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신적 신념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허현구(Hyun Koo Heo),김영조(Yeung Jo Kim)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1

        미신적 신념(superstitious belief)이 소비자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신적 신념과 관련하여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 실증적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신적 신념이 제품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1에서는 미신적 브랜드 제품의 태도와 일반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의 비교를 통해 미신적 브랜드가 제품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반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보다 미신적 브랜드 제품에 대해 더 호의적이었다. 실험2는 실험1을 확장하여 유사 확장제품과 비 유사 확장제품 평가에 있어 미신적 브랜드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사 확장제품 평가에 있어서 미신적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와 일반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비 유사 확장제품 평가에 있어서 일반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보다 미신적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호의적이었다. 실험3은 조절초점을 통해 미신적 브랜드와 비 유사 확장제품 평가에 있어 조절초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는데, 촉진동기의 경우 일반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와 미신적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예방동기의 경우, 일반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보다 미신적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호의적이었다. Despite superstitious beliefs have strong impacts on our daily lives, less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one, especially in marketing domain. Thus, the current research empirically explored the influences of superstitious belief on product attitude. After two pretest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adopted a superstitious brand, TX770 and a general brand, TX550 and these brands were used throughout the experiments. Based on the fact that lucky superstitious beliefs were perceived more favorably than unlucky superstitious beliefs, Experiment 1 examined the influence of superstitious brand on product attitude by comparing the superstitious brand with general brand. A hundred of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al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ditions of the superstitious brand vs. general brand. Th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attitudes toward the Notebook with three items on seven-point scales.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superstitious brand condition evaluated the Notebook more favorably than those in the general brand condition. That is, TX770 Notebook was evaluated more favorably than TX550 Notebook. Much of studies on brand extension have focused on perceived fit between the original brand and its extensions, such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fit, the more likely the favorable evaluations of extensions. Thus, perceived fit is the key driver that influences the success of brand extensions. Although prior research has identified several factors as determinants of perceived fit between the original brand and its extensions, brand extension, in particular, research on dissimilar extensions is still ongoing to enhance the evaluations of dissimilar extensions. Thus, Experiment 2 extended the result of Experiment 1 to brand extension domain and explored the influence of superstitious belief on product attitude in brand extension domain. Specifically, the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ces of superstitious brand on similar extension vs. dissimilar extension product to expend the scope of research an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brand extension. Experiment 2 used superstitious brand, TX770 and general brand, TX550. After a pretest was conducted to select extensions, toothpaste was used as the original product and electronic toothbrush was selected as an similar extension. Sunglasses and Wristwatch were selected as dissimilar extensions. 120 of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ditions. Th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s with three items on seven-point scales.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earch used 2(extension: similar vs. dissimilar) x 2(brand: superstitious vs. general) between-subjects design with two dissimilar extensions. First, participants in the superstitious brand condition expressed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 than those in the general brand condition. Next, for the hypothesis, in similar extension, no difference was found in product attitude between the superstitious brand(TX770) and general brand(TX550). However, in dissimilar extens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uperstitious brand and general brand condition. Specifically, participants in the superstitious brand condition evaluated the products(e.g., sunglasses and wrist watch) more favorably than those in the general brand condition. Thus, the influence of superstitious brand was emerged in dissimilar extension, not in similar extension. Regulatory focus theory suggested that there were two distinct sorts of goal orientation;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Promotion focus is geared to motivate to attain advancement and achievement by approaching matched to desired end states. A prevention focus, by contrast, is geared to motivate people to achieve safety and protection by avoiding mismatches to desired end states. These distinct goals can be served by different strategic means. That is, promotion focus

      • KCI등재

        미신적 신념과 소비자의 자아성향의 상호작용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심,안진아,정형식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경영연구 Vol.26 No.3

        미신적 신념이 소비자의 제품구매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에서는 미신적 신념을 연상시키는데 있어 숫자나 색깔 등 제품의 속성만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미신적 신념의 경우 제품의 속성뿐만 아니라 시험이나 결혼 등 특정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연구는 미신적 신념이 활성화되는 상황과 이에 적합한 미신연상제품을 도출하여 소비자의 미신적 신념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제품 실패 후 귀인은 소비자들의 만족과 불만족 또는 재구매의도 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제품 유형(미신연상제품 vs 비연상제품)에 따라 제품 실패 후 소비자들의 귀인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2×2 집단 간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제품유형(미신연상제품 vs 비연상제품)에 따른 불확실성의 수준(고 vs 저)과 자기관 유형(독립적 vs 상호의존적)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미신연상제품과 비연상제품에 따른 제품 실패 후 소비자의 귀인유형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미신연상제품의 경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게 지각한 소비자보다 불확실성을 높게 지각한 소비자의 제품태도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비연상제품의 경우 불확실성의 수준에 따른 제품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관의 경우, 미신연상제품은 상호의존적 자기관을 지닌 소비자가 독립적 자기관을 지닌 소비자에 비해 제품에 대해 더욱 호의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연상제품의 경우 독립적 자기관을 지닌 소비자가 상호의존적 자기관을 지닌 소비자 보다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를 보였다. 제품 실패후 귀인 유형을 검증한 결과, 미신연상제품은 소비자들이 내적 귀인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연상제품의 경우 외적 귀인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는 제품 속성을 통해 활성화되는 미신적 신념에 초점을 둔 반면, 본 연구는 특정 상황에서 나타나는 미신적 신념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미신연상제품의 실패 후 귀인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특정 미신연상제품을 생산 또는 판매하는 기업 측면에서 활용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pite their strong impact on the marketplace, surprising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superstitious beliefs influence consumer purchase decision. Previous studies have constrained their scope of research on superstitious beliefs primarily to particular product features, such as specific numbers, colors, etc. However, it is considered as common for Koreans to engage in superstitious beliefs in special circumstances, including those of exams, marriage, etc.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examine consumer superstitious beliefs by presenting products with superstitious associations according to appropriate situational contexts. Moreover, the study explored consumer causal attribution following product failure, which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t purchase behavior, such as dissatisfaction or re-purchase intentions. Using a 2×2×2 between-group experiment design,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uncertainty by the product type (with superstitious associations vs. without superstitious association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types of self-construal (independent vs dependent), and consumer causal attribution following product failu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garding the products with superstitious associations, consumers who had more salient perception of uncertainty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than those with less salient perception of uncertainty, while the two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different attitude toward products without superstitious associations. As for the self-construal, consumers who had mutually 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products with superstitious associations than thos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whereas the latter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products without superstitious associations than the former group. With regard to consumer causal attribution following product failure, consumers attributed the failure to the internal forces for products with superstitious associations while they attributed the failure to external forces for products without superstitious associations. This study places its significance on examining the effects of superstitious beliefs on consumer behavior that were well-suited and applicable in a specific circumstances. In addition, it ha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research by examining consumer causal attribution following failure of products with superstitious association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corporate implications for the potential supply and sales of products with superstitious associations.

      • KCI등재

        미신 개념의 계보학: 20세기 초 한국 사회의 종교, 과학, 미신

        이창익 ( Lee Chang Yick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이 글은 종교와 과학이라는 대결적 담론 지형의 형성에서 미신 범주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나는 일제강점기의 신문과 잡지 자료에 나타난 미신 담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교 개념, 과학 개념, 나아가 종교와 과학의 관계 양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미신 개념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대략 아래와 같은 세 가지 큰 틀에서 종교, 미신, 과학의 관계를 추적하였다. 첫째, 우리는 ‘비과학적’이라 비난받은 종교의 일부, 특히 무속 같은 민간 종교가 폄훼 과정을 통해 미신 범주로 낙착되는 것을 목격한다. 한국의 종교 전통은 서구적인 종교 개념에 부합하는 형태로 재편되기 위해 ‘미신’으로 의심되는 요소를 종교 범주 밖으로 추방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미신 범주는 종교 전통의 근대적 정화 작용을 위해 이용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학성’이라는 기준이 ‘비과학적 종교/과학적 종교’라는 구분법을 작동시켰다. 정화를 통해 종교가 과학에 가까운 것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보였다. 둘째, 과학이 종교의 영역에 침투하여 기존의 종교 담론과 실천을 미신이라 비난하면서, ‘종교와 과학’의 대립 구도를 선명하게 부각시키는 장면이 있다. 역사 속에서 이제 종교의 시대는 가고 과학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생각이 이러한 논쟁을 지배한다. 이때 종교 개념은 두 가지 선택지를 만나게 된다. 하나는 종교의 과학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과학성’과 대비되는 ‘종교성’에 대한 주장을 통해 종교의 독자적인 존재 양식을 규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과학의 종교성’을 입증하려는 시도로까지 확장 될 수 있다. 이처럼 미신 개념은 근대적인 종교 개념의 형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종교는 마음의 공간으로 물러나 과학과는 다른 영역을 점유했다. 셋째, 미신론을 통해 비로소 종교는 더 이상 과학으로부터 위협을 느끼지 않은 채 세속과 분리된 공간 안에 굳건히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미신의 제거를 통해, 종교는 내면의 공간으로 퇴거했으며, 종교 없는 세속 공간이 마련될 수 있었던 것이다. 종교라는 개념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발전한 것이 아니라, 미신이나 과학, 또는 유사종교나 신종교 같은 다른 개념들과 연결된 복잡한 네트워크 안에서 형성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how the concept of superstition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general discourse of the opposition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For this, I surveyed the various concepts of superstition within the purview of the newspapers and journal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is led to the discovery that we should reappraise the concept of superstition to understand the modern formative processes of the concept of religion, the concept of science, and the relationship of religion and science. This article traces the relations among religion, science, and superstition within the three frameworks. Firstly, we can witness how popular religions such as shamanism fell into the category of superstition, suffering the criticism of being unscientific. Korean religious tradition could conform with the western concept of religion by dispelling the superstitious things out of religious landscape. Like this, the concept of superstition was employed in order to purify the concept of religion. To this purpose, the criterion of scientificity divided religion between unscientific religion and scientific religion. By way of purification, religion seemed to be able to become more scientific. Secondly, science was gradually opposed to religion, rebuking religion for being superstitious. There was a powerful prospect that the age of science would supercede the age of religion. In this situation, religion was given two alternatives. One was that religion had to prove its scientificity. The other was that religion had to find its uniqueness in the name of religiosity, even to the point of disclosing religious aspects of science. Like this, superstition played a very essential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On the whole, religion could recede into mind space and occupy a different area from science. Thirdly, under the sway of the concept of superstition, religion was separated from secular space, and could be protected from scientific criticism. Stripped of superstitious elements, religion escaped into inner space, and then it became possible to construct the secular space without religion. Accordingly, the concept of religion was not formed independently, but constructed within the complex network connected with such concepts as superstition, science, quasi-religion, and new religion.

      • KCI등재

        일제하 미신에 대한 통제와 일상생활의 변화

        이방원 동양고전학회 2006 東洋古典硏究 Vol.24 No.-

        미신이란 용어는 일제에 의해서 한국문화를 부정하는 이론적 틀로 사용되었으며, 일제에 의한 ‘미신타파’ 이면에는 문화주의를 표방한 일제의 지배논리가 숨어있었다. 일제의 ‘미신타파’ 정책은 무단정치기 동안 ‘경찰범처벌규칙’을 근거로 경찰력을 동원함으로써, 문화정치기에는 무속인 조합을 묵인하는 완화된 방식으로, 황민화시기에는 다시 ‘민족말살정책’의 수단으로 이루어졌다. 일제의 ‘미신타파’정책이 식민통치정책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결국 일제의 목적은 일관되게 한국인을 ‘일제에 순종하는 바람직한 식민지민’으로 개조하는 것이었다. 일제는 미신으로 인한 사회문제를 예방하기보다는 사건 발발 후 처벌하였다. 반면 무속과 동제는 한국인의 정체성과 단결을 강화한다는 이유로 일제 전시기를 통하여 다양하게 통제하였다. 한국인들은 질병과 각종 가정사로 인한 심리적 불안, 사회적 불안, 경제적 빈곤으로 인한 생활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신의 힘을 빌리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사회문제로 인한 처벌 등으로 이중 삼중의 고통을 받아야 하였다. 일제 당국, 청년단체와 언론 등의 ‘미신타파’ 운동은 각각 그 목적이 달랐지만, 한국인에게 한국 전통에 대한 시각을 달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그리고 비합리적인 요소를 타파하면서 근대로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도 하였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일제의 의도대로 한국의 정체성을 잃고 한국적인 것에 대한 열등감을 가지며, 지켜나가야 할 정신적 문화유산까지 변질, 소멸되었음은 안타까운 결과이다. ‘Superstition' was the theoretical basis when Japanese denied Korean cul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 was hidden logic of rule in claiming to stand for Culturism, behind the Japanese policy of 'breaking down superstition' During the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the police force was used to break down superstition. It was based on the 'police offense punishment regulation'. However, in the Japanese cultural government, tacit approval of shaman association was the Japanese policy of 'breaking down superstition'. and it was a rather appeasement policy. It was changed into the means of 'ethnic cleansing policy' in Japanese imperialism. As a result, Japanese policy of 'breaking down superstition' had been changed depending upon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the final goal of Japanese government was to make Korean people 'obedient to Japanese colon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fraud cases by the superstition were dealt with criminal charges afterward while the shaman and dongje were kept on a tight control with the reason that they could strengthen the national solidarity of Korean people. At that time, Korean people suffered a lot from the various matters such as disease, poverty, social insecurity under Japanese colony, and the punishment on using shaman and superstition which could be helpful for mental peace. Even though the movement of 'breaking down superstition' practiced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Korean youth organization, and the press had all different purposes, it gave Korean people chances to have a different point of view about the Korean tradition. Also,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irrational attitude and move onto the modern age. In the mean time, it is unfortunate that Korean people lost national identity, had inferiority about the Korean culture, and didn't keep the cultural heritage properly which was all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tended.

      • KCI등재

        근대 중국에서 ‘종교/미신’ 범주의 발명과 굴절 - 양계초, 진독수, 채원배를 중심으로 -

        이용주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9

        이 논문은 양계초 및 진독수, 채원배의 ‘종교/미신’ 담론을 살펴본다. 양계초의 ‘종교/미신’ 담론은 이성과 과학이라는 근대 서양의 학문 체계 를 기준으로 중국의 문화적 전통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양계초는 종교, 혹은 미신, 나아가 철학이라는 외래적인 지식 범주를 끌어들여 전통 문 화에 위계를 부여했다. 그는 전형적으로 계몽주의적, 진화론적 구분 범 주를 사용한다. 그런 시도는 결국 문화적 범주가 이데올로기 및 권력 지 향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양계초는 자신 의 입장 변화,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기준을 바꾸어가면서 새로운 담론을 생산한다. 그러나 ‘종교/미신’이라는 범주가 과학보다 열등한 것, 비이성적인 것이라는 입장은 변화하지 않았다. 진독수나 채원배에게, 종교 혹은 미신은 처음부터 부정적인 가치를 가진 범주였다. 따라서 종 교와 미신의 구별 자체가 의미가 없었다. 동아시아에서 근대화 담론 자 체가 서양에서 확립된 과학과 이성이라는 기준을 진리로 받아들이고 있 다. 따라서 ‘종교/미신’은 언제나 열등한 것이라는 마이너스 함의를 지니 고 있었다. 반면 과학과 ‘철학’은 이성의 산물이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고 하는 편견에 입각하여 전통 문화를 ‘철학’과 ‘종교/미신’으로 재구분하는 관점이 확립된다. 그런 문화적 편견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결과 동양의 전통문화는 철학, 종교, 미신이라는 학문 위계에 의해 구별되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학문 구분은 이 시기에 형성된 틀을 무의식적으로 수용하 고 있다.

      • KCI등재

        한말ㆍ일제초기 미신론 연구

        안승택(Ahn, Seung-Taik),이시준(Lee, Si-J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1 No.-

        이 글은 한말ㆍ일제초기에 쓰인 미신이라는 단어의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서구적ㆍ식민주의적 문명화의 논리를 마주한 시점에 나타났던 당대 한국인들의 문화적 대응양상을 추적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당대 한국사회가 나름의 역사적ㆍ이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서구적ㆍ식민지적 근대화의 논리를 문화적으로 전유하고, 이에 대항하는 논리들을 만들어내고 있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장에서는 미신 개념이 한국사회에서 확산되던 과정과 일본인들이 미신 개념을 통해 한국사회를 문화적 타자로 구성해가는 과정을 파악한다. 이는 식민화에 나선 일본인들이 식민지 조선사회에 대해 ‘문명적 능력’의 압도적 우위를 주장하기 어려웠던, 따라서 그 미신론 내에 균열과 긴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없었던 배경에 대한 설명이 될 것이다. 3장에서는 (서구)근대적ㆍ과학적 미신론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한국 재래의 민간신앙을 미신이라 비판하던 한국인들의 언설들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근대적ㆍ과학적 문명화의 논리를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그와 궤를 달리하는 언설들이 그 안에 존재했음을 확인할 것이다. 4장에서는 한국인들이 근대적ㆍ과학적 문명의 논리가 제기하는 미신론을 활용하면서, 오히려 이를 비틀어 문명화론을 비판하는 언설들을 분석한다. 이는 한말ㆍ일제초기의 미신론이 지닌 지평을 확장하여, 그 안에 근대성과 식민주의에 대한 비판의 자리가 마련되고 있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cultural aspects of Koreans’ response, faced with the logic of western and colonialist civilization, by analyzing examples of the term, ‘superstition,’ used in the pre- and post-colonization years. Likewise, this paper intends to highlight the fact that the Korean society at that time was culturally appropriating, in its own way, the logic of western and colonialist civilization, based on its historical and ideological background. To this end, Chapter 2, above all, identifi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of superstition had spread in the Korean society and Japanese had formed the Korean society as cultural others, based on the concept of superstition. In this way, this Chapter will provide explanations about the circumstances where it was hard for Japanese, as colonists, to come out to assert its overwhelming prominence over colonized Korea, in terms of ‘civilizational competency’ and therefore, fracture and tension had to build up within the discourses on superstition. Chapter 3 analyzes discourses of Koreans which criticized Korea’s tractional folk beliefs as superstition, as did the (western) modern and scientific theory of superstition.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it will be confirmed that there also existed opinions which accepted the logic of modern and scientific civilization as it was, but which, at the same time, ran on a different path. Chapter 4 analyzes another discourses of Koreans which, taking advantage of the discourses on superstition brought up by the modern and scientific logic of culture, criticized the theory of civilization based on the discourses on superstition.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at there existed room for criticism about modernity and colonialism, by broadening the horizon of the discourses on superstition in the pre- and post-colonization years.

      • KCI등재

        근대 ‘미신적(迷信的) 치료’ 비판과 계몽적 위생 담론의 전개 과정 연구

        이은선 ( Lee Eun-seon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7 No.-

        근대 ‘미신적 치료’에 대한 비판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시도되었다. 개항기의 선교사, 서구 문물을 접한 지식인, 언론인, 근대적 의학 교육을 받은 의사들, 그리고 위생 조사를 실시한 조선총독부에 이르기까지 이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개항기 선교사들은 ‘조선’의 ‘미신적 의료’를 반복적으로 비판했고, ‘조선’의 지식인들도 ‘미신 타파’를 강력하게 주장한 바 있다. ‘미신적 치료’를 비판하던 주체들은 각각 선교, 문명개화 등의 목표를 지니고 있었는데, 환자와 직접 대면하는 의사는 무당, 판수 등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었다. ‘미신적 치료’를 비판하는 이러한 기록들에서는 ‘미신 타파’를 주장하는 목소리뿐 아니라, ‘미신적 치료’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생생한 예시도 찾아볼 수 있었다. 조선인들은 병의 원인을 ‘악귀(惡鬼)’의 침입으로 파악하여 ‘무당’을 불러 굿을 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했는데, 이는 매우 ‘야만적’이므로 ‘문명인’이 되기 위해서는 타파해야 할 사회적 악습으로 규정되었다. ‘미신 타파’를 주장하는 지식인들은 의학적 지식을 널리 ‘계몽’하는 것을 그 구체적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파리’와 ‘모기’, ‘세균’, 전염병의 경로 등 과학적 지식을 보급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신적 의료’ 행위는 근절되지 않았다. 이는 식민지 조선의 보건 의료 체계 및 서양 의학에 대한 인식과 관련되어 있는 문제였다. 이 논문에서는 지식의 보급으로 ‘병’을 둘러싼 다양한 실천들을 변화시키기 어려웠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 원인은 ‘미신적 의료’를 포함한 의료 행위들이 당대인들의 ‘믿음’의 체계에 기반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the era of port opening, missionaries repeatedly criticized the ‘superstitious medical practice’ in ‘Joseon’, and the intellectuals of Joseon strongly argued for the "breaking of superstition." The Korean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understood that the causes of diseases were the invasion of ‘evil spirits’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s by calling shamans to perform an exorcism. The intellectuals stated that the foregoing was very ‘barbarous’ and was a social bad custom that must be exploded for the people to become ‘civilized men.’ The intellectuals who argued for the "breaking of superstition" presented wide “enlightenment” of medical knowledge as a concrete solution for the problem. However, despite the spread of scientific knowledge of the path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fly', 'mosquitoes', and 'germs', the 'superstitious medical practice' was note radicated. This was a problem related to the colonial Joseon's health care system and perception of Western medicine. This paper took note of the fact that it was difficult to change diverse practices surrounding ‘diseases’ with only the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tried to suggest that the reason was that the medical practices at that time including 'superstitious medical practice' were based on the ‘belief’ system of the people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한국의 미신담론 이해 : 타자(alterity)로서 무속의 창조과정

        김동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2 한국문화연구 Vol.23 No.-

        This article addresses an issue of how discourses on superstition in Korea, such as ‘Umsaron (Discourse on Licentious Ritual)’ during the Choson dynasty and ‘Misinron (Discourse on Superstition)’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were constructed. Although these two discourses were formed and utilized in different contexts, they could be treated under the rubric of ‘discourses on superstition’ in the sense that they served as the ‘alterity’ for implanting and enforcing new dominant sensibilities of their contemporary socie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lteration-process of shamanism during the Choson dynasty, I characterize shamanic world view with a concept of ‘patronal universe’, and compare it with the Confucian ideology, ‘optimal universe’. Under the rubric of ‘Misinron’, I explain how separating ‘the supernatural’ from the physical world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alteration. An analysis of the alteration-process of specific beliefs and practices, in particular Korean shamanism in this article, demands an explanation about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an agent classifying something an other and the classified as such.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might be evaluated as a preliminary work for further research on this relationship because it focuses only on the classifying process. 이 글은 조선시대의 ‘음사론’과 근대의 ‘미신론’을 포괄하는 한국의 미신담론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음사’와 ‘미신’이라는 개념은 서로 다른 지성사적 패러다임에서 사용되었으며, 그 개념의 개별적인 의미와 그 개념을 통한 범주화를 가능케 한 세계관이 서로 상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신담론’이라는 하나의 범주로 다룰 수 있는 이유는 두 개념 모두 당대의 지배적인 세계관 혹은 감수성(sensibility)이 형성되고 심화되는 과정에서 타자(他者)로 기능했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미신담론의 형성과 작용과정에서 특정한 믿음과 실천들, 특히 무속을 ‘미신’으로 타자화시키는 과정에 대한 분석은 타자(alterity)로서 미신이 창조된 과정을 설명하는 것 이외에도, 무속을 미신으로 타자화시킨 지배적인 담론의 유통과정을 명확히 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필자는 음사론 내에서 유교의 ‘최적화 우주론(optimal universe)’과 무속의 ‘보호의 우주론(patronal universe)’의 차별화과정을 통해서, ‘미신론’에서는 근대적 세계관에 근거한 ‘자연’으로부터 분리된 ‘초자연적’ 영역의 생성 및 유통과정 분석을 통해서 무속이 미신으로 타자화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타자화의 작용에 대한 분석은 타자화의 주체와 타자화된 대상의 사이의 순환과정을 모두 포괄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 글은 타자로서 무속이 창조되는 과정 분석의 예비 작업의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을 통해 본 신사참배의 정치학: 근대 일본을 중심으로

        이진구 종교문화비평학회 2022 종교문화비평 Vol.42 No.42

        19세기 후반 메이지유신을 통해 근대국민국가로 성립한 일본은 서구의 도전에대항하는 과정에서 국가신도라는 독특한 사회체제를 출범시켰다. 국가신도체제는 종교자유와 정교분리의 원칙에 근거하여 전통적 신도를 신사신도와 교파신도로 분화시켰다. 신사신도는 공적 영역에 배치되어 국민 만들기 프로젝트의 역할을 맡고 교파신도는 사적 영역에 배치되어 타종교들과 경쟁하였다. 이는 국민의의무가 부과되는 공적 영역과 양심의 자유가 보장되는 종교 영역의 분화를 의미한다. 이렇게 보면 국가신도체제는 종교-세속의 이분법으로 충분히 설명 가능한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종교-세속 이분법의 배후에는 미신이라고 하는 제3의 범주가 작동하고있다. 과학의 타자인 동시에 종교의 타자로서 미신이 숨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세속주의에 입각한 국민국가의 작동방식은 종교-세속의 이분법보다는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민국가가 국민 만들기의 핵심장치로 활용하는 교육의 장은 종교-세속의 이분법만으로는 그 성격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국가가 ‘과학’의 이름으로 어떤 것은 ‘미신’으로 지목하여 제거하고어떤 것은 ‘종교’의 범주에 포함시켜 온존시키는 이러한 메커니즘에는 2분법이아니라 3분법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3분법에 근거한 국가신도체제는 신사참배를 국민의 의무라고 주장하면서 제국의 신민들에게 강요하였다. 일본 기독교계는 세 유형의 담론을 생산하면서 이에 대응하였다. 첫째는 신사를 종교로 간주하면서 신사참배를 거부한 신사종교론(신사참배불가론)이다. 이 담론에서 주요 범주로 등장한 도덕, 종교, 우상숭배는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에 조응한다. 둘째는 신사에 종교적 요소와비종교적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고 보고 신사에서 종교적 요소가 제거되면 신사참배를 수용하겠다는 조건부 신사참배론이다. 이 담론에서 주요 용어로 등장한 애국심, 종교, 음사 역시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에 조응한다. 셋째는 신사는 종교가 아니라고 하면서 신사참배에 적극 임하는 신사참배수용론이다. 이 담론에서등장한 조상숭배(영웅숭배), 종교, 서물숭배도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에 조응한다. 이 세 담론에 나타난 세속-종교-미신의 3분법은 단순한 지적 추상적 분류체계가 아니라 국가권력과 대결하는 과정에서 각 주체가 자신들의 이념적 물질적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한 담론투쟁의 도구였다. 이것이 신사참배의 정치학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