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중종-선조대 문묘종사논의의 교육학적 해석

        이미종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2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interpret the debates surrounding enshrinement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Munmyo from an educational viewpoint. In order to do so, I analyze two debates, one of which is about the enshrinement of scholars in the Munmyo during the Jungjong period and the other debate concerns the enshrinement of scholars in the Munmyo during the Seonjo period. These two debates sha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se two debates had special significance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how the Choson dynasty shapes Neo-Confucianism. If, in fact, the Choson dynasty's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Jungjong period were developed neo-confucianism in the light of cultivating the mind by enshrining Jeong Mong-ju(鄭夢周) in the Munmyo, then during the Seonjo period it would be developed theoretically by enshrining five sages (五賢). But there are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If the debate under the reign of Jungjong were interpreted into an educational measures that the mind can be changed for the better through reforming institutions, the debate under the reign of Seonjo could be interpreted into an educational measures through how studies were done. In this case, due to the flaws of the two educational arrangements, these educational measures needed each other. 종종-선조대 문묘종사논의는 모두 조선 성리학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다. 중종대 문묘종사논의는 정몽주를 문묘에 종사함으로써 조선 성리학이 심성을 중심으로 발전할 결정적 계기를 마련하며, 선조대 문묘종사논의는 5현을 문묘에 종사함으로써 심성을 중심으로 재조직된 조선 성리학이 학문적으로 발전할 계기를 마련한다. 양대 문묘종사논의는 단순히 문묘대상자를 결정하는 논의가 아니라, 조선 성리학자들의 한평생의 삶을 좌우하는, 조선 성리학의 성격을 결정하는 논의인 것이다. 그러나 양대 문묘종사논의는 이러한 유사점 이외에 차이점 또한 가지고 있다. 중종대 문묘종사논의가 제도 개혁을 통하여 훌륭한 인간을 만들려는 교육적 조치를 나타낸다면, 선조대 문묘종사논의는 학문 연구를 통하여 훌륭한 인간을 만들려는 교육적 조치를 나타낸다는 것이 그것이다. 양대 문묘종사논의를 이와 같이 해석하고 보면, 제도 개혁을 통하여 훌륭한 인간을 만들려는 교육적 조치와 학문 연구를 통하여 훌륭한 인간을 만들려는 교육적 조치는 각각의 한계로 말미암아, 필연적으로 서로를 요청한다. 온전한 의미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두 가지 교육적 조치의 상호 보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전반 宋時烈 文廟 從祀 논란의 정치적 의의

        이근호(Lee, Geun-Ho)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2

        이 연구는 숙종 말년 이후에 제기되어 1756년(영조 32) 2월에 결정된 송시열의 문묘 종사 논란이 지니는 정치적 의미를 추적한 것이다. 지금까지 老論과 少論의 정치적 향배 속에서 해당 논의를 추적하던 것에 대해 肅宗이나 英祖등 국왕의 정치적 의도를 함께 고려하면서 살펴보았다. 숙종대 후반에 제기된 문묘 종사 요청 상소는 노론 주도의 정국 상황에서 제출된 것이다. 노론의 정치적, 학문적 우위 속에서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를 반대하는 여론이 제기되고, 또 朴世采와 함께 종사하자는 논의가 대두함으로써 士林공론의 분열이 있었다. 또한 특정 당파의 일방적 우위를 용인하지 않으려는 肅宗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되면서 결정될 수 없었다. 이후 문묘 종사는 논의는 1721년(경종 1) 少論주도의 정국, 그리고 1727년(영조 3) 국왕 주도의 蕩平하에서 간간이 제기되다가 1735년(영조 11) 이후에는 급증하였다. 점차 송시열의 문묘 종사 논의에 대한 사림의 논의가 상당히 파급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嶺南南人들 일부가 중앙 정치에 진출하는 분위기에 편승, 이에 대한 반대 논의가 있었다. 또한 영조는 유생들의 논의를 “文華”라 지칭하면서 실질을 준수하라며 결정을 유보하였다. 문묘 종사 논의는 1754년(영조 30) 이후에 다시 급증하였다. 당시가 송시열이 정치적으로 복권되지 60주년이 되는 상황에서 추진된 것이지만, 그 배경에는 송시열을 복권시킨 숙종에 대한 왕실의 존숭 분위기가 전제되었다. 1756년 2월 송시열과 함께 송준길에 대한 문묘 종사가 결정되었다. 그 이유를 英祖는 사림의 논의가 일치되었기 때문이고, 때가 되었기 때문이며, 기회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물론 반대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公議가 일치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단, 약 40여년간 논의가 지속적으로 제기될 수밖에 없었던 배경에는 국왕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종사가 결정되었다는 점에서 노론 학통과 정치 의리가 정통으로 인정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영조의 의도가 강하게 작용하였다. 즉 君師를 강조하는 국왕의 정치적 의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문묘 종사 논의를 비단 노론과 소론 사이의 정치 행위에 발생한 산물로만 이해하는 것은 재고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litical meaning of Enshrinement of Confucian Scholars by Song Si-Yeol, which had been brought up after late period of Sukjong(肅宗) and was finally decided at February 1756(Yeong jo 32). Having examined in terms of political attitude of Noron(老論) and Soron(少論), this study also takes a look at the political intention of king such as Sukjong or Yeongjo(英祖). An appeal about Enshrinement of Confucian Scholars was brought up in Sukjong"s regin in which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was taken lead by Noron. It was for them to prove their political, academical superiority. On the other hand, opposing opinion was raised. With the rise of voice asserting enshrinement with Park Se-Chae(朴世采), there was separation between Sarim"s united opinion. Also, as the political intention had been mirrored, trying not to allow a biased superiority of a certain political party, it could not be determined. This controversy had been brought up during political situation lead by Soron after 1721(Kyungjong 1) and was raised occasionally under Tangpyeong(蕩平) taken lead by king in 1727(Yeongjo 3). Suddenly after the 1735(Yeong jo 11), the dispute was surged. It means that Sarim were actively discussing about Enshrinement of Confucian Scholars by Song Si-Yeol and its consequence gradually spread throughout the nation. Though a part of YoungnamNamin(嶺南南人) participated in central politics, there were objection about this situation. Furthermore, Yeongjo referred confucian scholar"s argument as "Munhwa(文華)". Eventually, he put off the decision, mentioning they should perform their own duty. A dispute was rapidly increased after 1754(Yeongjo 30) again. At that time, it was pushed to commemorate for 60th anniversary of Song Si-Yeol"s political reinstatement. However, in the background, there were movement atmosphere in royal family about Sukjong who made Song Si-Yeol reinstated. This controversy was finally determined on February 1756. This is because, as Yeongjo said, Sarim"s argument coincided, the time was ripe and the opportunity came at that time. Naturally, there was also strong objection, but general opinion reached to agreement. The reason it must have been continued for almost 40 years comes from the king"s political intention It means that Noron"s academic root and their own political logic was acknowledged as legitimacy". In this part, Yeongjo"s purpose worked strongly. That is, it could have been done because of king"s political intent emphasizing Gunsa(君師). In this aspect, the controversy about Enshrinement of Confucian Scholars was not merely the result of political behavior between Noron and Soron. This kind of perspective should be examined.

      • KCI등재

        中宗代 文廟從祀 論議와 朝鮮 道統의 形成

        김영두(Kim Young-Doo)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5

        조선 중종대의 정몽주-김굉필의 문묘종사 논의는 주자학 도통론의 사상적 영향 아래 진행되었다. 중종 5년과 9년에 건의된 정몽주의 문묘종사 주장은 중종 12년부터는 정몽주와 김굉필을 함께 문묘에 종사하자는 주장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주자학 도통론의 강력한 영향 아래 조선 도학의 정통이 정몽주로부터 김굉필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도학 정통의 수립과 병행하여 추진되었다. 공자에서 맹자로 이어지던 도학의 정통은 그 뒤 끊어지고 말았는데, 그것을 송대의 주돈이가 이어 주희에까지 계승되었다는 것이 주자학 도통론의 내용이었다. 이러한 이념의 영향으로 이 시기 조선에서는 고려말 정몽주가 도학의 정통을 중국으로부터 이어받았으며 그것이 김굉필에게로 전해졌다는 내용의 도학 계보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계보의 형성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정몽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다. 조선왕조 건국자들과의 정치투쟁 과정에서 죽음을 당했던 정몽주는 조선 건국 직후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는 곧 태종에 의해 고려를 대표하는 충신으로 받들어졌고, 그러한 평가는 대대로 국왕들에 의해 유지되고 강화되었다. 그것은 정몽주에게서 왕조의 흥망에 자신의 운명을 거는 절대적 충신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정몽주를 조선 도통의 선구로 보는 유학자들은 ‘동방이학의 선조’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그리하여 그를 도학 계보의 시작점에 자리매김하였던 것이다. 과거 국왕들에 의해 구축되었던 정몽주의 명성은 그러한 이미지를 국가적으로 공인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동력으로 기능하였다. 정몽주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정몽주-김굉필의 도학 계보 형성은 조광조를 중심으로 하는 중종대의 사림 세력이 자신들의 정치적, 이념적 권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들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세조대와 연산군대의 역사를 보는 관점을 다시 세우고 과거의 결정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넘어, 도통론이라는 보편적인 이론을 통해 자신들의 권위를 세우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했던 것이다. 그 과정에서 조광조의 스승인 김굉필이 도학의 적통으로 추대되었다. 하지만 중종대의 문묘종사 논의는 정몽주만 문묘에 종사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따라서 김굉필을 문묘에 종사하여 조광조와 연결하려던 사림 세력의 의도는 현실정치에서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정몽주의 문묘종사는 도학의 계승자가 국가적으로 공인되어 문묘에 종사된 것이다. 이는 도통론이 조선의 이념적 지향을 결정하는 담론으로 기능할 수 있는 단초를 열었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Daoton Doctrine of Zhuixue had influenced debates on enshrinement of Jeong Mong-ju and Kim Geong-pil in Munmyo (Confucius's Shrine) during Jungjong era. The claim for the enshrinement of Jeong made in 1510 and 1514 was expanded into the one including Kim in 1517. The movement for co-enshrinement can be juxtaposed with the formation of legitimate succession from Jeong Mong-ju to Kim Geong-pil. According to the Daotong doctrine, the legitimate transmission of Confucius's philosophy was discontinued after Mencius. Later, however, Chow in northern Sung restored the tradition and Zhuixue took over. The Sarim of Joseon Dynasty adopted this ground and argued that Jeong in Koryo dynasty inherited the legitimate authority from China and handed it down over to Kim. While forming the transmission, the image of Jeong was changed. Because Jeong was executed by the founders of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imposed negative image of Jeong. Soon, however, he carne to be admired by king Taejongand succeeding kings of Joseondue to the fact that he was loyal to Koryo Dynasty until his death. Additionally, the Confucian scholars who strived for the enshrinement of Jeong added the image as 'the pioneer of Korean Dohak' and placed him as the first one to legitimately transmit the Dohak in Joseon Dynasty. The accumulated reputation of Jeong Mong-ju by the past kings played a major role in officially proving the established image. Sarim party under the reign of Jungjong changed the image of Jeong Mong-ju and formed the connection between Jeong and Kim, as a part of their efforts to obtain political and ideological authority. Throughthese efforts, they tried notonly to build a new prospect which explained the history of the reign of King Sejo and King Yeonsan and to rectify false decisions, but also to use the Daotong doctrine as a universal concept to construct their ideological authority. Kim, the teacher of Jo Gwang-jo was promoted as the legitimate transmitter of Joseon Dohak. Debates on enshrinement of Jeong Mong-ju and Kim Geong-pil in Munmyo (Confucius's Shrine) were concluded by enshrining Jeong Mong-ju only. Therefore, Sarim's attempt to enshrine Kim and connect him to Jo looks like a failure. However, Jeong was enshrined as a legitimate transmitter of Dohak, which meant the Daotong doctrine was accepted officially by the nation for the first time. This historical event is significant in that Daotong discourse served as a momentum to decide the ideological direction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고려시대의 문묘

        도요시마유카 ( Toyoshima Yuka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0

        본고에서는 고려왕조가 도읍지 개경에 설치하여 공자를 모시던 문묘에 대해 다음과 같이 3장으로 나누어 고찰을 하였다. 우선 기초적인 작업으로 제1장에서는 문묘 위치의 변천을 밝히고 그 성과를 지도로 작성하였다. 다음에 제2장에서는 문묘제사 대상신위의 변천을 중국제도의 도입에 초점을 맞춰서 재검토하였다. 여기에서는 고려 초기부터 『詳定古今禮』의 성립(12세기 중반)까지, 그리고 원 간섭기의 두 시기로 나누어 논하였다. 『상정고금례』의 성립에 이르기까지의 문묘배향·종사제도의 정비과정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에서도 지적하는 바와 같이 송 제도의 영향이 짙은 반면, 송제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인 면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신라인 최치원과 설총을 모셨던 사실과 더불어 고려 문묘의 독자성과 송제 도입에서의 자주적 자세로 볼 수 있다. 고려 후기 문묘제사 대상의 변천과 중국제도의 영향에 관해 고려시대 사료 중에는 충분한 언급이 없지만, 조선 초기의 기사 및 중국사료의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려 후기 문묘 정비의 전기는 1304년 大成殿 건설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즈음 고려는 원나라 문묘의 제사대상자 그림과 제기·악기 등을 입수하여 원 문묘의 배향·종사제를 참고로 하였다. 이와 같이 이 시점에는 원 문묘로부터의 영향이 컸지만, 그 이후에는 원나라에서의 개정을 낱낱이 반영시키지는 않은 채 조선왕조로의 이행이 이루어졌으며, 조선 초기에 이르러 명의 제도에 따르려고 하는 관료들에 의해 개정이 이루어졌다. 제3장에서는 중국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드러난 고려 문묘의 또 하나의 특징으로서 문묘와 짝을 이루는 무묘가 세워지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본고에서 논한 바와 같이 고려전기, 특히 11세기 말부터 12세기 전반까지 이루어진 문묘의 정비는 명백히 송 문묘를 모델로 한 것이었으며, 고려 후기인 14세기 초에 대성전을 세웠을 때는 원 문묘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唐代에 文宣王廟의 짝으로 설치되어 송·원 왕조에서도 모셔진 武成王廟가 고려에는 끝까지 도입되지 않았다. 이처럼 고려에서 무묘가 문묘와 짝하여 존재할 수 없었던 배경에는, 과거제도에서도 무과가 설정되지 않았던 것처럼, "武"에 대한 "文"의 우월성이 지배층 사이에 굳게 인식되어 있던 사정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ucian shrine established in the capital during the Koryo dynasty. In the first chapter the author reveals how the location of the Confucian shrine changed during the years of the dynasty, preparing a map which shows the change of these locations. In the second chapter the author re-examines how the arrangement of memorial tablets of sages and the object of ritual ceremonies in the Confucian shrine changed, focusing on the adoption of the Chinese rituals and its influence on the Korean ritual ceremonies. The author discusses two separated periods: the period until the establishment of Sangjeong gogeum rie 詳定古今禮 (middle of the 12th century) and the period of the intervention in Korea by China during the Yuan dynasty. As it is already pointed out in the preceding research, the Chinese system for ritual sacrifice established in the Song period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of "matching sacrifice (peixiang 配享)" and "ancestral sacrifice (congsi 從祀)" in the Confucian shrine (the system of ritual sacrifice for the memorial tablets of sages) in Korea until the time when Sangjeong gogeum rie was established. Still, it can also be revealed that Koreans selectively adopted the Chinese ritual system. This fact and the fact that Che Chiwon 崔致遠 and Seol Chong 薛聰 from Silla were deified in the Koryo period can be considered as a unique feature of the Confucian shrine in the Koryo period and it also shows the independent attitude of Koreans concerning the adoption of ritual system in the Song dynasty. Sources from the Koryo period contain no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change of object of ritual sacrifice in the Confucian shrine during the late Koryo period and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system. Still, by examining of records from the early Choson period and Chinese sources, the author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landmark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shrine in the late Koryo period is 1304, when the Daeseongjeon 大成殿 (main hall in Confucian shrine) was built. At that time the Koryo dynasty obtained ritual implements, musical instruments and pictures of sages as sacrificial objects from Confucian shrines in China during the Yuan period and adopted the system of "matching sacrifice" and "ancestral sacrifice" of Confucian shrines in China. Consequently, at that time the Confucian shrine was profoundly influenced by Confucian shrines in Yuan-China, but after that during the Koryo period this shrine did not fully reflected the changes of "matching sacrifice" and "ancestral sacrifice" of Confucian shrines in Yuan-China any more. At the beginning of the Choson period, however, a revision of the old ritual system was carried out by officials who intended to adopt the ritual system of the Ming dynasty. In the third chapter, as another characteristics of the Confucian shrine of the Koryo dynasty, the author points out that Wumiao 武廟 (Shrine of Taigongwang 太公望)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Tang dynasty as pair of the Wenmiao 文廟 (Confucian shrine) and also worshipped during the Song and Yuan dynasty, had never been established. One of the reasons of this fact is that the ruling class clearly recognized the superiority of "wen 文 (literacy)" against "wu 武 (military)" such in the case of the state examination in which there existed the exam for civil servants but there was no exam for military servants.

      • KCI등재

        조선시대 문묘석전(文廟釋奠)의 쟁점과 특징

        김현수 동양철학연구회 2023 東洋哲學硏究 Vol.113 No.-

        This paper analyzes Munmyoseokjeon(文廟釋奠, the Memorial Service for Confucian Sages, including Confucius) in Choseon Dynasty. Chosun Dynasty is Confucian natiion, Munmyoseokjeo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ritual from the beginning of Chosun Dynasty and was implemented very actively. It's gradually developed with Korean characteristics and it's different from Chinese Munmyoseokjeon. There are three Korean characteristics of Munmyoseokjeon in Choseon Dynasty period. Firstly, title of honor of Confucius is different from China. In Ming Dynasty, the title of Confucius as king was scrapped on 9th year of King Sejong's reign(1530). In contrast, there was a controversy over the title of honor of Confucius in Choseon Dynasty, and the title of Confucius as king remained the same. Secondly, In addition to Confucius and Confucian sages of China, Choseon Dynasty served a total of 18 prehistoric people from Unified Silla, Goryeo, and Choseon in the Munmyoseokjeon. Lastly Choseon Dynasty emphasized Neo-Confucianism and served Chinese Neo-Confucianists. In contrast, many scholars of the Wang Yangming school and of the Qing's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were served in China.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Song's six Neo-Confucianists and China is also different. In Choseon Munmyoseokjeon, Song's six Neo-Confucianists go up to the Great Hall of the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조선은 유교를 이념으로 한 국가로, 공자를 위시한 유교 성현을 제사지내는 문묘석전은 조선 개국 초부터 중요한 의례로 인식되어 활발하게 시행되었다. 그리고 점차 중국과 다른 특징을 지니면서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문묘석전의 특징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공자의 시호가 중국과 다르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명 세종 가정 9년(1530)에 공자를 왕으로 호칭하는 것을 폐기하고, ‘지성선사(至聖先師)’로 개칭하였다. 이에 비해 조선에서는 공자 시호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의 시호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둘째, 고려시대에 설총(薛聰), 최치원(崔致遠), 안향(安珦)을 문묘종사한 것에 이어서 조선시대에 정몽주(鄭夢周),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조광조(趙光祖), 이언적(李彦迪), 이황(李滉), 김인후(金麟厚), 이이(李珥), 성혼(成渾), 조헌(趙憲),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時烈), 박세채(朴世采)를 문묘종사하였다. 이들은 모두 성리학자에 해당되는데, 이는 조선시대 유학이 성리학 중심으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셋째, 조선시대 문묘에 종사된 중국 선현들도 중국 성리학자 중심으로 배향되었다. 이에 비해 중국은 명대 양명학자 및 청대 학자들을 많이 종사하였다. 더불어 조선은 주자를 위시한 송조 6현을 동서무(東西廡)에서 대성전(大成殿)으로 승배(陞配)시켰다. 이는 송대 성리학이 바로 공자와 맹자의 도통(道統)을 잇고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 KCI등재

        韓ㆍ中의 朋黨士禍ㆍ文廟從祀ㆍ道統淵源의 社會政治的 兩面性

        권인호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현재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금융 자본주의의 도도한 흐름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 이때 우리 한국을 둘러싼 내외의 현실은 여전히 급박하고도 어렵다. 국제 관계에서는 동서고금의 역사를 살펴볼 때 ‘영원한 우방도 영원한 적국도 없다.’는 것이 진리이다. 유학 특히 정주 성리학을 국가 철학내지 사회정치(통치)사상으로 채택한 것은 한국(고려말-조선조)⋅중국(송대-청대) 근세사의 공통된 특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19세기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인한 서구 근대화 과정에서, 이를 시대에 맞지 않는 사상과 이념으로 파악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하여 그 부정적 측면을 많이 강조해 왔다. 조선 개국 후 100여년 될 무렵 무오년(1498년)부터 사화가 일어나서 이른바 ‘사대사화(戊午ㆍ甲子ㆍ己卯ㆍ乙巳)와 정미사화(1547년)까지 많은 조신(朝臣)과 선비를 도륙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꼭 20년 전인 선조 5년(1572년) 7월 19일 경연에서 이이(李珥)가 선조께 아뢰기를 붕당의 조짐을 예견하여 유차(遺箚)을 올려 우려한 이준경(李浚慶)에 대해 인신공격을 하였다. 일제는 그들의 조선 강점을 합리화하기 위하여 조선 시대의 ‘정체성론’과 ‘타율성론’ 등 그 원인을 유교사상(성리학)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당쟁’이라고 강변하였다. 한국에서는 문묘(孔廟)의 대성전에는 공자를 위시하여 안자, 증자, 자사, 맹자 등 사성과 공문십철(孔門十哲), 송조육현(宋朝六賢)의 위패를 배향하였다. 동무에는 중국 명현 47위와 한국 명현 9인위를 종사하였다. 서무에도 중국 명현 47위와 한국 명현 9위를 종사하여 총 133인의 위패를 모셨다. 한국은 원대(元代) 허형(許衡) 이후로 명ㆍ청대 인물을 종사하지 않고 한국의 현인들 가운데 이른바 ‘동방십팔현(東方十八賢)’을 모신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도통의 논의와 그 영향은 조선조 시대 중종반정을 거치고 난 후 정몽주와 김굉필의 문묘종사 거론과 함께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중국의 도통연원에 연결하여 정몽주 - 길재 - 김숙자 - 김종직 - 김굉필ㆍ정여창 - 조광조로 이어지는 한국의 유학(성리학) 도통연원이 형성되었다. 이것은 다시 광해군 2년(1610년)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즉 이른바 ‘오현(五賢)’이 문묘에 종사되면서 더욱 확고해져 갔다. 한편 중국에서는 북송의 구법당이었던 정자와 양시 그리고 남송의 주희가 북송의 왕안석에 대하여 폄하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대성전에 배향되었던 왕안석의 위패는 양시의 주장에 의해 출향되었다. 요순에서 공맹을 거쳐 주돈이-이정(정호ㆍ정이)-양시-나종언-이동-주희로 이어지는 도통연원을 형성해 갔다. 그것은 송말원초에 허형에 의해 원나라에 전해진 정주 성리학의 관학화로 더욱 구체화되었다. 이것은 명ㆍ청를 거쳐 약 700년간에 이르도록 관학의 형세를 유지하였다. 조선조 또한 마찬가지이며, 유교문화권내지 한자문화권이라고 하는 일본과 월남도 기간과 및 그 양상이 다를 뿐이지 비슷한 모습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도통연원은 학문사상이 역사에서 과거와 현재도 정당화하고, 나아가 미래까지 정당화하려는 의지의 발로일 것이다. 그러나 제국주의 국가들의 침탈과 21세기 신자유주의와 세계화가 확산된 현재의 시점에 와서 세계적인 금융 자본주의 위기의 확산 및 비윤리적 확장과 파행은 우리에게 유학의 새로운 재조명과 인식을 요한다고 본다.

      • KCI등재

        최충에 대한 역대 인식 변화와 문묘종사 논의의 이해

        이성호(Lee, Seong-Ho)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2 No.-

        고려시대에 최충에게 붙여진 ‘유종, 문헌, 해동공자’와 같은 다양한 칭호를 부여 받은 학자도 드물다. 그 칭호에는 북송성리학의 영향과 함께 문묘종사의 자격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조선초기 세종대의 문묘종사 논의는 실현되지 못하지만 해주 지역 향교에서는 성종대에 독자적으로 종사하다가 국가로부터 철훼당하고 있다. 해주에서는 중종대에도 재차 종사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조광조가 펼친 소학 운동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이후 이황의 영향으로 ‘문헌서원’이 건립되었고, 기대승은 ‘공맹의 심학(心學)과 기자의 홍범구주의 수를 아는자’로 인식하였다. 또 율곡 이이는 해주향약에서 최충을 추숭하고, 직접 문헌서원 학규를 저술한다. 최충의 학문이 ‘심학’으로 인식된 이후에는 ‘이학(理學)’을 정자?주자 보다 먼저 밝혔다고 주장하고, 홍양호도 같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 이런 영향으로 화해사전(華海師全) 에서는 결국 최충을 주자성리학의 시조로 인식하게 된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장지연은 최초로 최충과 호원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게 되고, 드디어 최충을 최자(崔子)’로 호칭하는 저서가 등장한다. 최충의 후손인 최경식이 저술한 최자전실기이다. 이 책에서 여사제강 을 인용하여 최충을 호원의 ‘호소지교(湖蘇之敎)’와 비교하지만 실제로는 송대사기강의를 그대로 전사한 것이다. 이후 쓰인 글들 중에는 이 오류를 무비판적으로 인용하게 된다. 이런 오류에도 불구하고 최경식은 최충을 ‘최자(崔子)’라고 존숭하는 평가를 최초로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후의 학자들은 공묘(孔廟)에 종사되는게 당연하다고 주장한다. Choe Chung had been given many titles such as "Yujong(儒宗)", "Munheon(文憲)", and "Haedonggongja(海東孔子)". Han Yu(韓愈) and GuYangsu(歐陽脩) who were called "Yujong" in China had a influence on "Neo Confucianism of the Northern Song(北宋性理學)". In Goryeo, Seol Chong(薛聰), Choe Chiwon(崔致遠), Choe Chung, and I Saek(李穡) were called "Yujong". The title of ‘Munheon(文憲)’ was also affected by "Neo Confucianism of the Northern Song". The title of ‘Haedonggongja’ in East Asia meant a cultural pride. Choe Chung was regard as a person who established a school and trained pupils in compliance with Confucius" wishes. Therefore, he ranked with Howon(胡瑗) of the Northern Song. Choe Chung, with Gwon Geun(權近), couldn"t be enshrined on the basis of his achievements in the first period of Chosun. But the local school(鄕校) of Haeju dedicated the confucian shrine to him because of the movement to spread of Sohak(小學) by Jo Gwangjo(趙光祖) and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Howon under the reign of King Jungjong(中宗). It was I Hwang(李滉) that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the perception of Choe Chung. I Hwang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Munheon Seowon(文憲書院)" and Gi Daeseung(奇大升) succeeded to his works. Yi I(李珥) enshrined Choe Chung through a loc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鄕約) of Haeju and laid down school regulations of "Munheon Seowon". It was Hong Yangho(洪良浩) who had a critical influence on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oe Chung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He was regarded as "Neo Confucianist of the Northern Song". Thanks to him, Choe Chung was described as the founder of Neo Confucianism in Hwahaesajeon(華海師全). In Modern Age, Jang Jiyeon(張志淵) compared Choe Chung with Howon directly. Choe Gyeongsik(崔暻植) valued Choe Chung calling ‘Choeja(崔子)’ in his Choejajeonsilgi(崔子全實記). He also compared Choe Chung"s "Munheon Gongdo(文憲公徒)" with Howon"s ‘Hosojigyo(湖蘇之敎)’, citing Yeosajegang(麗史提綱). I discovered the fact that it was not Yeosajegang but Songdaesagigangui(宋大事記講義) which he cited. Many authors had cited the mistake uncritically since then. However, Kim Taekyeong(金澤榮) and I Neunghwa(李能和) followed his thought regarding Choe Chung as "Neo Confucianist of the Northern Song".

      • KCI등재

        김굉필의 문묘종사와 제향 서원

        이수환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historic implication on the Munmyo-jongsa (a ritual to follow the teachings of Confucius) of Kim Goeng-pil and review for Seowon (school) for religious rituals that has been overlooked in studies up to this point. Obviously, with the limitations on data, detailed analysis on the Seowon for religious rituals is difficult but it has certain implications in opening up the chronology of establishing the applicable Seowons and the contemporary discussion with respect to its relationship with Kim Goeng-pil. The worship of Kim Goeng-pil was launched in full scale for discussions after the Jungjongbanjeong (the political uprising against King Jung-jong) and it was even expanded more with a man of literature, Jo Gwang-jo, advancing to the central political faction. In order to finalize the academic lineages, Jo Gwang-jo attempted for Munmyo-jongsa on Jeong Mong-ju and Kim Goeng-pil but failed, however, it had a great outcome in legitimately established the academic sense of tradition for controlling faction with Confuciansm scholars in Jeon. With the emergence of Confucianism scholar politics, Munmyo-jongsa was consistent to one of the national opinions established at last in 1610 (the second year in reign of King Gwanghae). The Munmyo-jongsa of Dongbang-ohyeon (five famous scholars in Confucianism) had the academic tradition and activities of Confucianism faction publicly recognized as well as having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and justification for political activities recognized as its historic implication The places of Seowon for religious rituals for Kim Goeng-pil are surveyed to be 15 locations throughout the country and 10 of them are applicable for 사액 Seowon. These Seowons are different on region for establishment, period, purpose and so forth, but it would be noticeable in the level of confirming the diversity of Seow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m Goeng-pil Seowons could be summarized two-fold. First, in early 17th century, the Munmyo-jongsa movement of Dongbang-ohyeon was actively deployed while the Seowons to enshrine them were undertaken as part of establishing in each region. And second, following the status that Kim Goeng-pil was one of the Dongbang-ohyeon and was a man advocating the Daoism in Joseon, those Seowons wer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its social heritages. It is expected that, with this thesis as a turning point, new data would be discovered to undertake full-scale case studies for each Seowon. 본 논문은 김굉필의 문묘종사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되짚어보고, 그동안 연구가 미진했던 제향 서원들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물론 자료의 한계로 제향 서원들에 대한 상세한 분석은 어려웠지만 해당 서원의 건립 연혁을 개관하고 김굉필과의 연관성을 파악한 시론적 논의로서 의미를 가진다 할 수 있다. 김굉필의 추숭은 중종반정 이후부터 논의가 본격화 되어 문인 조광조가 중앙정계 진출하면서 더욱 확대되었다. 조광조는 학문적인 계보를 확정하기 위해 정몽주와 김굉필을 문묘종사를 시도해 실패를 했으나 사림파의 학문적 계보의식을 정설화 했다는데 큰 성과가 있었다. 사림정치가 대두되면서 문묘종사는 하나의 국론으로 일치되어 마침내 1610년(광해 2) 성사되기에 이른다. 동방오현의 문묘종사는 사림파의 학문적 계보와 행적을 공인받음은 물론이고 성리학의 정통성과 정치적 행보에 정당성을 인정받았다는 것에 역사적 의미가 있었다. 김굉필의 제향 서원은 제향된 곳은 전국에 15개소로 조사가 되었으며, 이중 무려 10개소가 사액 서원에 해당한다. 이들 서원은 건립 지역, 시기, 목적 등이 비록 상이하나 조선시대 서원의 다양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유의미하다. 김굉필 서원의 성격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7세기 초반 동방오현의 문묘종사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는 가운데 이들을 제향하는 서원이 각 지역에서 건립되는 일환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김굉필이 동방오현의 한 분이자, 조선에서 도학을 수창(首倡)한 인물이라는 위상에 기대어 서원의 사회적 권위를 제고하려는 목적에서 건립이 되었다. 이 논문을 계기로 향후 새로운 자료들이 발굴되어 이들 각각의 서원별로 사례연구가 본격화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후기 敎書의 발급 과정 연구 - 1756년(영조 32) 宋時烈 文廟從祀敎書를 중심으로 -

        노인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한국문화 Vol.62 No.-

        As the most authoritative document addressing the order of the King, Gyoseo(敎書) was issued through a regular procedure of an official system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Munmyojongsa-gyoseo(文廟從祀敎書), from among Gyoseos, issued for enshrining Song Si-Yeol in National Confucian Shrine(文廟) in 1756(thirty-second year of Yeongjo),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issuing Gyoseo(敎書)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issuing Song Si-Yeol Munmyojongsa-gyoseo, Yemungwan(藝文館) Jehak(提學) Nam You-Yong(南有容) who was selected as Jesulgwan(製述官) made a draft of the body of the Gyoseo in the first place and then wrote it clearly in the form of Jejindanja. This Jejindanja obtained Yeongjo’s approval through Seongjeongwon Useungji Lee Young-Hui(李永暉). Seosagwan(書寫官) copied Jejindanja after approval and Munmyojongsa-gyoseo was ultimately issued by affixing the royal seal, Simyeong-ji-bo(施命之寶). Yet Song Si-Yeol Munmyojongsa-gyoseo has found to have been reissued afterward on account of misdescribing the position of Song Si-Yeol. By examining the process of issue, we have seen that the Gyose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issued not through a simple procedure but through writing Jejindanja and obtaining the royal approval followed by copying it. Multiple process above mentioned was necessary because the Gyoseo was an important document that conveys the King’s message and the document was not only lengthy but difficult to interpret as wel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