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건설사업의 계약변경 원인 분석을 통한 공사비 상승리스크 식별 및 분석

        정지현,이학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3

        본 연구는 공공건설사업 시공단계에서의 공사비 상승리스크 식별 및 분석을 위하여 계약변경 원인 분석을 통한 공사비 상승요인을 파악하여 62개의 세부 리스크 요인을 식별하고 FMEA기법으로 리스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RPN 분석에서는 공기가 공사비 측면보다 1.3% 큰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공사비 상승 및 공기지연에 대한 위험도 상관관계 분석결과, 순위 상관 계수가 0.892로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스크 항목별 중요도 분석에서는 프로젝트 특성(PC), 설계품질 관련(DQ) 항목이 중요도가 높았으며, RPNC, RPNT 값이 평균이상인 핵심 리스크 요인은 24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사비 상승리스크 식별 및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공단계에서의 효율적인 공사비 상승리스크 관리시스템을 마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세안 국가 FDI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정치적 리스크를 중심으로

        신진원,조예영,김석수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1 국제경영리뷰 Vol.25 No.2

        본 연구는 아세안 FDI 유입 결정요인을 정치적 리스크 관점에서 분석한 논문이다. 연구에서는 정치적 리스크를 세분화하고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으로 분류하였고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FDI 유입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FDI 유입의 결정요인과 아세안 FDI의 추세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아세안 국가의 FDI 유입 결정요인 분석을 위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며, 결과에 대한 해석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본 연구가 갖는 함의와 한계점을 정리하 였다. 연구의 분석 세분화를 위하여 정치적 리스크의 합산지수 및 요인분석을 통한 개별지수로 연구모형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합 산지수 분석결과 정치적 리스크가 아세안 FDI 유입과 음의 관계에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개별지수 분석결과 행정적 리스크와 법적 리스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요인분석에서 제거된 정부의 민주적 책임성은 FDI 유입량과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가 갖는 함의와 한계점을 언급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갖는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을 기반으로 한 연구로서 아세안 국가만이 갖는 FDI 유입 결정요인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정치적 리스크 데이터 를 통해 양적연구모형을 구성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FDI 유입 결정요인으로서 정치적 리스크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셋째, 아세안 국가의 관점에서는 FDI를 유치하기 위해 정치적 리스크 관리항목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determinants of AS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risk. In this research, a political risk was classified as factor analysis to subdivide and characterize them, using a pane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 It attempts to be differentiated by investigating which political factors affects i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FDI and trends of FDI in ASEAN and analyzed related previous studies. In Chapter 3, w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for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FDI in ASEAN countries, collected data, and described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Finally, in Chapter 4, we organiz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order to subdivide the analysis of research,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by separating it into total indices of political risk and segmented indices through fact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of total indices, political risk has a negative effect on FDI in ASEAN, and a analysis result of segmented indices, both administrative risk and legal risk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However, the democratic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which was eliminated from the factor analysis, has n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inflow of FDI.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as a region based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minants of FDI that only ASEAN countries have been identified and analyzed. Second, a quantitativ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political risk data, and based on this, emerge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risk as a determinant of FDI.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ASEAN countries, the factors of political risk needed to be managed was presented to attract FDI.

      • KCI등재

        건설공사의 리스크관리를 위한 통합전산모형 구축

        김창학(Kim Chang-Hak),박서영(Park Seo-Young),강인석(Kang In-Seok)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3D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리스크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현재의 리스크관리 및 분석상의 문제점 및 기초적 개선방안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기초조사에 근거하여 연구에서는 리스크관리 시스템의 총괄적 구성을 리스크관리준비, 리스크확인, 리스크분석, 리스크대응의 4단계로 구분한 바 있으며, 이러한 각 프로세스별 리스크관리를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실무적 분석절치를 모형화 및 전산화하였다. 전산화를 위한 리스크관리의 단계별모듈은 기획, 시공, WBS 및 RBS의 연계활용, 리스크분석모듈로 구분 구성하며, 리스크분석기법으로 기존의 Fuzzy 기법을 단순화 한 분석방법론을 구성하였다. 모든 시스템구성은 시공자 위주로 구성하며 전산화 작업은 인터넷 기반으로 구성하여 본사ㆍ현장 및 계약자간 실시간 리스크관리 및 분석체계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웹기반 메뉴방식으로 구성하여 실무사용시의 편리성을 극대화 하였다.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a computerized system and a systematic process model for risk management and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tatus of risk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n suggests reasonable methods for improved risk management plans. This study defines risk management procedures as preparation, identification, analysis, response and management to manage potential risk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modules for computerizing in this system consist of planning, construction, application of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and RBS (Risk Breakdown Structure), and risk analysis. The methodology for analyzing construction risk uses fuzzy theory, and the scope of developed system is focused to the contractors. The risk management system suggested in this study operates on the Internet, for providing contractors with a useful risk management tool by online system, with web-based menus that is helpful for practical application.

      • KCI우수등재

        개발사업(산업단지, 골프장)의 리스크 분석 및 관리방안

        정민영(Jeong, Min Young),이민재(Lee, Min Jae)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2 No.2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더불어 개발사업은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 하고 있다. 국가에서 추진하는 개발사업 외 민간사업시행자들도 공공의 편의증진, SOC자산의 부족한 재정, 공공발주 외 자체 개발사업 확장 등의 사유로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발사업의 사례를 통해 사업비를 분석하고 각 사업비 항목이 갖고 있는 리스크를 미리 판단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기존 개발사업의 리스크 요인 선정방식으로 AHP기법을 사용하였고, 리스크의 상위항목 및 하위항목 계층화를 위해 토목개발사업 관련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항목을 결정했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해 각 리스크 인자들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결과 분석 및 주요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리스크 요인들이 사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민감도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리스크 요인들의 관리방안을 리스크 대응전략에 대입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사업 중 산업단지 개발사업과 골프장 개발사업의 사업비의 구성 및 사업수지에 대해 분석하고, 각 항목들이 가진 리스크의 중요도 평가 및 민감도 분석,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실무적인 측면에서의 검토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사업검토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60s, development project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projects promoted by the government, private project operators are also promoting development projects for reasons such as increased public convenience, insufficient financing of SOC assets, and expansion of their own development projects other than public orders. However, as the economy has been stagnating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continued supply of facilities for decades and recent COVID-19, the success of the development projects are unsure these day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project costs through the case of such development projects, and to present a plan to judge and manage the risks of each project cost item in advance. The AHP technique, which is widely used as a risk factor selection method for existing development projects, was used, and items were determin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related to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stratify the upper and lower subjects of the risk. We analyzed how the derived risk factors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and finally substituted the risk factors management plan into the risk response strategy and suggested.

      • KCI등재

        EDF를 이용한 국내산업 간 신용리스크 전이량 측정방안

        홍성혁(Seong Hyuk Hong),박만식(Man Sik Park),조재범(Jae Bum Ch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최근 금융리스크 중 신용리스크(credit risk) 측정대상 개체들 간에 전이되는 전이 위험량을 어떻게 측정할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측정방법에 대한 소개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전이효과 측정 시 많이 활용되는 전이효과지수(spillover index)를 이용하여 국내 대표적 내수산업과 수출산업 및 이들 관련 산업들을 대상으로 이들 업종 간의 신용리스크 전이효과를 예상부도확률(EDF)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생산을 유발하는 유발효과가 큰 업종일수록 타 업종에 미치는 신용리스크의 전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이효과지수가 신용 전이 위험량 자체의 측정보다는 전이효과를 비중으로 측정하는 지표이므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전이효과의 비중을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신용 개체들 간의 신용리스크 전이량의 측정방법을 새로이 제안하고자, 업종 간 VAR모형에 의한 예측PD와 업종별 ARMA모형에 의한 예측PD의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산업이 타 업종으로부터 받는 신용 전이 위험량을 측정 및 분해하는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국가 간 등 거시적 측면에서 전이효과를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는 미시적 측면에서 신용 개체들 간에 신용 전이 위험량을 어떻게 측정할 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향후 개별 금융기관들이 보유한 신용 보유자산에 대해, 관심 있는 신용 개체 간의 신용리스크 전이효과를 반영한 적정 경제적 자본관리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has been lots of interest in how to measure the amount of credit contagion risk transferred between credit objects among financial risks but the measurement methods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ye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agion effects among the domestic and export industries, and their related industries using spillover index in terms of EDF. Our analysis shows that the greater the effect inducing domestic production, the greater the transfer effect of credit risk to other industries. The spillover index measures the transfer effect as a weight rather than the measure of the amount of credit contagion risk itself and most of previous literature focused on weight of the transfer effects.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ethod of measuring and decomposing the amount of credit contagion risk from other industries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PD by VAR model and the predicted PD by ARMA model for each industry. We expect that our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appropriate economic capital management reflecting the risk contagion effects for the assets related to credit risk held by individual financial institutions.

      • KCI등재

        운송시스템의 리스크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김은지(Eun Ji Kim),김환성(Hwan seo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0 No.3

        시장의 세계화와 정보통신의 발전에 의해 물류 네트워크가 장기, 복잡화되어 지며,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능력이 감퇴했다. 이러한 리스크의 발생에 의해 물류시스템의 신뢰성이 저하되어,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이 함께 증가하였다. 본연구에서는 운송시스템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정의하고, 운송시스템의 신뢰성과 리스크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운송시스템의 리스크 인자를 도출하여, 운송시스템의 리스크를 수리적으로 평가하는 분석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리스크 인자의 값을 산정하기 위해 발생 지수와 영향지수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방법론을 대형화물자동차 운송시스템에 적용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 적용된 운송시스템에 대한 리스크 지수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서 운송시스템에 대한 리스크를 수치화하여 분석 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운송시스템의 리스크 관리와 리스크 회피전략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Information technology have led the organization of a complex supply chains which are more vulnerable to risks. The impact of risk on the supply chain can be adverse so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on a supply chain has increased. In order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transport system, this study described about the definition of transport risk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kelihood index and effect index of each risk factor. We identified risk factors on transport system and measured likelihood index and effect index of each risk factor. Finally, a numerical risk index, which is a value of total transport system, has been resulted by aggregating all indices. In addition, a case study using the proposed method has done on a heavy vehicle transport context with a transport company.

      • 신문기사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기후변화 리스크별 상호 영향 관계 연구

        강영은 ( Youngeun Kang ),신지영 ( Jiyoung Shin ),박창석 ( Chang Sug Park )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 구 한국환경경제학회 ) 2017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하계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피해가 극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국가, 지역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를 위한 국제적 대응 전략은 불확실한 미래의 손실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리스크 관리 체계로 개편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대책에서는 분야별 핵심 기후변화 리스크 항목들을 도출하고,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도출된 기후변화 리스크 항목 간 위계 차이, 리스크 항목 간 높은 연관성, 리스크 발생 후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2차적인 파급 리스크 등에 관한 문제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과거 24년간 기후변화 영향과 관련된 신문기사를 추출하여, 기후변화 리스크 항목 간 연관성이 높은 리스크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리스크를 선정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기후변화 항목 간 연관성을 도출하기 위한 리스크 항목은 기존 연구(박창석, 2014)의 분야별 181개 리스크 항목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문기사별 연관되는 리스크 항목을 매칭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빅데이터 분석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였으며, 파이썬 (Pytho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리스크 주요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항목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쳤다. 신문기사별 연관되는 리스크 항목 배열 후, 추가적인 검토 과정을 통하여 적절한 리스크 항목들이 배분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리스크 항목 간 상호연관성 검토는 네트워크 분석 도구 중 하나인 Netmin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리스크 항목 간 연결 강도, 빈도 수가 높은 리스크 항목을 추출하였다. 즉 연결 강도 및 연계 빈도수가 높은 리스크 항목이 다른 리스크 항목 들 간의 연관성이 높은 리스크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과정을 통하여 리스크 항목 간 상호 연관 관계가 매우 높은 주요 리스크 항목으로는 ‘재난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 ‘연안 범람으로 인한 침수지역 증가’, ‘홍수로 인한 수리 시설물(하천제방 등) 파괴’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리스크 항목들은 향후 기후변화 적응 계획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리스크 항목으로 선정할 때 타당성 높은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NATM 터널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정희영,이강현,김병규,이인모,최항석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20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2 No.2

        In this paper, a risk management system applicable to NATM tunneling projects is proposed. After investigating case histories in NATM tunnel collapse, this paper analyzes the potential risk factors and their corresponding risk events during NATM tunnel construction. The risk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geological, design and construction risk factors. The risk events are also categorized into four types: excessive deformation, excessive deformation with subsidence, collapse inside tunnels, and collapse inside tunnels with subsidence. The paper identifies risk scenarios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factors and proposes a risk analysis/evaluation method for the NATM tunnel risk scenario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e optimal mitigation measure to handle the risk events is suggested. In order to effectively facilitate a series of risk management proces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isk register and a management ledger for risk mitigation measures that are customized to NATM tunnels. Lastly, the risk management for an actual NATM tunnel construction site i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ystem. 본 논문의 목적은 NATM 터널에 적용 가능한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NATM 터널 현장의 붕괴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NATM 터널시공 중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과 그 발생원인인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였다. 리스크 요인은 지질, 설계, 시공 리스크 요인의 세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리스크 사건은 과 대변형, 과대변형 및 지표침하, 터널내부 붕락, 붕락 및 지표침하/함몰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리스크 요인으로부터 리스크 사건이 발생하는 일련의 리스크 시나리오를 리스크 요인별로 식별하였으며, 해당 NATM 터널 리스크 시나리오에 대한 리스크 분석 및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가결과에 따라 리스크 대응이 필요한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의 리스크 저감 대책공법을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일련의 NATM 터널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NATM 터널 리스크 등록부 및 대책공법 관리대장을 개발하였다. 또한, 구축한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실제 도로터널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리스크 식별, 분석 및 평가, 대응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Analyzing the Likelihood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Risks for Efficient Risk Management - A Case of ChungCheongbuk-Province, Korea -

        In Chul Go,Jong In Back,Na Eun Hong,Yong Un Ba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

        산업의 발달로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가 진행되었고, 이로 인한 급격한 기후변화가 세계 각처에서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리스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발생가능성 및 발생영향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리스크 목록 을 작성하고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각각의 리스크에 대한 발생가능성 및 영향을 평가한 후 SPSS 를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리스크 부문에서 중요하게 평가된 요인 특성을 도출하였고, 발생가능성과 발생영향간의 특성차이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리스크를 효 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예방적 측면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리스크와 대응적 측면을 집중적 으로 관리해야 하는 리스크를 구분할 수 있었다.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led to global warming worldwide, Problems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Despite the seriousness of the current climate change problem,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Therefore, we need to study risk, a key element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kelihood and impact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risks. To do this, we employed expert questionnaire survey on likelihood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risks and conducted a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that were important in the risk and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likelihood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risks. Finally, in terms of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it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climate change by classifying the risks that need to be focused on preventive aspects and the risks that need to focus on responsive aspects.

      • KCI등재

        일본의 식품안전행정 관련법제의 개관

        최철호(Choi, Chol-Ho)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48 No.-

        일본에서 식품안전에 관한 신뢰성 회복을 위하여 식품안전행정체계를 어떻게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식품안전관련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식품안전에 관한 주요 정책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식품안전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은 2001년 광우병이 발생한 이후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회복을 위해 같은 해에 “BSE문제에 관한 조사검토위원회”를 조직하여 이력추적제도와 정보공개 등을 근간으로 하는 “식과 농의 재생계획”을 마련하고, 식품안전기본법 제정을 정부에 제안하여 2003년 5월 식품안전기본법이 입법되었다. 일본의 식품안전기본법의 주요내용으로는 ① 국민건강보호의 관점에서 식품안정성을 확보할 것, ② 식품공급의 각 단계에서 안정성확보를 위한 조치를 취할 것, ③ 식품안전에 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사업자(생산자 및 유통자 포함)․소비자의 역할과 책무에 관한 사항, ④식품안전위원회의 설치 등을 들 수 있다. 식품안전행정과 관련하여 식품안전기본법은 리스크평가와 리스크관리의 기능 및 조직분리 등을 규정하였는데 동법에 의하여 내각부에 리스크평가기관으로 국가식품안전위원회를 설치하고 리스크관리는 후생노동성과 농림수산성이 분담하고 있다. 따라서 식품안정의 관리체계가 종래 단순한 위생행정의 차원에서 리스크분석 시스템으로 전환되었다. 식품안전행정의 기본정책으로는 리스크분석을 채택하고 있는데, 리스크분석은 식품위해의 리스크를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리스크 사전평가기능과 사회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리스크의 기분을 법령에서 안전기준으로 설정된 수준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리스크관리, 위험관리 활동과 위험을 감소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해 국민에서 이해시키고 안심시킬 수 있도록 쌍방향 대화 등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식품위해정보 교환) 등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리스크분석을 식품안전행정의 기본정책으로 삼고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troduce food safety law and risk analysis system of Japa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nalysis of the food safety law and food safety administration relevant to domestic food safety and introduction of scientific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of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at. First, Introduction of the food safety commission as food safety management administration. For this purpose, it examined the provisions related to food safety of relevant Japan's laws. Second, Introduction of risk analysis system of Japan. This study presented proposal for introducing the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of 'Risk Analysis' introduced by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