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 교육

        민가영(Min Ga-yo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0 문화와 사회 Vol.9 No.-

        본 연구는 국가횡단시대 이주자의 급증에 따라 다문화주의를 사회 통합의 원리로 수용한 한국 사회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를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문화적 차이를 다루는 또 다른 접근법으로서 국가횡단적 비교문화 교육을 제안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탈식민적 관점은 각 국가의 전통과 문화로 부착된 가치와 실천들이 문화제국주의적 위계 속에서 타자화를 정당화 하기위한 문화정치학의 구성물임을 보여준다. 이에 비추어 볼 때 현재의 문화적 차이를 자연스럽게 전제한뒤 차이에 따른 인정과 관용을 추구하는 다문화 교육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대칭적으로 문화적 차이가 구성된 권력관계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현재 알려진 문화적 특징을 바탕으로 다양성에 대한 인정을 주장하는 것은 문화적 차이를 구성한 민족/국가 간의 권력의 위계를 재생산하는 위험성을 지닌다. 따라서 차이를 인정하고자 하는 방법이 차이를 형성하고 위계적으로 만든 메커니즘을 재생산하는 결과를 야기하게 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문화적 차이의 인정이 초래하는 타자화의 재생산을 넘어설 수 있는 방법으로서 국가 문화적 차이 이면에 작동되는 국가 간의 교차적 메커니즘을 드러낼 수 있는 국가횡단적 비교 문화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국가횡단적 비교문화 교육은 비대칭적 차이로 재현되고 있는 문화적 차이를 출발점으로 삼아서 그 이면에 깔려 있는 각기 내부의 이질성들이 선택/배제되는 메커니즘을 읽어내고 그것들이 경계를 넘어 상호작용하는 관계성을 읽을 수 있게 해 주는 방법으로 보고자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as been adopted as a method for social incorporation in the transnational age and suggest a transnational comparative cultural education as a way to deal with cultural difference. Postcolonial perspective shows that specific values and practices considered as traditional culture are cultural construction to justify cultural others in culturally imperialistic hierarchy. From this perspective, tolera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results in national hierarchy by assuming cultural difference as a given thing and not problematizing the political process to cause cultural differences. In other words tolerance of differences with considering cultural differences as a given thing produces the power relations among nations. mechanism This paper suggest a transnational comparative 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deal with cultural differences without re/producing othering process, which means a way to reveal cross internal and national connections behind cultural differences. In this research 'transnational comparative cultural education is defined as a method that reveals cross internal and national connections to construct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reproduce and justify national hierarchy , which is by examining the mechanism to cause assymetry culture between West and non West, the 1st world and the 2nd/3rd world.

      • KCI우수등재

        학교 다문화교육의 근본적 한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전은희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 다문화교육이 문화적 차이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혁으로 수렴될 경우 어떠한 근본적 한계에 처할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다문화교육의 기원은 6-70년대 서구사회의 인 권 및 민권운동에서 찾을 수 있다. 인종적, 종족적 평등을 요구하던 소수집단들의 요구가 학교를 통해 반영된 것이 그 시초로서, 이후 이는 상당 부분 ‘교육과정에서의 타협’으로 귀결되었다. 이처럼 다문화 교육이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정 내의 내용 통합으로 수렴되게 되면서 다문화교육은 몇 가지 근본적 한계를 노정하게 된다. 무엇보다 다문화교육은 문화적 차이 이면의 집단 간 정치사회적 갈등을 다루지 못하게 되면서 탈정치화, 탈맥락화되게 된다. 즉 문화적 차이가 집단들 간의 갈등의 원 인인 것처럼 제시되면서 문화적 차이와 정치사회적 연관이 거세되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탈정치화 된 문화적 차이는 하나의 고유한 본질로서 자연화, 절대화되게 되며 이에 따라 문화적 차이는 화해할 수 없는 소통 불가능한 무엇으로 상정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에 대한 관용이 중시되고 또 관용을 통한 문화적 차이들 간의 상상적 공존이 지향되게 되는 바, 이는 필연적으로 문화적 차이들 간 의 위계를 야기하게 된다. 다문화교육이 왕왕 소수자 집단에 대한 시혜 혹은 복지로 간주되게 되는 것 은 이 때문으로, 향후 담론적으로 실천적으로 다문화교육의 정치성을 소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KCI등재

        문화적 차이.다양성에 관한 담론과 함의 : 독일과 유럽의 동향을 중심으로

        허영식 한독사회과학회 2015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5 No.3

        본고의 목적은 독일과 유럽의 동향을 중심으로 하여 문화적 차이ㆍ다양성에 관한 담론을 살펴보고, 여기에 기초하여 우리 사회에서의 담론과 실천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놓여 있다. 본고에서 강조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문화적 차이․다양성과 관련된 인식대상의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인식주 체의 수준에서도 역시 기본적인 구조와 과정으로서 변증법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컨테이너로 상징되는 전통적인 문화공간 개념과 이 문화공간 개념을 해체하려는 시도와 움직임, 그리고 다시금 선택적 문화공간 개념을 상정하려는 시도 사이에는 전형적인 변증법적 관계가 놓여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간문화 소통의 과정에서 외부세계에 대한 주관적 도식과 인지모형의 적응과정(조절)과 외부세계를 내면세계 안으로 적응시키기 위한 외부세계의 변화(동화) 사이에 존재하는 변증법 적 관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넷째, 문화적 차이ㆍ다양성에 관한 담 론과 쟁점, 문화공간의 개념, 문화적 차이ㆍ다양성의 경험과 관련된 학습과정에서 도출할 수 있는 함의로서는 문화주의, 문화적 본질주의, 전통적 문화공간 개념에 대하여 경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한 변증법을 둘러싼 논의와 쟁점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우리 사회의 통합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적절한 정책적․실천적 과제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trend of discourse on cultural difference and diversity and its implications. To achieve the aim, this article deals with following themes: discourse and its issues regarding cultural difference and diversity, cultural difference/diversity and the concept of cultural space, and learning process related to cultural difference/diversity. The bottom line of this stud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Dialectical relationships as basic structures and processes can be identified not only on the level of epistemic objects but also on the level of epistemic subjects. Typical dialectical relationships lie also between/among the traditional concept of cultural space symbolized usually as container and the alternative concept presented in lots of deconstructive attempt or movement vis-à-vis this concept, and the concept of selective cultural space. Such dialectical connections seem to exist also between the processes of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and between ego- and hetero-understanding in the context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sed on such generalization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take the discourse and relevant issues into consideration and to search for appropriate policy and practical tasks and ways.

      • KCI등재

        문화 : 번역을 통해서 들여다 본 동,서양문화의 비교 연구

        정길화 ( Gil Wha Chu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번역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언어 문화적 차이가 영어와 한국어, 영미 문학과 한국 문학 사이에 깊이 존재함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실용 영어와 영미 문학이 지닌 서양 문화의 전통과 규범에는 어떤 특색이 있으며, 이는 한글과 한국 문학을 배우며, 또한 동시에 한자문화권에 속한 한국인들의 언어문화의 패턴과는 어떤 차이점을 지니는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필자는 혼종의 시대를 살아가는 21세기 초의 문학인들이 창의적 번역을 통하여 동·서양 간의 문화 교류의 물꼬를 더욱 틀 수 있다는 신념에서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것이다. 필자는 한글과 영어, 이를 매개로 한 한국 문학과 영미 문학 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와 문제점들이 한국인과 서구인의 언어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이와 같은 의식(意識)이나 생활 구조상의 차이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통하여 이런 차이들을 극복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럼으로, 필자는 여러 실용 영어와 영미 문학의 한역(韓譯), 또한 그 정반대의 경우인, 한국어나 한국 문학의 영역(英譯)에서 각각 드러나는 언어 문화적 차이와 문학적 전통과 규범의 차이 등에 대하여 그 예를 들어 분석하고,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 상의 여러 문제점들과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필자는 영역과 한역의 쌍방향에 있어서, 언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번역이 필요함을 몇 가지 예를 들어서 인정한다. 본 논문 전반에 걸쳐서, 필자는 한글과 한국 문학을 기반으로 한 세련된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민족(韓民族)의 정신사적 흐름이나 한글 발명과 관련된 언어문화 발전의 배경에 대한 지식과 함께 서구 영미 문화권에 대한 언어 문화적 이해 또한 중요함을 지적한다. 영어나 영미 문학을 통한 타 문화의 수용 시에도 이와 같은 언어 문화적 배경의 이해는 수반되어야 한다. 언어 문화적 접근과정에서, 필자는 한민족(韓民族) 신화와 사상(思想)의 원류(原流)와 헬레니즘이나 헤브라이즘 문화와의 비교 분석을 시도한다. 또한 필자는 한글의 발명과 그 고유한 언어 구성적 특색이 영어를 기반으로 한 영미 문학과의 근본적 차이를 설명한다. 필자는 또한 한류의 확산은 타 언어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야 하며, 번역 상의 체계성이나 질적 수준에 있어서의 향상을 통하여 더욱 점진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리라고 예견한다. This study puts emphasis upon the sociolinguistic differences in translation between the English and the Korean language, between the British & the American literature and the Korean literature. For the better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per translation, I investigate into the main features of the Western culture with its tradition and code in literature and in daily dialogue, as well, comparing with the language pattern of Koreans who learn and use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nd simultaneously, living in the Far East which is within the Chinese cultural influence. In the early 21st century when it is in the era of hybridity, the literary circles should aim at creative translation which is, also, to be based upon the original text, as well. This study is made up with the conviction that the cultural exchange can be expanded through the creative translation by understanding the sociolinguistic background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ranslating English into Korean, and in doing so conversely, there exist a variety of differences in the sociolinguistic backgrounds, literary tradition and its convention, and so forth, between the two languages. Thus, I pursue the possible way to solve the communicative problems that may happen in translating the sociolinguistically different languages. Consequently, I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the creative translation in both Korean and English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sociolinguistic background and to communicate better. Along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thoughts and its main stream, I also compare them with the thinking of Hellenism and of Hebrais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olinguistic differences inherent in English and Korean, per se, and by looking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in translation, Hallryu, the Korean Wave, is expected to have more expansive, progressive, and positive effects.

      • KCI등재후보

        번역을 통해서 들여다 본 동⋅서양문화의 비교 연구

        정길화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7 No.-

        This study puts emphasis upon the sociolinguistic differences in translation between the English and the Korean language, between the British & the American literature and the Korean literature. For the better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per translation, I investigate into the main features of the Western culture with its tradition and code in literature and in daily dialogue, as well, comparing with the language pattern of Koreans who learn and use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nd simultaneously, living in the Far East which is within the Chinese cultural influence. In the early 21st century when it is in the era of hybridity, the literary circles should aim at creative translation which is, also, to be based upon the original text, as well. This study is made up with the conviction that the cultural exchange can be expanded through the creative translation by understanding the sociolinguistic background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ranslating English into Korean, and in doing so conversely, there exist a variety of differences in the sociolinguistic backgrounds, literary tradition and its convention, and so forth, between the two languages. Thus, I pursue the possible way to solve the communicative problems that may happen in translating the sociolinguistically different languages. Consequently, I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the creative translation in both Korean and English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sociolinguistic background and to communicate better. Along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thoughts and its main stream, I also compare them with the thinking of Hellenism and of Hebrais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olinguistic differences inherent in English and Korean, per se, and by looking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in translation, Hallryu, the Korean Wave, is expected to have more expansive, progressive, and positive effects. 본 논문은 번역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언어 문화적 차이가 영어와 한국어, 영미 문학과 한국 문학 사이에 깊이 존재함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실용 영어와 영미 문학이 지닌 서양 문화의 전통과 규범에는 어떤 특색이 있으며, 이는 한글과 한국 문학을 배우며, 또한 동시에 한자문화권에 속한 한국인들의 언어문화의 패턴과는 어떤 차이점을 지니는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필자는 혼종의 시대를 살아가는 21세기 초의 문학인들이 창의적 번역을 통하여 동·서양 간의 문화 교류의 물꼬를 더욱 틀 수 있다는 신념에서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것이다. 필자는 한글과 영어, 이를 매개로 한 한국 문학과 영미 문학 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와 문제점들이 한국인과 서구인의 언어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이와 같은 의식(意識)이나 생활 구조상의 차이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통하여 이런 차이들을 극복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럼으로, 필자는 여러 실용 영어와 영미 문학의 한역(韓譯), 또한 그 정반대의 경우인, 한국어나 한국 문학의 영역(英譯)에서 각각 드러나는 언어 문화적 차이와 문학적 전통과 규범의 차이 등에 대하여 그 예를 들어 분석하고,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 상의 여러 문제점들과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필자는 영역과 한역의 쌍방향에 있어서, 언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번역이 필요함을 몇 가지 예를 들어서 인정한다. 본 논문 전반에 걸쳐서, 필자는 한글과 한국 문학을 기반으로 한 세련된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민족(韓民族)의 정신사적 흐름이나 한글 발명과 관련된 언어문화 발전의 배경에 대한 지식과 함께 서구 영미 문화권에 대한 언어 문화적 이해 또한 중요함을 지적한다. 영어나 영미 문학을 통한 타 문화의 수용 시에도 이와 같은 언어 문화적 배경의 이해는 수반되어야 한다. 언어 문화적 접근과정에서, 필자는 한민족(韓民族) 신화와 사상(思想)의 원류(原流)와 헬레니즘이나 헤브라이즘 문화와의 비교 분석을 시도한다. 또한 필자는 한글의 발명과 그 고유한 언어 구성적 특색이 영어를 기반으로 한 영미 문학과의 근본적 차이를 설명한다. 필자는 또한 한류의 확산은 타 언어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야 하며, 번역 상의 체계성이나 질적 수준에 있어서의 향상을 통하여 더욱 점진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리라고 예견한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와 교육 지원 방향

        권순희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4 No.-

        남북한 언어 차이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 정착하는 데 걸림돌이 될 뿐만 아 니라 직장이나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상황에서도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남한 사람과 북한이탈주민과의 대화에서 서로 상처를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북한에서만 사용하는 북한 특수어, 남한에서만 쓰는 남한 특수어,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유형의 동형이 의어, 형태는 다르지만 의미 이해가 가능한 이형동의어, 형태가 달라서 이해하기 어려운 이형동의어 등 일상 어휘에서 차이가 드러났다. 또한 문법적 차이, 화용적 차이, 언어 문화적 어감도 차이, 문화적 차이 등이 드러났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그동안의 교육 지원은 언어 교정 차원 및 학습 지원 차원 의 교재 개발에 국한되어 있었다. 개인을 둘러싼 외부적 환경 적응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지만, 미래를 대비한 지원으로서 평생 교육 지원이나 내적 치유와 같이 개 인의 필요를 지원하는 다각적이고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소수에 대한 지원을 넘어서서 전 국민 차원의 남북통일 대비, 통일 이후 정책 차 원에서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Bukhanitaljumins, immigrants from North Korea experience difficulties in daily life, work life, and social life as well as South Korea settlement because of the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lso they are sometimes deeply wounded during conversation with South Korean. Form the study on the real state of language use of Bukhanitaljumins, the differences in daily vocabulary were revealed due to North Korea specific words, South Korea specific words, homographs that share the same written form or pronunciation as another word but has a different meaning, comprehensible ihyungdonguieo that has different form but has the same or similar meaning of another word, and incomprehensible ihyungdonguieo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of the different form. Also the differences in grammar, pragmatics, language 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e were revealed. Education support for Bukhanitaljumins has been limited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language correction and study support. Although support for Bukhanitaljumins' adaptation to their surroundings is necessary, multilateral support such as lifelong education and psychical cure for preparation of their future is also necessary. Also the way of education support for the whole national preparation for unification and policy after the unification should be sought.

      • KCI등재

        FoMO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면적 이해: 글로벌 대학생의 경직적-유연적 문화 차이를 중심으로

        박현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9 No.1

        본 연구는 글로벌 대학생들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이 FoMO(Fear of Missing Out) 경험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와 함께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2023년 3월에 글로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설문조사 데이터를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각 변수 간의 상호작용과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에 따른 FoMO 경험이 문화적 차이와는 상관없이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함에 있어 글로벌 대학생들 간의 국가별 문화적 차이성이 줄어들고, 동시에 문화적 동질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oMO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경직적 문화와 유연적 문화의 차이로 인해 자신이 사회에서 경험하는 규범의 명확성이 다르게 지각되어 소셜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행동 패턴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서양의 유연적 문화권의 대학생들은 소셜미디어의 이용강도가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이는 소셜미디어의 활발한 이용과 삶의 만족도 간 강력한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반면, 동양의 경직적 문화권의 대학생들은 집단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며, 타인과의 연결을 통한 사회적 유대감이 삶의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직적 문화와 유연적 문화 간의 차이가 FoMO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이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며, 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글로벌 대학생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경험하는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문화 간 차이를 고려하여 새로운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과 다양성 존중, 적응력 향상을 위한 지침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국제적인 교류와 문화 간 이해를 촉진하는 데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use of social media among global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d by cultural differences, affects the experience of FoMO (Fear of Missing Out) and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it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Data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conducted in March 2023 with global university students is analyzed using SPSS and the Process macro to explore the interactions and mediating effects among variabl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gardless of cultural differences, the experience of FoMO due to social media use negatively impacts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study reveals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life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cultural differences. Particularly, university students from Western cultures, characterized by looseness, show that the intensity of social media use significantly impacts life satisfaction, indicating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active social media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contrast, university students from Eastern cultures, characterized by tightness, prioritize harmony within groups, where social connectedness with others has a greater impact on life satisfa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diverse roles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across different cultural contexts, providing valu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promot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cultural understanding.

      • KCI등재

        문화 장벽과 번역원작 – 「풍금이 있던 자리」와 번역본 「눈먼 송아지」의 거리

        이영준(Lee, YoungJun)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이 논문은 한국문학 작품이 영어로 번역되어 현지에 소개될 때 출발지 한국어 작품이 도착지 영어권의 문화적 맥락과 관습에 의해 어떻게 변형되고 삭제되는지 그 작동 방식을 문화 장벽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한국소설이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려면 현지 출판편집자의 편집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영미의 출판 관행은 한국과 매우 달라서 편집자가 원작을 첨삭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편집 행위에는 영미 소설의 출판 관행에서는 자연스런 규범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그 사회의 문화적 관습이나 전통이 작동한다. 이러한 문화적 관습이 나 전통은 현지인들은 그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지만 문화적 관습이나 전통이 다른 한국의 작가나 독자들은 충격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장벽과 충돌의 현장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신경숙의 단편소설 「풍금이 있던 자리」가 영어로 번역된 사례를 검토한다. 사례로 선정된 세 가지의 번역본 중에서 국내의 잡지에 발표된 영역본들은 대체로 원본의 내용과 형식을 지키려고 노력했으나 미국의 현지 잡지에 발표된 판본은 원형을 매우 심하게 삭제하고 변형시켰다. 무엇보다도 전체적인 분량을 줄였으며 원작에서 감정 표현의 세부적인 장치들은 철저히 무시되었다. 특히 분량이 줄어든 부분에서는 문화적 차이를 결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주인공이 내리는 중요한 결정의 맥락이 가족에 대한 존중에서 나온 것인데 영어권 문화에서의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원작에서 삭제한 점은 문화적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심각한 문제로 판단된다. 보기에 따라서는 문화적 반달리즘이라고 할 수도 있는 이러한 편집 행위는 한국 문학 작품의 특질이 문화적 차이에 의해 이해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된 것이다. 그러므로 신경숙 소설에 나타나는 가족공동체에 관한 강조가 미국 평론가에 의해 센티멘탈리즘으로 지목된다거나 『하버드 리뷰』의 편집자에 의해 대거 삭제되는 사태는 한국 문학 작품의 영어번역 출판에서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판단된다. 신경숙의 작품에 대한 해설문을 『하버드 리뷰』가 제공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문학의 독자적인 특질에 대한 섬세한 고려가 없다면 한국 문학의 많은 부분이 문화 장벽에 의해 삭제되거나 거부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essay examines how Korean literary works are transformed by the cultural context and customs of the English-speaking country. In order for Korean novels to b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published, it goes through the editing process of a local publishing editor. The publishing practices of Anglo-American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so editors frequently correct original works. In this editing act, the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of the society, which are accepted as natural norms in the publishing practices of English and American novels, operate. These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are naturally thought by locals, but Korean writers and readers with different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can take it shockingly.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cultural barriers and the scene of conflict, this paper examines a case in which Shin Kyungsook’s short story “The Place Where a Harmonium Was” was translated into English. Among the three translations selected as examples, the versions published in domestic magazines generally tried to preserve the content and form of the original, but the work published in local American magazines severely deleted and transformed the original. Above all, the overall volume was reduced, and detailed devices of emotional expression were thoroughly ignored. Particularly, in the part where the volume is reduced, cultural differences are revealed decisively. The context of the important decision the protagonist original work from an individualistic point of view in English-speaking culture seems to be a serious problem even considering cultural differences. This editing act, which may be called cultural vandalism, is determined unilaterally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ry works by cultural differences. Therefore, the situation that the emphasis on the family community in Shin Kyungsook’s work is pointed out as sentimentalism by American critics or is largely deleted by editors of the Harvard Review is reconsidered a factor that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the publication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many parts of Korean literature could be deleted or rejected by cultural barriers.

      • KCI등재

        문화적 차이에 따른 관광객의 한국 음식점 방문 시 지각된 위험과 위험 완화 행동 비교

        서선희(Seo, Sun-Hee),강성미(Kang, Sung-Mi),심혜진(Shim, Hyae-J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5 외식경영연구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의 한국음식점 이용 시 지각된 위험과 위험 완화 행동을 파악하고, 중국인과 일본인 문화적 차이에 따른 위험 완화 행동을 비교하였다.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인천공항, 김포공항 및 서울 시내 주요 관광지에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중국인 259명, 일본인 308명 이 참여하였다. 한국 음식점 이용 시 지각된 위험으로 서비스 위험, 사회적 위험, 음식위험, 재정적 위험, 미래 기회 손실 위험, 문화적 위험, 신체적 건강 위험, 시간손실 위험 8가지로 도출되었고,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 모두 문화적 위험을 가장높게 지각하였다. 중국인 관광객은 문화적 위험, 미래 기회 손실 위험을 유의적으로 높게 지각한 반면, 일본인 관광객은 음식 위험, 서비스 위험, 신체적 건강 위험을 유의적으로 높게 지각하였다.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은 한국음식점을 방문하기 전 한국이나 한국음식점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과 상담하거나 인터넷으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위험을 완화하였다. 문화적 차이에 따른 위험 완화 행동을 비교해보면 중국인 관광객은 저렴한 식당을 선택하거나 유명한 식당을 찾는 방식으로 소비행동을 수정하여 지각된 위험수준을 낮춘 반면 일본인 관광객은 친구, 지인에게 정보를 탐색하는 방식을 택하여 위험 완화 행동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연구는 관광객의 문화적 차이에 따라 한국음식점 방문 시 지각하는 위험과 이를 완화하는 행동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음식점에 대한 지각된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isk perception regarding Korean and risk relief behavior prior to visit Korean restaurant and compare them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259 Chinese and 308 Japanese tourists who visited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2014 using intercept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nd eight risk factors regarding Korean restaurants: service risk, social risk, food risk, economic risk, opportunity loss risk, cultural risk, physical health risk, and time loss risk. Both Chinese and Japanese showed the highest cultural risk in Korean restaurant. Chinese perceived higher cultural risk and opportunity loss risk than Japanese. In contrast, Japanese showed higher food, service, and physical health risk than Chinese. Chinese lowers perceived risk by modifying consumption behavior as the way to find a popular restaurant and to choose inexpensive restaurant whereas, Japanese looked for information from friends and relatives. There were significant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strategie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버내큘러의 문화적 위상

        안영주(Ahn, Young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본 논문은 버내큘러에 대한 역사적 인식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비판을 통해 버내큘러의 새로운 위상을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동안 버내큘러는 모던 문화의 프레임 안에서 전통과 현대, 제도와 일상, 중심과 주변이라는 대립구조로 분리되었으며, 그 안에서 지엽적이고 저급한 것으로 사유되어 왔다. 그러나 버내큘러는 포스트모던 문화가 등장함에 따라 디자인의 새로운 대안으로 귀환하였으며, 나아가 ‘지역 문화’의 부상과 함께 글로컬리즘의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버내큘러의 위상이 승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상대주의적 전략을 구축하면서 차이를 속박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는 탈식민주의 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호미 바바의 ‘문화적 차이’ 개념을 포스트 모던 문화의 키워드인 ‘다양성’이라는 프레임과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버내큘러의 새로운 위상을 설정해 보고자 하였다. ‘문화적 다양성’이란 용어는 다양한 문화를 반영한다는 매우 이상적인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지만, 그것은 지배 문화가 허용하는 그리드 내에서만 가능한 일이며, 반면, ‘문화적 차이’는 문화적 이해와 판단의 과정에서 하나로 통합될 수 없는 의미와 가치들을 충돌시킴으로써, 동일시의 전략을 재설정하게 만든다. 또한 연구자는 이러한 논의를 끌어내기 위해 20세기 포스트모던 시대의 버내큘러에 대한 관점을 로버트 벤추리(Robert Venturi)나 할 포스터(Hal Foster) 등의 건축 이론과 디자인 저술가 엘렌 럽튼(Ellen Lupton)의 관점을 배경으로 하여 전개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버내큘러가 기존의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현재 우리의 삶속에서 재고되어야 함을 논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버내큘러를 동시대 삶 속에 내재한 ‘문화적 차이’로 인식할 수 있다면, 버내큘러는 지배문화를 공고히 하는 다양한 전략 중 하나가 아니라, ‘새로운 틈’을 창출해 내는 것으로 재분할 될 수 있으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 버내큘러는 권력의 공간이나 관계를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인식의 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ould critically examine historical recognition on vernacular and discuss a new phase of vernacular based on those concerns. Vernacular has been regarded as the marginal and the lowbrow that could not obtain universality i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nd between system and everyday life along with the birth of modern culture. However, vernacular returned to new elements of design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postmodernism, and furthermore, in the geography of glocalism, attention is paid to that, along with the rise of ‘local culture.’ Yet, this phenomenon does not mean the changed phase of vernacular. It may rather function as a device to restrict and limit the difference, constructing a relativist frame of ‘cultural diversity’. For this discussion, I applied post-colonial theor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Especially, Homi K. Bhabha’s concept of ‘cultural difference’ was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e frame ‘diversity,’ a keyword of post-modern culture, to set up a new phase of the vernacular. The term, ‘cultural diversity’ contains an ideal ideology that reflects numerous cultures, but it is possible only in the grid that mainstream society or governance culture allows.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difference’ makes the strategy of identification reset by making meanings and values collide, which cannot be combined into one, in the process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judgment. In addition, the discussion of the vernacular in the post-modern era was conducted through architectural theorists like Robert Venturi or Hal Foster etc. and studies by design writer Ellen Lupton from a critical positio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ould discuss that the vernacular should be reconsidered in our present life escaping from the existing viewpoint. We can recognize the vernacular as a ‘cultural difference’ inherent in contemporary life, it will be subdivided into something that creates a ‘new gap’ not one of various strategies that solidify the dominant culture, and through such a process, vernacular may act as a cognitive framework by which we can critically think the space or relation of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