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 後期 關西名勝圖 연구

        朴晶愛(Park Jeongae)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關西名勝圖는 關西地方, 즉 平安道의 명승을 그린 實景山水畵이다. 그동안 실경산수화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전되었으나 관서명승도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관서 관련 화적은 平壤만을 다룬 작품이 가장 많지만, 이 글에서는 여러 폭이 한 벌을 이루는 조선 후기 관서명승도에 집중하였다. 조선시대 평안도는 중국과의 접경지대로서 군사와 외교 면에서 특히 중요하였다. 또 使臣들의 노정 인근에 분포한 名勝名所는 文學과 美術의 제재가 되었다. 문헌기록을 통해 15세기 후반-16세기 초에는 관서지역의 거점인 평양명승이 알려졌고 이어서 그림으로도 그려졌음이 확인되었다. 16세기 중반 明宗代 이후에는 瀨翁 李楨(1578-1607)의 傳稱作《關西名區帖》처럼 평양 외의 지역도 화폭에 수렴되었다. 金昌翕(1653-1722)의 「關西日記」나 正祖(재위 1776-1800)의 詩「題關西地圖」는 18세기 들어 진경산수화가 유행하면서 관서명승도가 정형화되는 양상과 연관되는 사료이다. 작화대상과 구성, 화풍이 유사한 일군의 관서명승도는 작자미상의 개인 소장 《關西名勝帖》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개인 소장 《관서명구첩》과 국립중앙박물관의 《關西十景圖》는 화면의 크기까지 거의 같아서 정형화된 양태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영국도서관 소장 《韓中名勝圖帖》과 서울역사박물관의 《關西八景圖帖》은 《관서명구첩》유형이 저변화된 양상을 반영한다. 이 유형에 적용된 양식은 18세기 말 畵員畵風이 대세를 이루는데, 南宗畵法과 함께 地圖와 版畵의 표현법도 파악되며 檀園 金弘道(1745-1806 이후) 화풍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개인 소장본의 ‘馥軒’이 해명되지 않았고 국립중앙박물관본의 김홍도 인장이 後落으로 의심되어 작자에 대한 최종 판단은 유보할 수 밖에 없다. 다만 화풍과 인장을 토대로 《관서명구첩》유형의 제작시기와 화가를 추론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에 실마리로 삼고자 했다. 김홍도는 1789년 冬至使行을 계기로 관서지역을 방문한 바 있다. 또 정조에게 주청하여 김홍도를 자신의 군관자격으로 동행시켰던 湖隱 李性源(1725-1790)은 平安道觀察使를 지낸 적이 있어 당시 관서명승도를 주문했을 개연성이 있다. 《관서십경도》에 찍힌 ‘貞敬夫人申氏’라는 인장이 이성원 부인의 작호와 일치하는 것도 그의 집안과 연계되는 자취이다. 따라서 현재 전하는 작품들을 김홍도가 그렸다고 확단하긴 어렵지만, 18세기 말 김홍도에 의해 정형화된 저본에서 파생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Paintings of scenic spots of Gwanseo (關西名勝圖) depict the scenic beauty of Pyeongan province. 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rogress in the study of Korean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but paintings of scenic spots in Gwanseo area have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Actually, the majority of paintings of scenes from this area illustrate only the views of Pyongyang city, But this author deals with paintings depicted widely the beauty spots of Gwanseo in this article. During the Joseon Dynasty Pyeongan province was bordering with China and it was therefore a very important area from a military and diplomatic viewpoint. Moreover, as envoys of China and Joseon passed through this province, the well-known scenes of beauty which were located on their route became subjects of arts and literature. According to documentary records, some scenic spots in Pyeongyang City were known in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and the early 16th century, and it is known that they were also painted. From the mid-16th century onwards, other scenes from Gwanseo area were also painted, as exemplified in an album titled Album of Famous Spots of Gwanseo (關西名區帖), attributed to Yi Jeong (1578-1607). Writings such as the Dairy of Ganseo (關西日記) by Kim Chang heup (1653-1722) and the Colophon on Gwanseo Map (題關西地圖) by King Jeongjo (r. 1776-1800) helped bring focus to scenic spots in Gwanseo. As a result, when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became popular in the 18th century, well-known beauty spots from this area had already become standardized. A number of the paintings of Gwanseo sceneries with similar subject matters, composition and style can be classified as a type of Album of Famous Spots of Gwanseo. The anonymous album now in a private collection, and Ten Scenic Spots of Gwanseo (關西十景圖) kep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almost identical, even in their size, thus highlighting the standardization of such types of paintings. The Album of Scenic Spots in Korea and China (韓中名勝圖帖) kept at the British Library in London and the Album of Eight Scenic Spots of Gwanseo (關西八景圖帖) hous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show broad expansion of the genre. The painting style of these albums shows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Southern school painting as well as court paintings of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n particular maps and woodblock prints. At the same time we can se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style of Kim Hong-do (1745-after 1806). The album in the private collection bears a signature of Bokheon (馥軒) though the identity of the painter is still unclear. The painting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ears a seal of Kim Hong-do but it is possible it was added at a later date. We should reserved final judgment on the identities of the painters for these reasons. This author has attempted to find further ways of studying the paintings based on painting styles and seals. Kim Hong-do visited the Gwanseo area through the occasion of an winter solstice embassy to China which took place in 1789. At that time Yi Seong-won (1725-1790) who allowed Kim Hong-do’s participation in that embassy as qualification for his military escort is recorded as having been a provincial governor of Pyeongnan Provinc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e ordered a painting of Gwanseo area at that time. Besides, a seal called "Jeonggyeoingbuin Sinssy" (貞敬夫人申氏) of the Ten Scenic Spots of Gwanseo is identical to the peerage of the wife of Yi Seong-won. Although it is difficult to say that? works handed down to us now were painted by Kim Hong-do, it is possible that these types of works were painted with reference to the paintings of Gwanseo area which were standardized by Kim Hong do during the end of the 18th century.

      • KCI등재

        진정성과 완결성에 기초한 명승 보호구역의 타당성 검토

        이영배,류제헌,Yi, Young-bae,Ryu, Je-hun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3

        공공의 유산인 명승을 보존하고 활용함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은 진정성(Authenticity)과 완결성(Integrity)이라는 개념이다. 명승에 대한 진정성이란 명승의 물리적 원형 보존뿐만 아니라 그것이 향유되는 역사적 전통의 계승도 포함하는 상태를 가리키며, 명승의 완결성이란 명승이 가진 진정성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물리적 사회적 여건을 갖춘 상태를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지방의 역사문화명승을 그것의 활용 상태에 따라 주민 자치형, 관광지 선개발형, 산지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별로 하나씩 사례 명승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통적 향유 방식을 재현하고 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문화재 보호구역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먼저, 주민 자치형의 사례인 명승 제81호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은 현재 용계정 주변까지만 설정되어 있는 문화재 지정구역을 넓혀 덕연구곡과 송계숲을 모두 포함하도록 수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광지 선개발형의 사례인 명승 제53호 거창 수승대는 요수정과 함양재, 관수루 등 수승대를 조망하던 시점을 재현할 수 있도록 범위가 확장될 필요가 있으며 수승대에서 바라보는 전면의 조망을 고려하여 그 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산지형의 사례인 명승 제23호 봉화 청량산은 과거 사대부들이 청량산을 유람하던 길을 재현할 수 있고, 12봉우리가 물리적으로 모두 포함되도록 그 지정구역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지정되어 있는 역사문화명승의 문화재 지정구역 범위는 그것의 진정성과 완결성을 제대로 구현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문화재 보호구역이 명승의 본래적 가치를 지킬 수 있는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적어도 그것의 범위 설정에 앞서 명승의 진정성과 완결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concepts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are very important standards to be satisfied i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Scenic Site (名勝), literally meaning the places of scenic beauty, as a public heritage. These concept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World Heritage inscribed by UNESCO, can be applied to all kinds of heritages. Recently,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that the concepts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are not separable but interconnected. Accordingly, the maintenance of authenticity in Scenic Site should include not only the physical preservation but also the succession of historical tradition of enjoyment. The integrity in Scenic Site refers to the physical and social conditions under which authenticity can be satisfactorily protec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traditional ways of enjoying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ite with emphasis on the Yeongnam Region and make a critical examination of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as that have been designated. Then, this study aims to find the ways to utilize Scenic Site to secure the standards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as are not designated well enough to satisfy the standards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as are the minimal institutional systems to maintain the original value of Scenic Site, it is necessary to pay more careful attention to the ways of securing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in Scenic Site.

      • KCI등재

        조선 후기 명승 자료에 나타난 경관평가

        안대회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7 No.-

        This paper examines the evaluation of scenic spo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related literature. First, five types of sources containing lists of nationwide scenic spots were analyzed. The lists created in the 19th centur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s, reflecting the nationwide reputation and popularity of attractions among travelers at that time. The reputation, value, scope, and rank of scenic spots in each region were assessed by analyzing various lists of scenic spots compiled by individuals, including several versions of Namseungdo. Next, different perspectives on scenic spots were reviewed based on scholars’ records of them. Among many scholars, Gwon Seop and Nam Hakmyeong showed more depth and sophistication in their approach, and offered constructive criticism on scenic spots. Their appraisals were of high quality and had profound implications, while at the same time capturing the beauty and value of scenic spo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highlights the value of scenic spots in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unveils the criteria used to rank them. In addition, it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perspectives unique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rovides details on the distribution of scenic spot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이 논문은 명승을 다룬 조선 후기의 다양한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당시에 경관을 이해하고 평가한 실상을 연구하였다. 먼저 전국 단위의 명승을 다루고 목록을 만든 대표적인 다섯 종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19세기에 만들어진 목록은 주관적 평가를 담고 있고, 그 내용이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목록 자료는 당시에 전국적 지명도를 지니고 인기를 누린 명소의 실상이 반영되어 있다. 각종 <남승도>를 포함하여 개인이 정리한 전국 명승의 목록을 분석하여 지역별 명승의 평판과 가치, 범위와 위계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지식인이 남긴 명승 기록을 분석하여 명승을 보는 다양한 시각을 검토하였다. 그중에서 권섭과 남학명의 경우는 깊이와 체계를 갖추어 명승을 관찰하고 평가하였는데 전문적이고 적극적인 비평의식을 보여주었다. 이들의 비평은 함축적이면서도 수준이 높아 조선 후기 명승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훌륭하게 표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역사문화적으로 정립된 명승의 가치를 드러내며, 명승의 등급을 매기는 그 시기의 기준을 파악하였다. 또한 명승을 보는 조선 후기 특유의 시각을 이해하고, 한반도 전체 명승의 분포와 실태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가 지정 문화재‘명승’의 유형과 팔경(八景), 동천구곡(洞天九曲)과의 연관성

        노재현,신상섭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1

        국내 명승 지정 추이와 유형 및 변천 그리고 분류상의 제문제를 검토하고 국가 지정 문화재인 명승 총 68건을 대상으로 전래팔경 및 동천구곡 그리고 현대팔경과의 연관성을 추적하여 전래경승적 의미와 가치가 현재에도 유전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문화경관적 성격을 갖는 명승의 지정이 늘고 있음은 초기 문화재보호법상 지정 사유로 명기된 문화적 활용성·역사성·문학성·사상적 배경 등의 개념을 적극 수용하기 위한 취지로 이해됨에 따라 고정원과 전망점 등 문화적 명소 개념이 명승 지정의 중요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 현상이다. 둘째, 명승 지정 유형별로 분류하면‘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이 30건(44.16%),‘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 및 중요한 전설지’21건(30.9%),‘저명한 경관 전망지점’9건(13.2%)‘역사·문화 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7건(10.3%) 그리고‘동·식물의 서식지로서 경관이 뛰어난 곳’1건 순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현재 명승 분류기준에 따르면 팔경지로 분류되는 명승은 7건, 동천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3건이며 구곡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없는 것으로 볼 때, 외형적으로 전체 명승 중 팔경 및 동천구곡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도합 10건(14.7%)에 지나지 않는다. 넷째, 문헌자료 및 인터넷 분석에 따른 전래팔경 관련 명승은 46건(67.7%)이고 이 중 경관대상(장)으로 팔경에 포함된 명승은 38건(55.9%), 경관시점(장)으로 팔경에 포함된 명승은 8건(11.8%)으로 집계됨에 따라 총 46건(67.7%)의 명승이 전래팔경과 관련된 명승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동천과 관련된 명승은 8건(11.8%)이었고 구곡과 관련된 명승은 4건(5.9%)이었으며, 총 40건(48.9%)의 명승이 현대팔경으로 설정되어 지역 명소로서의 역활과 관광홍보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전래팔경 및 현대팔경 또는 동천구곡과 관련된 명승은 총 62건(91.2%)으로 외형적 분류와는 달리 지정 명승 대부분은 경관에 내재된 역사적·문화적 의미와 깊숙이 관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progress of domestic cultural properties designation, the changes and problems in classification were examin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raditional Pal-kyung, Dongcheon-gukok, and Modern Pal-kyung were investigated targeting total of 68 cases of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f scenic sites in order to show that the tradi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are being inherited toda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crease in scenic site designations with historical, cultural, and scenic characteristics can be viewed as an active intent to embrace the concepts such as cultural utilities, historical characteristics, literary value, and ideological backgrounds, which were specified as the basis for designation in the early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Accordingly,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attractions such as traditional gardens and observatory point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standard for designation of scenic sites. Second, as for the classification of scenic sites per type, it was found that ‘places with excellent natural scenery’ were 44.16% (30 cases), followed by ‘famous buildings or gardens and places with important legend’ occupying 30.9% (21 cases), ‘places with famous scenery’ occupying 13.2% (9 cases),‘places with outstanding historical· cultural and scenic value’ that occupying 10.3% (7 cases), and ‘animal and vegetation habitat with beautiful scenery’ (1 case). Third, according to the current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scenic sites, there were only 7 cases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Pal-kyungs (Famous 8 Sceneries) and 3 cases classified into Dongcheon (beautiful scenery surrounded by mountains and rivers), but there was no Gugok (beautiful valleys). Consequently, in terms of external appearance, the scenic sites among the total scenic sites that could be classified into Pal-kyung and Gugok were only 14.7% (10 cases).Fourth, the traditional scenic sites based on literal references and Internet analysis occupied 67.7%(46 cases), which were found to be scenic sit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Pal-kyung among which 38 cases(55.9% of 46 cases) were included based on the scenery and 8 cases(11.8% of 46 cases) were included due to the scenery at the time. Fifth, there were 8(11.8%) scenic sites which were related to Dongcheon, and 4 cases(5.9%) related to Gugok. Also, it was found that total of 40(48.9%) scenic sites designated as modern scenic sites were playing the role of local scenic sites, and they were used as the tourism advertising contents. Sixth,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62 cases(91.2%) of scenic sites in total related to traditional and modern Pal-kyung or Dongcheon-gugok, and unlike explicit classifications, most of the designated scenic sites were found to be deeply connected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contained in the scenaries.

      • KCI우수등재

        중부지방에 분포하는 명승의 유형과 특징

        이의한(Euihan Lee)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1

        최근 들어 명승의 지정은 급격히 늘어났지만 명승의 체계적인 분류와 조직적인 관리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명승 중 우선 중부지방에 분포하는 41곳의 명승을 새로운 관점에서 유형별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이들 명승의 분포와 특징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07년 8월 29일 명승 지정기준이 전면 개정되면서 문화재청은 명승을 자연명승과 역사문화명승으로 구분하였으나 상당수의 자연명승이 역사문화명승으로 잘못 분류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자는 새로운 명승 분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연명승을 크게 산지지형, 하천지형, 해안지형, 화산지형, 카르스트지형, 조망경관, 동식물 서식지 등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최소 지형 단위에 따라 세분하였다. 새로운 기준에 따라 명승을 대분류한 결과 자연명승은 29곳, 역사문화명승은 12곳으로 분류되어 자연명승이 역사문화명승보다 17곳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이들 명승을 중분류한 결과 자연명승은 하천지형이 13곳, 산지지형이 7곳, 조망경관이 4곳, 카르스트 지형이 2곳, 해안지형이 2곳, 화산지형이 1곳이었고, 역사문화명승은 전통적 교통경관이 5곳, 전통적 조경경관이 4곳, 역사유적이 2곳, 전통적 산업경관이 1곳이었다. 연구자가 제시한 새로운 명승 분류 기준은 앞으로 명승이 추가 지정됨에 따라 면밀한 검토와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방의 명승을 소재지, 형성 시기, 명칭 유래 근거, 관련 인물, 관련 그림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Although the designation of scenic spots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scenic spots have not been conducted very wel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er first classified and organized 41 scenic spots in the central region among South Korean scenic spots from a new viewpoint and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scenic spots. After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scenic spot designation criteria on August 29, 2007,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ivided scenic spots into natural scenic spot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pots but made mistakes of wrongly classifying quite a few natural scenic spots into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pots. In light of this problem, this researcher intended to propose new scenic spot classification criteria. First, this researcher largely classified the natural scenic spots into mountain landforms, river landforms, coastal landforms, volcanic landforms, karst landforms, view landscapes, and animal and plant habitats and subdivided them according to minimum landform units. The large classification of scenic spots according to the new criteria indicated that natural scenic spots outnumbered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pots by 17 as 29 scenic spots were classified into natural scenic spots while 12 were classified into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pots. The subdivision of those scenic spots classified the natural scenic spots into thirteen river landforms, seven mountain landforms, four view landscapes, two karst landforms, two coastal landforms, and one volcanic landform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pots into five traditional traffic landscapes, four traditional artificial landscapes, two historical remains, and one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The new scenic spot classification criteria proposed by this researcher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supplemented as additional scenic spots are designated hereafter. In addition, in this study, the scenic spots in the central region were examin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ocations, formation periods, grounds for the origins of the names, related persons, and related paintings.

      • KCI등재

        일제강점기 『朝鮮名勝詩選』의 구성 방식의 특징과 자료적 가치 연구 -「京畿道 京城」을 중심으로-

        강수진 한국고전번역학회 2022 고전번역연구 Vol.13 No.-

        Joseonmyeongseungsiseon(Collection of poems on scenic sites of Joseon Dynasty, 『朝鮮名勝詩選』) is a collection of poems compiled by Narushima Sagimura in 1915, and it is composed to introduce the scenic spots in Joseon at the time and the poems about them. In the 1910s when the material was compiled, it was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Japan tried to develop tourism resources in Joseon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ith the development of railroads. Joseonmyeongseungsiseon was compiled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Joseon's scenic spots by a Japanese official who worked in Joseon,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at distinguishes Joseonmyeongseungsiseon from tourist-related books compil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s that it contains the scenic spot-themed works which were created under the title of ‘siseon(詩選)’. In other words, it has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books in that it selects scenic spots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m,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s of potes in that it collects and contains the poems related to scenic spots. Narushima organized the content of Joseonmyeongseungsiseon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part contains information about scenic spots, especially based on the circumstances in the 1910s, whereas the lower part contains poems about scenic spots - mostly, the works crea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nce Narushima selected scenic spots at the time of compilation and brought the relelated poems from old books such as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the placeness of scenic spots described in the upper part does not match the placeness expressed in the poems. The reason Narushima organized the book in this way was because he wanted to compile a book different from the geography books and tourist books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Narushima’s Joseonmyeongseungsiseon was intend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collection of poems and a geography book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cenic spots while compiling a collection of poems with a focus on wayu(臥遊). Its value as the material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he compiled a book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geography book and a collection of poems. 『朝鮮名勝詩選』은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가 1915년에 편찬한 시선집으로, 당시 조선의 명승과 이를 소재로 창작된 시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자료가 편찬된 1910년대는 일제강점기 초기로, 당시 일제는 철도의 발달을 토대로 조선총독부의 주도하에 조선의 관광자원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朝鮮名勝詩選』은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조선에서 근무했던 일본 관료가 조선의 명승을 소개하려는 목적으로 편찬한 것이다. 『朝鮮名勝詩選』이 조선총독부 주도하에 편찬된 관광 관련 책자와 구분되는 점은 ‘詩選’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명승지를 소재로 창작된 작품을 수록하였다는 것이다. 즉, 이 책은 명승을 선정하여 그곳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리지의 특징을, 그리고 명승과 관련된 시를 모아서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詩選集의 특징이 있다. 『朝鮮名勝詩選』의 내용을 살펴보면 본문은 상하단으로 나뉘어 있는데, 상단에는 명승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하단에는 명승에 대한 시를 수록하는 방식으로 그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상단에 기록된 정보에는 일제강점기 초기의 조선 상황이 반영되어 있으며, 하단에 수록된 시는 대체로 조선 전기에 창작된 작품이다. 이처럼 나루시마가 1910년대에 식민지 본국 관료의 입장에서 조선의 명승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시는 『新增東國輿地勝覽』과 같은 고서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상단에서 설명하는 명승의 장소성과 시에서 표현하는 장소성이 일치하지 않는다. 나루시마가 이러한 방식으로 책을 구성한 이유는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지리지, 관광지와는 성격이 다른 책을 편찬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나루시마는 자신이 선정한 명승의 경관을 이미지로 전달하기 위해 명승을 소재로 창작된 시를 모아서 詩選集을 편찬하되, 명승과 관련된 역사적ㆍ지리적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지의 특성을 차용하는 방식으로 『朝鮮名勝詩選』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는 당시 일제의 관광 정책을 수용하여 地理志의 특성을 포괄한 詩選集이라는 측면에서 당시에 나온 지리지, 관광지와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더불어 이 책을 통해 일제강점기 초기의 지리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자료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의 재조명

        김창규 ( Chang Kyu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3

        우리나라에 있어서 명승은 1933년 8월 조선총독부 제령 제6호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에 따라 법적 개념으로 도입되었으나, 그 지정은 광복 이후 1962년에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1970년 ‘명주 청학동 소금강’이 처음이었고, 1979년까지 단 7건에 머물렀다. 이와 같이 명승의 개념이 법률에 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지정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기념물의 한 종류로서 천연기념물과 사적의 주변풍경 자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재 중 ‘사적’은 인간의 역사의 흔적이다. ‘천연기념물’은 글자 그대로 인공이 가미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 중에서 인간이 기억하고 되새길 만한 것들이다. ‘명승’은 명승지의 준말로서 이름나고 빼어난 지경을 말한다. 이들 특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문화재보호법은 제정 당초부터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을 함께 ‘기념물’의 범주에 두고 보호하여 왔다. 이로 인하여 풍경(지경) 자체가 목적인 명승은 사적과 천연기념물의 보존ㆍ관리를 위한 주변 지역이나 주변 풍경으로 인식되어 그 독자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던 것이다. 이에 우리 정부는 명승 지정의 활성화를 위하여 2007년 8월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지정기준을 전면 개정하여 종전 사적으로 분류되었던 전설지ㆍ정원 등과 역사문화경관으로서 경작지ㆍ제방ㆍ포구 등을 새로이 명승의 지정대상에 포함시켰다. 더 나아가 2009년 12월에는 종전 ‘사적 및 명승’으로 지정ㆍ관리되어 오던 8건을 명승으로 재분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2013년 7월 31일 현재, 총 104개의 명승이 지정ㆍ관리되고 있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행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은 여전히 다른 기념물과의 차별성 내지 독자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을 포함한 유산으로서의 명승은 다른 문화재와 달리 국민들이 대부분 문화관광의 대상으로 이용하는 자원이라는 점에서 보존과 함께 적극적 활용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명승의 자원화와 그 활용의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는 명승의 가치를 재검토하고 명승 개념을 명확히 하여 다른 기념물과 차별화되는 명승 개념의 독자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새로운 명승자원의 확충과 명승자원 활용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입법방안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명승을 “경치가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명승은 ‘경치 좋은 곳’만이 대상은 아니다. 명승은 일반적으로 조망점에서 시각으로 관찰되는 ‘점’ 경관인 경승지에 조성된 자연환경이나 생활모습의 장면 또는 자연적ㆍ인공적인 물체가 놓인 장이다. 그리고 명승은 어느 특수한 장소에서 표현되는 것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이 있는 곳이면 별서의 형태이든 대ㆍ루ㆍ정과 같은 인공적인 구조물과 같이 어느 곳이든지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산의 자태가 유현한 심산유곡의 경승지를 택하여 시나 서화를 남기거나 그 속에서 여생을 즐기며 은둔하여 후학을 양성한 공간도 명승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명승의 정의는 ‘경치 좋은 곳’ 보다 종전의 ‘경승지’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제3호나목의 명승 정의를 “경승지로서 예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것”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명승 지정기준 중 세부기준은 다소 성격이 중복된 명승의 유형을 분류할 때에 역사문화적 가치에 따른 미시적 경관요소 보다는 거시적 경관우세요소인 지형경관의 특성에 따라 분류가 좌우되는 문제점 등이 있으며, 경승지에 해당하는 팔경의 경우에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과 “역사ㆍ문화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의 기준이 혼재되어 불완전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역사ㆍ문화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의 세부유형으로 제시된 명산, 협곡, 곶, 급류, 심연, 폭포, 호소, 사구 등은 사실상 자연경관지의 유형에 해당한다. 따라서 역사ㆍ문화경관명승의 특성에 맞는 세부유형의 개발 및 새로운 명승자원의 유형을 추가하여야 한다. 셋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평가기준 중 천연기념물의 ‘역사적, 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은 명승의 ‘경관적 가치’ 및 사적의 ‘역사적 가치’와 중복되어 그 구분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천연기념물의 평가기준은 ‘학술적 가치’만을 강조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고, 더 나아가 그 대상 중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경관적 가치가 큰 것’도 제외하여 명승과의 중복대상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제3호다목의 천연기념물 정의를 “동물ㆍ식물ㆍ지형ㆍ지질ㆍ광물ㆍ동굴ㆍ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There are various natural topographies and a lot of beautiful scenes in Korea, so our ancestors expressed and handed down the beauty in poetry or paintings from long ago. So these Scenic Sites have served as not only the places where people appreciate splendid natural landscape and live poetical life but also those where our ancestors stretched out literature, thoughts and ideals. In addition, in the Scenic Sites mostly Jeongja(pavilions) and Nugak(palaces) were built and they were installed very carefully with size assimilated with nature and simple beauty neither dominating nor harming natural landscape there. The pavilions and palaces are independent places appreciating natural landscape and are objective elements as part of the landscape enhancing the value of the landscape. The Scenic Sites is included as memorial of a kind of authorized heritage, for its authorization standard, it is a picturesque place or a spot which we can watch famous scenery with famous building, and it has a particularly distinguished natural beauty, so not only aesthetic importance but also peculiarity, rarity and particularity etc. it contains in the course of its formation. The Scenic Sites of Korea was first provided by law in 1933 “Joseon Treasure, Historical Remains, Scenic Sites and National Monuments Protection Order”. However, the Scenic Sites wasn`t designated until 1970s when “Myeonju Cheonghagdong Sogeumgang” located in Gangneung-si, Gangwon-do was designated by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n 1962, after that only 7 Scenic Sites were designated until 1979. In this circumstance, on August 29, 2007, the designation criteria were totally revised to attempt a full change to include historical-cultural landscapes in the target of the designation by including legendary places and gardens which had been classified as historic sites previously and allowing to designate farmlands, dykes and inlets newly. This changed concepts of the former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Traditional Scenic Sites significantly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attractions more. For plans to invigorate the designation of the Scenic Sites in the future and to preserve their value as national heritage constantly, this article suggests to the followings:First of all, the Scenic Sites is defined as the ‘scenic wonderland’ which has a value of artistic and superior landscape by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owever, the purpose of the Scenic Sites isn`t for only ‘scenic wonderland’. In general, the Scenic Sites is a stage where a scene of natural environment or of a life formed in a place of beautiful scenery, which is a point scenery visually observed from a viewpoint, or a natural or artificial object is placed. The Scenic Sites could be a fixed scene, which is a natural or artificial characteristic, or an expression of human lives. The Scenic Sites is an expression of human experiences made after experiencing and perceiv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e Scenic Sites is not limited to what is expressed in a specific place but can exist wherever we live, whether as a outhouse or an artificial structure such as a pavilion. Therefore the Scenic Sites is a term for the concept that includes various types of the objects presented and ‘scenic wonderland’ refers to ‘scenic site or picturesque place’ should be corrected. Thus, since the definition of Scenic Sites i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should imply various aspects and significances of the Scenic Sites, it would be desirable to express it as “the picturesque place with great artistic or scenic value”. Secondly, the designation criteria for the Scenic Sites in Kore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divided broadly the objects of the Scenic Sites designation into natural landscape sites and historic-cultural landscape sites. However, as discussed above, since the Scenic Sites are not heritages limited to landscape, it is desirable to express as picturesque place, rather than landscape. Furthermore, mountain, hill, plateau, plain, volcano, river, seaside, riverside and islands are included in natural landscape sites while historic-cultural landscape sites include famous mountain, canyon, strait, cape, swift currents, abyss, waterfall and lakes and dune, etc. The type of historic-cultural landscape mostly belongs to natural landscape sites. Thus it is judged that total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the designation criteria to make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type of the Scenic Sites clear and to allow to grasp the types Scenic Sites easily. In addition, we should carefully review and edit in or out detailed items so that the Scenic Sites can represent Korea`s unique and characteristic beauty of the land. Lastly, the standard of value of the natural monuments in the Kore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Scenic Sites. Thus,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s definition of natural monuments would be desirable to express it as “animal, plants, topography, geological feature, minerals, cave, biologic products, or special natural phenomenon with great academic value”.

      • KCI등재

        국내 명승 정책과 미국 국립공원 시스템의 지정 특성 비교

        이원호,김동현,Janet R. Balsom 한국전통조경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는 국내 명승과 미국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정의 및 주요 가치, 지정 절차 및 유형, 지정추이를 살펴보고 두 자연유산의지정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명승은 경관성을 기본 전제로 학술적, 역사적, 인문적 가치를 포함하는 복합유산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미국 국립공원은공공성을 기반으로 하는 자연유산으로서 경관의 보호를 통해 국민의 자연유산 향유에 기여하고 생태적․역사적 가치를 동시에 만족하는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둘째, 명승의 지정은 소유자나 관리자, 지자체의 요청이나 문화재청장의 직권으로 지정신청과 지정조사를 거쳐 문화재 위원회의심의를 통해 지정여부를 결정한다. 지정조사는 기초자원조사와 유형별 자원조사로 구분되며, 1970년 명주 청학동 소금강의 최초명승 지정 이후 2000년대까지 명승 지정은 저조했으나 2006년 이후 명승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지정건수가 급격히 증가했고, 자연명승과역사문화명승의 비중이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미국 국립공원은 의회나 대통령에 의해 지정이 결정되며 국립공원청에서는 사전검사조사를통한 잠정자원의 특별자원연구 수행 여부 결정, 특별자원연구 결과에 따른 국립공원 지정기준 만족 여부, 우선순위 결정이 순차적으로이루어진다. 미국 국립공원은 의회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국립기념지 지정 권한 부여를 통해 국립공원의 지정경로가 확대되었고, 국립공원청의 통합 운영으로 여러 부처에서 관할하던 유산들이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지정건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사적지법의 제정으로역사유적이 다수 지정되고, 여가공간 제공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지역들을 지정하여 총 18개 유닛으로 분류․관리하고 있다. 셋째, 명승과 미국 국립공원의 지정 특성을 비교한 결과 복합적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의 지정, 상호보완적 지정체계와 자원특성에따른 유형분류, 주무부처 신설 및 지정 정책에 따른 유산의 균형화가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두 유산은 경관성과 공공성을 바탕으로생태적,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동시에 충족하는 복합적 자연유산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양국 모두 기초자원조사와 심화단계의지정조사를 통해 순차적, 상호보완적 조사로 유산의 지정을 심의하는 체계가 확인되었으며 자원의 특성에 따라 각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외에 국내 명승 활성화 정책과 미국의 국립공원청 통합운영은 두 유산의 지정 양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연유산과 역사문화유산의균형을 이루었다. 넷째, 명승과 국립공원의 자원유형과 보존관리 방식은 상당부분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미국 국립공원의 자연지역은 국내 천연기념물의 유형들이 주요 자원으로 포함되며, 자연명승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또한 역사유적은 경관성 측면에서 역사문화명승의 지정기준과유사하며, 전쟁 및 유명인물 관련 유적이 주를 이루는 양상이 사적의 유형과 관련있었다. 보존관리 측면에서 미국 국립공원의 자연지역은생태계 원상을 그대로 두는 방식을 지니고 있으나 점적 자원에 대한 중점관리는 국내 자연유산 보호체계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역사자원은 사적과 역사문화명승이 전통시대 생활상 전반을 포함하고 있으나, 미국 국립공원의 역사유적은 전쟁사, 유명인관련 유적을 대상으로 현대까지 시간적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현존 자원을 토대로 적극적인 향유 프로그램 제공이...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and major values, the designated procedures and types, and the designation trend in Korean scenic sites and national park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is,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ation of the two natural herit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enic Sites has characteristics of complex heritage that includes academic, historical, and humanities values on the basis of landscape. As a natural heritage based on public nature, the U.S. National Park aims to contribute to the people's natural heritage and satisfy both ecological and historical values through the protection of the landscape. Second, the designation of a scenic sites are decided through deliberation by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after the request of the owner, manager, or local government or by the authority of the head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designated survey is divided into basic resource surveys and resource surveys by type. Since the initial designation of the Sogeumgang Mountain in Cheonghakdong, Myeongju in 1970, the number of designated scenic sites was low until the 2000s, but the number of designated scenic site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06 due to the policy to promote the scenic site, and the proportion of natural and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ites has been balanced. The designation of the U.S. national park is decided by the Congress or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Park Service makes a series of decisions on whether to conduct a special resource study of provisional resources through a preliminary inspection survey, whether to satisfy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national parks based on the results of special resource research, and to prioritize them. The U.S. National Parks have been expanded not only by Congress but also by the president's empowerment to designate them as national monuments. With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the number of designated cases increased as the national park included the heritage sites under the control of various ministries. In addition, a number of historical areas were designated by the enactment of the Historical Site Act, and recreational areas were designated to provide leisure space and classified and managed in a total of 18 units. Third, the comparison of the desig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heritage properties confirmed that the designation of natural heritage with complex value, the classification of types according to complementary designation system and resource characteristics,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etent ministry and the balancing of the heritage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policy. The two heritages had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natural heritages that met ecological,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s at the same time based on landscape and public nature. In addition, both countries have identified a system for deliberating the designation of heritage through a basic resource survey and an in-depth designation survey, and classified each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 In addition, the policies for promoting scenic sites in Korea and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in the U.S. influenced the designated aspects of the two heritage sites, balancing natural heritage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Fourth, the resource types and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of Scenic site and National Park were largely related. The natural areas of the U.S. National Park include types of natural monuments in Korea as major resources, and ha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natural scenic sites. In addition, historical resources were similar to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cenic sites in terms of landscape, and the aspects of war and celebrity-related relics were related to the types of historic sites. In terms of conservation management, the natural area of the U.S. national park has a way o...

      • KCI등재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변천과 주요정책의 국내 명승 적용 제언

        김동현,이건풍,신현실 한국전통조경학회 202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1 No.2

        This study aims to distinguish what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ional situation with Korea for Chines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expanded to the existing scenic cruise culture, travel, and tourism culture in the process of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and became popular as a travel destination. Accordingly, the Chinese government developed the tourism industry around the scenic sites, an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has become an important national heritage. Thi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related to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and today, it is operated around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ordinance. Second, the designation of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is divided into the size of the site according to the area,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classification, rating evaluation, and comprehensive value evaluation according to evaluation indicators and rating standards is carried out.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it is subdivided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at the local level. Third, the central government is in charge of managing and supervising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across the country, and the local government's construction department is in charge of supervising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in the region. The management organization of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above the county level has a system that actually protects, utilizes, and manages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In addition, 14 detailed indicators are used to monitor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the domestic scenic site policy, the method of developing the policy that has established th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tilization of the people is worth considering. 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of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setting of various indicators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objectivity in impressing or evaluating the landscape. Therefore, rather than blindly introducing quantified evaluation, it seems that guidance and promotion on how to expand consensus on scenic values and enjoy heritage should be prioritized.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명승의 자연유산으로의 가치 확립과 내용적 범위의 확장을 위해 자국 내 법률의 국제화를 실현한 중국의풍경명승구를 대상으로 국내와의 국가적 상황을 고려하여 선용할 수 있는 부분을 변별하고자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도입과 변화과정, 관련 정책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풍경명승구는 근현대기 서양 문물의 유입과정에서 기존 명승 유람문화과 여행, 관광의 문화로 확장되었고, 여행지로서각광받게 되었다. 이에 중국 정부에서는 풍경명승구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을 발전시켰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풍경명승구는국가적으로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는 풍경명승구 관련 제도가 수립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풍경명승구 조례를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풍경명승구의 지정은 면적에 따라 용지규모가 구분되며, 풍경명승 분류 선별, 등급 평가, 평가지표와 등급기준에 따른 종합가치평가 등의 과정을 거친다. 이에 따른 등급분류 결과에 따라 국가급에서부터 지방단위의 풍경명승구까지 세분화하고 있다. 셋째, 풍경명승구의 보존관리는 중앙정부에서 전국의 풍경명승구에 대한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지방정부의 건설 부서에서 해당 지역의 풍경명승구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급 이상 지방정부가 설립한 풍경명승구 관리기구가 실질적인 풍경명승구의 보호와 활용, 관리 업무를 실시하는 체계를 지닌다. 또한 14가지 세부지표를 통한 풍경명승구의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명승 정책의 적용을 고려해볼 때 국민의 활용적 관점에서 제도를 수립해 온 정책의 전개방식은 고려할사항이라 판단된다. 한편, 다양한 지표 설정을 통한 지정 및 관리체계 평가는 경관에 대한 감흥이나 평가에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기어려운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정량화된 평가를 맹목적으로 도입하기보다는 명승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대하고, 유산을 향유하는 방식에 대한 안내와 홍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15세기 名勝에 대한 題畵詩의 표현방식과 그 의미

        박혜영(Park, Hae-young)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7 No.1

        1. 서 론 2. 15C 名勝圖 題畵詩의 형상화 과정 3. 15C 명승에 대한 題詠詩와 題畵詩 비교 분석 1) 자연풍광, 朴淵瀑布 2) 인문경관, 箕城 4. 결 론 이 논문은 15세기 名勝에 대한 題畵詩를 대상으로 그 표현방식과 의미를분석한 것이다. 15세기는 館閣文人을 중심으로 제화시가 성행하던 시기다. 또한 조선 초 각종 지리지 편찬과 지도 제작, 집경시의 유행은 명승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5세기 名勝圖 題畵詩는 당대명승이라 불리던 공간의 상징성이 集積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명승이 그림으로, 다시 시로 읊어지면서 勝景이라는 인식이 강화되고 그 장소에 얽힌 敍事가 구체화되었기 때문이다. 15세기 명승도 제화시를 남긴 문인은 이승소, 서거정 등이 있다. 이는 명승에 대한 題詠詩와 비교했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실제 景物을 대상으로 한 명승 제영시는 그곳에서의 개별적 經驗과 이것이 불러일으키는 개인적 抒情이 주된 내용인데 반해, 명승을 그린 그림을 소재로 삼은 명승도 제화시는 명승에 대한 상징 의미와 이를 公的으로 향유하려는 집단의 식을 강하게 표출한다. 또한 그림의 소재인 명승의 성격, 즉 원래 주어진 自 然 그대로의 풍광인지, 사람들이 2차적으로 부여한 의미에 따른 人文 경관인지에 따라 시의 주체가 달라진다. 자연풍광의 경우 명승이 그림과 시의 창작을 촉발시키는 주체로 작용하여 그 형승의 모습을 재현하고, 인문경관의 경우 명승 속 人物과 文物이 주체가 되어 명승에 이미지를 입히고 의미를 부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