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국어 문법화와 역문법화의 비교 고찰

        양영희(Yang Young-hee)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2 No.-

        본 논의는 문법화와 역문법화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역으로 각각의 고유한 성질을 점검해 보려는 취지에서 출발하였다. 여기에는 최근에 관찰되기 시작한 특정 언어 현상을 역문법화로 규정하면서 막연하게 ‘문법화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현상’으로 규정하면서 문법화와의 관련성을 중시하는 태도에 대한 필자 나름의 견해를 구축하려는 의도가 내재해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내린 결론은 먼저 역문법화는 거시적으로 문법화의 반대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면은 공통되지만, 이 두 언어 현상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먼저 문법화는 대부분이 단선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기도 하지만, 하나의 문법 형태가 하나 이상의 문법화의 연쇄를 일으킴에 비하여 역문법화는 단선적인 방향으로만 진행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둘째, 문법화는 언중들이 어떤 두 언어 형식을 연접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이 두 형식을 단일한 단위로 인식함으로써 생성되지만 역문법화는 이와 반대로 자주 연결되어 사용되는 두 언어 형식을 단절하거나 분리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문법화는 진행 과정에서 구체적이고 어휘적 의미에서 추상적이고 문법적인 의미로 변함에 비하여 역문법화는 이러한 의미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compare grammaticalization and degrammaticalization to identify the intrinsic nature of each phenomenon. First of all, most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progress in direction, but a grammatical form may cause a chain reaction. On the other hand, degrammaticalization shows a difference in that it only proceeds to the unilinear direction. Secondly, in grammaticalization, speakers use two language forms consecutively and recognize the two forms as a single unit. Contrastively, it is assumed that degrammaticalization results from the disconnection or separation of collocation. Thirdly, grammaticalization makes a language form transform from a concrete and lexical meaning to an abstract and grammatical meaning. There is, however, no such change in meaning in degrammaticalization.

      • KCI등재

        문법화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고경재(Koh, Kyeong-Jae)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4 No.-

        본고는 문법화를 둘러싼 쟁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법화를 ‘덜 문법적인 형식’이 ‘더 문법적인 형식’으로 변화하는 것이라고 볼 때, 본고에서는 문법화의 결과인 ‘더 문법적인 형식’ 안에는 ‘실질형태소’도 포함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문법형태소와 문법형태소가 결합하여 새로운 문법형태소가 만들어진 경우는 문법성이 증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문법화’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문법화가 끊임없이 진행되면 최종적으로 해당 형태는 공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문법형태소>공형태의 변화는 문법화의 일부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형태는 결국 어기의 일부로 인식되므로, 공형태로의 변화는 어휘화와도 밀접히 관련된다. 여기서 문법화와 어휘화 간 접점이 마련된다. 어휘화도 문법화 논의에서 쟁점이 된다. 어휘화가 문법화의 전제가 된다(Lehmann 2002)는 논의도 있고, 어휘화는 문법화의 결과(고영진 1997)라는 논의도 있으며, 최근에는 어휘화는 문법화의 반대가 된다는 논의나 어휘화는 역문법화와 같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어휘화, 역문법화, 문법화 간의 관계를 고찰하여, 문법화의 반대가 되는 현상은 ‘역문법화’이며, ‘어휘화’는 ‘역문법화’를 포함하는 과정이기는 하지만 ‘역문법화’와 ‘어휘화’는 다른 과정이기 때문에 ‘문법화의 반대=어휘화’라는 도식은 성립될 수 없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issues of grammaticalization theoretically. If we consider the grammaticalization as the change from ‘the less grammaticalized form’ to ‘the more grammaticalized form’, ‘the more grammticalized form’ could have ‘lexical morphemes.’ In addition, If the two grammatical morphemes fused together to one grammtical morpheme, that change is not ‘grammaticalization’ but ‘morphologization.’ If the grammaticalization constantly progresses, the ‘empty morpheme’ rises. So the change ‘grammatical morpheme > empty morpheme’ is considered to be grammaticalization. But the empty morpheme is also considered to be the part of the stem, the change ‘grammaticalization > empty morpheme’ is related to ‘lexicalization’ as well. Here, we could recognize the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have the point of contact. This article considers the relation among lexicalization, degrammaticalization, and grammaticalization, and derived a conclusion that the degrammaticalization is the reversal of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includes degrammaticalization but lexicalization is a different process from degrammticalization, so ‘the reversal of grammaticalization=lexicalization’ is not correct.

      • KCI등재

        한국어에 나타나는 문법화와 어휘화 현상에 대하여

        이금희 ( Lee Keum-hee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본고는 문법화가 일방향적인 경향성을 지닌 현상으로 보고 이와 역방향의 변화를 보이는 예들을 ‘탈문법화’로 다루어 온 기존 논의를 비판하면서 ‘탈문법화’ 현상으로 설명했던 예들을 ‘어휘화’ 현상에 포함해 설명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탈문법화’는 ‘문법화’ 현상이 주 현상이고 그와 반대 방향으로의 몇몇 예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현상을 가리켜 온 개념인데 한국어에서는 어휘적인 요소가 문법적인 요소로 변화하는 과정만큼이나 문법적인 요소가 어휘적인 요소로의 변화도 많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문법화’의 반대 방향으로의 변화를 ‘탈문법화’가 아닌 ‘어휘화’ 현상의 일부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탈문법화’와 ‘어휘화’라는 두 개의 다른 개념으로 나누어 설명하던 것을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함으로써 보다 간략한 문법 기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한국어의 문법화나 어휘화를 보이는 예들은 한 형태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닌 구 구성에서도 문법화와 어휘화가 일어남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의 문법화의 예들을 살펴보면 문법 범주의 변화는 반드시 일어나고 형태 변화는 몇몇 예를 제외하고 대부분 재구조화와 탈락, 축약 현상이 일어나 형식의 감소가 일어나며 의미 변화는 반드시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어휘화에서도 이와 유사한 변화 현상이 일어나는데 어휘화에서는 형태 변화에서 절단 현상이 추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의 문법화, 즉 조사나 어미로 변하는 경우는 선행 요소에 조사나 어미가 나타나고 후행 요소에 동사의 활용형이나 명사가 나타나고 있으며 어휘화는 이런 문법화보다는 좀 더 다양한 형식들이 어휘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henomena relating to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in korean. Grammaticalization has been defined diversely so far, as diachronic and synchronic procedures in which lexical units are transformed into grammatical units. And degrammaticalization is a count-examples of this phenomena and it features a change from grammatical units to lexical units. At the point of making a word, however, degrammaticalization is conceptually involved with lexicalization. So, we define lexicalization that changes reverse direction of grammarlization.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have the common processes, such as reanalysis, abbreviation, and deletion. And they also have changes of grammatical categories and meanings. In grammaticalization, there are some examples to became a grammatical unit, by a form or a combination of some forms. And Lexicalization also have the same phenomena of it.

      • KCI등재

        ‘말이다’ 구성의 문법화와 화용화

        김민국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2 No.-

        ’말이다’ 구성은 변화 과정에 있는 여러 구성들이 공존하며 공시적으로 매우 다양한 변이 양상을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공시적으로 다양한 성격을 지니는 ‘말이다’ 구성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이들의 의미․기능과 문법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문법화 이론을 통해 이들의 변화 원리, 변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말이다’ 구성의 변화는 문법화 양상을 보이는 동시에 화용화 양상도 함께 보인다. 하지만 ‘말이다’ 구성의 화용화 양상은 ‘말이다’ 구성의 문법화 과정과 동일하였고 일반적인 문법화 원리로 설명 가능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한다면 화용화를 문법화와 동일하게 볼 수 있다. 그러나 ‘문법화’라는 용어가 가진 일반적인 의미에 비추어 볼 때, 화용화는 문법화의 하나로 보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법화’라는 용어가 가진 함의를 살펴보았다. 언어 변화와 언어 변이에 대한 일반적 원리로서의 문법화라는 의미에서 화용화는 문법화의 한 종류이지만 변화의 결과로 화용적 층위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화용표지가 되었다는 점에서 화용화는 언어 변화 현상으로서의 문법화와는 구분될 수 있다. 문법화 이론 내에서 화용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최근 논쟁이 되고 있는데 화용화를 문법화로 보기 힘들다는 논의와 그에 대한 반론들을 차례로 살펴보고 본고의 입장을 정리하였다.

      • KCI등재

        현대국어 의존명사의 탈문법화

        이숙의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6 No.-

        본고에서는 의존형태에서 자립 형태로 변화하는 국어의 탈문법화 현상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범주의 비경계성, 문법화, 탈문법화에 관한 그간의 논의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4장에서는 국어 의존명사의 탈문법화에 대해 '척, 나름, 때문에'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탈문법화 현상에 관한 논의는 언어 전이가 단일 방향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기존 견해에 관한 반례를 제시한다. 이러한 예들은 문법의미가 강한 지점에서 약한 지점으로, 어휘의미가 약한 지점에서 강한 지점으로 일관되게 변화한다. 따라서 문법화의 반대 현상도 일련의 체계 속에서 일어날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 특정 어휘의 탈문법화 진행 여부나 발달 정도에 따라 범주 전이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의존명사의 탈문법화 유형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논의하였으며, '척, 나름, 때문'이 탈문법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밝히고 자립성과 어휘의미 획득 정도에 따라 탈문법화의 발달 정도가 다름을 보여 주었다. 국어의 탈문법화 현상으로 밝혀진 예가 드물어서 탈문법화 현상을 일시적인 언어 범주 전이 현상이나 문법화의 예외 현상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탈문법화 현상이 다른 언어에서는 체계적인 언어 전이 현상으로 연구되고 있다는 점에서 국어 어휘를 대상으로 한 탈문법화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도 보다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degrammatical phenomenon of Korean bounded morphemes. This is about language change and comparison between grammaticalization and degrammaticalization. First, the traditional (historical) theory of the grammaticalization and the degrammaticalization are introduced. Grammaticalization is a process of seper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autonomy. Grammaticalization is based on the premise of unindirectionality, whereas degramaticalization hypothesis is regarded as counter directional tendencies. A morpheme that is the result of degrammaticalization gains "more lexical meaning" and gets "less bounded." In this paper, three Korean bound nouns are analyzed, which are '척', '나름', and '때문'. Recently, '척' show a tendency to change from bound noun to free noun and '나름' changes from bound noun to adverb. The degrammaricalization of '나름' is divided into two stages, the first is from bounded noun to adverb with postposition '-대로'. The second is without postposition. In quite recent '때문에' is undergoing degrammaticalization process, so it could be said "on the beginning moment of degrammaticalization." The results of studies on degrammaticalization in Korean are less than on the grammaticalization, which is due to lack of degrammatical phenomenon and short history of Korean letters in document. But considering that degrammarticalization has already been accepted as a general theory in language change, we also need an in-depth study of degrammarticalization in Korean language.

      • KCI등재

        통시적 관점에서의 품사 통용 연구 2 - 역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

        허원영,최대희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is study is to interpret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 previou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multi-part-of-speech through grammaticalization as part of a diachronic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multi-part-of-speech is interpreted focusing on the degrammaticalization. In chapter 2, review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diachronic research on multi-part-of-speech. Heo, Won-young⋅Choi, Dae-hee(2022) attempted a diachronic study of multi-part-of-speech through grammaticalization. The main discussion is to classify part-of-speech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level, and explain the cause of multi-part-of-speech as “decategorialization of grammaticalized words.”. Of course, Heo, Won-young⋅Choi, Dae-hee(2022) also mentions that all cases of multi-part-of-speech can not be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In addition, the three cases of ‘eon-je’ in ‘adverb-pronoun’, ‘ha-na’ in ‘numerals-noun’ and ‘bo-da’ in ‘postposition-adverb’ are considered to be due to degrammaticalization. These three cases prove degrammaticalization through three grounds: etymology, relationship to a series of words and time of appearance in the literature. In chapter 3, Describe the cases of multi-part-of-speech by degrammaticalization in detail. Examples of multi-part-of-speech by degrammaticalization include ‘eon-je’ in ‘adverb-pronoun’, ‘ha-na’ in ‘numerals-noun’ and ‘bo-da’ in ‘postposition-adverb’. First of all, It is confirmed that ‘eon-je’ in ‘adverb-pronoun’ is due to degrammaticalization through the etymology. ‘eon-je’ is the composition of ‘eoneu + jeok + -ui’ reduced to a single word. At this time, ‘-ui’ is an adverbial postposition, so it is natural to see the basic part-of-speech of ‘eon-je’ as an adverb. As a result, ‘eon-je’ of a pronoun is the degrammaticalization of an adverb. Also, it is confirmed that ‘ha-na’ in ‘numerals-noun’ is due to degrammaticaliz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series of words. ‘ha-na’ has a continuous numerals relationship ‘ha-na, dul, set, net, …’. At this time, ‘dul, set, net, …’ are all used only as numerals. Considering their continuous relationship,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basic part-of-speech of ‘ha-na’ as a numerals. As a result, ‘ha-na’ of a noun is the degrammaticalization of a numerals. On the other hands, it is confirmed that ‘bo-da’ in ‘postposition-adverb’ is due to degrammaticalization through the time of its appearance in the literature. ‘bo-da’ began to be used as a postposition from the 18th century literature, but the use of the adverb was confirmed in the 20th century. This is the basis for considering the basic part-of-speech of ‘bo-da’ as a postposition. As a result, ‘bo-da’ of an adverb is the degrammaticalization of a postposition. 이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품사 통용을 해석하려는 것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통시적 관점의 일환으로써 문법화 현상을 통한 품사 통용의 해석을 시도했다면, 여기서는 역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품사 통용을 해석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통시적 연구에 대한 성과와 한계를 조명한다.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문법화를 통해 품사 통용의 통시적 해석을 시도했다. 그 주된 논의는 문법성의 정도에 따라 품사의 위계를 나누고, 품사 통용의 원인을 “문법화에 놓인 단어의 탈범주화”로 설명하는 것이다. 물론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품사 통용의 모든 사례를 문법화로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도 언급한다. 아울러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를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 보았다. 이들은 어원,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라는 세 가지 근거를 통해 역문법화가 증명된다. 3장에서는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는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가 있다. 우선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는 그 어원을 따짐으로써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언제’는 ‘어느 + 적 + -의’의 구성이 한 단어로 준 것이다. 이때의 ‘-의’는 부사격조사이므로 ‘언제’의 기본 품사는 부사이다. 즉 대명사 ‘언제’는 부사 ‘언제’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또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는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하나’의 경우 ‘하나, 둘, 셋, 넷, …’의 연속적인 양수사 관계를 갖는다. 이때 같은 양수사인 ‘둘, 셋, 넷, …’ 등은 모두 명사로 쓰이지 않는다. 이들의 연속적인 관계를 고려한다면, ‘하나’의 기본 품사는 ‘수사’로 봐야 한다. 즉 명사 ‘하나’는 수사 ‘하나’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한편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는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보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조사로 쓰이기 시작하는데, 부사의 쓰임새는 20세기에 와서야 확인된다. 이는 ‘보다’의 기본 품사를 조사로 봐야 하는 근거이다. 즉 부사 ‘보다’는 조사 ‘보다’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 KCI등재

        현대국어 (역)문법화 논의를 위한 몇 문제

        양영희(Yang Young-hee)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본고는 (역)문법화 현상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초점을 두어 총체적이고 일관된 관점에서 정리하여 앞으로의 본격적인 논의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먼저 그동안 다양하게 규정되어온 문법화를 ‘문법 형태’의 측면에 방점을 두어 ‘어휘 단위가 문법 단위로 변하는 통시적ㆍ공시적 과정으로, 의미 변화를 수반하기도 하는 언어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역문법화를 ‘문법 단위가 어휘 단위로 변하는 언어 현상’으로 규정하였다. 또 본고는 (역)문법화와 어휘화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그동안 많은 이견이 있었던 점에 주목하여, (역)문법화의 단위를 문법 형태로만 한정하느냐 아니면 어휘 범주까지로 확대하느냐의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점을 비판ㆍ분석하여 본고는 어휘화와 (역)문법화는 관련이 없음을 전제로 하여, 다만 재분석이 허용될 경우는 (역)문법화로 수용하는 입장을 취하기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법 범주에 따른 (역)문법화 과정에 대한 기존의 견해 역시 다양하고 혼란스러운 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본고의 입장을 ‘명사ㆍ동사ㆍ형용사ㆍ부사> 의존명사ㆍ보조동사ㆍ관형사ㆍ대명사ㆍ접두(미)사> 조사ㆍ어미’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의 진행을 ‘역문법화’로 규정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re is no rudimentary discussion on (de)grammaticalization, and therefore tries to synthesize it extensively and consistently for future discuss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first defines grammaticalization, which has been defined diversely so far, as ‘diachronic and synchronic procedures in which lexical units are transformed into grammatical units with possible changes in the meaning,’ focusing on ‘grammatical forms’. Based on this definition, degrammaticalization is defined as ‘a linguistic phenomenon in which grammatical units are transformed into lexical units.’ In addition, this study notes that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It is due to the varying viewpoint, that is, whether grammaticalization units should be limited in grammatical forms or it should be expanded into the lexical category. Analyzing and criticizing these opinions, this paper takes a position that assumes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with the exception that the reanalysis is permitted. In this case, (de)grammticalization is accepted. Finally, this study points out that existing viewpoints about the (de)grammaticalization procedure according to grammatical categories are also diverse and confusing.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rocedure be arranged as ‘noun, verb, adjective, adverb>bound noun, assistant verb, determiner, pronoun, prefix/suffix> postposition, ending.’ Furthermore, the counter-procedure is defined as ‘degramiticalization.’

      • KCI등재

        통신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 -접두사"개-"의 용법을 중심으로-

        강희숙 ( Hui Suk Gang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1

        본 연구는 통신언어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어 온 문법적 기능 바꾸기 현상 가운데는 단순히 품사의 전성 또는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문법화나 역문법화 현상으로 기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유형이 포함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최근의 통신언어에서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는 접두사 ``개-’의 역문법화 현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역문법화(degrammaticalization) 현상이란 여러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문법화(grammaticalization) 현상과 반대되는 현상이긴 하지만, 영어를 비롯한 다른 몇몇 언어에서도 엄연히 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어의 일상어에서도 종종 발견되어 온 현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언어학에서의 문법화와 역문법화의 원리와 함께 오늘날 통신언어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기능 바꾸기를 문법화 현상과 역문법화 현상으로 구분하여 그 유형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본 다음, 이를 토대로 접두사 ``개-’의 역문법화 현상을 관찰·분석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grammaticalization of ``gae-`` which has been actively realized in the internet language in terms that it includes types which need to be described through a phenomenon of grammaticalization or degrammaticalization rather than just a transformation of parts of speech. Degrammaticalization has been often discovered in our Korean offline language as well as it exists in a few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lthough it is opposite to grammaticalization which is commonly discovered in many languages. Therefore, the study categorized changes in grammatical functions into grammaticalization and degrammaticalization to speculate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then analysed degrammaticalization of ``gae-``, a prefix.

      • KCI등재

        현대중국어 `왕(往)A리(里)V` 구문의 의미와 문법화 연구 - 코퍼스 분석을 중심으로 -

        쉬리 ( Xu Li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3 No.-

        본고는 구문문법에서 `구문`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여 현대중국어 `往A里V`구조를 하나의 구문으로 보았다. 코퍼스의 대량의 언어자료에 대한 통계를 내고 분석함으로써 `往A里V`구문이 내포하고 있는 `목표의미`의 특징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 하였다. 아울러 문법화 이론을 바탕으로 공시적 측면에서 `往A里V`구문의 문법화 정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술한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往A里V`구문의 초점은 `목표의미`에 있다. 이러한 목표의미의 지배를 받아 `往A里V`구문에 들어가는 동사는 일반적으로 타동사이고, 빈어가 자주 생략되거나 전치된다. 둘째, `往A里V`구문의 구문의미는 `추상적인 목표를 향한 접근`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往A里V`구문의 `往`의 문법화로 통해 반영된다. `往`은 원래 동작성이 강했던 동사였으나 문법화 되면서 동작성이 많이 약화되어 `추상적인 목표를 향한 접근`만이 남아 있다. 셋째, `往A里V`구문이 내포하고 있는 `목표의미`의 수량적 특징은 고정된 `量點`이 아니라 펼칠 수 있는 `量幅` 특징으로 나타나므로 `往A里V`구문에는 성질형용사의 원형만이 들어갈 수 있다. 넷째, `往A里V`구문의 `목표의미`는 가장 `양극성`을 지닌다. 따라서 반의어를 가질 수 있는 성질형용사만 `往A里V`구문에 들어갈 수 있다. 성질형용사 앞의 `最`가 나타나는 것에 대해서 본고는 `목표의미`의 `양극성`을 최대화시키는 결과물로 보았다. 다섯째, 본고는 `往A里V`구문에서 나타나는 `목표의미`와 관련된 모든 어법특징은 `往A里V`구문이 문법화 된 결과이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 구문은 `里`의 용법과 통사적 위치에 있어 강한 경향성을 보이고 의미 확장은 `里`의미의 추상화와 의미 영역의 전이에서 나타난다. 코퍼스에 근거해 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고는 `往A里V`구문의 문법화의 진행 과정을 도식화하였다. 즉 `往A里V`구문의 문법화는 진행 과정 중에 있으며 `추상적 방향(추상적 처소 남음) 〉 추상적 방향(구체적인 방향 남음) 〉 추상적 방향 + 추상적 목표` 문법화 단계로 분화되어 있다. 본고는 `往A里V`구문을 완전히 문법화 된 구문으로 보지 않았고 문법화가 진행되면서 `里`가 `了`로 바뀔 수 있거나 탈락되는 현상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고 추측한다.

      • KCI등재

        통시적 관점에서의 품사 통용 연구 - 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

        허원영,최대희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0 No.-

        This study is to interpret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 this case, the interpretation of the diachronic perspective refers to the inference of the process or result of language change. Here, Multi-part-of-speech is interpreted based on the grammaticalization theory among the language change theories. In Chapter 2,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f Multi-part-of-speech. Multi-part-of-speech is a phenomenon in which more than one part-of-speech is included in one word. In the existing discussion, the phenomenon is described synchrony and defined as the concept of [-directionality]. However, since Multi-part-of-speech is withhol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itself, defining it as [-directionality] is problematic. Also, it is believed that Multi-part-of-speech is mainly derived from part-of-speech classification, which is also a synchrony interpretation. In most types corresponding to Multi-part-of-speech, diachronic change is confirmed. After all, Multi-part-of-speech can also be described as [+directionality]. Accordingly, Multi-part-of-speech requires an interpretati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as well as the existing synchrony interpretation. In Chapter 3, Multi-part-of-speech was described by grammaticalization. Although diachronic change is explained by various types of theories, grammaticalization is referenced in relation to Multi-part-of-speech. In this case, grammaticaliz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less grammatical thing is transformed into a more grammatical one. In grammaticalization, changes in the three domains of meaning, phonology, and category appear in a single direction. In particular, Multi-part-of-speech is related to the grammaticalization of categories. The part-of-speech category of the Korean language is grammaticalized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level in the following way : ‘noun/verb/adjective > pronoun/numerals > adverb > determiner > interjection > postposition’. In this way, the movement of the parts-of-speech category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is called decategorialization. That is, Multi-part-of-speech occurs as the word placed in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is decategorialization. Of course, not all types of Multi-part-of-speech can be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In addition, even within the same type, there are cases where it is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an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ot. Accordingly, in the text, cases of Multi-part-of-speech by grammaticalization are classified and organized. 이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품사 통용을 해석하려는 것이다. 이때 통시적 관점의 해석이라는 것은 언어 변화의 과정 혹은 결과의 추론을 말한다. 여기서는 언어 변화 이론 중 문법화론에 입각하여 품사 통용을 해석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앞선 연구들을 검토한다. 품사 통용은 한 단어에 둘 이상의 품사가 포함되는 현상이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해당 현상을 공시적으로 기술하고, [-방향성]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다만 품사 통용은 현상에 대한 해석 자체를 유보하는 것이므로, 이를 [-방향성]이라 정의하는 것은 문제이다. 또한 품사 통용은 주로 품사 분류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지는데, 이 역시 공시적인 해석이다. 품사 통용에 해당하는 대다수의 유형에서는 통시적 변화가 확인된다. 결국 품사 통용은 [+방향성]으로도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품사 통용은 기존의 공시적 해석뿐만 아니라 통시적 관점에서의 해석도 필요하다. 3장에서는 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을 기술한다. 통시적 변화는 다양한 유형의 이론들로 설명되지만, 품사 통용과 관련해서는 문법화가 참고된다. 이때 문법화란 덜 문법적인 것이 더 문법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뜻한다. 문법화에서는 의미, 음운, 범주 세 영역의 변화가 단일방향적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품사 통용은 범주의 문법화와 관련된다. 국어의 품사 범주는 그 문법성의 정도에 따라 ‘명사/동사/형용사 > 대명사/수사 > 부사 > 관형사 > 감탄사 > 조사’의 경로로 문법화된다. 이처럼 문법화 과정에서 품사 범주가 이동하는 현상을 탈범주화라고 한다. 즉 품사 통용은 문법화 과정에 놓인 단어가 탈범주화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물론 품사 통용의 모든 유형을 문법화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같은 유형 내에서도 문법화로 설명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본문에서는 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들만을 분류하여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