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내실화 방안

        이주연,안금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4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of care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in Korea and abroad, to examine the case of care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National Art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3rd to 6th grades), and to present case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through art education. The suggestions for this study was as follows: It was possible to link the most closely with art education, such as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work and career world’, ‘search for a career path’,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Through the nature of the arts curriculum,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of work and career world’ have naturally been linked with career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artists and art-related people and improving self-identity through art. However, ‘search for a career path’ and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has been heavily dealt with at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refore, a more diverse programs in art education for career education was required to be developed for a balanced approach in each area. 본 연구는 국가적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진로교육에 발맞추어 초등학교 미술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진로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점검하고, 미술교과와 연계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사례를 탐색하였다. 또한 진로교육이 본격화된 제5차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의 총론과 미술과 교육과정, 2018년 현재 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 4학년 교과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교과서)에서 진로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시킬 수 있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5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일과 직업 세계 이해’, ‘진로 탐색’, ‘진로 디자인과 준비’ 영역에 준하여 각 영역별 미술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미술교과의 특성상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및 ‘일과 직업 세계 이해’ 영역은 미술을 통한 자아 정체성 신장이나 미술가와 미술 관련 직업에 대한 이해 등의 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진로교육과 연계되어 왔으나, ‘진로 탐색’과 ‘진로 디자인과 준비’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이의 균형적 접근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등 미술교육의 목적과 의미에 관한 철학적 논의 - ‘미술을 통한 교육’의 역사적 기원과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정옥희(Jeong Ok-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오늘날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로 인한 교육적 병폐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 중등 교육의 현실에서, 미술 교과교육은 주변교과로서 그 정당성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다. 근대화의 시작과 함께 성립된 학교 미술교육의 변화된 양상을 고찰할 때, 중등 미술교육은 다변하는 시대적 상황에 휘말리며 학교 교육의 본질적 목적과 의미를 벗어나 교육적 정당성을 찾으려하는 양상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특히 학교 미술교육의 목적과 의미에 관한 철학적 기원과 역사적 배경을 통해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중등 미술교육의 문제들을 재고해 볼 때, 오늘날 청소년(중ㆍ고등학생)들에게 왜 미술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대한 철학적 성찰의 부재를 자각하게 된다. 20세기 초 산업화된 자본주의 사회의 병폐를 교육으로 해결하고자 했던 존 듀이(Dewey, J.)는 오늘날 미술이라는 교과를 통해 학생들이 어떤 교육적 성과를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적 검토의 필요성을 일깨워준다. 21세기를 사는 오늘날까지 그 영향력을 가지는 허버트 리드(Read, H.)의 철학, ‘미술을 통한 교육’은 미술 자체를 위한 교육이 아닌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위해 학교에서 미술을 가르쳐야 할 정당성에 대한 철학적 기초를 제공해준다. 따라서 본고는 ‘미술을 통한 교육’의 역사적 기원과 철학적 배경을 통해 중등 미술교육에서 간과되기 쉬운 교육의 본질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검토함으로써, 오늘날 중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미술이라는 교과를 가르치고 배워야 할 정당한 목적과 의미에 대한 타당한 논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ams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secondary art education for today through the philosophical research of ‘Education through Art’. There have been some problems in the secondary education focused on entering for universities in Korea. Under this conditions, secondary art education has had difficulty in finding the educational value. If we should teach to all students art in secondary school as well as in elementary level, we have to question why we should teach to students art in secondary schools and to exam the purpose and the meaning continually.<BR>  Dewey asserted that we have to question what experiential outcomes can get through art. As a philosophical lesson for art education, Read"s ‘Education through Art’ has most influenced school art education and has provided the fundamental direction even in the twentieth century. Therefore, the historical review of the philosophy ‘Education through art’ provides an opportunity to analyse the current problems in secondary schools and to find an direction toward those solutions. This philosophical reflection about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aims to re-exam educational objectives why art should be teach to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today.

      • KCI등재

        부모교육을 통한 미술치료가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영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부모교육을 통한 미술치료가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부모에게 미술치료 교육 실시 후, 아동과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동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발달장애아동과 어머니로 이루어진 10쌍이었다. 부모교육을 통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은 한 달에 두 번, 각 회기별로 2시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의사소통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마다 의사소통 행동 관찰기록지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행동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부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t-tes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교육을 통한 미술치료의 매 회기 관찰된 의사소통행동에서 장애아동의 의사소통은 대체적으로 상승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장애아동의 사회적 행동(비언어적 행동(p<.01)영역과 언어적 행동(p<.001)의 영역)에서 유의한 변화(p<.05)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부모교육을 통한 미술치료가 장애아동에게 의사소통 및 사회적 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Art Therapy programs on the communication and social behaviors of disorder children.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it's effectiveness to improve those variables through Parent Education Art Therapy program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pairs of disorder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y received total 10 sessions of Parent Education Art Therapy programs twice a month, two hours in each sessions. Communication skill test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disorder children's communication in each sessions. Social behaviors rating scale test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social behaviors, for the comparison pre to post assessment,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parent's two measurements(paired t-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of disorder children was improved by Parent Education Art Therapy programs. Seco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consequently, the social behaviors(area of nonverbal behaviors(p<.01) and area of verbal behaviors(p<.001)) of disorder children were improved by Parent Education Art Therapy programs significantly. Consequently, Parent Education Art Therapy programs can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social behaviors of disorder children.

      • KCI등재

        미술수업을 통한 사회정의 교육의 실천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배재한(Jaehan Ba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3

        본 연구는 서울시내 3개 초등학교 교사들 (n=41)과 대구시내 3개 초등학교 교사들을 (n=59) 대상으로 서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미술수업을 통한 사회정의 교육의 실천에 관한 그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사회정의가 학교미술수업을 통해서 어떻게 실천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초등교사의 미술교육과 사회정의에 대한 인식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사가 미술수업을 통한 사회정의 교육의 실천여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교사교육에 관여하고 있는 미술교육자들이 초등학교 교사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알게 된 것들을 살펴 보면 교사들은 사회정의를 가르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토론학습 협동학습, 역할놀이, 신문학습이 효과적 일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또한 사회 정의를 가르치기 위한 미술수업의 학습활동으로는 사회정의와 관련된 미술작품의 감상, 사회정의의 주제가 드러난 작품제작 활동 그리고 사회정의를 주제로 작풍을 제작한 작가들의 삶과 당시의 시대상을 연계하여 연구해 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신문기사나 미술과 관련된 흥미 있는 사건이나 에피소드들을 사용하여 사회정의를 가르칠 수 있다는 의견도 다수의 교사들이 선호하는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The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social justice in art educ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hort essays. Forty-one teachers are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59 teachers are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Daegu. In order to investigate how social justice education can be executed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es. art educators first need to know how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perceive social justice in art education. Their perceptions and opinions may allow art educators to creat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strategies for teaching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about social justice in art education. A few findings are disclosed from study data. Teachers answered that the most favored teaching methods of social justice in art education is class discussion and their second favored pedagogy is collaborative learning. Role playing methods take third place and newspaper in education (NIE) is fourth. When asked what useful art content for teaching social justice is. teacher answers ranked as follows: 1) art appreciation of socially just related artworks. 2) studio projects associated with social justice themes. and 3) research projects about artists who work for social justice as well as a study of their historic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how artworks and artists are influenced by society and culture. Interestingly, several teachers responded that issue and controversial-related news articles and anecdotes that relate to artworks and art history could be effective content as a means of teaching social justice.

      • KCI등재

        영상 제작을 통한 미술교과 기반 인성교육의 실천적 이해

        이지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8 No.-

        Character education permeates all subjects in order to cultivate the virtuesof character and to develop common morality. Many research shows that arteducation should aid students in knowing, feeling, acting the good. Arteducation should enable students to become good persons and citizens, andto lead good lives. Based on relative literature, this study shows what character education is,how it should be taught, and what elements and principles are significant inthe field of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also articulates how charactereducation is implemented in art education in terms of objectives, contents,and methods. Furthermore, this research implemented character education in amovie-making class. This program consists with three different projects suchas “I”, “Relationship”, and “Socio-Culture”. This program is designed toconstruct core virtues from personal understanding to social awareness. Theresults presented here, though modest, are very hopeful. Students arecommitted and determined to develop their ideas coherently. They displaytheir belief, self-understanding, empathy, attitude, caring in their ownmovies. The process of being educated in virtue through movie-makingprocess is meaningful yet to be improved. ‘삶’과 연계된 인성교육을 위해, 전 교과영역에 걸쳐 교과 내용에 인성교육의 요소를반영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최근 미술교육 분야에서도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미술교과의 역할을 고민하는 다양한 주제들이 연구되었다. 본 논문은 인성교육을 둘러싼 논의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의 개념 및 의미를 심도 있게 고찰하고, 이에 기반 하여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진행된 영상제작 수업의 사례를 소개하려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의 일반적 요소와 원리를 고찰하고, 미술교과만의 특수한 인성교육의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논문에서는 미술을 통한 인성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표현의 주제와 내용을 선정하고, 이에 적합한 목표와 방법을 구성하여 실행한 영상수업의 학습결과물을 인성교육의 관점에서반성적으로 고찰하고,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ESD-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강영숙(Kang, Young Sook),이성희(Lee, Sung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2

        초등학교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은 환경교육으로만 인식하여 실과나 과학, 사회 등의 개별 교과와 통합한 수업이 지배적이며, 환경, 사회, 경제의 세영역으로 분절하여 다루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육이 창의적인 문제해결과 타 영역과의 통합이 용이한 점을 활용하여 ESD에 관한 지식 전달이 아닌 창의적 미술작품제작 활동으로 ESD에서 추구하는 개념 및 역량을 통합한 ESD-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ESD에서 미술 중심의 STEAM 교육 적용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ESD의 역량을 환경적 관점, 사회적 관점, 경제적 관점, 그리고 통합적 관점에서 탐색하여 미술교육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ESD을 실천하기 위한 수업방안으로 ESD가 창의적 미술활동을 통하여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s recognized as environmental education only in elementary schools, lessons that integrate ESD with individual subjects such as practice, science and society, and there is a tendency to divid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to three areas: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y.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concepts and competencies pursued in ESD through creative artistic production activities, rather than transferring knowledge on sustainable development, utilizing art education’s ease of problem solving and integration with other areas. It aims to develop an ESD-STEAM programme. To this end,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in the field of ESD and the relevance of the ESD to the art education by exploring the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and integrated viewp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ossibility of ESD to be spread through creative art activities as a lesson plan for practicing sustainabl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현대미술관내 인터렉티브 공간의 역할과 조건 : 아동관객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모색

        정혜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과 교육 Vol.14 No.3

        동시대 미술관은 어린 아동관객을 위한 교육 요소로서 인터렉티브한 활동을 유도하는 상설 교육공간을 설치하고 있다. 미술관의 아동 관람객을 위한 상설공간은 교육프로그램과는 달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이 미술관의 모든 가족 관람객이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적극적인 의사 교환을 통해 학습자의 과거의 지식에 새로운 지식을 능동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렉티브 학 습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MoMA의 “미술 실험실: 인물”과 MassMoCA의 “호기심” 두 상설 교육 공간의 사례를 통해 인터렉티브 공간의 조건과 소장품에 대한 해석의 논리를 연구하였다. 두 공간은 소 장품의 성격을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따라 다른 교육목표와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나,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신체적 탐구활동”을 통해 실제 소장품이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 공”(Caulton, 1998)하는 인터렉티브한 활동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두 인터렉티브 공간의 교육활동은 현대미술의 시각적 은유, 상징, 병치를 연습해보는 활동을 통해, 특정한 몇 개의 소장품을 이해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소장품 전체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해석력을 키우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놀이 는 통한 학습”이라는 상황을 제시하여 상상력을 통해서 이를 발전시켜, 아동이 자신의 현 상황을 다른 상황으로 치환하여 자신을 적용시키고, 전인적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동이 낯설 음에서 벗어나 편안함을 느끼는 교육 환경 안에서 소장품에 쉽게 접근, 참여하도록 목표하고 있다. Art museums today provide educational spaces for young children to experience interactive activities. Such interactive spaces open all the time during museums’ open hours; thus, all family visitors are able to explore the exhibited object regardless of their plan. Interactive spaces often pursue providing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s for visitors to connect their prior knowledge and new experiences in art museum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viewers and exhibited obje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investigate conditions of interactive spaces in art museums and the logics of interpreting their collections through two cases: Museum of Modern Art’s Art Lab: People and the Massachusetts Museum of Comtemporary Art’s Curiosity. The two educational spaces have different educational mission and natures based on how they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ir collections; however, both spaces encourage “individuals or group of people working together to understand real objects or artworks through physical exploration which involves choice and initiative” (Caulton, 1998). Through providing practices to understand visual metaphor and symbolic function, both interactive spaces induce child visitors to build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fundamental languages of contemporary art collections of the museums. The spaces also provide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to explore the exhibited objects without restricts of no-touch rule for artworks.

      • KCI등재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이 장애학생의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특수학급 중등부 학생을 중심으로 -

        김승남 ( Seung Nam Kim ),유은정 ( Eun Jung Yo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이 특수학급 중등부 학생들의 성지식 및 성태도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특수학급 중등부 학생의 성교육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경남 C시 중학교의 특수학급 학생 14명이었으며,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7명씩 배치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학습장애,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청각장애 그리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진단된 특수학급 학생이었다. 중재프로그램은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 프로그램’으로 최종순(2010)연구에서 적용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특수학급학생들의 수준과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이해하기 쉽고 흥미롭게 재구성하여 학생들 모두 적극적인 신체활동을 통해 자유롭게 성을 익힐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이다. 측정도구는 성지식 및 성태도 질문지이며, 학생들에게는 성지식 및 성태도 질문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질문지 결과에 대한 신뢰와 일상생활에서의 성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학부모에게 성태도 질문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장애학생들 성지식 및 성태도 향상에 전반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성지식에서는 신체·심리발달의 하위영역에서, 성태도에서는 2차 성징, 데이트, 성건강의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중등부 학생들의 성교육 자료로 효과적이므로 현장에서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at sexuality education using art activities is effective on the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for subjects, 14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mental retardation, autistic spectrum disorder, hearing impairment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ere selected. They were enrolled at special class of a middle school in C. City. 7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art activities was based on the Choi(2010), restructured to the level of special class students and their 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e measuring instrument is the questionnaires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for the students and attitude for the parents.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ity,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was applie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xual education program with ar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by generally improving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of disabled students in a special class, and as for sexual knowled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domains of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s, and as for sexual attitud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domains of second sexual characteristics, date and sexual health.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usage of sexual education programs with art activities as sexual education data for special class students in a secondary school.

      • KCI등재

        대학 교양 미술이론교과의 학습자 평가를 통한 수업 개선 방안 연구

        김은경,이소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본 연구는 대학 교양 미술교육에 있어서 강의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흥미와 요구가 반영된 수업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6년 1학기 일반 교양영역에서 개설된 <현대미술의 이해> 교과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 시행한 후, 학습자의 평가를 바탕으로 학습의 파지효과와 흥미 그리고 학습자들이 원하는 수업방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는 12차시 수업 종료 직후개방형 설문을 통해 원자료를 수집하였고, 수강인원 82명 중 회수된 59명을 대상으로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그 빈도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의 파지 효과는 영상매체활용법을 적용했을 때 가장 높았고, 학생의 흥미는 창작실기를 시행하였을 때가 가장 높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직접참여, 창작체험 기회의 확대, 자기 주도적 학습방법 및 ‘흥미’를 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수업방법의 활용을 요구하고 있었 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의 미술이론교과 교육을 위해서는 적합한 영상매체의 선정 활용과 실기교육에 대한 제재 탐구,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참여와 체험 기회 확대 등 다양한 교수방법의 활용 및 이에 대한 교수-학습전략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미술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공간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명신 ( Kim Myeong-shin ),이순복 ( Lee Sun-b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미술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공간능력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시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개 학급으로 각각 25명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홍혜경(2001)이 제작한 유아 공간 능력 검사 도구와 김영채(2004)의 표준화된 창의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공간능력 하위요인인 눈-운동 협응, 형태배경 구별, 위치지각, 공간적 추리, 시각적 기억 및 회상의 다섯 가지 요인 중 눈-운동 협응과 시각적 기억 및 회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의성은 정교성을 제외한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종결에 대한 저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ath education through art program on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and Creativity. The subjects, all 5-year-ol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as a experimental group(n=25), and the second served as a control group(n=25). The tool was Hong Hye Gyeong (2001)’s Children Spatial Ability Assessment Tool and Kim Yeong Chae (2004)’s Korean TTCT Type 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at math education through art program was significant effect on spatial ability especially on eye-motion coordination and visual memory and recollection among the five factors, eye-motion coordination, figure-background distinguishment, localization, spatial inference, visual memory and recollection. In terms of creativity develop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of the title, and resistance to end except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