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 모빌리티 체계 변화 예측 및 서비스 방향 연구

        권영민,김형주,임경일,김재환,손웅비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3

        The manufacturing-oriented mobility system is being reorganized around the future mobility system represented by electrification, sharing, and autonomy, driven by the social deman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hanges in future mobility systems are expected to accelerate thanks to advances in IT technolog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t survey (N=23) to predic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future mobility system. Through the survey, ‘mobility sharing’ was selected as a key factor in the future mobility system among four future mobility. In addition, ‘safety’ wa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service factors in future mobility system among eight future mobility service factor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design policies and service directions of preparation for the future mobility system. 제조업 중심의 기존 모빌리티 시스템은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힘입어 전기화·공유화·자율화로 대변되는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교통수단 혁신의 변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모빌리티 체계 변화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고자 미래 모빌리티 전문가들(N=23)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공유모빌리티, 자율주행자동차, 전기자동차, 통합교통서비스 등 4가지 미래 모빌리티 수단 및 서비스에 대한 영향력 및 변화정도를 측정한 후 이를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공유모빌리티가 미래모빌리티 시스템의 핵심요인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향성 탐색을위해 8가지 서비스 요인(안전성, 친환경성, 심미성, 편의성, 정시성, 접근성, 수요응답성, 개인이동성)에 대한 AHP(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안전성’ 요인이미래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래 모빌리티체계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및 서비스 방향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유비쿼터스 환경에 나타난 미래도시 모빌리티 주거공간 리좀화 특성 연구

        박현아 ( Park Hyuna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모빌리티 주거 공간과 유비쿼터스 이론을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들뢰즈의 리좀 철학으로 공간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동주거의 영향으로 인간의 삶의 영역이 기존영역과 달리 확장 되었고, 현재에서도 확장 되어 지고 있다. 미래사회에서는 영역의 구분이 없이 모호한 공간이 될 것이다. 특히 현대사회는 교통과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장소간의 경계는 약화되고,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인해 공간의 경계는 무의미화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나타난 미래도시의 모빌리티 주거공간 특성을 리좀화 개념으로 그 상관성을 밝히며, 공간 특성을 연구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분석을 과학적 특성, 기술적 특성 기준으로 분석하려한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IT 공간의 다양한 관점에서 모빌리티 공간의 선행 연구가 진행 되어 졌다. 필자는 기존의 연구된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나타는 모빌리티 주거공간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나타나는 미래도시 모빌리티 주거공간 리좀화 특성으로 장소의 리좀화, 시간의 리좀화, 형태의 리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결합성, 이동성, 유연성, 확장성, 접속성으로 도출하였으며, 결합성은 디지털 공간과 현실공간의 중첩으로 나타났으며, 이동성은 공간 개념 변화로 인한 유동성으로 나타났다. 유연성은 공간의 변화에 따른 시공간의 초월성으로 나타나며, 확장성은 영역의 개념을 상실한 무한공간으로 나타나며, 마지막으로 접속성은 공간의 네트워크로 인한 공간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은 미래도시의 모빌리티 주거공간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유비쿼터스 기술 발전으로 인해 기능과 공간이 접목된 네크워크 공간으로 발전되어질 것이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나타난 미래도시의 모빌리티 주거공간 리좀화 특성으로 유비쿼터스와 모빌리티 주거공간의 이론을 분석하여 리좀화 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래도시의 모빌리티 주거 환경 특성 뿐만 아니라 미래에 나타나는 주거공간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주려 했다. 차후 미래도시에 나타나는 여러 공간의 실질적인 특성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theory of mobility residence space and ubiquitous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is,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ith rhizome philosophy of Deleuze. Due to the influence of mobile housing, the realm of human life has been expand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ones, and is still expanding today. In the future society, it is likely that we will acknowledge the space as an ambiguous one without division of areas. Modern society is witnessing the weakening of the boundaries between places due to advancement of transportation and science, eventually depriving the meaning of the boundaries of spaces due to ubiquitous environment. Thus, this study explains the rhizomal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obility residential space present in modern ubiquitous environment, and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obility residence space. (Metho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ubiquitous environment with its scientific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Preceding studies of mobility spaces applied various view point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space. We apply literature survey and case analys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ity residential space. (Result) In this study, the rhizomal characteristics of future urban mobility residential space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a rhizome of a place, a rhizome of a time, and a rhizome of a shape. The results were derived as coherence, mobility, flexibility, expandability, and connectivity, and coherence was shown as the overlapping of digital space and real space, and mobility was shown as fluidity due to the change in space concept. Flexibility appears as transcendence in time and space due to changes in space, expandability appears as infinite space without concept of domain, and finally, connectivity appears as spatiality due to the network of space. Future urban residence space may be characterized as above, 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technology, it will evolve into a network space that combines function and space.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hizomal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obility residential space with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theory of ubiquitousness and the theory of mobility residential space. We attampte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urban mobility residential space environment, and also to present a new standard of the future residence space. We anticipate analyses of diverse future urban space ubiquitous residence space and smart space based on this study.

      • KCI등재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 공간·경험 융합디자인콘텐츠 연구

        김지은(Kim, Ji E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2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현시점에서 모빌리티는 단순히 이동의 의미를 넘어 더 나은 삶으로 향하는 가교(架橋)의 역할로 확장된다. 본 연구는 존 어리의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어떻게 우리가 생활하는 터전과 행위를 변화시키는가라는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모빌리티가 우리 삶에 깊숙이 침투한 앞으로의 세계를 ‘움직이는 미래’라 명명하고, 공간 및 경험융합디자인콘텐츠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모빌리티는 정태적, 고정적 고체에서 동태적, 유동적 액체로, 과거와 연결한 동(同)에서 현재를 넘어선 화(和)로, 형식에 구속된 삶에서 속박 없는 자유로운 삶에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를 바탕으로 움직이는 미래의 모빌리티적 공간은 ‘경계의 상실’, ‘매끄러운 공간’, ‘탈주 드라이브’, ‘다른 것 되기’로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시간과 공간, 실재와 가상을 넘나드는 공간’, ‘스마트머티리얼 발굴을 통한 유기체적 공간’으로 공간디자인 콘텐츠를 제시하였고, ‘새로운 모빌리티를 경험하는 탈위적 환경’, ‘유목하는 인류로서 자유로운 몸의 경험’으로 경험디자인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모빌리티의 함의, 움직이는 미래의 공간 특성, 그리고 공간 및 경험디자인 콘텐츠는 폭넓은 공간디자인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미래지향적 삶의 터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키워드로 활용이 기대된다. At the present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bility extends beyond the meaning of mobility to the role of a bridge to a better life.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John Urry"s new mobility paradigm changes the space and behavior in which we live. Therefore, the future world that mobility has deeply penetrated into our lives is defined as the "moving future", and the purpose is to propose convergence design contents that space and experience.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new mobility opens up possibilities for free, unbound life in form-bound life, from stationary solids to fluid liquids, from past equals to future harmony. Based on this, the moving future mobility space is derived from "loss of boundary", "smooth space", "breakout drive" and "becoming something els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pace design contents were presented as "the space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he reality and the virtual", and "the liquid space through the discovery of smart materials". In addition, the experience design contents are presented as "an unwieldy environment for experiencing new mobility" and "a free body experience as a nomadic human being". The implications of the new mobility,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ving future, and spatial and experiential design conten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a wide range of spatial design fields, and they are expected to be used as various design keyword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future life.

      • KCI등재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송규호 ( Song Kyu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에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이 점점 고도화되어 미국 SAE 기준 자율주행 단계인 ‘완전 자율주행’의 시대가 점점 가까워짐에 따라(Lee, & Ban, 2020)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의 실내 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연구에서 지칭하는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는 친환경적인 전기를 동력으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수준의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일반화된 시대를 말한다. 근미래에는 모빌리티가 더 이상 이동수단의 기능에만 머물지 않을 것이며, 사람들은 모빌리티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 스마트 모빌리티의 실내 공간 변화를 예측하여 정리해보고 우리 사회에서 모빌리티 실내 공간이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관련기사, 포털사이트, 통계청, 교육청, 문부과학성 자료 등을 바탕으로 자동차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될 것인지 분석, 예측한다. 설문조사, 인뎁스 인터뷰, 아이데이션 워크숍 등의 방법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결과)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편안한 휴식 및 여가활동, 개인 업무에 최적화 된 비즈니스 활동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크게 이 두 분류에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가 결합되어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으로 이어져야 한다. 모빌리티 실내 공간에서 좌석 시트는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사용자의 동선 및 공간의 사용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모빌리티 실내 공간의 연결성과 확장성에 대해 인지하고 모빌리티 공간을 이동만을 위한 공간이 생활 공간으로 재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이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정의를 하고 모빌리티 실내 공간의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사용자 기반을 중심으로 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며, 단순 이동수단이 아닌 인간의 생활 공간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 변화의 가장 중심에는 운전대가 없어진 실내 공간이 될 것이다. 자동차 안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액션 콘텐츠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이어 향후 스마트 모빌리티에서 사용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가구 시스템 뿐 만 아니라 모빌리티 스토어 및 모빌리티 오피스 등 다양한 영역의 모빌리티 생활 공간으로 연구 범위를 넓혀보고자 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With smart mobility technology expected to advance further in the near term, and the era of “completely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US SAE standard, approaching (Lee, & Ban, 2020),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the design direc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automobiles, in line with the smart mobility era. The “smart mobility era” refers to a period in which vehicles are capable of fully autonomous driving powered by eco-friendly electricity, transforming into a generalized transportation system. Mobility will no longer be limited to the function of transportation, and will start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inside the automobil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changes in the inside space of smart mobility in the future, and examine the meaning of mobility space in our society. (Method) This study analyzes and predicts the direction in which automobiles are expected to develop, based on related articles, portal site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to the upcoming mobility industry. Through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idea workshops, meaningful insights are derived, which can be used for smart mobility space design. (Result) It is predicted that the interior space of smart mobility will develop into a comfortable space for resting and leisure, and a personal work space optimized for business activity. For these two purposes, various services should be combined which leads to a natural user experience. The seating arrangements will move flexibly, but it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user scenario according to the purpose. In the mobility interior space, the seats occupy most of the space and take up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user’s movement and space. Recognizing the connectivity and scalability of the interior space of automobiles, the space for transporting should be reinterpreted as a living space. (Conclusion) This study defined smart mobility and studi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obility space while the advancement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is developing at a rapid pace. The smart mobility space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user and recognized as a living space rather than just a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biggest change is expected to be the interior space without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various activities available in the vehicle, the interior space of smart mobility should be a flexible and expandable space.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not only to a new furniture system used in smart mobility, but also to a new space such as mobility stores and mobility offices.

      • KCI등재

        미래모빌리티를 위한 차세대 경량구조복합재료 검토: 자기강화복합재료의 적용 가능성

        김미나 ( Mi Na Kim ),장지운 ( Ji-un Jang ),이혜성 ( Hyeseong Lee ),오명준 ( Myung Jun Oh ),김성륜 ( Seong Yun Kim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3 Composites research Vol.36 No.1

        미래모빌리티의 발전 기대에 따라 에너지 소비 절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경량구조용소재는 온실가스 배출 감소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섬유강화복합재료(FRP,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 및 낮은 무게로 인해 기존 합금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주목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CFRP, carbon FRP) 및 자기강화복합재료(SRC, self-reinforced composite)의 산업 적용 및 연구 동향을 강화재, 고분자 매트릭스 및 공정에 기반하여 검토하였다. 항공분야에서 주로 활용되는 에폭시 수지 기반 오토클레이브 공법의 높은 공정단가 및 긴 제조시간을 극복하기 위하여, 속경화성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고압수지이송성형 공정으로 CFRP가 적용된 전기자동차의 양산을 보고하였다. 또한, 탄소섬유복합재료의 재활용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기반 CFRP 및 계면 향상 방안들이 재료 및 공정 측면에서 검토되었다. FRP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유도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진 완벽한 매트릭스-강화재 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분자 섬유에 동일한 매트릭스를 함침시킨 SRC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다양한 열가소성 고분자에 기초한 SRC의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들을 고분자 배향 및 복합재료 구조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고연신 폴리프로필렌 섬유 기반 SRC의 공정창 확장을 위한 공중합체 매트릭스 전략이 논의되었다. 경량구조용소재의 CFRP 및 SRC 적용은 미래모빌리티의 에너지 효율 향상에 대한 잠재적인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Demand for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expectations of future mobility. Lightweight structural materials are known as a metho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improve energy efficiency. In particular,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RP)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aterial that can replace existing metal alloys due to 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light weight. In this paper, industrial applications and research trends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CFRP, carbon FRP) and self-reinforced composites (SRC)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inforcement, polymer matrix, and manufacturing process. In order to overcome the expensive process cost and long manufacturing time of the epoxy resin-based autoclave method, which is mainly used in the aircraft field, mass production of CFRP-applied electric vehicles has been reported using a high-pressure resin transfer molding process including fast-curing epoxy. In addition, thermoplastic resin-based CFRP and interface enhancement methods to solve the recycling issue of carbon fiber composites were reviewed in terms of materials and processes. To form a perfect matrix-reinforcement interface, which is known as the major factor inducing th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of FRP, studies on SRC impregnated with the same matrix in polymer fibers have been report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RC based on various thermoplastic polymers were reviewed in terms of polymer orientation and composite structure. In addition, a copolymer matrix strategy for extending the processing window of highly drawn polypropylene fiber-based SRC was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CFRP and SRC as lightweight structural materials can provide potential options for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future mobility.

      • KCI등재

        드론의 발전 동향과 미래 전망에 관한 연구

        신동철,김창봉,이상범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3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4 No.4

        Despite the recent short history of drones, the applying field of drones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a wide variety of areas and fields. As such,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types of drones over the years, in a broad sense, a remote controlled mobile object that can be controlled by wired and wireless control may be a suitable definition for drone because of various types of drones in recent years. This paper aims to help readers who want to research, develop, and use drones by examining the history, application fields, and future prospects of drones, including Unmanned Surface Vehicle(USV) and Unmanned Underwater Vehicles(UUV), as well as aerial type drones. Through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se drones will continue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and the prospect of future development will continue constantly. However,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drone technology and industry, the government's improvement in drone-related regulations should be supported.

      • 빅데이터로 바라본 전기차에 대한 한·중 대중 인식 분석

        조예림(Yea Rim Cho),유일범(Liu Yi Fan),권주영(Ju Yeong kwon),주다영(Da Young Ju)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미래 모빌리티에서 전기차 시장의 중요성이 증대될 것이다. 본 연구는 2021년 11월부터 2023년 현재까지 한국과 중국의 전기차에 대한 대중 인식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전기차 시장은 우세한 중국과 달리, 한국의 시장은 둔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 형성을 심화하고 시장 확대를 위해 한국 전기차 시장의 침체 원인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전기차에 대한 대중 인식을 비교 및 분석하여 전기차 개발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아키그램의 작업에 나타나는 모빌리티의 건축적 적용에 관한 연구

        권현경(Kwon, Hyeon-Kyung),맹필수(Maing, Pil-Soo)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2

        Self-driving cars go beyond the value of transportation and have new value as an architectural space. In architecture, the spatial paradigm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ust be accommo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future architecture in respons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the work analysis of Archi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Archigrams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 was carried out in a way that harmonizes with the existing city in an attempt to change the entire city, and the possibility of turning the automobile space into an architectural space as a realistic alternative to the moving space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