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사이트의 그래픽 스타일이 미학적 인식과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장일준(주저자) ( Yi Jun Zhang ),김세화(공동저자) ( Se Hwa Kim ),김소영 ( So Young Kim ),김세화(교신저자) ( Se Hwa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웹 사이트 메인페이지의 그래픽 스타일과 성별효과에 따라 사용자의 미학적 인식(고전미와표출미)과 즐거움 감성반응에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진 이미지, 드로잉, 컴퓨터 그래픽의 그래픽 스타일에 따라 미학적 인식인 고전미와 표출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표출미 평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전미와 즐거움 감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출미 평가에 있어서, 컴퓨터그래픽 스타일의 웹사이트 메인페이지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높게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미학적 인식과 즐거움사이에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graphic style of the main page of web sites differs according to the aesthetic perception(classical aesthetic and expressive aesthetics) and pleasure evaluation. To observe whether gender effects the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 perception reputation and pleasure evaluation. The difference in the graphic style of the main page of web sites influenced the aesthetic judgment of ‘expressive aesthetics’ and ‘classical aesthetic’, but did not greatly affect the emotion judgment of ‘pleasure’. However,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classcal aesthetic’, ‘expressive aesthetics’ and ‘pleasure’ in the graphic style of the main page of website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as displayed between the three variables.

      • KCI등재

        디지털 게임의 대중미학 에르고딕 연구 : 컴퓨터-문화 조형행위의 인식적 지도그리기

        신현우(Shin, Hyunwoo)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6 No.-

        본 연구는 뉴미디어 정보기술 환경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게임의 미학적 지평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디지털 게임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며 새로운 컨버전스 문화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또한 디지털 게임은 문화산업의 새로운 기관이자 가치 축적의 힘으로서, 디지털 소비문화와 서브컬처를 양산하는 영역으로도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담론 자장에서 소외된, 디지털 게임의 미적 공통감각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다루고자한다. 첫째는 게이밍의 ‘컴퓨터적 층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게임의 매체적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기존의 서사학과 루돌로지의 논의를 넘어, 수학적 동역학이자 능동적 탐색 과정으로서 ‘에르고딕’이 플레이와 접합된 것으로 디지털 게임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주로 ‘상호작용성’의 수준에서만 디지털 게임을 이해하고자 했던 추상적인 논의와 단절하면서, 디지털 게임의 ‘조형적 행위’를 재구성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에르고딕성에 도달하고자 하는 디지털 게임 플레이는, 데카르트적 좌표계의 전통에서 벗어나 놀이의 상상력을 연산적 수준에서 재배치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둘째, 게이밍의 문화적 층위로서 에르고딕이 소비주의적 문화산업 논리로부터 탈주하는 흐름을 포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의 고유한 재현 양식에서 이뤄지는 ‘미학적 대중주의’를 프레드릭 제임슨의 ‘인식적 지도그리기’ 개념을 바탕으로 조망한다. 또한, 컴퓨터-문화적 층위로 직조된 게이밍의 미학적 대중주의의 구체적 몇 가지 사례를 분석하고 그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디지털 게임이 자아내는 미적 숭고를 이해할 수 있는 잠재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ores the aesthetic horizons of digital games emerging in a new media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Digital games have been understood to form a new convergence culture among digital era. Digital games have also been recognized as a new institu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a power to accumulate value, creating digital consumerism and subcultures. This study seeks to address the discussion of the possibility of a common aesthetic sense of digital games, underrated in these two discourse, on two main dimensions. The first is about the ‘computer layer’ of gaming. Beyond the discussion of Narratology and Ludology, which seek to clarify the media essence of digital games, it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igital games as a mathematical dynamic and active exploring process that “Ergodic” is articulated with play. This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configurative practice’ of digital games, rupturing from the past abstract discussion of understanding digital games only at the level of ‘interactivity’. Digital gameplay, which makes path to reach ergodicity, can be understood as an act of relocating the imagination of play at the computational level, away from the tradition of Cartesian coordinate systems. The second is about a cultural layer of gaming, generating Ergodic play as a flow of escaping from consumerist cultural industry logic. To this end, this study views “Aesthetic Popularism” that occurs in the mode of representation of digital games based on Frederick Jameson’s concept of “Cognitive mapping”. In addition, this study try to analyse some specific examples of the aesthetic populism of gaming, which is woven into computer-cultural layers, and examine its potential. Through this exploration, this study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aesthetic sublime of digital games.

      • KCI등재

        일상적인 것의 예술과 미학적 실천으로서의 독서

        허선애(Heo, Seon-ae)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9

        이 글은 이태준의 문장론과 소설 『가마귀』, 『장마』등을 통해서 이태준의 ‘인식’과 ‘예술’의 함의가 확장된 외연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작가 내부에 침잠한다는 점에서 비판받았던 이태준의 창작론이 자족적인 표현론에 그치지 않았던 것은 그가 강조했던 예술 향유방식에 있다. 이태준이 강조했던 작가의 ‘기질’이란 문학의 효용성, 대상의 본질에서 벗어나 대상에 대한 자유로운 상상의 결과로 창작된 ‘자율적’ 예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소설『가마귀』는 여인이라는 대상의 본질과는 다른, 그 대상이 촉발하는 상상력과 그로 인한 감정이 예술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이태준에게 예술이란 향유자의 정서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대상의 본래 용도와 무관하게 개인의 취향과 의지에 따라 그것의 예술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어떤 것이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그 대상과 정서적 교류를 할 수 있는 향유자의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이는 감상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며, 나아가 대상에 대한 획일적 인식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소설『장마』를 획일적 인식에 대해 모순적 태도를 지니고 있던 ‘나’가 유연한 태도를 갖추게 되는 일종의 성장담으로 해석하였다. 작가의 ‘자율적’ 창작과, 독자의 개별적 경험으로서의 독서가 만날 수 있는 방식은 ‘묘사’에 있다. 『글 짓는 법 ABC』는 작문의 방법보다 정서의 훈련을 더욱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감수성의 고양이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전제이기 때문이다. 이는 대상에 대한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인식에 대한 훈련이며, ‘예술’은 향유자의 정서와 조응하는 일상적인 것들의 이름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recognition" and "art" in Yi Taejun"s short story “the Crow”, “the Rainy Season” and his theory on sentence writing. He was criticized for individualism by his contemporary critic, but his theory on creative writing is not self-satisfactory because it contains unique method to appreciate art. The artistic "tendency" enables autonomy of art in that it is the result of infinite imagination. The short story “the Crow” suggests that becoming artistic is unconnected with the essence of on object; it is result of just emotion and imagination just provoked by the object. Meanwhile, for Yi Taejun, the art means everything that arouses emotion of appreciators. Being artistic requires appreciators to be active in communing with the object, because the artistic value is determined by taste and the will of each individual. That means diversity of appreciation; furthermore it denies standardized enjoyment of art. The short story “the Rainy Season” is a type of growth narrative from contradictory attitude for simplified recognition to a flexible one. Description is the medium of that connects the autonomic creation of a writer and the reading(appreciation) as an individual experience, “How to Write ABC”, one of the most important essays in regard to Yi"s theory on sentence writing, emphasizes sensitivity training, since enhanced sensitivity is a precondition for good writing and it is the training for active and voluntary recogni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스포츠 미학적 인식을 통한 교육적 가치 조망

        이인(Lee in),함지선(Ham Ji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관련과목의 교양수강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포츠에 대한 미학적 인식에 초점을 맞춰 살펴봄으로써 스포츠의 미적 인식에 대한 보편적 견해 를 밝히고 그에 따라 체육교육에 있어서의 스포츠 미학의 교육적 가치를 조망해 보 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스포츠는 예술인가’에 대한 중심 논제가 수강학생들 에게 토론주제로 주어졌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논제에 대한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로 구분 되었다. 먼저, 긍정적인 견해로서 첫째, 스포츠는 가장 접근하기 쉬운 예술이다. 둘째, 스포츠는 가장 극적인 예술이다. 셋째, 스포츠는 종합예술이다. 라는 의견으로 수렴되었다. 다음으로, 부정적 견해로서 첫째, 스포츠는 경쟁과 승패에 목 적을 두고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결과 중심의 행위이기 때문에 예술일 수 없다고 보 는 견해와 둘째, 스포츠의 종목에 따라 예술성이 부각되는 종목과 아닌 종목으로 구 분된다고 보는 견해로 나뉘었다. 이러한 의견들을 종합하여 보면, 스포츠를 예술로 볼 수 있는 요소는 분명히 있으 며 이를 통해 스포츠 미학교육의 가능성과 방법론적 현실성을 제고해 보았다. 첫째,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미학교육에 대한 개론적인 설명을 배치하기보다 학생들에게 직·간접적으로 보다 많은 체험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둘째, 경쟁과 승패, 예술성 요인에 초점을 두어 스포츠 미학교육을 구체화 할 수 있는 방 법론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하게 하는 교육이 스 포츠 미학교육을 현실화 하는데 있어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해 서는 놀이적인 성격의 경쟁과 승패의 요인이 반드시 스포츠 교육의 수단으로 작용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state universal opinion about sport aesthetic recognition by observing sport aesthetic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who took sport-related courses for liberal art. Accordingly, we could take a view of the educational value of sport aesthetics in physical education. For this goal, the topic for discussion, ‘Is sport an art?’ is given to those students, and the result of analysis was divided into the positive opinion and the negative opinion. The positive opinion is as follow. First, sport is the easiest art to approach. Second, sport is the most dramatic art. Third, sport is a synthetic art. Then the negative opinion is as follows. First, their opinion was shown that because sport is focused on winning and competition, the result-oriented performance can’t be an art. Second, some events of sport have emphasis on artistic sense and others are not. Collectively, there are certain elements to view sport as an art, and through this result we raised the possibility of sport aesthetic education and the methodological reality.

      • KCI등재

        영적 감각-지각의 개념과 영성신학적 의의

        김다니엘 ( Daniel J. Kim ) 아신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49 No.-

        영성신학은 기독교 영성의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영성신학은 신학적 기초와 방법론적 근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기독교 영성의 신학과 방법론은 인간, 천사/악령, 자연/세계, 그리고 신의 영역을 포함한 영적 현실에 대한 실제적 경험의 이해를 떠나서는 제대로 형성될 수 없다. 즉, 영성신학은 영적 영역과의 실제 현상적 만남에 기초하 여 영적인 영역을 이해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영적신학은 명제적 인식론보다 현상적 인식론과 더욱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영성신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적 실재, 특히 하나님을 경험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영적 실재, 특히 하나님을 현재 체험하는 것이 가능한가?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영적 실재, 특히 하나님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가? 또한 영적 실재, 특히 하나님을 참으로 경험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현실 세계에서 모든 형태의 실재를 경험(experience)하려면 이 실재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실제 대상이나 현상을 지각(perception)하는 것 외에는 그것을 실제로 경험하고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자연계를 감각(sense)으로 지각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물리적, 정신적 실재를 지각할 수 있는 자연적 감각(natural sense)이 있다면 영적 실재를 지각할 수 있는 영적 감각(spiritual sense)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이 사실 이라면, 인간은 물리적/물질적 현실뿐만 아니라 영적 실재, 심지어 신의 존재를 via sensus divinitas로 인지하고 관계 할 수 있는 온전한 인식론적 (epistemic) 존재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 감각의 전 영역을 고찰하여, 특히 신에 대한 인식을 위한 영적 감각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영적 지각의 신체-운동적(soma-kinesthetic), 미학적(aesthetic), 도덕적(moral), 그리고 공동체적(communal) 요소를 포함하는 영적(spiritual) 지각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할 것이다. 논문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성경의 “영적 감각-지각” 개념; (2) 교회사의 “영적 감각- 지각” 개념; (3) 인간 감각-지각에 관한 통합적 이해; (4) 영적 감각-지각의 영성신학적 의의. Spiritual theology is an integrative discipline of theory and praxis in Christian spirituality. Thus, it needs to be grounded in both theological and methodological bases. However, neither theology nor methodology of Christian spirituality can be properly formulated apart from the actual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spiritual reality―in human, angelic/demonic, natural/worldly, and divine realms. In other words, spiritual theology must be consistent with the understanding of spiritual reality based on the actual phenomenological encounter with such reality. In this sense, spiritual theology is a discipline which is more closely related to phenomenological, rather than propositional, epistemology. In spiritual theology, then, it is important to ask: What does it mean to experience spiritual reality, and especially God? Is it possible to experience spiritual reality, and especially God, in the present? If so, how can we actually experience such spiritual reality, and especially God? Moreover, what are the conditions for a genuine experience of spiritual reality, and especially God? In the real world, in order to experience any form of reality, we must somehow be able to perceive this reality. Apart from a genuine perception of an actual object or phenomenon, we cannot say that we are truly experiencing it. In general, the perception in the natural realm involves the use of both physical, mental, and affectional senses. Thus, if there are natural senses with which we may percei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alities, then there must also be spiritual sense(s) with which we may be able to perceive spiritual reality. And if this is indeed true, then we human beings are wholly epistemic in nature so as to perceive and interact with not only the physical/material reality, but also the spiritual reality, even the presence of God (via sensus divinita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n, is to examine the whole realm of human senses, while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concept of spiritual sense(s) necessary for perceiving God. In the process,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spiritual perception―incorporating the soma- kinesthetic, aesthetic, moral, and communal elements―will be proposed. The outline of the thesis is as follows: (1) spiritual sense- perception in the Scripture; (2) spiritual sense-perception in church history; (3)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human sense-perception; and (4) significance of sense-perception for spiritual theology.

      • KCI등재

        미학적 앎의 양식에 근거한 미술적 지식의 교육적 함의 - Eisner의 미학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

        이자현 한국조형교육학회 2009 造形敎育 Vol.0 No.33

        The issue about art education and art curriculum should be interpreted the aesthetic value and certain epistemology. For these reasons, there is no question that Eisner's aesthetic epistemology should provide reasonable and practical base to art curriculum in that the nature of art primarily interacts with the knowledge of art. Eisner asserts that the modes of knowing or the process of knowing about human is aesthetic. Furthermore, he has taken up the same position on art education. On top of that, the aesthetic in education has two major contributions to make, neither of which is yet a purposeful part of our educational agenda. First, it tells us about the world in ways specific to its nature. Second, it provides the experiential rewards of taking the journey itself. Eisner's assertion is that our experience of the world is basically qualitative. In order to achieve a social dimension in human experience, a means is demanded to carry what is private forward into the public realm. This is achieved by employing forms of representation. Forms of representation are the devices that humans use to make public conceptions that are privately held. Education is the process of learning how to invent yourself according to Eisner's phrase. To summarize, significant discussions stated in this paper include as follows: discussing about aesthetic mode of knowing and artistic cognition, enhancing artistic knowledge and cognitive functions of the arts, suggesting art-based integration education,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aesthetic connoisseurship and aesthetic communication.

      • KCI등재

        유아미술의 인지적 활동에 관한 연구 -아이스너의 미학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이안근 ( Lee An-ke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아이스너는 이성과 사고를 분리하는 이분법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미술활동에 수반되는 질성의 정서까지를 포함하는 광의적 인지개념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이스너의 이러한 사상이 집약된 미학적 인식론에 근거하여 유아미술활동을 광의적 인지개념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유아들의 미술활동은 다양한 감각을 통하여 획득한 개념을 내면화하고 상징화하여 표현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표현활동에서의 인지적 특성은 유아들이 주변세계를 탐색하고 관찰하며 앎을 획득하는 표현활동의 전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대상에 대해 판단하고 해석하며 수정하고, 재해석하며 창의적으로 개념을 형성하는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방식으로 사고를 확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미술활동 전체의 과정은 유아들이 대상을 탐색하고 유추하고 재탐색하는 사고의 확장 활동이다. 따라서 유아미술활동은 유아들의 지각을 통해 인지 능력을 키우는데 있어서 훌륭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아미술에 대한 인지론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통해 미술활동이 인지적 사고에 관여한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의 틀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이에 따라 유아미술교육의 접근에 있어서 탐구·인지적 관점이 타당함을 제언 한다. Eisner opposed the dichotomous notion of separating reason and thought. And he presented a broad concept of cognition including the emotions of the qualitativeness accompanied by art activiti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aesthetic epistemology of Eisner 's thoughts, infant art activities wer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broad cognitive concept. The art activity of the infant is to internalize and symbolize the concept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ce of direct sens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expressive activities appear in the whole process of activities in which infants explore, observe, and acquire knowledge. In the process of expressive activity, infants have reflective thinking that judge, interpret, revise, reinterpret, and creatively form concepts around the world. Infants also expand their thinking in an analytical and comprehensive way to express, process, and solve problems. As a result, the whole process of this art activity is the extension activity of thinking that the children search for the object , analogy and re-search. Therefore, the activities of Infants arts can be a good way to develop cognitive skills through the perception of infa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rt activities are involved in cognitive thinking through research on the cognitive perspective of infant ar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validity that the art education for infant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inquiry and cognition.

      • KCI등재

        자유주제 : 송찬호 시에 나타난 시적 인식의 방향성 연구 - 시집 『붉은 눈, 동백』을 중심으로 -

        김인옥 ( In Ok K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1

        송찬호의 세 번째 시집에 해당하는 『붉은 눈, 동백』은 이전에 발간된 두 권의 시집 『흙은 사각형의 기억을 갖고 있다』와 『10년 동안의 빈 의자』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이를 초월한다. 그 이유는 『붉은 눈, 동백』 시편에서 시인 송찬호가 보여주는 언어적 자의식과 시의 본질에 관한 집요한 사유가 그의 시적 내력에서 스스로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와 언어, 존재와 세계에 대한 일관된 탐색은 네 번째 시집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에 이르기까지 지속된다. 현실 세계의 한계, 고통, 즉 죽음에 대한 인식에서 시인 송찬호의 시쓰기는 시작되었다. ‘존재의 탐구’라는 형이상학 시론과 ‘언어의 감옥’이라는 형식주의 미학 사이에서 상호 모순된 충동들의 조화가 시도된 『붉은 눈, 동백』의 분석은 송찬호의 시적 향방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붉은 눈, 동백』은 앞선 두 시집에 나타난 ‘존재의 구체성’과 ‘의미의 중심 해체’를 현실과 직결시키고 있는 동시에 스스로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만들어냄으로써, 이후 시집에서 성찰하고 있는 시적 언어의 경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붉은 눈, 동백』에서의 ‘동백’과 ‘산경’의 이미지가 시인의 의식세계를 드러내는 암시적이고도 다의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기호로서 기능하여 ‘이상향으로서의 낙원’과 현실적 삶의 부정하는 ‘미학적 이상주의’를 구체화한 결과일 것이다. 『붉은 눈, 동백』은 송찬호 시 전반의 의미를 포괄하는 동시에 시적 방향성을 구체화하여 드러내는 교량적인 역할을 해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집 『붉은 눈, 동백』을 중심으로 시적 대상에 대한 시인의 인식과 개념화 과정 분석을 통하여 시적 인식의 순간을 맞이하여 상상력을 개입시켜 자신의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송찬호 시인의 시적 방향성을 추적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Red Eye, Camellia』, which corresponds to Song Chan-ho`s third poetry collection, transcends this simultaneously with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Soil Has Memory of Quadrangle』and 『Empty Chair During 10 Years』, which are two volumes of poetry collections that were published previously. The reason is because the obstinate thinking about verbal consciousness and poetic essence that a poet Song Chan-ho shows in the poetic pieces of 『Red Eye, Camellia』made an opportunity of a new change beyond own limit in his poetic history. This consistent search for poem & language and existence & world is continued until the fourth poetry collection titled 『Evening that a Cat Returns』. Song Chan-ho`s writing a poem was begun from the recognition on the limitation of the real world, agony, namely, death. An analysis of 『Red Eye, Camellia』, which was attempted the harmony of inter-contradiction collisions between the essay on metaphysics dubbed ``search for existence`` and the aesthetic formalism dubbed ``prison of language`` can become an opportunity available for materializing Song Chan-ho`s poetic direction. 『Red Eye, Camellia』connects ‘concreteness of existence’ and ‘central deconstruction of a meaning,’ which were shown in the above two poetry collections, directly with reality, and simultaneously makes ``opportunity of a new change`` of getting over own limit, thereby offering a clue on a state of poetic language that is being reflected in the poetry collection after this. This will be the outcome that the image of ``camellia`` and ``mountain scenery`` in 『Red Eye, Camellia』functioned as a symbol of including implicit and ambiguous meaning of revealing a poet`s consciousness, thereby having materialized ``aesthetic idealism`` of denying paradise and realistic life as ``ideal world.``『Red Eye, Camellia』played a bridging role in materializing and revealing poetic directivity as well as comprehending a meaning of the whole in Song Chan-ho`s poems. According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racing the poetic directivity in a poet Song Chan-ho who is implementing own poetic world by making imagination intervene with facing the moment of poetic recognition, through analyzing the process of a poet`s recog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n poetic subject focusing on the poetry collection 『Red Eye, Camellia』.

      • KCI등재

        Eisner의 미학적 관점에 근거한 교육과정 비평의 실천적 방법 탐색

        신경애(Kyung-Ae Shi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methods of curriculum criticism based on Eisner s aesthetic perspective in the genre of curriculum inquiry. The curriculum is an academic field that is born with independence by itself, without a parental discipline. As such, it is important to find a research methods suitable for the academic nature of the curriculum and to find out research methods that s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In this sense, this study proposes Eisner s curriculum research method and investigates its features and application. The key method is the curriculum criticism as a research genre. Curriculum criticism has properties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rface, but it is thought that it can reflect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because it is able to integrate with quantitative methods. In this study, we first look at the current curriculum inquiry tendencies, then look at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riticism proposed by Eisner, and then propose practical methods for curriculum research. To this end, We intend to develop a discuss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탐구의 양식에서 Eisner의 미학적 관점에 근거한 교육과정 비평의 실천적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교육과정은 모체 학문이 없는 그야말로 태생적으로 독립성을 가지는 학문분야이다. 그런 만큼 교육과정의 학문적 성격에 적합한 연구방법을 모색하고, 교육과정의 다양한 속성을 아우르는 연구방법의 발굴은 중요하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일찍이 Eisner가 발전시킨 연구방법을 교육과정의 차원에서 검토해보고, 그 특징과 적용방안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그 핵심적 방법은 연구 양식으로서의 교육과정 비평이다. 교육과정 비평은 표면적으로 보면 질적 연구 방법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양적방법으로 절충가능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재의 교육과정 탐구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Eisner가 제안하는 교육과정 비평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과정 연구에 실천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통하여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함의와 실행 방안 제안

        임혜원,공완욱,최은영,나선엽,이주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1 No.-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 관심과 요구에 부응하여 본 연구는 타 교과와 구별되는 미술교육의 고유한 특성 중 하나인 지각, 시각적 사고, 미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학교미술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현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3가지 관점인 ‘환경적 관점’, ‘사회적 관점’, ‘경제적 관점’별 25가지 핵심 내용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 가치인 ‘인권 존중’, ‘미래 세대 존중’, ‘생태계 존중’, ‘문화 다양성 존중’별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체험, 표현, 감상의 내용 체계 영역과의 관련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학교미술교육에서 이를 적용하고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 2개의 수업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가속화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구현하기 위한 교과교육 관점에서의 관련 가능성을 가늠해보고 미술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Along with expanding awareness of the need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discussions and researches are also underway in Korea nowadays. In response to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s to construct ESD through school art education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which are aesthetic perception, aesthetic cognition and visual thinking distinguished from other subjects. For this purpose, it was conducted that researches on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SD) and ESD in school were reviewed, and the degre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core concepts of ESD(human right, future generations, ecosystem, respect of cultural diversities) and the three main domains(experience,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Art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ESD’s core contents of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perspectives. In addition, two instructional models as an example for more specific applications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This study will be a basis of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in ESD in school a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