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墓誌銘 자료를 통해 본 고려후기 官人의 생애 : 金?(1248~1301)의 사례

        李益柱(Lee Ik-joo)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3

        묘지명이란 사람이 죽었을 때, 그의 이름과 가족관계, 경력 등을 기록하여 함께 매장하는 것을 말한다. 지금까지 고려시대의 묘지명은 모두 322개가 발견되었으며, 이것들은 역사 연구에서 귀중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수가 너무 적어 아직까지는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묘지명의 기록을 이용하여 고려시대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나 평균 결혼연령 등을 통계적으로 조사한 연구도 있지만, 표본의 수가 너무 적기 때문에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 지금으로서는 각각의 묘지명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주인공 개개인의 생애를 구체적으로 복원하는 사례 연구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서로 관계가 있는 사람들의 묘지명을 연결하여 자료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개별 묘지명을 분석할 때보다 더 많은 자료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려시대 묘지명 가운데 金?의 墓誌銘과 그의 처 허씨의 묘지명, 김변의 아들 金倫의 墓誌銘과 그의 처 최씨의 묘지명, 김륜의 딸 김씨의 묘지명과 그녀의 남편인 閔思平의 墓誌銘 등 6개 묘지명이 주목된다. 김변과 김륜, 그리고 민사평 처 김씨 등 3대의 부부 묘지명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의 묘지명이 이처럼 집중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드물다. 이 논문은 이 6개의 묘지명을 이용하여 김변의 일상적인 생애를 복원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김변이 살아가는 동안 관계를 맺고 있었던 친인척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려시대의 친족관계망이 兩側的 親屬(bilateral kindred)으로 구성되었던 점에 주목하여, 당시 양측적 친속관계를 법제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相避制의 규정을 기준으로 김변의 친인척을 조사한 결과 本族 40명(納足 36명, 外族 4명), 妻族 30명 등 모두 70명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과의 관계에 유의하면서 김변의 생애를 (1) 出生과 成長, (2) 出仕와 結婚, (3) 出産과 出世 등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4) 자녀들의 혼인 상황과 사망 당시의 家勢를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족재구성(Family Reconstruction)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김변과 관련된 각종 자료들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미시사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고려 후기의 평범한 관인이었던 김변의 일상적인 생활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친인척 이외에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친구들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했고, 김변의 외형적인 삶을 재구성하였을 뿐 내면의 의식시계에는 접근하지 못하였다. 이는 묘지명 자료의 한계 때문으로, 앞으로는 개인 문집을 남기고 있는 고려 말의 인물들에 대해서 친인척관계와 교우관계를 모두 포함하는 인간 관계망(human network)을 구축하고, 그 안에서 개인의 일상적인 삶과 생각을 복원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김병인,이현정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8 No.-

        Existing studies related to Koryo women have quoted partly descriptions in epitaphs. This study is to compile and analyze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pitaphs in the Koryo Dynasty in detail to understand the social view of womanhood and women's practical life at that time. Chapter Ⅱ consists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pitaphs on men and women. Epitaphs on men tend to emphasize their personal contributions during their life, with less mentioning their wife, while those of women tend to deal with women's dedicated effort to their husband and children centering around household affair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records on their husband in women's epitaphs are much more than those in men's, accordingly which indicates that the epitaphs in the Kyoro Dynasty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men in comparison with women. The contents of women in epitaphs can be classified as four types; Fidelity, Filial duty, Assisting husband and Education of children. Fidelity was understood differently in the concept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Fidelity in Buddhism means that during women's life, but fidelity in Confucianism includes that after women's death.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pitaphs on women emphasized the fidelity after death, which means that they reflected Confucian idea on the view of womanhood rather than Buddhistic one. Such a fact clearly shows that the Koryo Dynasty promoted Confucian idea in its national policy for women and the epitaphs on women are also a proof of the Confucian background. Chapter Ⅲ studies daily life of women in the Koryo Dynasty in the respect of "women's labour" and "womanly virtu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women who had epitaphs supported their household economy by weaving by hand, respected parents-in-law, and sacrificed themselves to their husband and children. This study on epitaphs in the Koryo Dynasty has meaningful value as a historic material in that it shows social conditions in a certain area at that time. This analysis of epitaphs related to women indicates that the cases studied have Confucian idea, which can surely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women in the Koryo Dynasty. 기존의 고려시대 여성관련 연구에서 묘지명의 내용은 단편적으로 인용되는 정도에 머물러 왔다. 이에 필자는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묘지명의 형식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여 묘지명에 드러난 여성관을 살펴보고, 그러한 관념 하에서 살아간 여성의 구체적 삶의 양상을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남성과 여성 묘지명의 구성과 내용을 비교·검토하여 묘지명에 드러난 여성관을 살펴본 결과, 남성 묘지명의 경우 남성 개인의 공적을 강조하고 있으며, 부인에 대한 내용은 비중이 크지 않았다. 반면 여성 묘지명에는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남편이나 자식들을 출세시키는데 헌신한 모습 등이 주로 기술되었다. 그리고 남성 묘지명에 기술된 부인 관련 내용보다 여성 묘지명에 기술된 남편 관련 기록의 비중이 더 컸다. 이는 고려시대 묘지명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존재를 더 부각시켜 기술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성 묘지명의 기술 내용은 주로 정절, 효, 남편내조, 자녀교육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정절의 경우 불교에서는 생전의 정절을 이야기하는 반면, 유교는 사후의 정절까지도 강조하는 등 개념의 차이를 보였다. 고려시대 여성 묘지명에서 상당수가 사후의 정절까지 강조한 것으로 보아 불교보다는 유교적 여성관이 강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Ⅲ장에서는 ‘女工’과 ‘婦德’을 통해 여성의 생활모습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묘지명을 갖고 있는 여성들은 길쌈을 통해 경제적인 기반을 갖추어 가정 살림을 꾸렸으며, 부모를 봉양하고 남편과 자식의 출세를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묘지명 분석을 통하여 얻은 특이한 점은 고려시대 여성들이 불교보다는 유교적 지향 속에서 생활하였으며 그 범주 내에서 평가받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염경애묘지명(廉瓊愛墓誌銘)> 연구: 고려와 중국 여성 묘주(墓主) 묘지명과 사회·문화적 배경에 관한 고찰을 겸하여

        안득용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5

        이름은 대상을 지칭함으로써 그 실제를 유추하게 만든다. 비지(碑誌) 중 묘지명(墓誌銘)은 묘주(墓主)의 ‘세계(世系)-생평(生平)-총평(總評)’을 중심으로 당대와 후대에 묘주의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짓는다. 따라서 묘주에게로 접근하는 통로에서 마주하게 되는 이름은 묘지명에 있어서 꼬리표(label)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한(漢)에서 당(唐)으로, 다시 당에서 송(宋)으로 시대가 바뀌는 동안, 여성 묘주의 이름이 묘지명에서 점차 보이지 않게 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중국 묘지명의 흐름에 기대어 보면, 전근대 한국의 묘지명 역시 비슷한 추세로 진행되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이것이 <염경애묘지명(廉瓊愛墓誌銘)>에서 보이는 경애(瓊愛)라는 이름의 가치가 클 수밖에 없는 이유다. 본고는 고려시대 묘지명과 고려의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염경애묘지명>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된 논의이다. 본고는 그 가치를 입체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호칭의 변화와 이름 공개 여부를 실마리로써 <염경애묘지명> 자체를 분석하고 그 특징적 면모를 중국의 묘지명과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염경애묘지명>은 지면의 성격에 따른 호칭의 변화나 묘주에 대한 간엄(簡嚴)한 정보의 제공이 특징적이었다. 아울러 작가 주석 서술과 장면 제시로써 특징적 사례를 구성하여 염경애의 정체성을 형상했고, 묘주 염경애에 대한 애도 역시 빠트리지 않았다는 사실 역시 주목할 만했다. 이로써 볼 때, <염경애묘지명>은 묘주의 이름을 밝힌 묘지명이라는 가치뿐 아니라, 묘지명이 빠지기 쉬운 투식과 과도한 칭송에서 벗어나 묘주 염경애 삶의 의미를 수립하기 위해 공들인 글이라는 의미 역시 지닌 고려 전기 대표적 묘지명 중 한 편이다.

      • KCI등재

        魏晋南北朝-隋唐時代 葬俗 · 葬具의 變化와 墓誌銘

        박한제(Han Je Park)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5

        묘지명은 장속의 변화에 따라 나타난 葬具의 하나이다. 여러 장구들 가운데 墓碑와 墓誌銘은 가장 유사한 것이다. 물론 묘비가 紀功의 성격이 강하고, 묘지명은 標識의 성격이 강하지만 묘지명 문학이 난숙기에 들어선 당대, 특히 당후기가 되면 그 서술상의 구별은 그리 크지 않다. 묘지명은 曹魏시대 禁碑令 선포의 영향으로 묘 앞의 묘비가 묘속에 들어감으로써 나타난 것이다. 묘지명의 사회적 유행과 관련하여 필자가 남달리 관심을 가졌던 것은 강남 남조의 여러 왕조보다는 중원 북조의 왕조에서 크게 유행한 이유와 수?당대에 와서 묘지명과 묘비가 병존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의 문제였다. 필자는 前稿에서 묘지명은 금비령 반포이후 碑의 대체 장구로서 남조에서 먼저 출현했지만, 예제와의 합치되지 않는다는 인식의 영향으로 발달하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 반면 북조에서는 동진-남조처럼 금비령이 반포된 적이 없었지만, 유목민족의 고유의 장속인 즉 虛葬, 潛埋습속과 농경 한족의 碑銘 문화가 합쳐져 묘지명이 활발하게 유행하게 되었다고 추론하였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한대이후 당말까지 중국에서 발굴된 묘비와 묘지명을 계량적으로 시대별로 비교해 본 결과 한대(특히 後漢)가 墓前 葬具와 碑石의 시대라고 한다면, 동진-남조도 이 전통을 계승하였으며(물론 帝室의 墓葬文化에 한정), 北朝는 묘지명시대이고, 수?당시대는 묘비-묘지명 병존시대라는 결론을 확인하게 되었다. 아울러 묘지명이 북조-수?당시대에 유행하게 된 것은 유목민족의 葬俗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조에서는 위에서 보았듯이 묘비는 제실 구성원(太子?太子妃 이상)에게만 허용된 것이었고, 素族[귀족사대부])에게는 묘지명만이 허락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예제에 맞지 않는 묘지명이 별로 선호되지 않았다. 아울러 남조 제왕의 능묘에서는 묘지명 대신 哀策이 들어가고, 그 외 鎭墓文이나 買地券 등이 납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북조[특히 북위]에서는 사회적 등급에 따른 묘지명 크기 등에 대한 규정을 발견할 수 없으나 발굴된 현물을 볼 때 규정이 있었을 가능성이 보인다. 아울러 수대에 이르면 장구 등에 대한 신분별 규정이 명확하게 등장한다. 다만 묘지명의 경우 묘비와는 달리 자의성이 보다 강하기 때문에 그런 규정이 준수되는 것이 어렵지 않았을까 여겨진다. 묘지명의 사료적 가치는 제작 이후 이차 가공이 되지 않았던 것이기 때문에 대단히 높지만, 자의성이 강한 만큼 기존사료에 근거해서 이용해야 한다. 특히 묘비보다도 과장의 정도가 더 심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Epitaphs (muzhiming 墓誌銘) were included in funeral instruments as the funeral customs changed. The function of epitaphs was similar to that of tombstones (墓碑 mubei), more than any other funeral instruments, There was a subtle difference between epitaphs and tombstones in that tombstones aimed to commemorate one’s feat, while epitaphs were supposed to demonstrate personal history of the dead. However, during the Tang Dynasty, especially in the second half of the Tang, when epitaph literature flourished, it was hard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ombstones’ way of description and epitaphs’. During Cao-Wei dynasty, tombstones, which were located in front of the tomb had to be moved into the tomb pit because the government prohibited using them. With regard to the epitaph’s popularity, I would like to focus on two questions. First, Why were epitaphs more popular in Northern Dynasties than Southern Dynasties? Second, why did both tombstones and epitaphs co-exist during Sui-Tang Dynasties? Previously, I have concluded that epitaph culture emerged as a substitute for funeral instruments in Southern Dynasties, but it did not flourish as it was regarded unfit for the legitimate funeral ceremony. On the other hand, epitaphs were extremely popular in Northern Dynasties even though they did not prohibit the tombstones. I have inferred that the popularity came from the intermixture of nomadic tribes’ burial customs - fake burial and secret burial - and Han Chinese’s epitaph culture. Along with this, I analyzed the tombstones and epitaphs in Chinese history from Han Dynasty to Tang Dynasty quantitatively. Putting funeral instruments and tombstones in front of graves was popular during Han period and this trend was still in fashion during Eastern Jin and Southern Dynasties, while epitaphs flourished in Northern Dynasties. During Sui-Tang period, tombstones and epitaphs co-existed. Also, I am certain that the popularity of epitaphs in Northern Dynasties and Sui-Tang period has much to do with the peculiar burial customs of nomadic tribes. In Southern Dynasties, while the scholar-officials could only have epitaphs, the imperial family also possessed tombstones. However, epitaphs were not favored as they were regarded unfit for the burial custom. It is not certain that there were regulations about standards on epitaphs. It is probable that they put lament texts (aice 哀策) instead of epitaphs in the imperial tombs along with tomb-securing texts (zhenmu wen 鎭墓文) and land contracts (maidi quan 買地券). From the excavated articl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had been regulations on epitaphs in the Northern Dynasties, even though we can’t find them. With the start of Sui dynasty, the norms of the usage of funeral instruments according to social status became evident. Epitaph may have been free from regulation for it was a rather arbitrary option. Epitaphs have more historical value than tombstones in that they did not go through secondary processing.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they’d be analyzed rigorously based on existing historical materials, for they contain a lot of elements of arbitrary exaggerations. We need to analyze them more sternly for they may have outrageous overstatements.

      • KCI등재

        《상국도감태부묘지명(上國都監太傅墓志銘)》에 보이는 ‘신라(新羅)’와 거란문자 ‘sh-ul-ó-úr’ 관계 일고찰

        류병재 한국몽골학회 2020 몽골학 Vol.0 No.63

        This study carried out Yeokju(譯註, translate and annotate) on the Chinese-language cemetery name dubbed 《Shang-guo-dou-jian-taifu Epitaph(上國都監太傅墓志銘)》 that is exhibited in the Chinese National Ancient-Writing Exhibition Hall on the third floor of the National Museum at MINZU UNIVERSITY OF CHINA(中央民族大学) in Beijing. The rubbing of an inscription(拓本) for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契丹大字)(《Heun-deuk-eun-tae-bu epitaph[痕得隐太傅墓志]》), which is presumed to be likely the same tomb occupant(墓主), is also displayed simultaneously. However, the real thing in these two rubbed copies cannot be currently known its whereabou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ubbed copies, we can confirm that these two epitaphs were set up on May 28th(五月二十八日) in the 10th year of Eungryeok(應曆十年, Year in 960) during the reign of King Mokjong(穆宗) in the Liao Dynasty as the earliest era among epitaphs with Khitan large script that have been found so far.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 and the epitaph with Chinese character exist at the same time. But these two epitaph contents are not perfectly corresponded. Through the work of analyzing Yeokju(譯註, translate and annotate) in 《Shang-guo-dou-jian-taifu epitaph(上國都監太傅墓志銘)》, we could check a tomb occupant’s public service experience and merit based on the epitaph with Chinese character. These detail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Liao-shi(遼史). Also, the attempt was progressed for trying to compare Khitan large script, which corresponds to “Silla” of appearing in the texts, by searching it in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Heun-deuk-eun-tae-bu epitaph[痕得隐太傅墓志]》). According to the prior research of Aisin Gioro Ulhichun(愛新覺羅 烏拉熙春),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 is being considered to be formed the mainstream by primarily recording a tomb occupant(墓主)’s ancestors and family members. And the epitaph with Khitan large script is being claimed that the Khitan large script of corresponding to ‘Silla’ is ‘Sulwur.’ Nevertheless, it was verified to be unreasonable to conclude that his assertion is right when comparing the epitaph with the previous Khitan large script and the epitaph with the relevant Khitan large script. A fact was verified to still require diverse comparative researches along with the excavation of more materials in order to accurately decode Khitan large script. 본 논문은 중국 북경 중앙민족대학 민족박물관 3층 중국민족고문자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는 《상국도감태부묘지명(上國都監太傅墓志銘)》이라는 한문 묘지명에 대한 역주를 수행하였다. 동일한 묘주(墓主)일 것으로 추정하는 거란대자 묘지명(《痕得隐太傅墓志》)의 탁본도 동시에 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탁본의 실물은 현재 그 행방을 알 수 없다. 우리는 탁본의 내용을 토대로 이 두 비문이 현재까지 발견된 거란대자 묘지 가운데 가장 이른 시대로 요나라 목종(穆宗) 응력10년(應曆十年, 960년) 5월 28일(五月二十八日)에 세워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거란대자 묘지와 한문비문이 동시에 존재하지만 이 두 묘지 내용이 완벽하게 대응되지는 않는다. 우리는《상국도감태부묘지명(上國都監太傅墓志銘)》의 역주분석 작업을 통해 한문 묘지명에는 묘주의 관직 경력과 공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내용을 遼史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그 내용에 등장하는 “신라”에 대응하는 거란대자를 거란대자 묘지명《痕得隐太傅墓志》에서 찾아 비교하려는 시도를 진행해 보았다. 愛新覺羅 烏拉熙春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거란대자 묘지명에는 주로 묘주(墓主)의 선조와 가족들의 기록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거란대자 묘지명에는 ‘신라’에 대응하는 거란대자가 ‘Sulwur’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거란대자 묘지명의 해당 거란대자와 비교해 볼 때 그의 주장이 옳다고 결론짓기는 무리임을 확인하였다. 정확한 거란대자 해독을 위해서는 여전히 더 많은 자료 발굴과 다양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새 고려묘지명 7점

        金龍善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1) 『(승)모씨 묘지명』은 일종의 買地券으로, 불교와 도교적 요소가 혼합된 승려의 사후세계를 보여준다. (2) 『金龜符 』묘지명 은 김구부(선종 6~인종 23:1089~1145)의 생애를 통해 고려전기 문벌귀족사회의 한 모습을 보여준다. (3) 『金商佑 女 金氏夫人 묘지명』의 김씨부인(선종 11~의종10:1094~1156)은 羅州 海陽縣 출신의 김구부와 남매지간이다. (4) 『李陽允 묘지명』의 이양윤(선종 11~의종 11:1094~1157)은 慶州 鄕吏가문 출신으로, 大學에 입학하고 과거에 급제한 뒤 관리로 출세하였다. (5) 『權正平 묘지명』의 권정평(선종 2~의종1085~1160)은 安東의 鄕吏출신으로, 鄕試를 거쳐 南山徒에서 수학하고 과거에 급제하여 중앙관리가 되었다. (6)『鄭? 묘지명』은 37세로 사망한 정포(충선 1~충숙 13:1309~1345)의 짧은 생애를 보여준다. (7) 『金光轍 묘지명』의 김광철(충렬 15~충정 1:1289~1349)은 고려후기 최대벌족의 하나였던 光州金氏가문의 인물이다.

      • KCI등재

        정약용의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에 대한 문학치료적 고찰

        이주영 ( Lee Joo-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4 No.-

        이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자찬묘지명` 두 편을 중심으로, 서사적 정체성의 복원을 통한 문학치료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산문인 지(誌)와 운문인 명(銘)으로 구성되는 묘지명은 죽은 자의 일생과 행적을 전하는 한문 양식으로, 동아시아 자전 문학으로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다. 그 중에서 자찬묘지명은 자신의 묘지명을 생전에 직접 쓴 경우를 가리킨다. 본고는 `나를 말하는 글쓰기`로서 자찬묘지명이 지니는 속성과 정약용의 `자찬묘지명` 두 편이 보이는 특수성에 주목하여, 자기 스스로 자신의 묘지명을 서술하는 행위가 지니는 문학치료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정약용은 무덤에 함께 매장하기 위한 광중본(壙中本)과 문집에 수록하기 위한 집중본(集中本), 도합 두 편의 자찬묘지명을 지었다. 이 중 집중본은 양적 방대함, 군왕인 정조와의 일화가 차지하는 비중, 정약용 자신의 저작을 정리한 부분의 비중, 천주교와의 관계에 대한 서술의 변화 면에서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들은 결국 자신에 대한 기억으로서 영원히 고정될 자신의 이미지를 구성하려는 저자의 의도와 관련된다고 여겨진다. 즉, 정약용은 자찬묘지명의 방대한 서사와 요약적인 명(銘)을 통해, `성실한 유자(儒者), 군왕의 총신(寵臣), 정치적 모함의 피해자`라는 정체성 혹은 에토스 (ethos)를 구성하려 한 것이다. 정약용의 자찬묘지명은 자기 역사의 재구성, 사회적 에토스의 구성, 공감의 시간성 확보를 통해 자신의 서사적 정체성을 복원함으로써 침해당하고 손상된 자신의 생애를 스스로 치유하려는 노력이라는 관점에서 고찰될 수 있다. `나를 말하는 글쓰기`로서 자찬묘지명은 외적으로는 언어를 통해 구성한 자신의 에토스를 타인에게 전개하고 내적으로는 자기 반성과 더불어 자기 치유를 꾀한다. 이렇게 볼 때 정약용의 자찬묘지명은 `나를 말하는 글쓰기`의 치유 효과, 특히 자기 에토스 구성하기가 지니는 문학치료적 효용의 관점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through restoration of narrative identity, focusing on Da-san Jeong Yak-yong`s two `self-written epitaphs`. The epitaph consisting of descriptions(Ji, 誌) as proses and carvings(Myong, 銘) as verses is written in Chinese and conveys the entire life and courses of the dead. This has a long tradition a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East Asia. Especially, the self-written epitaph is written by him or her during lifetime.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literary therapeutic meaning of the act to describe the epitaphs on his own, by putting stress on the attributes of the self-written epitaph as `writing talking about myself`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Jeong Yak-yong`s two `self-written epitaphs`. Jeong Yak-yong made two self-written epitaphs; Gwangjoongbon(壙中本) to bury in his grave together and Jipjoongbon(集中本) to include in his collection of works. Here, Jipjoongbon is quantitatively massive and shows unusual aspects in the context of the proportion of anecdotes about King Jeongjo, the proportion of the collection of his own writings and the change of descriptio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Catholic Church.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the writer`s intention to create his own image to remain forever, as a memory about himself. In other words, Jeong Yak-yong attempted to reveal identity or ethos, as a `sincere scholar(儒者), favorite(寵臣) of the king and victim of political slander`, based on the massive descriptions and condensed carvings of the self-written epitaphs. In conclusion, Jeong Yak-yong`s self-written epitaphs can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ort to restore his narrative identity and heal his violated and damaged life himself by reorganizing his history, creating social ethos and acquiring temporality of sympathy. As `writing talking about myself`, self-written epitaph conveys ethos, which was created through language, to others, externally and promotes self-reflection and self-healing, internally. In this respect, Jeong Yak-yong`s self-written epitaphs need to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healing effect of `writing talking about myself`, especially, the literary therapeutic effect of ethos constructing.

      • KCI등재

        유민묘지명(遺民墓誌銘)을 통해본 당(唐)의 동방정책(東方政策)과 고구려(高句麗) 유민(遺民)의 동향

        여호규 ( Yeo Hokyu ),배근흥 ( Bai Genxi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7 東洋學 Vol.69 No.-

        본 논문은 고구려 遺民墓誌銘을 바탕으로 “7세기 후반 唐의 東方政策과 高句麗 遺民의 동향”을 고찰한 것이었다. 필자는 陝西師範大學 拜根興 교수와 공동으로 이 글을 작성하면서 고구려 유민묘지명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한편, 문헌사료와 연계시켜 “당의 동방정책 변화에 따른 고구려 유민의 동향”을 다각도로 고찰 했다. 이를 통해 고구려 멸망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이들의 동향이 당의 동방정책에 미친 영향을 새롭게 고찰할 수 있었다.가령 2015년에 발견된 <南單德墓誌銘>이나 高欽德·高遠望 父子의 墓誌銘을 통해 고구려 멸망 직후 당이 고구려 고지에 대해 기미지배를 구축하던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李他仁墓誌銘>이나 唐의 관인이었던 <陽玄基墓誌銘>을 통해서는 고구려 부흥운동이 요동지역이나 한반도 서북지역뿐 아니라 부여지역이나 두만강 유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전개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高乙德墓誌銘>을 통해서는 당이 673년경 고구려 부흥운동을 진압하고, 674년부터 신라와의 전면전에 착수하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당은 679년부터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해 돌궐의 침공을 방어했는데, 여러 유민묘지명을 통해 고구려 유민출신 장수들이 돌궐 방어전에 투입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高玄墓誌銘>을 통해서는 각 州에 분산 배치한 고구려 遺民 병사를 체계적으로 동원한 사실도 새롭게 파악했다. 그리고 696년 6월 거란의 흥기는 698년 발해의 건국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의 관심을 받았지만, 사료의 제약으로 고구려 고지에 거주하던 유민의 동향을 파악하기는 힘들었다. 그런데 <高質墓誌銘>과 <高慈墓誌銘>을 통해 거란의 흥기 직후 요동지역의 고구려 유민들이 부흥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부여지역과 두만강 유역에서도 고구려 부흥운동이 전개된 사실을 밝힌 것은 향후 이 분야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거란의 흥기 직후, 요동지역의 고구려 유민이 부훙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밝힌 것도 발해 건국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 글이 고구려 유민의 동향, 신라의 대당정책, 당의 동방정책 변화 등이 맞물리며 통일신라의 확립과 발해의 건국으로 귀결된 이 시기 한국사의 전개양상을 재조명할 단서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the Koguryo refugees as well as the Chinese Tang(唐) dynasty’s Eastern policy during the 2<sup>nd</sup> half of the 7<sup>th</sup> century, through remaining tomb epitaphs[墓誌銘] of those Koguryo refugees. As part of a joint project with Professor Bai, Genxing(拜根興) at the Shaanxi(陝西) Education University, I surveyed a grand collection of extant epitaphs of Koguryo refugees, and tried to examine their movements and activities. I also wanted to have a look at how they progressed as the Tang’s policy tended to change itself as well, and analyzed written documents from many perspectives to that end. As a result, I was able to recreate details of the refugees’ activities, which turned out to be quite diverse ever since the dynasty fell, and was able to newly determine how their actions affected the Tang’s policy in return.For example, the epitaph of Nam Dan-deok(南單德) and epitaphs of Go Heum-deok(高欽德) & Go Weon-mang(高遠望), which were all found in 2015, reveal how the Tang dynasty established a ruling authority over Koguryo’s old territory. From the epitaphs of Yi Ta-in(李他仁) and Yang Hyeon-gi(陽玄基, who was a Tang official) we can confirm that a Koguryo Revival Movement was widely in progress around 670 and 671 in the Buyeo region as well as areas nearby the Duman-gang river. In the meantime, the recently found epitaph of Go Eul-deok(高乙德) vividly shows us how Tang subdued the Revival movement around 673 and began to engage Shilla full-scale in 674.Tang organized a large army in 679 to protect itself from the invasion of the Turks, and through many Koguryo refugee epitaphs we learned that many of them were actually enlisted in the Turk front. And especially from the epitaph of Go Hyeon(高玄), we discovered that Koguryo refugees who had been dispersed and stationed in various Ju/州 areas were systematically pulled from where they were to be diverted to the front. Unfortunately we were not able to identify the status of Koguryo refugees who remained inside the dynasty’s old territory while the Khitans’ rise in June 696 which definitely led to Balhae’s foundation in 698 was heavily on our minds. The fact that since the Khitans’ rise the Koguryo refugees in the Liadung region were behind the Koguryo Revival movement was newly determined by epitaphs of Go Jil(高質) and Go Ja(高慈).As mentioned above, I examined all the existing written texts as well as newly discovered epitaph materials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the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as well as the ever-changing status of the Koguryo refugees from a multilateral perspective. The fact that Koguryo Revival movements also progressed in the Buyeo and Duman-gang region was newly determined during this project and will help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is period. Also, the newly identified detail that Koguryo refugees in the Liaodung region involved themselves in a Koguryo Revival movement right after the Khitans rose will contribute to bettering previous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was behind the foundation of Balhae. Results from this project would be able to provide scholars and researchers with details regarding the Koguryo refugees’ actions, Shilla’s Tang policy, and changes in the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and enable them to have a macroscopic view of the overall picture including the Unified Shilla’s firm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foundation of Balhae, which were all crucial changes the Koreans of this period were able to witness.

      • KCI등재

        새롭게 확인된 高麗 墓誌銘 : 「金龍軾 묘지명」·「上黨縣君 郭氏 묘지명」·「閔脩 묘지명」

        강민경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6

        고려 건국 1,100주년을 맞아 국립중앙박물관과 국사편찬위원회는 고려 묘지명 조사·공개 사업 을 협업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새롭게 확인된 고려 묘지명은 모두 4건이다. 그중 국외 소재 고려 묘지명 2건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었음이 처음 파악된 고려 묘지명 1건을 소개 하고자 한다. 고려 중기 관료의 묘지명인 「김용식 묘지명」은 현재 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 프리어새클러갤러 리에 소장되어 있다. 이 묘지명은 당시 관료의 전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삶을 보여주고 있어 그 의미 가 크다. 현재 남아 있는 이 시기 관료계층의 묘지명은 대개 고급 관료나 그 가족의 것이고, 이처럼 중·하급 관료가 남긴 묘지명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거기에다 주인공의 官歷과 世系, 행적이 상세하 게 기재되어 있어, 앞으로 고려 중기의 사회사·정치사를 연구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사료로 여겨진다. 현재 일본 교토대학 총합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상당현군 곽씨 묘지명」은 연대가 분명한 고려 관료계층 여성의 묘지명으로 주목된다. 아쉽게도 내용이 소략하나, 당시의 장례문화와 지리 인식 등 을 알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으로 확인된 「민수 묘지명」은 그 존재와 내용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지 만, 소재가 분명히 파악되어 앞으로 연구자들이 실물을 열람·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아울러 벼 루라는, 흔치 않은 소재에 새겨진 고려 묘지명의 사례를 확보했다는 데도 의의가 있다. In commemoration of the 1,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Goryeo Dynast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re working together on a project to reveal memorial inscriptions(墓誌銘) in the Goryeo Dynasty. So far, It founded that four newly identified memorial inscriptions of Goryeo Dynasty. Among them, I would like to introduce two memorial inscriptions in overseas and a memory inscription that was first identified as being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Kim Yong Sik’s memorial inscription is currently housed at the Smithsonian Museum's FreerSackler Gallery in the U.S.A.. Kim Yong Sik(金龍軾, 1129~1197) is a bureaucrat in the middle time of Goryeo Dynasty. He came from a family of influential people in the Andong province. In Goryeo times, provincial figures have been able to make inroads into central politics through the bureaucratic select examination(科擧). Kim’s family came from the capital of Goryeo in that way. However, Kim did not rise very high. This inscrip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is ordinary middle class’s life to study Goryeo history further.Sangdanghyeongoon(上黨縣君) Gwak Ssi’s memorial inscription is currently housed at the Kyoto university museum in the Japan. Sangdanghyeongoon Gwak Ssi(郭氏(Mrs. Gwak), ?~1149?) is a bureaucrat class woman in the middle time of Goryeo Dynasty. There is not much information about her. But the method of marking the location of the her tomb is unique. Her tomb is located at the northern foot of the temple, Baekhaksa(白鶴寺, White Crane’s temple). That marking method is sometimes confirmed in Goryeo period’s historical text. This inscript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practical example of that methods.Min Su’s memorial inscription is missing after Japanese occupation time, but confirmed that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Min Su(閔脩, 1067~1122) is a bureaucrat in the middle time of Goryeo Dynasty. Although his track record is partly recorded in Goryeosa(高麗史, Historia of Goryeo Dynasty), the discovery of this inscription has made new research possible. I hope that more and more memory inscription of Goryeo will emerge from somewhere and contribute greatly to the study of Goryeo history.

      • KCI등재

        隋 宇文述 墓誌銘 考察

        金榮官(Kim, Young-Kw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2 한국고대사탐구 Vol.10 No.-

        宇文述 墓誌銘은 2006년 중국 陝西省 咸陽市 涇陽縣 雲陽鎭에서 출토되었고, 誌와 蓋를 모두 갖추고 있다. 묘지명의 재질은 靑石이고, 크기는 대략 개석이 75×75.5㎝, 지석이 74×74㎝의 방형이다. 개석은 사신도를 양각한 녹정형으로 정상부에 陽刻의 篆書로 “隋故司徒宇文公墓誌”라고 행당 3자씩 9字를 새겨 넣어 墓主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지석에는 4면에 線刻으로 12支神像 문양이 있고, 誌文은 39行에 걸쳐 1,505자를 隸書體로 새겨 넣었다. 묘지명은 다른 묘지명들과 마찬가지로 묘주인 우문술의 가계와 인품, 능력, 이력, 명 등을 기록하였다. 묘지명은 우문술 사망 후 8년 뒤인 당 고조 무덕 8년인 625년에 만들어졌다. 묘지명의 撰者와 書者는 알 수 없으나 次子 우문사급이 嗣子로서 묘지명 작성에 참여하였고 직접銘을 지었다. 묘지명의 작성시기가 우문술 열전이 실린 『北史』와 『隋書』가 편찬되기 이전에 해당하므로 사료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 우문술 묘지명을 통하여 열전에는 기록되지 않은 그의 생몰연도를 정확히 알 수 있었다. 또한 『隋書』와 『資治通鑑』의 기록이 잘못됐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우문술이 사망한 해는 『隋書』와 『資治通鑑』에 616년이라고 되어 있지만, 묘지명에는 617년 9월 71세를 일기로 죽었다고 기록함으로써 지금까지 불분명했던 생몰연도를 알려 주었다. 결국 우문술은 546년에 태어나서 617년에 죽었고, 고구려 원정에 참여할 당시인 612년과 613년에 그의 宇文述 墓誌銘은 2006년 중국 陝西省 咸陽市 涇陽縣 雲陽鎭에서 출토되었고, 誌와 蓋를 모두 갖추고 있다. 묘지명의 재질은 靑石이고, 크기는 대략 개석이 75×75.5㎝, 지석이 74×74㎝의 방형이다. 개석은 사신도를 양각한 녹정형으로 정상부에 陽刻의 篆書로 “隋故司徒宇文公墓誌”라고 행당 3자씩 9字를 새겨 넣어 墓主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지석에는 4면에 線刻으로 12支神像 문양이 있고, 誌文은 39行에 걸쳐 1,505자를 隸書體로 새겨 넣었다. 묘지명은 다른 묘지명들과 마찬가지로 묘주인 우문술의 가계와 인품, 능력, 이력, 명 등을 기록하였다. 묘지명은 우문술 사망 후 8년 뒤인 당 고조 무덕 8년인 625년에 만들어졌다. 묘지명의 撰者와 書者는 알 수 없으나 次子 우문사급이 嗣子로서 묘지명 작성에 참여하였고 직접銘을 지었다. 묘지명의 작성시기가 우문술 열전이 실린 『北史』와 『隋書』가 편찬되기 이전에 해당하므로 사료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 우문술 묘지명을 통하여 열전에는 기록되지 않은 그의 생몰연도를 정확히 알 수 있었다. 또한 『隋書』와 『資治通鑑』의 기록이 잘못됐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우문술이 사망한 해는 『隋書』와 『資治通鑑』에 616년이라고 되어 있지만, 묘지명에는 617년 9월 71세를 일기로 죽었다고 기록함으로써 지금까지 불분명했던 생몰연도를 알려 주었다. 결국 우문술은 546년에 태어나서 617년에 죽었고, 고구려 원정에 참여할 당시인 612년과 613년에 그의 나이는 66세와 67세의 고령이었다는 것도 더불어 알려주었다. 우문술의 출신지를 遼西 月城人이라고 하여, 『北史』와 『隋書』 열전에 代郡 武川人이라고 기록된 것과 차이가 나는 것은 묘지명에는 실제 출생지를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우문술의 고구려 원정에 대해서는 매우 소략한데 그것은 묘지명의 작성이 묘주의 위신을 가급적 헤치지 않으려는 묘지명 제작전통에 따른 일반적인 현상으로 이해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