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관광상품 패키지 디자인이 국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볜 쯔 야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culture from a modern perspective in the package design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aiming to enhance the national brand imag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investigation. In the empirical investigation,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4.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certain factors of package design have a positive impact on tourist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cultural tourism products. Secondly, tourist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cultural tourism products influence the traditional and modern image of the national brand. Thirdly, the application of package design that combines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elem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national brand image. 국가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문화관광상품에서 패키지 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 목적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문화 관광 상품 및 패키지 디자인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문화관광상품의 전통문화의 현대화를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관광 상품의 상업적 가치를 높이고 관광 상품 패키지 디자인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자 한다. 또한, 문화관광상품의 패키지 디자인에서 전통문화를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참고할 만한 가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문헌 고찰과 실증 조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실증 조사에서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다음에는 SPSS WIN 2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에는 빈도분석, 신뢰도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문화관광상품과 전통문화의 현대화를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의 개발과 개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패키지 디자인의 부분 요소는 문화관광상품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과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문화관광상품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과 구매의도는 국가브랜드 이미지의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문화의 현대화를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은 국가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관광상품을 통한 전통문화의 현대화를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발전에 역할을 수행한다.

      • KCI등재

        군(軍) 문화축제의 관광 상품화에 관한 연구 - 의장행사를 중심으로

        최용섭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 No.2

        21세기의 최고 경쟁 산업은 문화산업이라 할 수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는 새로운 문화콘텐츠 개발과 산업화를 위해 국가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과 내국인이 군 문화축제의 경험적 가 치가 고객만족도와 관광 상품 이미지 및 재방문(참관)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군 문화축제라는 신 문화콘텐츠로 발전시켜 의장행사를 우리나라 관광 상품으로 발전시켜 국가차원의 문화정책수립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의장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국방부 의장대 및 의장행사를 소개하고, 외국사례 및 우리나라 군 문화축제 고찰과 이론적 배경을 위해 경험적 가치, 고객만족도, 관광 상품이미지 및 재방문(참관) 의도를 제시하여 실증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인과 내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군(軍) 문화축제를 통해 지각된 경험적 가치가 고객만족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고객만족 향상을 위한 경험적 가치가 중요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험적 가치의 이미지 제고가 매우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지각된 경험적 가치는 관광 상품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객이 인지하는 경험적 가치를 통해 고객만족이 강하게 형성될 뿐 아니라 관광 상품 이미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객만족을 통해 관광 상품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관광 상품 이미지는 경험적 가치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을 통해서라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 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고객만족은 재 방문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적 가치를 통해 형성된 고객만족은 관광 상품을 향상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재 방문의도가 증대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따라서 군(軍) 문화축제를 통해 형성된 고객만족은 재 방문의도에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군 문화축제의 홍보적인 측면을 보완하여 우리나라에 대한 이미지가 ‘부 지런하다’ 등 무형적인 이미지에서 외국의 유명한 관광 상품인 영국의 버킹험 궁 의 장행사와 미국의 알링턴 국립묘지 근무교대식처럼 관광 상품으로써의 유형적인 이미지로 전환을 위해서라도 군 문화축제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관광 상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의 문화정책 수립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문화체육 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에 제시하고자 한다. The most competitive business in the 21st century is culture industry and we can tell that all the nations in the world is using all their resources to develop culture contents and industrialization. In this situation, I felt that making new cultural contents out of military festivals, focusing on our country’s honor guard, would help establish cultural policies in the national level. I studied the theoretical part of the military festivals. Based on that, I tried to expand on practical applications by comparing surveys of foreigners and domestic people. Through the research, I first found out that experiences felt in military festivals affect positively on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e improvement of the image of the experiential values is necessary. Secondly, experiential values affect touristic merchandising values directly. Experiential values are related to not only customer satisfaction, but also touristic merchandising values. Thirdly,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tourisitic merchandising values were affected positively. So, toursitic merchandising values are affected directly as well. Fourthly, customer satisfaction is not directly affected by an intention to revisit. Customer satisfaction made out of experiential values increase the chance of revisiting. Customer satisfaction itself has indirect effects . Fifthly, touristic merchandising image has strong connections with an intention to revisit. touristic merchandising image influences the way the experiential value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it’s needed that a strong toursitic merchandising image is improved for strategic appropriateness. Effects that the felt experiential values have on customer satisfaction is higher in nationals than foreigners. In other variables, however, the felt experiential values are about the same. Therefore, to please foreigners in cultural festivals, prior advertisements and publicity are important. In conclusion, the image of Korea has to be changed from something immaterial to something solid that can change foreigners’ recognition of Korea. 1. Standards have to be set to improve the image of touristic merchandise in the national level. 2. Prior advertisements and publicity have to be made by the government itself. 3. Korean promotion period and military festivals have to be connected. 4. By activating military festivals, create jobs for discharged officers. Like the changing of the guard in Britain Buckingham Palace and American Arlington Cemetery, there has to be a military festival that can represent Korea.

      • KCI등재

        회원기고 : 자수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명준 ( Myung Joon Kim ),김현욱 ( Hyun Wook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8 No.-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역사적 요소 및 자원에 현재의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 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 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세계의 보편문화와 조화롭게 결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작용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그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 및 고도의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21세기 유망 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인식 수준은 높으나 민간 자본의 유입과 협력관 계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반 구축은 미흡하다. 또한 서구의 상품 아이템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상품 개발이 추진 되고 있으며, 수공예적인 유사예술상품 및 지역토산품, 관광기념품 중심으로 상품이 개발되는 등 유용성과 경제성 중심의 신상품 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 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차별성 있는 문화로 산업화하지 못한다면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실될 수도 있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우리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생산하여 발전될 수 있도록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Cultural Goods is a complex creating economical added value combining country`s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 with aesthetic element and industrial technology. Cultural Goods is not only a high value creative industry, but also a knowledge-creative industry creating new value combining country`s own cultural identity and uniqueness to the world. Therefore it`s a twenty-first century`s promising growth requiring cutting edge software technology and high-degree cultural creative ability than any other industries. Korea has a high level in national governmental cognition to cultural goods, but establishing foundation to private capital`s inflow and fostering of conciliation is insufficient. Product developments are being also promoted in the stage of imitating western items, and new-product development in financial-centrical aspect is very short due to product development focusing on handicrafted similar works of art, regional local products, tourism souvenirs.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is our valuable cultural heritage projecting our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Without being industrialized with differentiated culture, it could be lost without counteracting to international competitive period. We have to develop our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as Cultural Goods fit to our period like ceramics of China and England, wooden lacquerware of Japan, etc.So we have to study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can be produced and developed as globally excellent Cultural Goods.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상품점의 문화상품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이율화(Yul Hwa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본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상품점의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문화상품의 범위는 매우 넓고, 판매 공간도 다양하다. 문화상품이 문화를 전파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고려해 본다면 문화적 경험을 위해 내국인과 외국인이 방문하는 공간인 국립중앙박물관의 문화상품점이 판매처를 연구 범위로 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의 문화상품점에서 판매되는 문화상품을 그 범위로 정하였다. 문화상품점에서 판매되는 상품은 배송이 불가능한 상품을 제외하고는 모두 문화상품점 홈페이지에서 판매되고 있었기 때문에, 문화상품점 홈페이지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논문, 단행본 등을 통해 문화상품이 지닌 의미와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문화상품점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SWOT. GAP 분석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상품은 특성에 따라 복제상품, 전통상품, 응용상품, 전통이 지닌 특정한 요소만을 추출하여 사용함으로서 현재에 사용되는 제품들과의 이질감을 최소화 시킨 현대상품, 공간 기념상품 등으로 나눠질 수 있다. 각각의 분류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고른 분포가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시대적 상황이 변화된 것에 비해 문화상품의 종류에는 크게 변화가 없어 현재의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문화상품의 품목을 파악하여 개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문화상품을 디자인 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개체를 사용하더라도 표현방식을 다양화 하여 차별화된 문화상품을 개발함으로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이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만큼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있다. 그러한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문화상품을 디자인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수많은 설화, 전래동화, 신화 등의 다양한 이야기가 있다. 이야기들은 쉽고, 재미있어 흥미를 이끌어 내기 쉬우며, 한국이 지니고 있는 문화를 가장 잘 담고 있다. 또한 한국에 존재하였던 수많은 위인들은 한국이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요소이기도 하다. 한국에 존재하는 이야기들을 문화상품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보다 풍부한 문화상품의 디자인이 가능해질 것이다. 문화상품이 지닌 경쟁력은 매우 크다. 문화상품이 지니고 있는 파급력을 인지하고, 그를 극대화 할 수있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This paper suggests cultural product design`s current state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development plans. The range of the cultural products is very wide and the selling space is diverse. In consideration of taking that the cultural products spread the culture and develop i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cultural product shop is the most suitable for selling shop because it is the space room for local and foreigners. Therefore, this paper ranges the cultural products which are sold in cultural product shop in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products that selling in cultural product shop are all sold its homepage except for the products that are impossible to deliver, so all products are collected and analyzed which are sold in the cultural product shop`s homepage. This paper considers the meaning and role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books and suggests a development way for using with SWOT and GAP analysis method which the products selling in cultural products shop. The cultural goods can be subdivided into five sections with their characteristics. Ancient times goods, traditional crafts, application goods including traditions, modern products, souvenir for space. They have a different role from each category so they have to be distributed evenly. In particular, the cultural goods have not been used very much in the present as changing with the times. It requires that culture items which consumers require grasp and develop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The way which makes use of culture elements should be aroused theirs interest by developing differentiated cultural produces with various turn of expression although only using the same. Also, there are various elements for using cultural goods in Korea which has a long history Korea is a country with a long history so it has many different culture things. It needs that culture products are designed with such elements pushfully. Lastly, there are a lot of stories like fables, traditional fairy tales, and myth. The stories are easy and funny so it is easy to draw interest and have culture of Korea. In addition, the great men in history of Korea show the world that Korean culture has potentially excellent. When the stories of Korea use effectively in making cultural goods, it becomes possible to design various kinds of culture products. The cultural goods are competitive. It needs to develop competitive culture items that far-reaching powers recognize.

      • KCI등재후보

        자수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명준,김현욱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8 No.-

        Cultural Goods is a complex creating economical added value combining country's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 with aesthetic element and industrial technology. Cultural Goods is not only a high value creative industry, but also a knowledge-creative industry creating new value combining country's own cultural identity and uniqueness to the world. Therefore it's a twenty-first century's promising growth requiring cutting edge software technology and high-degree cultural creative ability than any other industries. Korea has a high level in national governmental cognition to cultural goods, but establishing foundation to private capital's inflow and fostering of conciliation is insufficient. Product developments are being also promoted in the stage of imitating western items, and new-product development in financial-centrical aspect is very short due to product development focusing on handicrafted similar works of art, regional local products, tourism souvenirs.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is our valuable cultural heritage projecting our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Without being industrialized with differentiated culture, it could be lost without counteracting to international competitive period. We have to develop our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as Cultural Goods fit to our period like ceramics of China and England, wooden lacquerware of Japan, etc.So we have to study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can be produced and developed as globally excellent Cultural Goods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역사적 요소 및 자원에 현재의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 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 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세계의 보편문화와 조화롭게 결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작용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그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 및 고도의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21세기 유망 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인식 수준은 높으나 민간 자본의 유입과 협력관계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반 구축은 미흡하다. 또한 서구의 상품 아이템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상품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수공예적인 유사예술상품 및 지역토산품, 관광기념품 중심으로 상품이 개발되는 등 유용성과 경제성 중심의 신상품 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 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차별성 있는 문화로 산업화하지 못한다면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실될 수도 있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우리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생산하여 발전될 수 있도록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롯데월드타워의 건축 디자인 요소를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

        김소라,김정지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0 No.-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igorate the industry of developing products with motifs based on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by exploring cases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at utilized the design of Lotte World Tower; this building is currently the tallest building in South Korea and the fifth tallest building in the world, in addition to being one of Seoul’s most famous landmarks. As part of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history and content of the tower’s design and conducted an analysis by dividing the tower’s formative design elements into three types based on reference materials and various reports and press releases.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bjectives of cultural products that are sold at tourist destinations such as symbolic buildings or important landmarks. Third,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researches were selected by limiting them to cultural goods that used Lotte World Tower’s architectural design as a motif and cultural goods sold at the Seoul Sky Observatory, that occupies the 117th to the 123rd floors of the tower.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evelopment reports, product catalogues, field studies, and related news artic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ducts that use architectural design motifs: these products can be continuously used in real life by using content descriptions or symbols while excluding existing souvenir images as much as possible; additionally, this study showed that various striking visual expressions are a result of collaboration of product developers with designers and artists. The present study aimed to theoretically systemize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at utilize the aesthetic beauty and architectural design of Lotte World Tower, and to present the potential of creating high-value cultural products.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고 세계에서 5번째 높은 건물이며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 중 하나인 롯데월드타워의건축 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결과를 탐구하여 건축물을 모티브로 한 상품개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타워의 건축 디자인 연보와 내용을 살펴보고, 타워 건축물의 조형적 디자인 요소를 참고문헌과 각종 보고서 및보도자료 등을 바탕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둘째, 상징건물이나 명소 등의 관광지에서 개발하여 판매하고있는 문화상품의 개발 목적과 초고층 건물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 개발사례를 살펴보았다. 셋째, 타워 전망대인 ‘SEOUL SKY’에서 개발하여 판매하는 문화상품 중 롯데월드타워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개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연구자의 상품개발 과정 자료와 대외에 공개된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타워의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특징은 콘텐츠 설명이나 상징적 요소를 활용하면서 기존 기념품의 이미지를 최대한 배제하고, 실생활에서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디자이너 및 작가와 협업으로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두드러진다는 점이었다. 본 연구는 롯데월드타워와 건축디자인의 조형미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결과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함과 동시에 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중 문화상품무역 국제경쟁력 비교 연구

        정응영(Yingrong Zheng),배기형(Ki-Hyung Bae),이나(Na Li)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9

        최근 글로벌 경제의 다원화에 따라 문화상품무역은 국가 간 종합적 실력경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한국은 중국의 인접국으로 문화발전 환경이 중국과 비슷하다. 문화상품무역은 한국경제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그 발전경험은 중국에 참고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법, 비교분석법과 실증분석법을 통해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화상품 수출입 규모로부터 시작하여 전반적인 중국과 한국의 수출수준을 분석하여 양국 문화상품 수출입의 차이점을 찾고자 한다. 그런 후 중국 문화상품무역구조의 단점과 한국 문화상품무역구조의 장점을 비교·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확률적 변경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으로, 한중 문화상품무역 잠재력에 관한 결론을 도출한다. 그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국과 한국의 문화상품무역의 국제경쟁력은 높은 편이지만 중국 문화상품의 경쟁력 발전 속도는 느린 편이다. 둘째, 한국과 비교할 때 중국문화상품 수출은 무역비효율요인의 영향이 큰 편이다. 셋째, 정부효율의 제고는 중국이 무역비효율항을 줄이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한다. At present, with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the global economy, the trade of cultural product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competition of comprehensive strength among countries. As a neighboring country to China, South Korea has a similar cultural development environment to China. As an important pillar of South Korea’s economy, cultural product trade, its development experience has reference significance for China. This paper adopts literature research metho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nd empirical analysis method to conduct research. The article firstly analyzes the export level of China and South Korea from the scale of the import and export of cultural products, and fin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 and export of cultural produ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n,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insufficiency of China’s cultural product trade structure and the advantage of Korea’s cultural product trade structure. Finally, this paper uses the stochastic frontier gravity model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and draws relevant conclusions about the trade potential of cultural product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1)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ultural products trade in China and South Korea is relatively high, but the competitiveness of China’s cultural products has been improved slowly; (2) compared with South Korea, China’s cultural product exports are affected by trade inefficiency factors larger. (3)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has a great effect on reducing the inefficiency of trade in China.

      • KCI등재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의 방향 연구 - 중국 심양 고궁 박물관 상품을 중심으로 -

        류양 ( Liu Yang ),이홍 ( Lee Hong ),안병진 ( Ahn Byoung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2004년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만청문화의 발원지인 요녕성 심양고궁 박물관의 유물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써 400년 역사의 심양고궁 박물관은 자금성과 함께 중국 내 현존하는 궁전식(宮殿式)건축물의 쌍두마차 중 하나로 손꼽힌다. 심양고궁 박물관은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2018년 연간 방문자수가 처음으로 2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양고궁 박물관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상품이 없었으나, 2014년 처음으로 문화상품 등을 제작 및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상품 디자인이나 브랜드 개발이 아직 미숙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유사 사례를 동일한 문화상품을 중심으로 종류를 분류 하고 디자인 요소의 사례분석과 디자인 현황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공통점과 차이성 발견을 통해 박물관의 문화상품 개발에 있어서 가치성 및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5년 동안 연구된 중국 내 심양고궁 문화상품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현재 심양고궁의 유물을 활용한 문화상품개발에 있어서 문제점의 원인과 개선 방향성을 연구하였다. 앞의 과정들을 통해 심양 고궁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심양 고궁의 문화적 자원을 결합하여, 지역 민족과 문화의 개성을 살리는 방안이 있다. 심양 고궁 문화 상품의 포지셔닝과 시리즈화의 방향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둘째, 합리적인 제품 가격 체계를 만들어 제품의 품질을 중시한다. 셋째, 혁신적인 마케팅 방식이 필요 하다. 마지막으로 차후 연구를 통해 심양고궁 박물관 문화상품의 개발과 홍보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지역의 특색을 살린 문화상품의 모델을 개발하고, 지역 전문가, 일반인, 방문객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설문조사를 통해 심양지역 관광산업의 발전에 일조할 수 있는 창의적 디자인 문화상품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by utilizing relics from the Shenyang Palace Museum in Liaoning Province, the origin of the Manchu Cultures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sites, in July 2004. As a world heritage site, the Shenyang Palace Museum boasts a 400-year history as one of the double-headed carriages of palace-style buildings existing in China along with the capital city. The Shenyang Palace Museum has attracted 201,300 visitors annually in 2018, and surpassed the 2 million mark for the first time since it was listed as a World Heritage listing. However, the Shenyang Palace Museum in Liaoning Province started producing and releasing cultural products for the first time in 2014, and is still inexperienced in product design and brand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similar cases at home and abroad with the same cultural commodities as the center, investigates the case analysis of design elements and the design status quo, and conducts comparative analysis. By finding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it conducts valu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modities in museums. which were studied over the last five years, looked into the causes of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the ancient palace cultural products of Shenyang. Therefore, I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ancient palace of Shenyang. First, there is a way to combine the cultural resources of the Shenyang Palace to revive the individuality of the local people and culture. It is to clarify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ing and serialization of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Shenyang Palace. Second, it places importance on the quality of products by creating a reasonable product price system. Third, innovative marketing methods are needed. Finally, through further research, we intend to develop a model of cultural products that embody lo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tudy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cultural products in the museum of Shenyang Palace,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in the Shenyang area through various surveys of local experts, ordinary people and visitor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1920-30년대 관광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박암종 ( Park Arm J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특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획일적이며 창의성이 부족한 관광문화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관광산업은 한 가지만 갖춰진다고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분야별로 짜임새 있게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가능하다. 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주요한 관광인프라 요소는 교통, 숙박,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에 추가로 관광문화상품 같은 살거리가 빠질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지난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관광문화상품 속에 담긴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해 관광문화상품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연구방법은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 할 수 있는 객관적 분석틀 모형을 만들고 이에 대입하여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디자인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의 소장품 중 1920-30년대에 생산된 관광문화상품 중에서 그룹을 지울수 있는 문화상품군(文化商品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쇄 및 후 가공의 마무리 수준이 매우 높다. 둘째, 한국적 전통소재와 지역적 특징을 잘 살려 타 지역과 차별화 하였다. 셋째, 신선한 아이디어를 돋보이는 자연친화적인 상품이 많다. 넷째, 장정이나 패키지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으며 사용설명문이 첨부돼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우리나라 관광문화상품디자인에 자극제가 되어 참신한 관광문화상품들이 생산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sign features shown on our modern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enhance the quality of our uniform and less creative contemporar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tourism industry can hardly be invigorated with a single solution; a well-organized promotion policy is required. The major essential infra elements for invigoration of tourism are transport, hotels, must-eat, must-see, must-enjoy, and tourism cultural commodities. All in all, in order to invigorate the tourism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identify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by, help develop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o this end, this study produced an objective analysis model conduciv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however, limited to the modern design works produced during 1920's ~ 1930' and collected by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Design Museum reputed for its largest design collections in Korea; among them, the tourism culture commodity group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was sampl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quality after printing is very high; Secondly, th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well highlighted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Thirdly, man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feature fresh ideas, being environmental-friendly; Fourthly, much efforts were made for marks or package designs, with the background and brochure attached.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stimulate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that fresh tourism culture commodities would be produced actively.

      • KCI등재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이영선,신은주 한국마케팅학회 2011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4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esent the efficiency of culture marketing to the organizations producing culture-art products and to the companies utilizing art and suggest the practical viewpoints to the culture and art policy agencies. The methodology used wa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consumer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ulture-art products in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from a social context by conducting a total of 12 Focus Group Interviews, consisting of 58 males and females in their 10s~50s who can represent culture-art product consumers. The culture-art products refer to the artist's spiritual, actual act of creating or to the end products with economic exchange value. They are also sense goods and merit goods that affect the mental state of consumers. By looking at culture-art products as consumer merit goods, this research examined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culture-art products. As a result,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consumers view culture-art products largely a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and ‘social public property’. A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culture-art products are considered as the products of an artist’s creative activities; as ‘social public property’, culture-art products have a public value in terms of ownership; and a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culture-art products act on the spirit and reality of a consumer in terms of consump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enefits of culture-art produc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sumer value cogn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benefits of culture-art-product consumption are chiefly divided into ‘aesthetic character-oriented’, ‘social relationships-oriented’, and ‘individual benefits-oriented’ depending on how consumers see culture-art products. A 3-conceptional structures model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 benefits. This research revealed that consumers who pursue the aesthetic value or sense of beauty as the central reason experience culture-art products themselves, enjoy intellectual quests, and pursue their satisfaction by expressing affection for and interests in culture-art product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ho pursue social value as the central reaso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y perceiving culture-art products as a public property of society, pursue sympathy with people close to them through the symbolic power of culture-art product consumption or the joy of self-display. Consumers who perceive art products as spiritual and actual merit goods and pursue consumer value as a central reason want to express their own personality, develop themselves,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or identify themselves with others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 for the ultimate goal of living a happy and satisfied life while pursuing to satisfy imminent and actual necessities as emotional stability and rest. The fact that culture-art product benefits could vary according to how a consumer perceives them implies that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ir benefits significant affect consumers' decision in choosing and consuming various culture-art products. It turned out that such benefits from the consumption of culture-art products reflect the complex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of rational consumption, symbolic consumption,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social reflective consump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conceptional structures of consumer value cognition on culture-art products and benefits that can be used for studying and understanding culture-art products consumers who pursue a variety of consumption values. They can also be used by private companies in utilizing art, as well as by national agencies in enhancing the population’s quality of life. However, since this...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를 위한 개념적 구조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 및 문화예술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위하여 문화예술정책기관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대소비문화 속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을 사회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58명을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총 12회에 걸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다. 문화예술상품은 예술가의 정신적․관념적 창작행위나 그 결과물인 작품에 경제적 교환가치가 부여되어 소비되는 상품이다. 문화예술상품의 특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실제적․개인적 가치재’, ‘사회적 공공재’, ‘미학적․감각적 경험재’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소비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예술적 특성지향’, ‘사회적 관계지향’, ‘개인적 유익지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대한 이와 같은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합리적 소비, 기호 상징적 소비, 경험적 소비, 반성적 소비라는 복합적인 현대소비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추구혜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의 특성을 형성하며, 소비를 결정하고 문화예술상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의 측정도구 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 및 소비자 중심의 문화예술상품 생산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소비자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