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왜구의 경계침탈로 본 한·일 관계

        김보한(Bo-han Kim)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2 No.-

        우리는 역사에서 어떤 국가의 내부 혼란이 주변의 다른 국가의 정치와 정책 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한 가지 예로서 왜구의 출몰로 시작된 고려와 조선의 대왜(對倭)정책을 들 수 있다. 13세기 이후 왜구의 등장은 고려와 조선으로 하여금 왜구의 경계침탈을 막기 위한 대왜 외교를 적극 추진하게 만들었다. 왜구의 경계침탈과 그로 인해 전개된 외교의 양상을 몇 가지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가마쿠라 왜구는 조큐의 난의 발발과 관련되어 있으며, 고려군과의 군사적 충돌을 염두에 두지 않은 소규모 집단의 약탈에서 출발하였다. 또 가마쿠라 왜구가 고려에 등장하는 시점과 마쓰우라당이 고려의 경계를 침탈하는 시점이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가마쿠라 왜구는 마쓰우라당이 주도적으로 가담한 약탈 행위였다. 둘째, 다자이후는 가마쿠라 왜구의 경계침탈을 막아줄 것을 요구하는 고려의 왜구 금지 사신이 도착하였을 때, ‘악당’ 을 참수하거나 약탈한 물품을 변상하는 등의 매우 호의적인 자세로 임하였다. 셋째, 무로막치 막부는 조선에 보낸 첩장에서 무로마치 왜구가 남북조 내란기의 규수의 정치 혼란과 직접 관련되어 있음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무로막치 막부는 고려와 조선에서 왜구의 경계침탈 금지를 요구하는 사신이 오자, 고려에 능동적으로 답례의 사신을 파견하였다. 이 러한 무로마치 막부의 적극적인 대(對)조선 외교 자세에도 불구하고 왜구의 경계침탈이 즉각적으로 사라지지 않았다. 넷째, 무로마치 왜구의 금지는 해적 금지령의 공포와 같은 막부의 의지와 재지세력의 자구적 노력, 그리고 조선의 대(對)왜인 강온정책 등의 상호 촉매 작용을 통하여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In general, the certain situation of a country influenced on foreign relations among neighbor countries. For example, this problem belongs with the diplomacy between Japan and Goryeo and Joseon that are related to Wakou. The diplomacy between Korea and Japan is as follows. Firstly, Wakou in the early Kamakura Bakuhu age is related to the rise of Joqui’s rebellion and is the small group that is not related to th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Goryeo and Wakou. Also, the time that Matsuura Tou disseise the boundary of Goryeo. Therefore, Wakou in the Kamakura Bakuhu age means that Matsuura Tou plunder autonomously Goryeo kingdom. Secondly, When the envoy of Goryeo kingdom come and demand to resist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Kamakura Bakuhu decapitate Ackutou and reimburse looted goods. Thirdly, Wakou in the Muromachi Bakuhu age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crisis of Kyushu in Japanese North and South Dynasties according to the letters to Joseon from Muromachi Bakuhu. When envoys of Goryeo and Joseon kingdoms came and demanded to resist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Kamakura Bakuahu sent replying envoys to Goryeo and Joseon. Nevertheless,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was perfectly eradicated. Fourthly, Wakou in the Muromachi Bakuhu age was annihilate through the volition and political stability of Bakuhu, and Joseon’s policy based on toughness and moderateness. Moreover, Muromachi Bakuful has been announced a low prohibiting pirate from plundering and tried to annihilate Wakou.

      • KCI등재

        중세 일본의 외교권

        高銀美 ( Go Eun-m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가마쿠라시대에는 막부 측이 외교 안건에 대한 실질적인 결정권을 장악하고 있었지만, 형식적인 외교권은 여전히 천황에게 있었다고 평가된다. 그에 반해 무로마치시대에는 막부의 수장인 쇼군이 ‘일본 국왕’에 책봉되는 점을 들어, 가마쿠라시대와는 질적으로 다른 외교관계가 형성된 시대로 평가한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천황에게 있었던 권한조차 쇼군이 흡수해가는 권력집중과정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무로마치시대의 외교방식이 가마쿠라시대의 방식을 기본적으로 계승하는 것이었으나, 중국의 교류 방식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차이점이 발생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양자 간의 차이는 천황과 쇼군 간의 권력 구조 변화가 아니라 일본을 둘러싼 주변 지역의 상황이 만들어 낸 것이라는 점에 중점을 두었다. 다만 쇼군이 외교사절과 접촉하고 답서를 전달하는 등 외교의 전면에 나서게 되면서 이전처럼 외교 안건을 조정에 보고하는 절차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게 된다. 외교 안건이 막부 관할 내에서 완결되게 되면서 조정은 형식적으로 외교 안건에 대해 심의하는 기능마저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Kamakura period, it is assumed the shogunate held the de facto decision-making authority over diplomacy, while formal diplomatic authority ostensibly remained in the hands of the Japanese emperor. On the other hand, in the Muromachi period, there was a qualitative difference in the way in which foreign relations were established in comparison to the Kamakura period, given that the shogun, as the head of the military government, was referred to as the "king of Japan". This change occurr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entralization of power in which even some powers held by the emperor were absorbed by the shogun. However, this paper contends that, although Japan's diplomatic direction in the Muromachi period fundamentally succeeded that of the Kamakura era, there were differences that arose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hanges in China's style of foreign relations. Thus, this paper places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wo periods was caused due to circumstances in the region surrounding Japan, rather than changes in the internal power structure of Japan. In the latter era, however, the previous practice of reporting diplomatic issues to the Japanese imperial court was no longer identified, as the shogun came to the front of diplomacy and took on roles such as meeting diplomatic envoys from other countries and conveying official diplomatic responses. This implies that Japan’s diplomatic agenda was completely handled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shogunate, thus leading to the loss of the Japanese imperial court’s nominal function of deliberating on diplomatic issues.

      • 14세기 후반 대일 외교사절로 본 한일관계

        이태훈 조선통신사학회 2021 조선통신사연구 Vol.32 No.-

        경인년(1350) 이후 한반도에 왜구 침략이 급증하여 그 피해가 커지자, 고려정부는 포획한 왜구와 피로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 여 1366년부터 대일 외교교섭을 본격적으로 전개했다. 당초에는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에 대해 금적(禁賊)이나 피로인 송환 교 섭을 하였으나, 1377년부터는 왜구 근거지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는 쥬고쿠[中國]․규슈[九州]지방의 유력자들에게 외교력 을 집중해 갔다. 종래부터 조선국왕이 ‘일본국왕[幕府將軍]’에게 신의를 통하기 위해 파견한 ‘통신사(通信使)’가 주목받아 왔는데, 그 전사(前史)로 14세기 후반의 대일 외교 사절이 검토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고려 말․조선 초기의 대일 외교사절과 외교교섭을 중심으로 검토해, 사절의 명칭과 함께 여일(麗日)․조일(朝日) 간의 왜구 인식과 그 대응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해 양국 관계의 일단을 재조명했다.

      • KCI등재

        중세의 왜구

        김보한(Kim Bo-Han)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0 No.-

        동아시아 해역에서 활동하던 왜구에 관한 일본학자의 학술사적 연구는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다. 왜구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 초기 왜구 연구에서는 일본 해적의 활동으로 파악하였다.그런데 왜구의 연구가 심화될수록 왜구의 발생을 고려 내부의 문란한 정치적ㆍ경제적 혼란 상황으로 설명하는 이중적 분석이 출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왜구의 주체를 고려인ㆍ일본인으로 규정하는 일본학자의 견해의 출발은 인용한 사료의 선택에 있다. 일본 측 사료의 인용을 등한시하고 고려측 사료에만 의존한 인용이 논리의 편향을 불러왔던 것이다. 이러한 고려측 사료만의 전적인 인용은 왜구의 발생 원인을 고려 내부의 혼란 상황과 연결하고 고려 내부의 문제로만 제한시켰던 것이다. 이렇게 자의적인 사료 인용과 비논리성이 왜구사 연구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근래 일본학자의 논리는 왜구의 주체가 고려의 천민이고, 왜구의 활동을 이들의 활약인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왜구의 발생 원인보다는 ‘왜구 주체론’으로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가 일인학자들의 논리를 뒤집지 못하는 이유는 반대로 일본의 정치상황과 해적 활동 사이에 유기적인 관계를 분석해 내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의 자의적 선택과 인용문의 편파적 해석으로 성립된 일본학계의 왜구 논리가 일선의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는 어떻게 접목되어 있는가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먼저, 왜구의 근거지, 왜구의 발생원인, 왜구의 주체와 관련하여 약 2/3정도가 비교적 객관적인 논지로 서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둘째로 대부분의 일본 역사 교과서가 고등학교 학습지도 요령 대로 왜구를 교류사와 교역사의 범주에 넣어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마지막으로 왜구의 근거지와 왜구의 주체와 관련해서 일부 일본학자의 왜곡된 견해가 그대로 반영된 예가 존재한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한?일 학자 간의 정기적인 상호 교류와 토론을 통해서 학술적 성과를 조율하고, 교사와 민간단체의 적극적인 교류와 자료교환을 병행하여 공동의 연구성과를 도출해 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Historical study of the Japanese scholar about Wakou(倭寇) which moved into action in East Asia sea area began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Wakou study grasped the activity of the Japanese pirate about the origin of the Wakou. By the way, analysis of the doubleness to explain in the confusion situation of the economy and the politics to be disturbed of the Korea dynasty inside appeared so that the study of the Wakou was deepened. The opinion of the Japanese scholar who prescribed the subject of the Wakou with an alliance of the Korean and Japanese were began by the choice of the historical materials. The quotation that leaned on only historical materials of the Korea dynasty caused an inclination of the logic. The full-scale quotation only for suchthe Korea dynasty side historical materials was able to be connected by the internal confusion situation to stew the origin of the Wakou. It is natural for so arbitrary historical materials quotation and illogicalness to act on a history of Japanese pirates study with a big obstacle. And the Japanese logic guides the interest of the circumference to ‘The Wakou subject theory’ than the origin of the Japanese pirates these days. We overturn the logic of Japanese scholars, and the reason is still because that cannot let the Wakou company form newly cannot analyze organic relations between the politics situation and pirate activity adversely. A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shows quotation of such logic. The first, the foothold, origin, the subject of the Wakou are done by an objective point of argument about 2/3 rank. The 2nd, most Japanese history textbooks belong to history of interchange and a category of trade company according to <The course of study in the high school> in the Wakou. Finally, it was the point that there was the example that a distorted opinion was just reflected of some of the Japanese scholar. Therefore, as a method to improve this, at first change periodical mutual interchange and document between the scholars and lead joint results of research and must start it.

      • KCI등재

        고려 우왕 원년(1375)의 羅興儒 일본 使行의 외교적 성과

        이영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7

        The diplomatic effort of Goryeo dynasty to solve the Japanese pirates problem has been regarded ineffective by the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This perception is based on the false recognition about the Na Heung-You’s special mission to Japan in the year of 1375. But the Muromachi Bakuhu of Japan expressed the willingness to cooperate for solving the pirates problem by letter. It reads as follows. First, Japan has been in the state of civil war for 20 years. Second, rebellious forces were the identity of Japanese’s pirates. Third, Japan’s governmental authority has exerted military effort to solve this problem. Fourth, it was said that if Japan’s governmental authority could establish security of the Kyushu region, there would be more pirates invasion. This letter, because of its contents, exposed their own weakness to Goryeo dynasty and it could bring the armed aggression of foreign country. However, from Goryeo’s standpoint, the delivery of this letter meant that it’s not the sign of national invasion but just a pirates’ action of rebellious forces. Goryeo, which was encountering with military threat by the Yuan(元) and Ming(明) Empire from the north at that time, could feel secure by receiving this letter.

      • KCI등재
      • KCI등재

        織田 정권의 神社 정책과 吉田社

        박수철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2 No.-

        요시다 신도나 요시다 신사에 관한 연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무로마치 시대의 요시다 가네토모나 에도 시대의 요시다 신도에 집중되고 있고 직접 오다 정권을 다룬 연구는 없다. 또 현재까지 오다 정권의 종교정책은 주로 사원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어 신사정책 전반을 분석한 연구도 드물다. 본고는 선행 연구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우선 충실히 그 사실관계를 규명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또 1575년 이후 오다 정권의 신사정책의 변화에도 주목하였다. 1573(天正 1)년 요시아키가 추방되기 이전에 요시다 신사에 대한 일상적인 지배권은 무로마치 막부 측에 있었으나 社領 보장(安堵)과 관련하여 노부나가가 개입하였다. 1575(天正 3)년 이후가 되면 노부나가의 권력이 안정화되어 감에 따라 오다 정권의 교토 지배도 자리를 잡아갔다. 노부나가는 교토소시다이[京都所司代] 무라이 사다카쓰를 통해 요시다 신사를 통제하였다. 또 오다 정권은 신사에 대해 社領을 보장해 주는 대신 그 반대급부로 ‘無退轉’과 修理, 朝役과 神役 등을 신사에 강제하였다. 오다 정권은 공적(제도적)·사적(人的)으로 요시다 신사를 지배하였다. 일반적으로 중·근세 이행기는 人的 지배에서 제도적 지배로 넘어 가는데 노부나가 시기는 양 요소가 혼재되어 있었다. 1576(天正 4)년 이후가 되면 노부나가가 공가·寺社를 만나지 않는 ‘無對面之義’가 일반화된다. 이는 노부나가가 관위를 포함한 전통적 질서에서 벗어가기 위한 것이었다. 신사의 기도권은 오다 정권이 아니라 조정에 있었다. 아시카가 요시미쓰 이래 무가권력은 “천황의 조상숭배의 성격이 강한 신도”에 개입할 수 없었다. 그러나 노부나가 시기에 이르면 조정은 전승기도라는 종래 없는 새로운 기도체계의 도입을 통해 오다 정권에게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이는 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요쿠니다이묘진[豊國大明神],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쇼다이곤겐[東照大權現]이란 무가 신격화로 이어지는 초석이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笑雲入明記』를 통해서 본 明・日 교통로와 무역품 수급

        임경준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학 Vol.60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construct the trade routes between Ming dynasty and Muromachi shogunate as depicted in the Shoun-Nyumin-ki. The Muromachi shogunate’s envoys dispatched to the Ming Dynasty were driven by the desire to profit from trading goods. As a result, these trade routes played a crucial role in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and transportation of trade commodities. This article not only focuses on reinstating the envoy-driven trade routes connecting the two nations, but also delves into the procurement of trade goods that actively traversed these pathways. Shoun's journey is divided into two distinct segments. The initial part encompasses Shoun's expedition from Kyoto to Hirado, where he awaited departure for Ningbo. This journey serves as a lens through which we examine the maritime trade routes within Japan. Moreover, during this journey,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rade commodities procured for tribute trade, with particular emphasis on sulfur. The second part involves Shoun's voyage to Beijing subsequent to his arrival in Ningbo. The trade routes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revolved around the capital city of Beijing and spanned across the entire nation. Envoys embarked on journeys along the Grand Canal from Ningbo, navigating its waters in both directions. This article meticulously traces Shoun's expedition through the Grand Canal while also offering insights into the surrounding landscape. 본고에서는 소운입명기 를 통해 명・일 간의 교통로를 복원하였다. 견명사의 목적은 무역품의 판매를 통한 이윤 확보에 있었다. 따라서 명・일 간의 교통로는 무역품을 조달하여 운송하기 위한 모세혈관과 같은 위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는 단순히 양국 간에 사절단이 오고 가던 교통로의 복원에 그치지 않고 그 길 위에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던 무역품 조달의 양상에도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쇼운이 관찰한 호토쿠 견명사의 여정을 크게 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쇼운이 교토를 출발하여 영파로 출항하기 위해 대기하던 히라도까지의 여정을 통해 일본 국내의 해상 교통로의 양상을 규명하였다. 나아가 그 여정 속에서 조공무역을 위해 수급되고 있던 무역품의 양상을 유황을 통해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는 호토쿠 견명사가 영파에 입항한 뒤로 북경 조정에 다다르기까지의 과정이다. 명대의 교통로는 기본적으로 수도인 북경을 중심으로 하여 전국으로 펼쳐지는 그물망 구조였다. 영파에서 출발한 호토쿠 견명사 일행은 대운하를 이용하여 상경하였다. 본고에서는 쇼운이 대운하를 이용하여 상경하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그 경관 정보를 함께 소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