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노화쥐의 해마형성체와 내후각뇌피질에서 세포사 관련물질들의 변화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신수진,우행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 학습과 기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해마형성체(hippocampal formation)와 내후각뇌피질 (entorhinal cortex)에서 노화에 따른 세포사 관련물질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각각 10마리의 노화쥐와 대조군을 대상으로 NOS, VIP, c-fos, bcl-2, bax, p53에 대한 항제를 사용하여 면역세포화학염색을 하였고, NOS와 bcl-2의 경우는 면역세포화학 염색이 선명하지 않아 in situhybridization도 함께 시행하였다. 결 과 : 1)NOS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노화쥐의 내후각뇌피질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30%), 수상돌기의 수가 감소하고 길이도 단축되었다. 또한 해마형성체에서 in situ hybridization 시행한 결과 NOS mRNA양성 신경세포는 노화쥐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2)VIP면역반응 신경세포는 주로 양극성 세포이었으며, 노화쥐에서 감소하였고 신경세포에서 수상돌기의 수가 감소하고 길이도 단축되었다. 3)c-Fos의 면역세호화학 염색에서는 핵만 염색되는 것이 특징이었으며, c-fos 면역반응 핵의 수와 염색성이 노화쥐에서 감소하였다. 4)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한 bcl-2 mRNA양성 신경세포가 노화쥐에서 감소하였다. 5)Bax 면역반응세포는 대조군과 노화쥐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염생석이 노화쥐에서 약간 감소하였다. 6)P53 면역반응세포는 대조군에서는 염색이 되지 않았고 노화쥐의 해마 CA1에서만 관찰되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뇌의 노화과정에 NOS, VIP, c-fos, bcl-2, p53이 포함된 신경세포 체계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노화쥐의 해마형성체와 내후각뇌피질에서 세포사 관련물질들의 변화에 대한 형태학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Objectives : Hippocampal formation and entorhinal cortex play a part in learning and memory.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ell-death controlling factors in the hippocampal formation and entorhinal cortex of aged rats. Methods : Ten aged rats and ten controls were studied. We performed immunocytochemical method using antibodies against NOS, VIP, c-fos, bcl-2, bax and p53 and in situ hybridization. Results : 1)The number of nNOS-immunoreactive(IR) neurons in the entorhinal cort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ged rats(>30%). Morphologically, the number of dendritic branches seemed to be decreased and the length of dendrites showed a tendency to by shortened in the aged group. A major loss of nNOS mRNA positive neurons was observed in the hippocampal formation of the aged rats(>30%). 2)VIP-IR neurons were predominantly bipolar cell. VIP-IR cells were mildly decreased in the hippocampus and subiculum(<15%), and moderately decreased in the dentate gyrus and entorhinal cortex of the aged rats(1515-30%). The number and length of dendritic branches also appeared to have decreased and shortened in the aged group. 3)c-Fos immunoreactivity at cellular level was restricted only to the nucleus. C-Fos-IR nuclei were moderately decreased in the hippocampus(15-30%), and severely decreased in dentate gyrus, subiculum and entorhinal cortex of the aged rats(>30%) 4)Bcl-2 mRNA positive neurons were moderately decreased in the hippocampus, subiculum and entorhinal cortex(15-30%), and severely decreased in dentate gyrus of the aged rats(>30%). 5)Bax-IR neurons were similarly distribut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aged rats, but bax-IR neurons of the aged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ere weakly immunostained. 6)P53-IR neurons were only observed in hippocampal CA1 region of the aged rats.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e involvement of neuronal system containing NOS, VIP, c-fos, bcl-2 and p53 in the brain aging process, and provide the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changes in immunoreactivity of cell-death controlling factors in the hippocampal formation and entorhinal cortex of aged ra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흰쥐 난소에서 황체내 큰포식세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 면역조직화학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 연구

        김원식,한승로,조근자,김수일,박창식 충남대학교 형질전환복제돼지연구센터 2007 논문집 Vol. No.10

        황체는 임신의 수립과 유지에 필수적인 일시적인 내분비샘으로, 주기능을 발정주기의 생리적 기간을 결정하고 성공적인 임신을 달성하는데 결정적인 프로게스테론의 생산이다. 황체의 기능은 뇌하수체 gonadotropin 뿐만 아니라 황체내 큰포식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를 포함한 몇가지 cytokines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 (Sprague-Dawley계통)에서 생식주기별 황체내 큰포식세포의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흰쥐 황체에서 큰포식세포는 배란기,임신기 및 출산후기 등 모든 시기에 나타나고,그 수와 면역반응성은 배란기에 가장 컸고 출산후기,임신기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황체내 큰포식세포를 세포체가 가늘고 돌기가 긴 비포식성 큰포식세포와 포식성 공포와 지방소체들을 많이 함유한 포식성 콘포식세포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황체내 콘포식세포는 발정주기에 따라 그 수나 면역반응성이 다르며,황체퇴화가 활발히 진행되는 배란기와 출산후기에 면역반응성이 증가하고 포식성 큰식세포들이 나타난 것은 큰포식세포에서 TNF-α 와 같은 cytokines의 분비를 활발히 일으키고 그들이 황체세포들의 세포자멸사를 유발,촉진하고 또한 세포자멸 사소체들을 포식,제거하는 방법으로 황체퇴화를 유도하여 정상적인 발정주기를 유지하기 위한 기전으로 생각 되고,임신기에 큰 포식세포의 수와 면역반응성이 작아지고 비포식성 큰포식세포가 주를 이루는 것은 이들이 TNF-α 동의 cytokines 분비를 통해 그들이 황체자극효과를 나타내 황체의 기능을 유지,촉진하는데만 관여하고,한편으로는 황체에서 생산되는 프로게스테론에 의한 큰포식세포 억제작용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Macrophages in the corpus luteum have many important roles during the periods of functional development and luteal regression. Not only phagocyte the apoptotic luteal cells, but also they secrete many cytokines and exert their effects via autocrine/paracrine a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number and immunoreactivity of macrophages at various developmental periods of the corpus luteum in the rat ovary. The rats (Sprague- Dawley strain, female) at age of 8 weeks (ovulatory period), GD 6 (pregnant period), and postpartum 5 days (postpartum period) were sacrificed under ether anesthesia and obtained both ovaries, one used for macrophages immunohistochemistry and the other used for 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 In the corpora lutea of the rat, macrophages were observed all the developmental periods including ovulatory, pregnant and postpartum periods. 2. In the corpora lutea of the rat, number of macrophages was highest in the ovulatory period, and decreased at postpartum period and pregnant period in order. The immunoreactivity of macrophages was high at ovulatory period, moderate at postpartum period, and low at pregnant period. 3. In TEM observations, two types of macro phages were observed: One type was non-phagocytic macrophage and the other type was phagocytic macrophage. Phagocytic macrophages were observed in the corpora lutea at ovulatory and postpartum periods and contained apoptotic bodies, phagocytic vacuoles and many lipid droplets. Non-phagocytic macrophages were observed in the corpora lutea at pregnancy period and showed slender cell body with long cytoplasmic processes and contained no apoptotic bodies. In the rat, the number and the degree of immunoreactivity of macrophages in the corpus luteum varied with the changes of functional state of the corpus luteum. It was suggested that the main function of the macrophages at the ovulatory and postpartum periods was elimination of apoptotic luteal cells and that at pregnancy period was autocrine/paracrine action. Ultrastructurally, two types, phagocytic and nonphagocytic types, of macrophages confirmed. These results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s on the study of the role macrophages during development and regression of corpus luteum.

      • KCI등재후보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이 유도된 흰쥐의 신경망막에서 AII 무축삭세포의 연접이전 신경세포의 변화

        박효숙(Hyo-Suk Park),박성진(Sung-Jin Park),신지만(Ji-Man Shin),천명훈(Myung-Hoon Chun),오수자(Su-Ja Oh)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3

        칼슘결합단백질인 parvalbumin은 신경망막에서 속핵층의 AII 및 넓은-수용영역 무축삭세포와 신경절세포층의 전위무축삭세포에서 발현되며, 당뇨병 상태에서 parvalbumin 발현은 AII 무축삭세포에서 저하되나, AII 무축삭세포와 전기연접을 형성하고 있는 원뿔이극세포에서 증가됨이 이미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당뇨병 망막에서 AII 무축삭세포에서 parvalbumin 발현이 저하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AII 무축삭세포의 연접이전 신경세포들의 변화를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추적하고자 하였다. 생후 8주 된 Sprague-Dawely계 흰쥐를 실험동물로 하여 streptozotocin의 정맥 내 주사로 당뇨병을 유발시켰으며, 300 mg/dL 이상의 혈당치를 나타낸 동물들을 각각 1, 4, 12 및 24주 경과시켜 사용하였다. 각 시기의 동물로부터 분리된 망막에 parvalbumin, protein kinase C (PKC)-α 및 tyrosine hydroxylase (TH)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법과 Western blot법을 시행하였다. 막대이극세포는 PKC-α에 면역 표지된 축삭종말을 주로 속얼기층의 5층으로 뻗고 있었다. 당뇨병 12주 및 24주 때 막대이극세포의 축삭은 짧아져 있었고 축삭종말은 다소 확장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당뇨병 때 PKC-α의 농도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TH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속핵층의 무축삭세포로서 형태학적으로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즉, 큰세포체와 길게 뻗은 일차 가지돌기를 지닌 세포 유형 (1형)과 작은 세포체와 가지돌기나무 (dendritic arborization)를 지닌 세포 유형(2형)이다. 속얼기층과 속핵층의 경계부위에 TH 면역반응 돌기들의 고리구조가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당뇨병 망막에서 1형 TH 무축삭세포의 면역반응성이 저하되어 나타났으나, 2형 무축삭세포의 반응성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면역반응성의 저하와 더불어 TH 단백질의 농도 또한 당뇨병 시기 동안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망막의 TH 면역반응성 무축삭세포가 막대이극세포보다 당뇨병 상해에 대하여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따라서 당뇨병 때 AII 무축삭세포에서의 parvalbumin 발현 저하가 주로 연접이전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기능이상에 의한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I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that parvalbumin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in AII amacrine cells, while upregulated in a subset of cone bipolar cells electrically synapse with AII amacrine cell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retina.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trace biochemical changes of pre-synaptic neurons to AII amacrine cells in rat retina following diabetic injury. Diabetic condition was induced by streptozotocin injection into Sprague-Dawley rats aged of 8 weeks. The experimental term of induced diabetes was set at 1, 4, 12 and 24 weeks. Changes of pre-synaptic neuron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with anti-protein kinase C (PKC)-α and anti-tyrosine hydroxylase (TH) antibodies. Rod bipolar cells immunolocalized with PKC-α antibody extended their enlarged axon terminals into stratum 5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In later diabetes, the axon was shorten and its terminals of rod bipolar cell are slightly enlarged. The protein levels of PKC-α were slightly increased along with the duration of diabetes. TH immunoreactive neurons a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into two subtypes of amacrine cells in the inner nuclear layer: one (type 1) has large soma with long and primary dendrites, classified with dopaminergic, and the other (type 2) has small soma with dendritic arborization. In the outermost inner plexiform layer, ring-like structures being composed of type 1 cell processes were densely distributed. In diabetic retina, the intensity of TH immunoreactivity in type 1 neurons was reduced. In accordance with morphological changes, the protein levels of TH were reduced during diabet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 immunoreactive dopaminergic amacrine cells are more susceptible to diabetic injury than the rod bipolar cells in the rat retina and may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parvalbumin expression in AII amacrine cells of diabetic retina is mainly due to dysfunction of pre-synaptic dopaminergic amacrine cel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이 유도된 흰쥐의 신경망막에서 parvalbumin 발현 변화

        박효숙(Hyo-Suk Park),박성진(Sung-Jin Park),박선화(Sun-Hwa Park),정진웅(Jin-Woong Chung),천명훈(Myung-Hoon Chun),오수자(Su-Ja Oh)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2

        칼슘결합단백질은 신경계통에서 활동전위의 지속시간 변화, 신경세포의 돌발반응 능력 촉진 및 과도한 칼슘 유입에 의한 상해로부터 신경세포의 보호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칼슘결합단백질의 한 종류인 parvalbumin (parv)의 정상 망막 내의 발현소재 및 발현양상과 실험적으로 유도된 당뇨병성 망막에서 parv 발현양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당뇨병성 망막증에서 parv 기능의 일부를 규명하고자하였다. 생후 8주된 Sprague-Dawley 계 흰쥐를 실험동물로 하여 streptozotocin의 정맥 내 주사로 당뇨병을 유발시켰으며, 300 mg/dL 이상의 혈당치를 나타낸 동물들을 각각 1, 4, 8, 12 및 24주 경과시켜 사용하였다. 각 시기의 동물로부터 분리된 망막에 parv 항체를 사용한 면역세포화학법과 Western blot 법을 시행하였다. 정상 망막에서 parv 면역반응성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무축삭세포와 전위무축삭세포에서 나타났다. 속핵층에 위치한 첫 번째 유형의 무축삭세포는 강한 면역반응성과 특징적인 공모양 부속돌기를 지닌 AII 무축삭세포였으며, 또 다른 세포는 강한 반응성과 속얼기층에 수평으로 길게 뻗고 있는 돌기를 지니고 산재해 있는 무축삭세포였다. 당뇨병 망막에서 parv 면역반응성은 주로 세포질돌기에서 저하되었으며, 각 parv 면역반응 무축삭세포들의 수적 변화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특징적으로 당뇨병 경과 4주부터 일부의 이극세포가 parv 면역반응성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이후 시기가 경과됨에 따라 parv 면역반응 이극세포의 수도 증가하였다. 당뇨병 망막에서 parv 단백질의 양적인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당뇨병 4주 때 일시적으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을 뿐 그 외의 당뇨병 시기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당뇨병 망막에서 parv 면역반응 이극세포의 종류 및 특성을 규명하고자 이중면역형광법을 실시한 결과, parv 발현 이극세포가 일부 유형의 원뿔이극세포 표지자인 Glt-1b와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arv 면역염색된 망막의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속얼기층에서 AII 무축삭세포 돌기들 사이에, AII 무축삭세포 돌기와 이극세포의 축삭 사이에 교통연접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parv 활동능이 당뇨병 상해에 반응하여 AII 무축삭세포에서 특정 원뿔이극세포로 전이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특정 원뿔이극세포와 AII 무축삭세포 간의 교통연접을 통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Calcium-binding proteins in the nervous system are functioned in Ca2+ buffering and Ca2+ transport and regulation of various enzyme systems. They potentially have a number of different effects on cells including altering the duration of action potentials, promoting neuronal bursting activity and protecting cells against the damaging effects of excessive calcium influx. The present study has been designed to clarify the differential responding patterns of parvalbumin 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rat retina following diabetic injury, for better understandings of role of parvalbumin in the retinal circuitry and in calcium homeostasis. Experimental diabetes was induced by a single intravenous injection of streptozotocin in a dose of 60 mg/kg body weight. Diabetic rats showing high blood glucose levels (above 300 mg/dL) were cared for 1, 4, 8, 12 and 24 weeks, respectively. The retinas at each time point were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ting using antiparvalbumin antibody. In the rat retina at normal,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appeared in AII amacrine cells, amacrine cells of a widefield type and displaced amacrine cells. A few bipolar cells are also showed the reactivity. During diabetes, the intensity of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is decreased especially in the AII amacrine cells. The cell number of parvalbumin immunoreactive neurons has showed no large changes throughout the diabetes, except that of bipolar cells. That population of parv immunoreactive of bipolar cells has increased remarkably at later diabetic periods. The protein levels of parvalbumin have showed transiently a slight increase at earlier diabetic periods, and then decreased to lower than that of normal. Parvalbumin immunoreactive bipolar cells at diabetes are co-localized not with PKC-α or recoverin, but with glutamate transporter Glt-1b. AII amacrine cell processes were joined with each other and with axon terminals of presumed cone bipolar cells by gap j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lcium buffering activity of parvalbumin is shifted from AII amacrine cells to a certain type of cone bipolar cells, in response to diabetes. This event may be occurred through electrically coupled gap junction in between these cell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