 농민과 마찬가지로 피해자였지만 때로는 중국인 농민들에게 가해자가 되기도 하는 매우 애매하고 곤혹스러운 처지에 처해있었다. 이러한 민족관계에 대해 안수길은 당시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있었으며 때로는 매우 조심스럽게 행동하였다. 그러나 안수길의 만주시기 소설에는 이러한 위만주국 농촌사회의 토지를 둘러싼 복잡하고 미묘한 민족관계가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토지 수용령’에 의한 각 민족 간의 모순과 충돌도 드러나지 않는다. 안수길은 실제로 위만주국 사회에서 가장 미묘하고 복잡한 갈등 양상을 이루고 있는 토지를 둘러싼 농촌사회의 민족관계를 다루면서 그것을 현실과는 다른 자리에서 조선인과 중국인의 이상적인 화합의 장으로, 그리고 조선인과 일본인의 껄끄럽고 불편한 모순의 장으로 그려내었다. 안수길은 ‘민족협화’를 위만주국에서 조선인이 정착하고 생존을 도모할 수 있는 내적 논리 내지 길, 방법으로 보았으며 북향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길 혹은 방법으로 보았다. 안수길은 상호주의적 시각으로 만주의 원래의 주인인 만주인의 입장과 처지를 이해하고 또한 조선인들이 어쩔 수 없이 만주에 이주하여 살아가지 않으면 안되는 처지에 대해 그들의 이해를 구하고 서로 협력하면서 생존을 도모하고 만주에 정착하는 것이 만주에 이주한 조선인들의 생존의 길이라고 보았다. ‘만주국’이 붕괴되었을 때, ‘만주국’이 표방했던 복합민족국가의 파탄과 함께 ‘만주국’ 여러 민족 인민들이 겪었던 충돌과 수난은 안수길 식 ‘민족협화’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일제가 위만주국에서 일본 민족 우위를 포기하지 않는 한, 진정한 민족평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진정한 ‘민족협화’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일제의 만주 침략에 의한 ‘만주국’의 건국은 그 시작부터가 여러 민족 간의 반목과 불화의 시작이었기 때문이다. 안수길 식 ‘민족협화’는 ‘만주국’의 붕괴와 함께 파탄을 맞았고, 그의 북향정신 내지 이상은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Standing on the point that An Soo-gil was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writer and he also put himself on that position, this paper discussed hi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terary that could be seen to be the minority literature in Manchukuo. Putting An Soo-gil’s literature during Manchuria period on the level of the minority literature in Manchukuo means that this paper studied his literary works around the keyword “Ethnic Harmony”. Specifically speaking,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the “Ethnic Harmony” and the north hometown complex reflected in his literary works during Manchuria period and tried to find internal base of national community which was continuously expected to be built by the “Ethnic Harmony”. Although Manchukuo was built with “Ethnic Harmony”, the ethnic relations in Manchukuo was still full of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Thes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were more intensively revealed from rural community which surrounded the land-ownership and the cultivation right. Under the Japanese pioneer immigration policy, the Korean peasants could be the same victims with Chinese peasants, but sometimes could be the attacker to Chinese peasants, which was very confused. An Soo-gil was sensitively aware of this kind of ethnic relations and sometimes acted very carefully. However, his novels during Manchuria period did not show the complicated and subtle ethnic relations based on the land of rural area or all the national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ased on the land expropriation order. In fact, An Soo-gil saw the ethnic relations around the land in rural community as the most complicated and subtlest relations in Manchuria society but put it on a different position from reality, which depicted the ideal harmony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awkward contradic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 Soo-gil considered “Ethnic Harmony” as a rational way for Koreans to settle and live in Manchukuo and they way for them to realize the north hometown ideal. With the mutual vision, An Soo-gil tried not only understood the position of the native Manchuria, but also helped these natives to understand the Koreans who had to immigrate to Manchuria to maintain their life. He considered the settlement under this king of mutual understanding and with mutual help to be the way for Korean immigrants to exist. When Manchukuo collapsed, its hardship of complex national state and the conflicts and sufferings of all the ethnics in Manchukuo really showed the limits of An Soo-gil’s “Ethnic Harmony”. Japanese empire didn’t give up their supreme position, the real ethnic equality and the real “Ethnic Harmony” could not be realized, which became the reasons. In addition, Manchukuo was built by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in Manchuria where the hostility and disharmony appeared at the very beginning. An Soo-gil’s “Ethnic Harmony” was frustrated with Manchukuo’s collapse, but it didn’t mean that his north hometown complex even his ideal was completely frustrated. Nowadays 2 million Chinese Korean who are living under the minority policy of the Communist Party in China has showed the realization of the north hometown ideal to people.

      • KCI등재

        복합민족국가(複合民族國家)의 파탄 : 만주국의 붕괴와 만주국인(滿洲國人)의 충돌,수난

        윤휘탁 중국사학회 2012 中國史硏究 Vol.78 No.-

        被標榜爲``複合民主國家``的滿洲國隨著日本的敗北開始崩潰, 滿洲國內各民族間的矛盾開始爆發. 雖然在``滿洲國``內一直都在高喊``民主協和``, 但是在``滿洲國人``裏去조不到``民主協和``的半點痕跡. 조回主人意識的中國人的不滿, 憤怒, 憎惡的箭頭都指向了日本人和日本人的幇手朝鮮人. 日本人和朝鮮人在中國人的報複下, 束手無策受盡苦難. 在蘇聯軍的進攻面前, 關東軍的防禦線開始向南撤退, 흔多日本人(包括軍人)被蘇聯軍逮捕倂押送到蘇聯開始囚禁生活. 特別是日本人開拓團因中國人和蘇聯軍受到了極大的損失. 蘇聯軍在對蘇, 滿邊境地區的日本人開拓村進行鎭壓的過程中, 對日本人施行了强奸, 殺害, 財産掠奪等野蠻的行徑. 雪上加霜, 已經조回滿洲土地主人意識的中國人對日本開拓村進行攻擊的情況也越來越多. 日本人開拓者中흔多人因爲堅持抵抗到底而死亡, 整個村子集體自殺的情況也흔多. 흔多生存下來的日本人則被蘇聯軍送到收容所開始了收容生活. 在這些災難面前一些日本女性絶望之餘選擇了和中國人結婚而留在了中國. 也有흔多失去父母的日本孤兒被中國家庭收養. 령一方面滿洲社會陷入了無政府狀態, 各地的土匪、國民黨系列的各種武裝部隊、一些中國人對朝鮮人壓抑已久的各種不滿憤怒和憎惡也開始爆發. 一些朝鮮人的村子因中國人的襲擊而全部毁滅. 一些朝鮮人冒著生死危險開始返回故鄕, 但是在朝鮮家鄕的土地上已經沒有任何根系, 沒有人會歡迎身無分文的他們. 這些人中흔多人因爲强烈的挫折感, 又重新選擇了返回已經成爲第二故鄕的滿洲土地. 흔多人加入了沒有差別政策, 實行土地分配的共産黨軍隊和國民黨軍隊展開了鬪爭. 他們依고分配到的土地, 開始了在滿洲的安居生活. 隨著日本的敗北, 滿洲社會瞬間成爲了民族對立沖突的舞台, 意味著日本殖民主義者空想的``複合民族國家``等同於滿洲國的妄想的破滅. 這也意味著日本殖民主義者妄想的``滿洲國人``在滿洲國裏實際上也是不存在的. 滿洲國不是獨立國家, 也不是``複合民族國家``. 東亞各民族爲了生存而流亡到滿洲, 受到日本殖民主義權利壓迫形成了各種民族矛盾, 這些矛盾隨著殖民權力的崩潰而爆發, 滿洲國就是在爆發中消失的一種海市蜃樓般的``假象共同體``.

      • KCI등재

        만주국의 조선인 학교 실태와 조선인의 민족적 위상

        윤휘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8

        There is very little Korean schools in Manchukuo. Therefore, Koreans in Manchuria were hard to enter school. Because this school taught in Japanese, Korean students had difficulty in learning process. Japanese students attended public schools that have a good learning environment. But most Korean students attended vocational school or a private school that have a bad learning environment. Social reputable medical students were mostly Japanese. Among the teachers Japanese occupied a large proportion. In addition, the Japanese had monopolized the principal of school. Japanese principal of school was monitor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of other nations. Because education of Koreans were low, they had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Manchukuo colonial authorities had always argued the ethnic equality, but they were discriminating against Koreans in Manchuria. As a result, in educational aspect of Manchukuo the national sequence was set. Finally, Manchukuo insisted ethnic equality and ethnic reconciliation, it was an ideological fiction that Manchukuo colonial authorities only had. 만주국 시기 조선인 학교는 부족했기 때문에 조선인은 취학난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학교에서는 일본어로 가르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 학생들은 수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본인 학생은 대부분 사회적 평판과 학교 시설이 좋은 공립학교에 다니고 있었지만, 조선인 학생 다수는 교육 시설이 열악한 직업학교나 사립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또한 의과대학 학생의 절대 다수는 일본인이었다. 교원들 중에는 일본인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일본인이 교장직을 독점한 채 다른 민족 출신의 교원들과 학생들을 감시하고 있었다. 당시 학교 부족으로 학교를 다니지 못해 학력이 낮았던 조선인들은 취직난에도 시달렸다. 만주국 식민당국에서는 표면적으로는 ‘民族協和’, ‘內鮮一體’, ‘日滿一德一心’을 부르짖으면서 민족 평등을 강조하고 있었지만, 교육 방면에서 조선인의 열악한 교육 환경을 개선시켜 주려는 노력은 기울이지 않은 채 오히려 민족 차별 정책을 고착화하고 있었다. 만주국의 모든 방면에서도 그러했지만, 교육 방면에서도 다양한 離散 민족들이 확연한 민족적 위상과 차별 속에 階序的으로 민족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교육 방면에서의 민족 구성이나 민족 차별을 고려해본다면, 만주국의 ‘민족협화’, ‘내선일체’, ‘일만일덕일심’ 논리는 일본 식민주의자들만의 ‘植民地的 想像’ 속에 존재했던 허구적인 식민 통치 이데올로기에 불과했다 윤휘탁, 『滿洲國: 植民地的 想像이 孕胎한 ‘複合民族國家’』(서울: 혜안, 2013), 486쪽. 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안수길의 장편소설 『북향보』의 현실인식

        李海英(Li, Hai Ying)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민족협화와 자치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안수길의 재만 시기의 최초의 장편소설이자 마지막 작품인 『북향보』의 현실인식을 살펴보았다. 1939년 말, 1940년 8월에 걸쳐 『만선일보』는 당시 재만 조선인들이 "만주국"의 "민족협화" 운동에 대해 대단히 부정적이고 회의적이며 어떠한 전망도 갖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북향보』가 보여주는 만인들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민족협화에서 조선인들의 적극적 위상 등은 양 민족 간 상호주의적 태도를 잘 보여준다. 안수길은 조선인이 "만주국"에서 살아남기 위해 협화해야 할 대상은 정작 같은 "제국 신민"으로서 만주의 침략자이자 지배자의 입장에 있는 일본인이 아니라 만주의 원주민과 한족을 포함한 만계인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만주국"의 "민족협화"에 대한 안수길의 이러한 인식은 그가 개인이 아닌 조선인 이민 집단 즉 민족 단위의 생존 문제를 탐구해왔다는 것 때문에 민족 단위의 삶의 방식 즉 조선인의 "자치" 문제와 연결된다. 안수길은 만주국에서 조선인 농민들의 국민 되기는 바로 그들의 건국에의 기여와 함께 농민도와 만주국이 장려하는 유축농업을 적극 발전시키는 것에 있다고 한다. 즉 안수길은 조선인 농민들이 만주국에서 국민적 권리와 발언권을 갖기 위해서는 농민도로 자신들을 특수화할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는 농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만 조선인 사회의 구성을 염두에 둔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안수길이 주장하는 북향건설의 길은 만주에 조선인의 자치를 실현하는 것 즉 이상적인 조선인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북향건설의 주체는 안수길과 같은 작가가 아니라 "만주국" 조선인의 대다수를 점하는 농민들이었다. 결국 해방과 함께, "만주국"의 붕괴와 함께 그토록 열렬하게 "만주국" 조선계 문학 건설을 주장하던 안수길을 포함한 전부의 재만 조선인 작가들은 한반도로 귀국하고 말았다. 이념적 차원에서의 작가들의 북향건설의 의지가 얼마나 허약한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에 비해 광복 후, 만주에 잔류한 조선인은 140만 가량인데, 이들의 대부분은 농민이었다. 생활에 기반한 농민들이야말로 북향건설의 실천 주체이며 그들이야말로 가장 확고한 실체임을 보여준다. 이것이야말로 북향건설의 이념적 대변인으로서 작가와 실천 주체로서의 농민이 분리되는 지점이며 안수길의 삶과 글쓰기의 괴리가 이루어진 지점이다.

      • KCI등재

        안수길의 해방전후 "만주" 서사에 나타난 민족 인식 -타민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해영 ( Hai Ying Li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이 글은 안수길의 해방전후 “만주” 서사에서 민족주의의 주요한 표상의 하나인 민족 인식에 대해 타민족과의 관계 즉 중국인과 일본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안수길의 만주국 시기 소설에 나타난 민족관계는 대체로 “민족협화”에 기초하고 있는데, 청국인에 대해서는 우호적 시각과 함께 연대의 사상을 강조한 반면 일본인에 대해서는 그다지 조화롭지 못하고 껄끄러우며 분명한 거리 두기를 하고 있다. 이는 안수길이 만주의 진정한 주인을 만인즉 인구의 대다수를 점하는 한족과 만족으로 보았기 때문이며 지배적 위치에 있는 일본인은 그저 남의 땅에 침입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조선인은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남의 땅”에 이주해 살지만 일본인과 같은 지배자가 아니며 또 그렇게 되어서는 안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방 후, 안수길의 “만주” 서사의 대표적 작품인.북간도.는 이와는 매우 다른 민족관계를 보여주었다..북간도.는 “간도는 우리 땅”이라는 고토 회복론에서 출발하여 청국인과의 원론적인 대결과 항일독립투쟁을 전면에 부각시킨다. 이는 안수길이 만주 이민을 “우리 땅”에 농사 지으러 간 당당한 역사와 항일독립운동사 중심으로 서사화함으로써 만주 출신 전재민의 민족적 주체성을 세우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립군이었던 정수가 스스로 일본 경찰에 자수하는 것과 독립군이었던 아들 정수를 자수하도록 권고하는 창윤의 변화는 일본의 간도 침략 정책에 서서히 침윤되어가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며 이는 안수길의 만주 체험의 원형이 은밀하게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북간도.에 나타난 청국인과 일본인과의 관계는 만주국 시기 소설에서 보여주었던 청국인과의 연대와 일본인과의 거리 두기와는 매우 다르다. 이는 만주국 시기에는 일본의 검열법 통과와 함께 친일에 대한부담을 안수길이 느끼지 않을 수 없었으나, 해방후의 남한에서는 만주 출신 전재민들의 친일 전적이 크게 문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만주체험의 원형이기도 했던 일본과의 타협이 은밀하게 작동했던 것이다. This thesis discussed about the national recognition in An Soo-gil`s novel, as an important symbol of nationalism, by observing the relations with other nationalities like Chinese and Japanese. The national relations in An Soo-gil`s novel during Manchu empire period were mostly based on the "Ethnic Harmony". The friendly attitude and close connection towards Chinese in Qing dynasty was emphasized while disharmonious and uncomfortable feeling and also distinct sense of dista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s emphasized on the opposite, which was the result of An Soo-gil`s view that Manchurians and the Han people who took the largest part of the population were the real master of Manchukuo, Japanese who took the dominant position were only the aggressors and Koreans as the immigrants who had to move and settle on the "other`s land" for survival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dominants and also could not become the same dominants. However, after the liberation, An Soo-gil`s Bukgando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his novels about "Manchukuo" showed a very different national relations to readers. From the view of the recovery of native land, Bukgando announced that Gando was our territory, tried to arouse the confrontation with Chinese for the fundamental reason and totally highlight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struggle. An Soo-gil tried to set up the national identity of refugees in Manchu by narrating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istory that the Koreans immigrants had immigrated into Manchu to do farm work on "native land" as a resonable historical fact. However the event that Jungsu, a soldier of national independence army before, gave himself up to the Japanese police and the change of his father, Changyun, who had persuaded Jungsu to give himself up showed the fact that people were gradually effected by Gando invasion policy of Japan. Meanwhile, this also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An Soo-gil`s experience in Manchu. Like this,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presented in Bukgando are very different from his novels in Manchu empire period which showed the close connection with Chinese and the repulsion towards Japanese. This is because that with the Japanese censorship law in Manchu empire period, An Soo-gil must have felt the stress of pro-Japanese and tried carefully to get rid of the suspect but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pro- Japanese experience or behavior of the refugees from Manchu before might not arouse big problems. This may also be seen as the prototype of his experience in Manchu and the result of his convert compromise towards Japan.

      • KCI등재
      • 近代における満洲の民族問題

        츠카세 스스무 만주학회 2007 만주연구 Vol.- No.6

        ‘민족(ethnic group)’이라는 개념은 유럽으로부터 동아시아에 이입되었다. 청나라가 건립되었을 당시에는 민족에 대한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고, 19세기 말에 들어서야 중국에서 ‘민족’이라는 어구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청나라의 지배하에 있던 당시 만주지방은 기민제(旗民制)-기인(旗人) 과 민인(民人)으로 백성들을 나누어 지배하는 통치제도에 의해 통치되었고 이 시대에 두 집단의 민족적 차이는 부차적인 문제였을 뿐이었다. 20 세기 초반에 접어들어 기민제가 붕괴된 후에서야 민족적 차이는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20세기에는 서로 다른 민족 집단들을 통합할만한 이데올로기가 아직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민족적 차이는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켰다. 비록 만주 정부가 서로 다른 민족들의 화합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정책들을 수립하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정책들은 실제적으로 실행되지 못하였다.

      • KCI등재

        만주국 건국 이데올로기의 균열과 변형-민족협화에서 오족협화로, 왕도주의에서 왕도낙토로-

        안지나 만주학회 2014 만주연구 Vol.- No.18

        temp 만주국의 건국 이데올로기인 왕도주의와 민족협화는 역사적・정치적 상황에 따라 재만일본인에 의해 창출되었고 만주사변을 계기로 건국공작 과정에서 타민족의 협력과 복종을 획득하는 정치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건국 이데올로기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만주국의 정치제도가 정비되고 일본이 국제연맹에서 탈퇴하는 등 정치적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그와 같은 정치적 역할은 점차 중요성을 잃었다. 그러나 만주국의 건국 이데올로기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만주국을 수식하는 ‘다민족으로 구성된 동양적 이상국가’라는 대외 이미지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왕도주의와 민족협화는 사실상 황도에 기반을 둔 것으로 재해석되었다. 그리고 만주 건국 이데올로기를 둘러싼 혼란은, 현실에서는 이데올로기의 모순, 분열로 나타났던 것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 반식민주의 저항으로서 일제말의 ‘만주 서사’ - 이태준의 〈농군〉과 한설야의 〈대륙〉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 반식민주의 저항으로서 일제말의 ‘만주 서사’

        고명철(Ko Myeong-Cheol)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49 No.-

        Japanese imperialism on Manchuria state intended to make Manchuria colony of Japanese empire standing colonialism argument such" as national harmony(民族協和), seonmanilye(鮮滿一如), and naeseonilche(內鮮一體). In this process, Japanese imperialism reinforced colonialism control through discriminative treatment toward Chosun people living in Manchuria. A short story 〈Nonggun(농군)〉 by Lee Taejun and a novel 〈Daeruk(대륙)〉 by Han Seolya were problem novels staring at this reality of Manchuria and seeking for narrative possibility of anti-colonial resistance. A narrative strategy to pay attention to 〈Nonggun(농군)〉 should consider 〈Leeminburakgynmungi(이민부락견문기)〉 that was written earlier than 〈Nonggun(농군)〉. Like reassignment "Manbosan Event(만보산 사건)" in 〈Nonggun(농군)〉, <Nonggun(농군)〉 intended to read contradiction and break of colonial narration with national harmony(民族協和), seonmanilye(鮮滿一如), and naeseonilche(內鮮一體) of Manchuria through anti-colonial resistant context in Jangjaweofu(쟝자워푸) of Manchuria state. That is to seek for new possibility of anti-colonial resistant narration that could implode colonialism. While Manchuria state destroyed a basic mind of national harmony(民族協和). Han Seolya"s 〈Daeruk(대륙)〉 had an insight to colonial desire of a private citizen capitalist who devoted to colonial management of an empire in Manchuria state. As Han Seloya did not deny completely a frame of Manchuria state that had close relation to Japanese empire, he had a dream for an accompanied world, national harmony(民族協和), capital paradise that could not be caught by colonialism of Japanese empire through love transcending race and nationality. Like intending to narrative strategy of Lee Taejun, Han Seolya also tried to a new possibility of anti-colonial resistant narration by striking back naturally a sight of an empire. Manchuria could be a strategic position to Lee Taejun and Han Seolya to newly seek for anti-colonial resistant narration with a possibility to implode colonialism through narrative realization that was different from in Chosun.

      • KCI등재

        안확의 『조선문학사』 중 시가(詩歌)문학 서술 방식 고찰

        김형태 ( Kim Hyung-t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안확의 『조선문학사』 소재 시가문학 기술 양상을 살펴보고, 그 특성들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조선문학사』를 집필한 의도와 그의 사상의 일단에 접근하는 데까지 연구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조선문학사』에 수록된 시가 작품의 실제 양상을 시대구분에 따라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정리를 바탕으로 도출한 두드러진 특성은 우리 시가의 기원을 설명하면서 「신가(神歌)」를 언급한 점과 문학사 기술에 있어서 시조와 한시의 서술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는 점이다. 먼저 「신가」는 문학사를 통하여 민족정신의 고취와 자주성의 고양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종교에 입각한 시가를 활용한 안확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의도는 대종교에서 비롯된 안확의 사상적 측면과 맥락이 맞닿아 있다. 둘째, `시조`의 기술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는 점은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 상황 속에서 우리 민족이 경험할 수 없었던 긍지의 체험을 통한 치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서 마련한 안확의 배려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평소에 시조의 상대적 우수성을 주장한 안확의 다양한 저술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시조가 부흥하던 경남 지역에서 그가 교사 생활을 하였다는 전기적 사실과도 연관 지을 수 있다. 셋째, `한시`는 우리글의 묘미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시조 등의 국문시가로 얼마든지 치환이 가능한 갈래이자, 『조선문학사』에서 우리 시조의 문학적 우수성을 돋보이게 하는 방편으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기저에 `협화`의 사상이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chnical aspects of poetry literatures in `Chosun literature history` of `Ahn-Hawk(安廓)` and to summarize their characteristics. I also want to expand the horizons of my research to the point of approaching the thought and the intention of writing the `Chosun Literary History`. At first, the actual aspects of the poetry works in the `Chosun Literary History`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period.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derived from this theorem is that it refers to the `Shin Ga(神歌)`, explaining the origins of our poetry literatures. And he devotes a large amount to the descriptions of `Sijo(時調)` and `Chinese poetry(漢詩)`. Firstly, `Shin Ga(神歌)` reflects the intention of using the poetry based on religion as a way to achieve the goal of raising the ethnic spirit through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ncreasing the independence. This intention is inextricably linked to the ideological aspects of the unification that originated in `Daejonggyo(大倧敎)`. Secondly, we have devo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description of `Sijo`, which was a consideration of the uneasiness of the Korean people in order to provide a place of heal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pride that the Korean people could not experience in the dark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arious works of Ahn`s, which usually claim the relative superiority of `Sijo`. And he can also relate to the fact that he lived in the `Kyongnam(慶南)` area where `Shijo` revived. Third, `Chinese poetry` is a Korean poem that can fully utilize the charm of our writing. And it can be said that `Chinese poetry` functions as a way to enhance the literary excellence of our `Sijo` in the history of `Chosun Literary History`.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idea of `Cooperation and harmony(協和)` is contained in the back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