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류 전략과 아웃소싱 수준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조양일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11

        일반화된 기업 경영전략의 기법인 아웃소싱은 물류기업의 관점의 경영전략 설정에서도 핵심적인 요인으로인식되어 추진하고 있으며, 과거 단순한 기능적 아웃소싱에 한정된 형태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수준의 아웃소싱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물류 아웃소싱의 형태는 초기에 보관⸳운송⸳하역 등의 기능적 영역에서 제품 및서비스로의 부가가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고, 나아가 물류 프로세스 전체를 통합적으로 아웃소싱 하는 영역으로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영전략의 일반적인 개념을 고찰하고 전략적 측면에서 SCP(Structure-Conduct-Performance) 모델을 활용하여 물류기업의 전략, 아웃소싱 수준에 따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물류기업의전략과 아웃소싱 운영 방법이 기업의 세 가지 성과(재무, 운영, 전략)에 요인별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성과는 계획적일수록, 효과적으로 운영할수록, 비용지향적일수록 높은 점수를, 운영성과는 계획적일수록 높은점수를, 전략성과는 계획적일수록, 정보지향적일수록 높은 점수를 나타내며 양(+)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분석결과는 물류기업이 포괄적 내부 물류 전략과 외부화 전략을 설정함에 있어 성과 지표별 효율적 전략 설정및 적합한 전략의 수립에 활용 가능할 것이며, 물류기업과 물류서비스 기업뿐만 아니라 화주기업의 향후 물류 전략및 물류 아웃소싱 수준의 설정에도 주요 결정요소로 활용될 것이다 Outsourcing, a generalized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technique, is recognized and promoted as a key factor in setting management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logistics companies, and is changing from a form limited to simple functional outsourcing in the past to a form of outsourcing of various and complex levels. Therefore, logistics outsourcing is expanding from the initial functional areas such as storage, transportation, unloading to the added value area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further evolving into areas that integrally outsource the entire logistics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concept of management strategy and used the SCP (Structure-Conduct-Performance) model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logistics companies' strategies and outsourcing levels on perform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ogistics company's strategy and outsourcing operation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any's three performance(financial, operational, and strategic) factors. The more planned, more effective, and cost-oriented the financial performance was, the higher the score was, the more planned the operational performance was, the higher the score was, and the strategic performance, the more planned and information-oriented the higher the score was, showing a positive effect. The analysis results can be used by logistics companies to establish efficient strategies and appropriate strategies for each performance indicator when establishing comprehensive internal logistics strategies and externalization strategies. And it will be used as a major determining factor in setting future logistics strategies and logistics outsourcing levels not only for logistics companies and logistics service companies, but also for shipper companies.

      • 물류서비스의 아웃소싱 수준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성,최준재 서비스마케팅학회 2017 서비스마케팅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기업의 경제활동이 글로벌화 되면서 물류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다양화되고 고도화됨 에 따라 기업은 종종 효율적이고 선진화된 물류망을 직접 구축할지 아니면 아웃소싱을 통해 이를 달성할지에 관한 의사결정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물류서비스의 수직적 통합에 관한 전 략적 의사결정이며, 이에 관한 연구 또한 물류 아웃소싱이라는 키워드로 활발하게 진행되었 다. 물류아웃소싱에 대한 연구로는 주로 물류아웃소싱의 활동과 성과, 물류아웃소싱의 강 점과 약점, 그리고 물류아웃소싱 현황과 물류아웃소싱을 하는 목적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 다. 물론 선행연구에서도 물류아웃소싱의 결정요인과 물류아웃소싱 활동 수준, 물류성과에 대 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물류아웃소싱 결정요인과 물류아웃소싱 활동 수준, 즉 물류서비스의 수직적 통합 수준에 따른 물류성과에 대한 통합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 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류아웃소싱 결정요인과 물류서비스의 아웃소싱 수준, 그리고 물류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의 35개의 제조업체 물류담당자들을 대상으 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물류아웃소싱 결정요인과 물류서비스의 아웃 소싱 수준 그리고 물류성과의 요인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들 간의 통합적인 관계를 파악 하고자 구조방정식과 추가분석으로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과측정의 모호성, 핵심사업, 자산특유성, 공급사슬이 복잡성이 운송과 제 품가공과 같은 물류서비스 아웃소싱 수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물류성과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집단일수록 제품가공과 같은 물류활동을 내부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물류 아웃소싱 동기요인이 포워더 유형 선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명식,류희찬,이충배 한국국제상학회 2022 國際商學 Vol.37 No.4

        세계 경제의 경계가 없어지고 글로벌 무역과 경영활동이 활성화되면서 화주기업들은 제3자물류업체를 활용한 물류 아웃소싱전략을 추진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급격한 해운시장 변화와 같은 예측불허의 환경 속에서 물류 아웃소싱을 주선하는 포워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국내에는 다양한 유형의 포워더가 존재하고 있으며 화주기업들의 다양한 동기에 의해 물류 아웃소싱업체를 선정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물류 아웃소싱 동기요인에 따른 어떤 유형의 포워더를 선정하게 되는지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물류 아웃소싱 동기의 중요도는 운임인하, 서비스 개선, 핵심사업 집중 그리고 물류역량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웃소싱 동기로 운임인하를 추구하는 화주는 국내기업, 중소업체, 종합물류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사업의 집중을 위해 아웃소싱을 추진하는 업체는 국내기업, 대기업, 전문물류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물류역량 부족 동기요인을 가지는 화주는 외국계기업, 대기업, 종합물류기업에 아웃소싱하는 경향이 높았다. 서비스 개선 동기요인에 의해서는 국내기업, 대기업, 종합물류기업에 아웃소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물류아웃소싱 서비스의 거래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권문규 ( Moon Kyu Kwon ),송상화 ( Sang Hwa Song ),정채훈 ( Chae Hoon Jung ) 한국물류학회 2010 물류학회지 Vol.20 No.5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물류서비스 아웃소싱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원하는 수준의 아웃소싱 효과를 얻지 못하고 아웃소싱을 포기하거나, 단기계약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물류서비스 제공업체도 불확실한 시장상황과 과도한 단가경쟁으로 수익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성공적인 물류아웃소싱 서비스는 장기적인 거래관계 유지 및 화주기업과 물류서비스 제공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고, 안정된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서비스 아웃소싱의 장기거래 지향을 전제로 하여 거래지표인 아웃소싱 계약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거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7개 운영요인이 도출되었고, 자료는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국내 물류서비스 제공업체(물류센터)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계약을 통한 거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생존분석 기법의 위험함수 모델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Although many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implemented logistics outsourcing, some companies have been unable to achieve the level of desired cost savings from the outsourcing. Instead, many companies have opted to return their operations in house or stopped at short-term contracts. Logistics service providers, on the other hand, have suffered from unstable pricing and market demands as well as low profitability from highly customized and diverse service demands from customers. For mutual success on both sides, it is important to ensure process efficiency as well as a long-term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shippers and logistic service provi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uration of logistics center outsourcing relationships. Seven factor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a nationwide survey.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continuing outsourcing relationships through respective contracts, we performed survival analysis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Four factors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as hypothesized. However, the other three factors are found t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utsourcing relationship duration.

      • KCI등재

        대구지역 기업의 물류아웃소싱 전략

        이영수,이종학 한국해운물류학회 2004 해운물류연구 Vol.43 No.-

        대구는 훌륭한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물류비중은 2001년 GRDP 대비 16.8%로 GDP 대비 12.8%인 국가물류비 비중 보다 훨씬 높은데, 이는 물류아웃소싱의 결여로 야기된 것으로 보인다. 즉, 대구지역 기업들은 아웃소싱 보다는 사내 자체적 물류관리를 선호하고 있으며, 특히 운송기능에 있어 더욱 더 그러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물류비 절감을 위한 대구지역 기업의 물류아웃소싱 전략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 대구는 종합물류서비스 제공업자의 육성, 물류정보 네트워크의 확장, 물류 기반시설의 확충, 및 지방정부와 대학과 같은 물류지원 기관의 물류서비스 제공업자 지원 등이 필요하다. Even though the Daegu region has excellent geographical advantages, Daegu has the more burden of heavy logistics costs than other areas as Daegu's logistics costs were 16.8% against the GRDP in 2001, compared with what was 12.8% of the GDP. It seems this was caused by a lack of logistics outsourcing. Namely companies in the Deagu region have tried to manage logistics in-house rather than outsourcing. This was particularly true with transportation function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logistics cost reduction by logistics outsourcing. In order to build this model, Daegu must increase total logistics service providers and extension of logistics information networks, amplify logistics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require logistics service providers supported by logistics support organizations, which include the region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 KCI등재

        An Approach to the Logistics Outsourcing Factors of the Korean Companies

        Hee-Seok Bang(방희석),Keun-Sik Park(박근식),Woon Yul Oh(오운열)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계약 기간에 따른 물류아웃소싱의 패턴을 분석하여 물류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08년 4월부터 5월까지 2개월 간 진행하였다. 총 400개의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한 결과 16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분석에 적합한 설문 155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과 요인별 중요도 분석결과 본 연구의 시사점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기업은 물류아웃소싱 동기로서 기업의 전략과 관련된 요인을 중요시한다. 아웃소싱에 대한 결정은 최고경영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기업은 해외진출 및 해외진출시 제품경쟁전략에 따라 물류아웃소싱을 검토하게 되고 최고경영자의 해외 진출 및 국제화에 대한 의지 정도, 해외에서 판매되는 자사 제품의 판매 전략에 따라 물류아웃소싱의 활용에 크게 영향을 준다. 둘째, 한국기업은 고객요구에 대한 대응정도, 경쟁의 정도에 따라 물류아웃소싱을 고려하며 기업의 특성, 물류비용, 제품의 물리적 특성 등을 감안하여 물류아웃소싱을 결정하게 된다. 셋째, 계약기간에 따른 물류아웃소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시장진출요인은 계약기간에 따른 시사점이 도출되지 않았으나 기업전략, 기업특성, 환경 측면에서는 장기간의 계약관계가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상술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웃소싱의 동기, 결정요인과 계약기간을 고려하여 당사자의 입장 차이를 줄이기 위해 정확한 계약조건제시와 주기적인 의사소통을 토대로 물류아웃소싱의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for using logistics outsourcing of Korean enterprises, present existing problems, examine factors affecting utility, and analyze the pattern of logistics outsourcing based on contract term, and to ultimately contribute to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logistics enterprise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8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ree broad factors of corporate strategy,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es of 155 collected data among 400 distributions for 2 months from April to May in 2008. From the result of analysis, the implication and finding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aspects. Firstly, Korean companies value factors relative to corporate strategies as motivating factors for logistics outsourcing. Secondly, Korean companies consider logistics outsourcing depending on how to handle customers' demands and the severity of competition. Thirdly, it was found that product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re perceived as more important when contract term with logistics business is longer. The implications can be observed into two aspects. Firstly once the logistics outsourcing between manufacturers and logistics companies are determined, it was verified that mutual agreement, particular contracts and periodic communications can increase the outcome. Secondly the logistics outsourcing appear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entering to foreign market and resulted in higher performance as well.

      • KCI등재

        물류아웃소싱 서비스의 입찰단계 요인이 신뢰, 협력 및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남승(Lee, Nam-Seung),송상화(Song, Sang-Hwa) 한국항만경제학회 202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6 No.2

        물류아웃소싱 서비스 입찰단계는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모두에게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물류 입찰단계를 통하여 화주기업은 불확실성 해소를 위하여 자사의 물류운영 정보를 물류기업들에게 제공해야 하고, 물류기업은 자사가 가지고 있는 화주기업 물류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를 피력하고 화주기업의 위험과 물류운영으로 인한 이익을 공유하겠다는 제안을 함으로써 입찰에 나온 계약물량을 수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류아웃소싱 입찰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요인들과 그 요인들이 물류아웃소싱 서비스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 아웃소싱 파트너십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와 물류아웃소싱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요인들을 토대로하여 물류아웃소싱 서비스의 입찰단계에 대한 측정요인들을 도출하여 각각의 측정요인에 대한 설문을 작성한 후, 국내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물류를 수행하고 있는 물류기업에서 종사하는 전문가들에게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Smart- PLS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류입찰단계에서 화주기업은 불확실성의 해소를 위하여 물류기업들에게 자사의 물류운영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입찰 설명회 통하여 운영 특이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제조공장 및 물류센터 현장 Tour도 진행해야 한다. 둘째, 물류기업은 입찰단계에서 화주기업의 물류에 대한 경험 및 지식 등 자사의 경쟁력을 제안을 통해 어필해야 하며, 자사의 부족한 물류서비스 보완을 위하여 타 물류회사와의 연합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물류기업은 입찰단계에서 물류 아웃소싱을 통한 이익 및 위험을 공유하겠다는 제안을 해야한다. 화주기업의 환경 불확실성으로 인한 위험을 자사의 역량으로 포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용하겠다는 제안을 해야 하며, 화주기업 물류를 수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이익을 공유하겠다는 자세를 보여야한다. The bidding phase for logistics outsourcing services is critical for both shippers and logistics companies. According to the logistics bidding phase, the shipper should provide logistics operation information to logistics companies to resolve uncertainty. In addition, the logistics company can win the contract volume that was placed in the bid by expressing their experience and know-how, and proposing to share the risks and benefits of the shipper’s logistics op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an be identified during the bidding phase for logistics outsourcing and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satisfaction of logistics outsourcing services. Based on the factors identified in the preceding studies on logistics outsourcing partnership factors and those on logistics outsourcing determina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engaged in logistics companies, performing logistics for domestic shippers and analyzed using Smart-PL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he logistics bidding phase, the shipper should provide its logistics operation information to logistics firms to resolve uncertainties. Details An in-depth explanation of the operation details will be presented via the bidding presentation, and on-site tours of manufacturing plants and logistics centers should also be carried out if necessary. Second, in the bidding phase, logistics companies should appeal through proposals to their competitiveness, such as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logistics of the shipper, and also consider alliances with other logistics companies to supplement their insufficient logistics services. Third, logistics companies should make proposals to share profits and risks through logistics outsourcing during the bidding phase, propose accepting risks from environmental uncertainties of the shipper within its capacity to an acceptable extent, and share the benefits of carrying out the shipper’s logistics.

      • KCI등재

        성공적인 물류 아웃소싱을 위한 갈등관리 전략

        허원무(Won Moo Hur),이승창(Seung Chang Lee),서응교(Eung Kyo Seo),신인용(In Yong Shin),이완수(Wan Soo Lee) 한국유통학회 2006 流通硏究 Vol.11 No.1

        최근 제조업체들은 비핵심업무인 물류관련 업무를 전문 업체에 위탁하는 물류 아웃소싱 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제품개발과 마케팅에 기업의 핵심역량을 집중하고, 물류 관련 비용을 절감하여 고객 서비스 수준을 제고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물류 아웃소싱 이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한 공동소싱으로 발전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물류 아웃소싱에 대한 사례 연구는 향후 제조업체들이 물류 아웃소싱을 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좋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글로별 물류기업인 UPS와 삼성전기 간의 4자물류 아웃소싱(4PL) 사례를 통해 4자물류를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기업들이 물류 아웃소싱을 하기 위한 협력 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삼성전기와 UPS간의 물류 아웃소싱 추진배경과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물류 아웃소성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조직차원의 문제, 경영진의 단기적인 안목, 양사의 문화적 차이, 정보시스템의 통합, 그리고 성과에 대한 인식 차이 등 5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주요 이슈들의 측면을 살펴본다면 물류 전문 업체와 아웃소싱을 하고자 하는 제조 기업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출된 5가지 실패 원인은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 Manufacturing companies execute the logistics outsourcing that commits the non-core logistic function to the specialized logistics corporation, which makes the manufacturing company focus on its core competence,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reduces logistics cost and improves customer service level. Recently, Logistics outsourcing is developed into cooperative sourcing based on the partnership. Case study on the logistics outsourcing will provide the good guideline for planning of the outsourcing strateg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making a sense about 4PL through the case of UPS-Samsung Electro-Mechanics and catching major issue to provide the guideline for the cooperation outsourcing strategy. We investigated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logistics outsourcing between UPS and Samsung Electro-Mechanics. We also investigated problems occurred in outsourcing process at the five dimensions-organizational problem, CEO's short-term views, cultural gap between two companies, integration of IT system, and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outcomes. We expect to give many implications to manufacturing companies which want to cooperate with specialized logistics corporation.

      • KCI등재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물류아웃소싱 유형화 연구

        이충배,이종철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6

        글로벌화의 진전, 치열한 경쟁 그리고 고객수요의 다양화 요구와 더불어 자동차업체들은 비용절감, 유연성 확대, 핵심역량 강 화 등을 위해 물류아웃소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물류아웃소싱 방식은 다양하며 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관리의 전략에 따라 정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을 대상으로 물류아웃소싱의 방식과 특성에 따라 유형화함으로써 물류아웃소 싱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형화 분석을 위해 유럽, 미국 및 아시아의 13개 완성차업체를 대상으로 물류아웃소싱을 결정하는 8개의 변수 값을 투입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결과 유럽계, 미국계 그리고 아시아계 완성차업체들이 각각 동일한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지역의 아웃소싱 방식, 자동차 전문물류업체의 가용성, 아웃소싱 성향, 물류전략 등에서 유사성을 띠고 있기 때문으 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자동차산업의 대내외적 환경 추이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 자동차업체들은 물류 경쟁력 제 고를 위해서는 물류 아웃소싱 전략을 기존의 폐쇄적이고 경직된 형태에서 개방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 해나갈 필요가 있다.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fierce competition, and diversification of customer demand, automakers are actively pursuing logistics outsourcing in order to reduce costs, increase flexibility, and strengthen core competencies. Logistics outsourcing are undertaken by carmakers considering their strategies for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logistics outsourcing strategies by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logistics outsourcing. The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by inputting 8 values for variable in 13 automakers in Europe, USA and Asia, which determine a classification of logistics outsourcing. The results of the clustering analysis show that European, American and Asian carmakers each form same cluster. This is because of similarities in regional outsourcing methods, availability of specialized logistics companies for automotive, outsourcing tendencies, and logistics strategies. Implications for this are that considering the globalization of the automotiv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o switch logistics outsourcing strategy to more open and flexible ways in order to enhance logistics competitiveness.

      • 제조업체와 물류업체간의 물류 아웃소싱 갈등관리 전략

        허원무,이승창,서응교 한국유통학회 2005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최근 제조업체들은 비핵심업무인 물류관련 업무를 전문 업체에 위탁하는 물류 아웃소싱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제품개발과 마케팅에 기업의 핵심역량을 집중하고, 물류 관련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 서비스 수준을 제고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물류 아웃소싱이 파트너쉽을 바탕으로 한 공통소싱으로 발전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물류아웃소싱에 대한 사례연구는 향후 제조업체들이 물류아웃소싱을 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좋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물류기업인 UPS와 삼성전기 간의 4자물류 아웃소싱(4PL) 사례를 통해 4PL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기업들이 물류아웃소싱을 하기 위한 협력 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의 내용은 먼저 삼성전기와 UPS간의 물류 아웃소싱 추진배경과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물류 아웃소싱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조직차원의 문제, 경영진의 단기적인 안목, 양사의 문화적 차이, 정보시스템의 통합, 그리고 성과에 대한 인식 차이 등 5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주요 이슈들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물류 전문업체와 아웃소싱을 하고자 하는 제조기업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