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메타담론의 측면을 통해 본, 사변과 비판으로서의 파르메니데스 철학

        강철웅(Chol-Ung Kang)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80 No.-

        파르메니데스 연구자들이 골몰해 온 진리-독사(Doxa) ‘두 부분’간 관계의 물음은 진리편만 강조하는 입장에서 진일보한 것이지만, 여전히 그의 담론의 나머지 한 부분인 서시를 외면하며, 그가 왜 시로 철학했는가를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그의 메타담론적 반성과 매체에 대한 반성을 뚜렷이 보여주는 서시에 주목하면서 ‘세 부분’간 관계를 묻고, 이를 통해 기존의 ‘두 부분’간 관계 물음에 우회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하려 한다. ‘주류’ 해석의 이해와 달리, 독사편은 파르메니데스 자신의 우주론적 사변이다. 그는 자기 담론을 펼치면서 동시에 메타담론적 반성을 의식적으로 행하고 있다. 노에인이라는 엄밀한 앎을 목표로 하는 진리 담론과의 '다름'과 '닮음'이 반성된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그의 독사는 ‘가사자들의 독사’와 다르다. 그런 반성성이 그의 담론을 그런 방식과 매체를 통해 개진되게 했다. '두 부분'간 관계를 메타담론적으로 고민하고 신화적 틀을 통해 적절히 배치하는 장치가 바로 서시이다. 그의 이런 메타담론적 반성과 매체 선택에 주목하면 전통의 계승과 혁신 둘 다를 성취하려는 그의 지적 기획이 담고 있는 사변과 비판의 면모를 잘 파악할 수 있다. 진리편이 2세대 엘레아주의자들에게, 그리고 독사편이 다원론자들에게 계승되는 것과 더불어, 그의 메타담론적 반성은 앎(혹은 모름)에 대한 앎을 역설하는 소크라테스적 정신과도 잘 맞닿아 있다.

      • KCI등재

        한국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정재철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8 No.-

        본 연구는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 논문에 대한 전체적인 메타분석을 시행해 봄으로써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가 현재 어떠한 학문적 지형에 있는지를 정리 및 조망해 보고 국 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발전적인 측면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국내 미디 어 담론 분석 연구 논문의 메타분석 결과,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는 비판적 언어학의 영 향을 받으면서 문화연구 전통의 비판적 미디어 담론 분석 전통과 비판적 언어학을 배경으로 하는 비판적 담론 분석(CDA)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미디어 담론 분 석 연구 분야는 국·내외에서 공부한 소수의 미디어 문화연구자들에 의해서 산발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어서, 좀 더 담론 지식을 공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화 된 미디어 담론 연 구자의 확충과 이를 통한 깊이 있는 미디어 담론 지식 생산이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진영의 과제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conducts both comprehensive meta-analysis on the research subject focused on the Korean media discourse analysis method study. This meta-analysis study deal with 54 articles published in the six major korean communication study journals during the period of 1992-2014. A meta-analysis based on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 First, researchers have inconsistently defined the terms, ‘discours’ or ‘discourse analysis’ and their conceptualization has largely been derived from their own perspective. Second,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analysis are varied based on linguistics, social linguistics, semiotics, social semiotics, critical linguistics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he most recent trend for the study of media discourse is an approach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media discourse stud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poverty of media discourse study in korea in researcher and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regarding the media discourse.

      • KCI등재

        21세기 도시, ‘0도’의 메타담론

        송은하(Eun-Ha So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4

        기존의 주류 도시담론은 도구적 합리성과 효율성에 기반하여 도시의 상품화, 브랜드화, 이미지화에 치중한 계획논리가 주도적이었다. 그 결과 도시는 장소성이 상실된 획일화된 풍경, 쓸쓸한 비장소성의 공간이라는 부작용을 동반하였고, 이로 인해 인간은 자신이 정주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감수성 상실로 소통에 실패한 채 정체성의 위기를 겪게 되었다. 인간이 소비자로 간주되고 도시는 상품으로 평가되는 까닭이다. 그러나 도시는 유기체적 존재로서 단순한 분석이나 실용주의적 담론만으로는 수용할 수 없는 대상이다. 인간 정체성의 현현인 도시는 인간에게 끊임없이 물음을 제공하는 인문적 텍스트이며, 이 텍스트를 둘러싼 도시담론은 메타담론으로 상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주류 도시담론에 균형성, 다성성, 교직성을 담보한 메타방법론적 탐구를 시도하여 그간 자명한 것으로 여겨왔던 20세기적 시각에서 벗어나 도시에 대한‘0도’의 담론을 추동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 주류 담론들의 대안과 대척점에 있는 인문적 성찰들을 교직하고 균형을 잡으며 여러 각도의 다성적인 의미들을 아우르고자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친숙한 지평’과‘새로운 지평’사이의 충돌을 겪으며 기존 도시 담론이‘지평의 전환’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도시와 도시담론이라는 문제 자체에 대한 의심을 제기하여 반성적 사유를 추동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The leading urban discussions have been formed in the light of planning logic based on urban commoditization, city branding and city image-making. Consequently, cities have evil sides that they are shown as desolate ‘non-place’space filled with homogenized landscapes, which lost senses of place. Losing sensibilities towards their residing places makes residents to face the risk of losing identity, as a result of failed communication with their surroundings. This situation results from the environment in which cities are treated as products and residents are regarded as consumers. Cities, however, which are organic entities, cannot be interpreted by simple analyses and pragmatic discussions. In some sense, they are human incarnation, so they could be regarded as texts of human and cultural sciences and urban discussions surrounding these texts should be regarded as metadiscourse. This study aims to apply meta-analysis method which guarantees equilibrium, texturation and multiplicity to conventional discussions, in order to get out of 20th established viewpoints and then set up the ‘metadiscourse’in pursuit of ‘Degree Zero’. It also attempts to encompass and shed light on several new meanings on city, drawn from various angles, after balancing and texturing human and cultural sciences’studies which are in diametrical opposition to the conventional discuss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ursue reflective thoughts on the subject itself on city and urban discussions as openly as possible all the insights involved in this discussion through raising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m. In this process, this study wishes to capacitate the creation of the necessary ‘horizontal shift’as a consequence of confronting a new horizon of text(as city) and conflicting between former ‘familar horizon’ and ‘new horizon’.

      • KCI등재후보

        철학적 논변의 전통과 크세노파네스

        강철웅(Chol-ung Kang)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2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9

        이 글은 논변이 철학적 담론 방식의 핵심으로 대두되는 초기 철학사의 발전 과정에 크세노파네스 사유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고찰한다. 그 과정에서 기존 크세노파네스 해석 대부분이 의존하는 신학 중심성 테제에 도전하면서, 그 테제가 낳은 해석상의 약점, 즉 그의 담론이 주장 단계에 머물러 있고 논변적 면모가 취약하다는 커드식의 단계론적 접근과 그에 따른 작품의 통일적 이해 실패를 넘어서려 시도한다. 신학 단편에 가려 주목되지 않았던 ‘주변적’ 단편 특히 향연시 단편의 분석을 통해 이 글은 다음을 밝힌다. 향연시가 담고 있는 메타 향연은 인식론 논의와 함께 크세노파네스의 메타 담론을 형성한다. 핵심어의 이중적 사용이 그 메타 담론의 특징이다. 이는 노모스의 이중성, 결국 노모스-퓌시스 구분으로 귀결된다. 이런 메타 담론적 시야 때문에 그의 담론에는 논변적 정당화가 필요하다는 의식이 전제되어 있다. 이런 고찰을 통해 논변 전통의 발전이 i) 주장에서 ii) 논변 제시를 거쳐 iii) 논변 반성의 단계로 나아간다는 단계론적 이해의 한계가 드러나며, 이를 바탕으로 크세노파네스 논변이 i) 주장에 머문 게 아니라 우회하여 iii) 반성 단계를 거친 후 ii) 논변 제시 단계로 이행하는 과정 중에 있음이 밝혀진다. 이로써 우리는 논변 전통의 발전이 파르메니데스라는 천재 철학자의 출현을 통해 단발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기존 이해에서 탈피하게 된다. 철학의 핵심이 특정 시점 특정인의 특이한 활동에 귀속되기보다는, 사변 결과인 이야기를 내어놓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공동 자산으로 함께 성숙시켜 가는 변증과 대화의 ‘전통’임을 재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 what role Xenophanes" thought play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history of philosophy in which argumentation came to the fore as the essential feature of the philosophical discourse method. I challenge the theology-centered approach to his discourse and try to go beyond Curd"s three-stage approach and the failure of comprehending the unity of his 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itherto almost ignored ‘"peripheral’" fragments, I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that his meta-symposium in the symposiac poems added to epistemological discussions makes up his meta-discourse, the special feature of which being the intended ambiguity of some key words; that such ambiguity leads to the ambiguity of nomos, and ultimately to nomos-physis distinction; and that, due to such epistemological and meta-discursive view he secured, his discourse presupposes some consciousness that discourse should be backed up by argumentative justification. We can observe that Xenophanes" discourse is not still in the assertive stage but, going all the way round passing through the reflexive stage, now in transition to the argument-presenting stage. In addition, we can find our way out of the established opinion on the tru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of argumentation. We can reconfirm that the essential features of philosophy do not consist in some particular figure"s singular activity, but in the ‘"tradition’" of the dialectic and dialogue in which one offers one"s own story made out of speculation and others critically meditate on it through cooperative inquiry, ultimately growing it as common asset.

      • KCI등재

        경영 패러다임의 사회적 기원과 그 진화

        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3

        근래 들어 경영학자들과 경영 구루들 사이에서 인본주의적 경영담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또 다른 학자들은 지나가는 유행에 불과하다고 폄하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이 두 극단적 해석을 모두 지양하는 대신, 이 현상을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꾸준한 자기실현적 진화 과정의 일부로 파악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선 경영패러다임의 사회적 기원에 대한 관점을 제시한다. 인류의 역사에는 바람직한 이상 사회에 대한 두 가지 사상적 구성물, 즉 유토피아적 메타패러다임이 존재하는데, 이를 각각 기술주의적 메타패러다임과 낭만적 메타패러다임으로 부를 수 있다. 경영 패러다임은 이 두 가지 메타패러다임이 조직의 맥락 속에서 구체화된 사고체계이다. 이 논문에서는 각각의 메타패러다임에 상응하는 경영 패러다임을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과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으로 개념화한 뒤, 이 패러다임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 전제들을 비교하고 이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경영담론과 경영현실에 구현되어 왔는지를 검토한 다. 과학적 관리론은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원형적 모습을 매우 높은 수준으로 구현했으며, 그러한 이유 때문에 이후의 경영담론 진화의 경로를 상당 부분 결정했다.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의 강한 구속력 때문에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은 그 동안 그 본원적 모습을 제대로 구현하기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본주의적 경영 패러다임 내에서 생산된 담론들은 인간관계론 이후 꾸준히 그 본원적 모습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Barley & Kunda가 주장한 경영담론의 주기적 반복 명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기술주의적 경영 패러다임으로부터 인본주의적 경영패러다임으로의 느리지만 지속적인 진화의 관점에서 새로운 경영담론을 해석하고 그 미래를 예측해 본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in management discourse calling for a humanistic approach to diverse managerial issues ranging from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corporate strategy. Some management scholars call it a harbinger of profound change in management thinking, while others dismiss it as simply a passing fad. By employing a philosophical, histor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nature and history of management thoughts, this paper proposes that management discourse has been moving slowly but steadily toward a humanistic paradigm ideal since the emergence of the human relations movement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paper begins by tracing the social roots of the management paradigms from which a variety of management theories and discourse have arisen. Building on Karl Mannheim’s approach to the sociology of knowledge, I argue that management paradigms are rooted in the fundamental aspirations of human beings to lead ideal lives in ideal societies. The epitome of these aspirations coalesces in what I call a utopian meta-paradigm. Examining the utopian meta-paradigm more closely, two sub paradigms emerge with fundamentally different organizing principles and underlying assumptions: the technocratic utopian meta-paradigm and the romantic utopian meta-paradigm. I discuss and compare the technocratic versus romantic utopian paradigms via their fictional realizations in Edward Bellamy’s Looking Backward and William Morris’ News from Nowhere, respectively. From this basis, I construct two separate managerial paradigms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s and management, each of which is a secularized version of the corresponding utopian meta-paradigm: technocratic management paradigm and humanistic management paradigm. At one extreme, the technocratic management paradigm focuses on the accomplishment of material abundance through technocratic work process design and rational control of labor. According to this paradigm, people willingly subsume their autonomy, authority, and innate talents to the requirements of bureaucratic operations in return for material gain. At the other extreme, the humanistic management paradigm emphasizes self-actualization, self-expression, maxim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collective performance, and trust-based mutual dependence within an organizational community. A historical review of management theories and discourses suggests that the two management paradigms have framed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theories and discourses since the emergence of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Specifically,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was not only the first embodiment of technocratic utopian ideals but also the theoretical construct that realized these ideals in an almost perfect fashion. Since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had attained such a high degree of legitimacy early in the history of management, technocratic management projects that attempted to go beyond the reach of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such as system rationalization and reengineering, ended up being considered failures. At the same time,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set the foundation for the evolution of the humanistic management paradigms. Although the human relations movement arouse as an alternative model of management to technocratic management (specifically, scientific management theory), its humanistic spirit rapidly wound down due to the strong allegiance practitioners and management scholars held for the technocratic view. Initially locked in the technocratic vision of utopia, however, human relations movement succeeded in making a path-breaking paradigm shift (though not the traditional sense of paradigm shift that involves the replacement of one with another), calling attention of management scholars and gurus to human-centered aspects of management such as human motivation and employee satisfaction. This early humanistic management discourse, which I call ‘commitment’ discourse, evolved into ‘parti

      • KCI등재

        한국의 역사수업 연구(2014-2020)에 대한 메타 분석 : 최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중심으로

        김민정(Kim, Minjung),백은진(Baek Eunji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2

        본 연구는 2014-2020년 국내에서 수행된 역사수업 연구 63편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같은 63편의 연구에 대해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후속 연구로, 최근 수년간 이루어진 역사수업 연구의 주요 담론을 규명하여 역사수업 연구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역사수업 연구가 전제로 하고 있는 연구의 출발점과 좋은 역사수업의 의미, 역사수업 연구의 개념 등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역사학의 특성이 반영되는 역사수업, 지향하는 가치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역사수업, 교사-역사-학생의 상호성과 개별 맥락 속에 위치하는 역사수업, 새로운 교수법을 실험하는 역사수업이라는 4개의 담론으로 범주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연구 성과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특히 4가지 수업연구 담론이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공통적으로 다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해당 수업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방식,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전개된 수업의 양상, 학생과의 상호작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의 국면에 나타난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각 수업 연구 담론에서 배움의 공동체는 각각 역사 이해를 굴절시키는 비판의 대상, 지향과 실천의 대상, 분석하고 설명해야 할 교육 현상, 혁신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문제로 인식된 상황이나 어려움은 각 담론에 따르면 역사학으로부터 분리된 활동 중심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 교사들이 협력하여 극복할 수 있는 문제,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한 분석과 설명이 필요한 문제 혹은 문제 상황의 제거와 적절한 시행 방법의 처방이 필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별로 연구 문제 설정 방식뿐 아니라 연구 대상의 선정과 연구 방법의 선택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견해 및 좋은 역사수업에 대한 정의 등에도 투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역사수업 연구 담론에 따른 차이를 인지하고, 정치한 연구 방법을 통해 역사수업 연구를 수행할 때 역사수업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상상이 확장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s of 63 history teaching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2014-2020.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to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f the same 63 studies. It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reconsidering the role and meaning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by clarifying the main discourses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premised on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the meaning of good history lessons, and the concept of history lesson research, the discourse of history lesson research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ategorized into four discourses: a history teach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a history teaching that aims to realize the values ​​pursued, a history teaching that is located in the individual context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history-students, and a history teaching that tests new teaching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 KCI등재

        한국문학의 다문화담론에 대한 메타분석(meta-analysis)

        강진구(Kang, Jin-Gu),이기성(Lee, Ki-Seong)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8년 5월 말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문학 관련 논문 중, 다문화담론과 관련 있는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 논문들이 어떤 주제와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통계학적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메타분석을 실시했는데,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학 연구자들의 다문화담론과 관련한 주요 관심사는 다문화사회나 현상을 반영한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이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 또한 문학 작품 못지않게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다문화 교육은 크게 두 가지 지점으로 분화되었는데, 하나는 이해교육으로 대변되는 보편적인 다문화 교육이고, 다른 하나는 다문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분야였다. 셋째, 한국문학 연구자들은 국내 체류 외국인들뿐만 아니라,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비롯한 국내외 이주자들의 정체성의 문제 또한 중요한 연구과제로 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국문학의 다문화담론에 대한 연구 전체를 조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연구대상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연구들이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필자는 주제어와 초록 등이 없는 논문과 학위 논문, 그리고 저서들을 이번 연구에서 제외하였는데, 그 결과 한국문학 분야의 다문화담론에 관한 풍부한 논의들의 상당 부분이 배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conclude statistically, what subject matter and methodology papers on Korean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2 to late May of 2018 in Korean journals, that deal with multicultural discourse, are employing.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cluded, an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main interest of Korean literature scholars concerning multicultural discourse, is to analyze literature that depict a multicultural society or phenomenon. Secondly, discussions concerning multicultural education also caught the attention of scholars just as much as literature. Multicultural education diverges into mainly two points: the standard multicultural education represented by education of understanding. Thirdly, Korean literature scholars consider not only the foreigners living in Korea, but also the identity of the Korean diaspora and of the migrants in and outside Korea as an important subject matter. Despite the above conclusions, the study is limited in considering all of the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n literature. For some significant studies were exclud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subjects of analysis. As papers, dissertations, and publications that did not have keywords and abstract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a great part of a flourishing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n literature was left out.

      • KCI등재

        저널리즘의 담론적 구성에 대하여: 저널리즘 정체성·저널리스트 역할 담론에 대한 고찰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김수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3

        저널리즘은 그것이 본질이 무엇인지, 저널리스트의 역할은 무엇인지 등을 두고이루어지는 담론적 실천을 통해 구성되는 사회문화적 제도이다. 용인할 수 있는저널리즘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발화는 저널리즘을 정의하고, 그것에 의미를부여하고, 그것의 경계를 설정하거나 재구획하고, 특정한 행위자와 그의 실천을정당화하거나 그것의 정당성을 박탈하는 힘을 갖는다. 저널리즘과 저널리스트정체성 담론은 저널리즘의 의미를 규정하며, 이 의미는 저널리즘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신념, 저널리즘이 작동하는 방식, 사람들이 저널리즘을 대하는 방식과연결된다. 이 글은 저널리즘 정체성 담론, 특히 저널리즘의 현실이 구성되고 또이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저널리스트 역할 담론’을 구체화하며, 이에 대한 연구의 정교화 필요성을 논의하는 데 집중한다. 메타저널리즘 담론과담론적 제도주의 이론이 논의의 토대로 활용된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말하기를 통해서 보는 젠더 아이덴티티와 젠더 이데올로기

        하라다 시즈카(Harada, Shizuka)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들의 상호작용에서 흔히 나타나는 ‘애교’에 주목하여 그들의 애교에 대한 메타담론을 통해 이를 분석·검토한 것이다. 연구자는 한국인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들이 애교에 대해서 언급하는 말하기 즉 애교담론을 수집 및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가 주목하고자 한 바는 제보자들이 애교라는 행위를 어떻게 자신 혹은 타자의 젠더와 연결시켜 말하는가 하는 점에 있었고 분석과정을 통해 그들의 애교담론 속에 나타나는 젠더화된 말하기를 여러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남녀학생간의 애교담론에 있어서 공통된 점은 매우 적은 반면, 차이점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중에도 제일 현저하며 포괄적으로 나타난 특징에 주목하여 남학생들의 애교담론을 ‘객관화/타자화의 말하기’, 여학생들의 애교담론을 ‘주체로서의 말하기’로 칭하기로 했다. 이 연구를 통해 ‘애교’라는 일상적 상호작용에서 관찰되는 언어행위가 대학생들의 젠더 아이덴티티 및 그 속에 작용하는 젠더 이데올로기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 또한 앞으로 한국인의 언어와 젠더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is study focuses on a ‘aegyo’, display of cute facial expressions, gestures and tone of voice, that commonly appears in the social interac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is paper, I aim to analyze the students’ meta discourses related to ‘aegyo’ through interviews about their daily interactions. A total of 28 respondent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about ‘doing aegyo’. My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interviewees held differing perspectives regarding aegyo. This reflects the different gender ideologies and identities held by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eir meta discourses and attitudes about doing aegyo allow us to understand how their everyday conversations and behaviors are gendered in their social interactions. There are few commonalities compared to differences observed in the ‘aegyo’ discours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Based on my research observations, I have categorized the students’ discourses into two categories–‘objectification/creation of an other’ and ‘subjectification.’ In the former category, the discourse is characterized by a disassociation with the act of ‘doing aegyo’ even if the individual does aegyo. Specifically, males who do aegyo are considered to be less masculine. In the latter category, the discourse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s acknowledging their role of doing aegyo and clear descriptions of the ‘correct’ and ‘incorrect’ way of doing aegyo. In this paper, I argue that ‘aegyo’ is a speech a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gender identities and ideologies hel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may be an important part in future studies on Korean language and gender.

      • KCI등재

        빅데이터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 메타버스에 대한 학술적 담론 분석

        이상욱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discourse on the metaverse using big data processing techniques in a quantitative manner and to interpret it again qualitatively. For this purpose, 462 abstracts, keywords, and citation counts were used among papers searched using the keyword 'metaverse' in the RISS system, a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operat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s a result, the definitions of the metaverse in Korean academic circles often relied on definitions repeatedly introduced earlier. Moreover, word groupings such as metaverse-education-digital-change appeared much more frequently than metaverse-culture-art-film. Overall, the discussion on the metaverse is academically biased, and various academic discussions in philosophy, aesthetics, and art are urgently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이 연구는 메타버스에 대한 담론이 학술적 차원에서 어떤 양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빅데이터 처리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다시 정성적 방법으로 해석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운영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 시스템에서 메타버스로 검색된 논문 중 462건의 초록과 키워드, 인용 횟수 등을 이용했으며, 이를 빅데이터 처리 도구인 Textom을 활용하여 워드마이닝, 언어 네트워크 분석, 감성분석 등을 시도했다. 그 결과 한국 학술계에서 메타버스 정의는 초기 소개된 정의를 반복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메타버스-교육-디지털-변화 등의 단어가 메타버스-문화-예술-영화 등보다 월등히 더 높은 빈도로 관계 맺고 있었다. 또한 활발히 논의되는 메타버스 교육 장면에서도 실질적인 구현 방법은 생략되고 결과와 예측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종합적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편향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할 철학, 미학, 예술학 다양한 학술적 논의가 절실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