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분야 기술융합의 혁신시스템 특성분석

        이공래,황정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5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다분야 기술융합의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고, 이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가 파악된 바가 없음. 선진국에서는 간헐적으로 언급되고 또 몇 개의 연구결과가 나와 있는 정도임. ○ 본 연구는 연구 초기단계에 있는 다분야 기술융합에 대하여 이론적인 이해를 시도하고 한 두개 사례분석을 통하여, 향후 심도 있는 정책연구를 추진하는데 밑바탕을 제공하는데 목표를 둠. 주요 연구내용 □ 다분야 기술융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다분야 기술융합은 (fusion of technologies) 2개 이상의 기술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기존의 기술이 갖지 않는 새로운 기능을 발휘하는 기술혁신의 한 현상으로 정의됨 ○ 다분야 기술융합의 요소기술은 매우 광범위하나 현대의 다분야 기술융합을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기술은 나노기술, 생명공학기술, 정보통신기술, 인지과학 등 4가지임. 인지과학은 기술융합을 왜 그리고 어떻게 하는가를 생각하는 분야이며, 나노기술은 사람이 기술융합의 가시적 산물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으며, 생명공학기술은 그것이 기능하도록 작용하고, 정보통신기술은 이것을 통제하고 추적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 □ 다분야 기술융합의 혁신시스템 모형 ○ 다분야 기술융합의 과정은 요소기술들이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생성하는 일련의 결합 과정으로 정의됨 ○ 다분야 기술융합의 수명주기는 여러 분야의 전문 기술지식을 가진 연구원들 간에 사회화 단계과정을 거쳐, 한 연구원이 다른 분야의 전문지식을 충분히 학습하고 소화한 후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게 되는 혁신단계로 이행함. 혁신단계를 넘어서면 연구원 상호 간의 대화나 사회화가 진부해져서 학습의욕과 흥미가 감소되는 안정화 단계로 이행한 후 한 주기를 마침 □ 다분야 기술융합의 사례분석: 지능형로봇 ○ 우리나라는 지능형로봇산업을 10대 성장동력산업의 하나로 선정하고 육성하고자 부심하고 있으며, 2005년 1월부터 산자부와 정통부가 공동으로 지능형로봇 산업기술 로드맵 및 발전전략을 수립?추진함으로써 앞으로 지능형로봇사업의 성장 여부가 주목을 받고 있음 ○ 로봇 관련 다분야 기술융합을 살펴보면 시간의 흐름에 맞추어 다분야 기술이 계속적으로 로봇에 융합되어 온 과정이었음. 1970년대만 해도 자동차 제조공장에서 스포트 용접을 위하여 활용되었던 로봇은 1980년대에 이르러 제어기술과 센서기술을 융합하여 아크용접이나 시각센서 제어로봇을 탄생시켰음. 1990년대에는 다각보행기술, 지적 원격 조작, 다관절 머니퓨레이터, 감성 로봇, 모델기반 지능기술 등 폭 넓은 로봇기술이 출현하였음 □ 다분야 기술융합의 사례분석: 쾌속조형 ○ 쾌속조형은 컴퓨터에서 제작된 설계도면을 3차원 실물로 프린트하는 기술로 차곡차곡 재료를 형상대로 쌓아 올리는 적층조형술을 자동화한 기술임. 현재 핵심미래생산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KAIST에서 정부지원으로 쾌속조형시스템을 연구하여 상용화까지 추진하였음 ○ 쾌속조형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2004년 약 7억 520만불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시장의 규모는 약 160억원으로 추정됨. 쾌속조형시스템은 크게 고가의 레이저 시스템과 잉크젯 같은 중저가의 노즐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저가 시스템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프린터 시장에서 레이저프린트의 시장점유율을 잉크젯프린터가 능가한 것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결론 및 정책제언 ○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학습역량 강화 - 네트워크의 이점들을 잘 활용하는 기업은 그만큼 다분야 기술융합을 추구하는 연구개발과 기술혁신능력 강화에 유리한 위치에 있음. 따라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학습역량 강화가 중요한 정책 목표가 되어야할 것임 ○ 프로젝트 리더의 혁신경영능력 강화 - 공공연구기관이나 대학에 근무하고 있는 프로젝트 리더들에게 리더쉽을 교육하고 다분야 기술융합에 관련되는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필요한 기술혁신경영능력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이 시급함. ○ 창의적이고 개방적인 연구 환경의 조성 - 연구기관의 연구목적과 연구사업의 특성에 부합하는 경영방식과 시스템이 다양하게 도입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할 것임. ○ 학제간 벽을 뛰어 넘는 대학원 교육의 혁신 - 대학원 학생들이 연구팀을 구성할 경우 같은 과나 같은 지도교수 밑에 있는 학생들끼리 구성하는 연구팀이 아니라 다른 과 혹은 다른 지도교수 밑에서 학습하는 학생들 간에 다분야 기술융합 연구팀을 구성하여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제도의 혁신이 필요함 ○ 기초과학과 공학의 융합 - 21세기 다분야 기술융합의 시대에도 과거와 같이 기초과학과 공학의 융합이 중요한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됨.

      • KCI등재

        로봇교육을 위한 로봇기술자격증 현황 및 제언

        백주훈,김진오,한정혜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1

        국내외적으로 STEM교육과 창의성 신장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로봇교육이 주목받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최근 초등학교 방과 후 교실, 로봇경진대회, 영재교육 등을 중심으로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로봇에 대한 전문지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로봇기술자격시험이 개발되어, 초등학생에서 일반인가지 그 응시규모가 해마다 늘어 국가공인자격증으로서의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이 활성화인데 반해, 아직 로봇기술자격시험에 대한 초중등교사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기술자격시험의 추진배경 및 검정 기준, 자격증 운영 조직, 내용 및 출제 방향, 급수별 검정 내용, 응시자 현황분석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로봇기술자격증의 현황을 살펴본 바, 문제의 난이도 및 측정 내용에서 개선 요구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다양한 로봇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이 뒷받침이 필요하며, 방과 후 교실과 연계하여 자격증 시험을 확대하는 등의 향후 로봇교육의 객관적 인지적 평가기준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Recently, STEM education and improvement in creativity took a lot of attention in local and foreign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robot educa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answers which can achieve the objectives. The robot education is quite active locally in various ways including robot classes for after school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a number of robot competitions, and education for the gif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qualification test for robot technology is developed to provide a standard for evaluating professional knowledge on robotics and is currently under consideration to be one of the government-approved qualification tests. However, compared to the robot classes for after school program, this test is not well recognized by most teach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is paper address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test, in particular, backgrounds, qualification standards, organizing committee, intention of presenting questions, examples of problems used in the test, and demands raised by applicants, etc. Base on the analysis, some suggestions are made to establish a solid standard for evaluating robot technologies. It i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and contents covered should be properly adjusted considering the level of applicant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provide well organized supplementary material for students and wide range of contents on robot technology. Finally, some efforts including cooperating with the robot classes for after school program should be made to invigorate the test.

      • u-로봇을 위한 인간-로봇상호작용기술의 연구동향 및 발전전망

        곽근창,윤호섭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8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8 No.3

        최근 정부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 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인프라와 로봇 기술(RT: Robot Technology)을 융합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서버에 주요 기능을 분담시켜 로봇에 대한 만족도 향상과 저가격의 로봇보급을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서비스 로봇(URC: Ubiquitous Robotic Companion)에 관한 연구 개발을 추진해왔다. 이와 관련해서 정보통신부는 네트워크로봇 상용화의 첫 신호탄으로써 국민로봇시범사업을 시행해왔다. 이러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실용화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하고, 서비스 로봇시장의 산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기술로써 인간과 로봇이 자연스럽게 교감하면서 상호작용하는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HRI: Human-Robot Interaction)의 중요성이 최근 부각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로봇을 위한 인간-로봇 상호작용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과 발전전망에 대해서 살펴본다. 특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상용화를 위해 연구개발 중인 시청각기반 인간-로봇상호작용기술과 관련된 세부기술들의 발전현황과 특징에 관하여 기술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과 교육 과정에서 기술 시스템 영역의 첨단 기술 성취 기준을 위한 로봇 체험활동 과제 개발

        김성애(Kim Sung ae),이상봉(Yi Sang b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obot hands-on activity for achievement standards of advanced technology in the technology system domain under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Curriculum. The hands-on activity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and detailed objectives were set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themes of the robot hands-on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the class curriculum and performance assessment tool were developed. The robot hands-on activity assignment was classified into materials for instructors and materials for students. In the improvement stag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robot hands-on activity assignment were assessed. The assessment results were used to modify and improve the hands-on activity assignment. Through this process, the robot hands-on activity assignment for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was finalized. The developed hands-on activity assignment was making a robot to solve real-life problems, and the problems presented were practical and unstructured. Robots serve as educational tools that integrate manufacturing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s such, robot hands-on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for regular classes instead of being limited to student club activiti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이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과 교육과정에서 기술 시스템 영역의 첨단 기술 성취 기준을 위한 로봇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준비, 개발, 개선의 단계에 따라 과제를 개발하였다. 준비단계에서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성취기준에 따른 세부 목표를 설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로봇 체험 활동 주제를 선정하고, 수업 과정안 및 수행 총평 도구를 개발하였다. 로봇 체험 활동 과제는 교사용 자료와 학생용 자료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개선단계에서는 개발된 로봇 체험 활동 과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 활동 과제를 수정, 보완하였다. 이를 토대로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위한 로봇 체험 활동 과제를 완성하였다. 개발된 체험 활동 과제는 생활 속 문제를 해결하는 로봇 만들기 이며, 실제적이고 비구조화된 문제를 제시하였다. 로봇은 2015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기술의 세계 분야의 내용 영역인 생산 기술, 수송 기술, 통신 기술의 모든 영역을 통합할 수 있는 교육적 도구이므로 동아리 활동이나 방과 후 활동에 앞서 정규 수업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로봇 체험 활동 개발이 요구된다.

      • 의료용 나노로봇 기술에 대한 전망과 과제

        이인영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21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4 No.2

        Medical nanorobots are nanoscale robots with medical functions and are important parts of nanomedicine and nanomarkets, where results can be expected not onl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areas, such as drug delivery systems and cancer treatment, but also in brain research. Medical nanorobots are areas to which bioethics, engineering ethics, and philosophical theories can be appl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reflect on nanoethics as a new ethical model for nanotechnology. The issue of nanoethics, for example, the issue of equity that resolves the nano-devide as an equity issue, privacy protection, and human ability enhancement, which raises essential issues related to human identity, is an ethical issue inevitably raised at the stage of R&D and commercialization of medical nanorobots.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the social conditions required for nanotechnology to develop in more desirable direction. How to introduce future nanotechnology clinical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programs, how transparent and openly these decisions are made, how well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all stakeholders are reflected and accepted, and whether these needs are reflected in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but also the problems that arise socially and ethicall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medical nanorobots, approval of the clinical trial plan must be obtained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for manufacturing permission of medicines, and pharmaceutical safety regulations must be complied with. When conducting research on human subjects as part of nanomedicine researches the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 under the Bioethics Act should deliberate on scientific and ethical validity. In particular, medical nanorobots are generally likely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that are generally difficult to solve, and in this case, if the benefits of this technology are emphasized due to the urgency of treatment and usefulness of treatment methods, the inspection and monitoring of the clinical trial itself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In the case of clinical trials for therapeutic purposes, it requires that a fairly high level of information be disclosed for patients who are in a marginal situation, and a sufficient explanation is required. 의료용 나노로봇은 의료적 기능을 가진 나노스케일의 크기의 로봇으로서 진단영역, 치료영역인 약물전달시스템과 암 치료 뿐만 아니라 뇌연구 등에서도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나노의학 및 나노시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의료용 나노로봇은 인간을 대상으로 진단, 치료 등을 행한다는 점에서 생명윤리, 공학윤리, 철학적 이론 등이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지만 나노기술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기술 혁신을 넘어서 인간 삶과 사회의 변화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새로운 윤리모델로서의 나노윤리에 대한 논의와 성찰이 필요하다는 계기를 만들어주고 있다. 나노윤리의 쟁점들 예를 들어 형평성 이슈로서 나노격차를 해소하는 분배정의의 문제, 프라이버시 보호의 문제, 인간의 정체성과 관련된 본질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인간능력 향상의 문제는 의료용 나노로봇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의 단계에서 필연적으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이 한층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조건들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미래의 나노기술 임상연구 및 상용화 프로그램을 어떻게 도입하고, 이러한 의사결정이 얼마나 투명하고 공개적인지 그리고 모든 이해 관계자의 요구와 인식을 얼마나 반영하고 수용하였는지 이러한 요구가 정책에 반영되었는지, 더 나아가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사회적, 윤리적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의료용 나노로봇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의약품 등의 제조허가를 위해서는 약사법상 임상시험의 계획 승인 및 의약품안전규칙의 준수가 필요하다. 나노과학 연구의 일환으로서 상용화 단계 이전에 인간대상의 연구를 시행할 경우에는 생명윤리법상 기관윤리위원회에서 과학적 및 윤리적 타당성에 대한 심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의료용 나노로봇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결하기 힘든 질병의 치료를 위해 쓰일 확률이 높으며 이 경우 임상시험의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치료의 시급성 및 치료방법의 유용성으로 인하여 이 기술이 가져다줄 수 있는 이득을 강조하게 되면 임상시험 자체에 대한 점검과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치료목적의 임상시험의 경우 한계상황에 놓여있는 환자의 경우 상당히 높은 정도의 정보가 공개되고 그에 따른 충분한 설명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 KCI등재

        HRD Implications of Robotic Technology in Organizations

        Heo, Se-Jin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일터에서 사용되는 로봇의 HRD 정책적 함의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로봇의 기술적 측면을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일터에서의 로봇 기술의 한계와 가능성을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이해하기 위해 쓰여졌다. 특히 로봇과 함께 일하는 데 있어 가장 적합한 조직 차원의지원 방안을 찾기 위해 일터에서의 로봇-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는데 필요한 대안적인 관점을제시하고 있다. 그와 함께 본 연구는 HRD 실천적 연구를 위한 로봇 기술의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인간-로봇 간 상호작용과 관련된 전문성의 요소들을 정의하는 것 (2) 기술 도입으로 인한 조직 변화 과정에 대처하는 것 (3) 로봇 기술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 개입 방안을 계획하는 것 (4) 로봇과 인간이 함께 일할 때 필요한 직업윤리를 수립하는 것. 본 연구에서 제시된 로봇 기술의 함의들은향후 일터에서의 로봇 기술 사용과 관련된 양적, 질적 사회과학 연구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RD implications of using robotic technology in the workplace. Because existing literature has been primarily about the technical engineering aspects of robotic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about the challenges and potentials of robotization in the workplace. Especi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best organizational support appropriate for working with robots, this article indicates alternative perspective for observing human-robot interaction in the workplace. In addition, this article points out four implications of robotic technology in organiz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development in HRD. These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as (1) defining the components of expertise in terms of human-robot interaction, (2) coping with organizational change process resulting from robotic technology, (3) design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an organization to effectively assist human-robot interaction, and (4) establishing the code of work ethics in the robotic age. The suggested implications can contribute to shaping conceptual frameworks for further empirical social science research.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로봇에 대한 태도와 기술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백성희,금지헌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로봇에 대한 태도와 기술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C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로봇에 대한 태도와 기술적 사고 성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로봇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Soccer Bot으로 드리블하기, 배틀무기를 이용한 Spike Bot으로 배틀게임하기, 주사위를 던져주는 Dice Bot으로 보드게임하기, 고속으로 씽씽 달리는 Scooter Bot으로 경주하기, Formula Bot으로 포뮬러 경기하기, Sweep Bot으로 주변 청소하기, 불꽃모양의 배틀무기를 이용한 Blaze Bot으로 배틀게임하기, Bug Bot으로 걸음을 옮겨 장애물 피하기’이며 8주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로봇에 대한 태도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로봇과 흥미, 로봇의 중요성 요소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로봇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기술적 사고성향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술적 호기심, 기술적 분석, 기술적 문제 파악 및 해결, 기술적 조작,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요소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봇은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으로 적합한 소재로 아동의 만족도가 높았고, 방과후학교는 실과 교과의 로봇 영역을 보완할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fter school robot program on attitudes toward robo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d 26 from first graders to second graders in two after school classes in C elementary school. Over eight weeks, they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robot program. The content of the after school robot program was organized with “making a soccer bot, spike bot, dice bot, scooter bot, formula bot, sweep bot, blaze bot, bug bot.” The changes to attitudes toward robo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to test the effects of after school robot program. The study also analyzed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sample t-tests for a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First, the after school robot program positively affected attitudes toward robot of children, especially with respect to improving their interest of robot, consequences of robot. Second, the after school robot program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hildren, especially in the areas of technological curiosity disposition, technological analyze disposition,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ying and resolv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operat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 Finally, the robot was a topic appropriate for after school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and children’s satisfaction was high.

      • KCI등재후보

        로봇 벤치마킹을 통한 미래 유망분야 선정에 관한 연구

        박헌균 ( Heon Kyun Par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4 No.-

        최근 로봇의 활용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기술의 중요성은 증가하여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개발되고 있다. 세계로봇시장은 전자 기술 및 제조용 로봇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현재는 인간의 생활 범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용 로봇 기술 개발이 고성장을 주도하여,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한다. 한편, 선진국들은 로봇의 기술 개발에 끊임없이 연구,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연구 인력 및 자본이 취약하며, 로봇 생산 기반 및 체계적인 연구 개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의 Needs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로봇의 기술 개발이 가속화될 필요성을 느끼고, 차세대 로봇의 성장 동력으로 “가정용 로봇”과 관련된 기술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즉, 벤치마킹 사례를 통한 대략 400개의 로봇 사례를 가지고 유사 그루핑하여, 유형별 로봇 기술을 분류하고 여기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을 미래유망 로봇 산업으로 예측한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돼야 할 로봇 분야는 벤치마킹 사례 중, 2번째로 높게 나타난 가정용 로봇이며, 그 중 키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왜냐하면, 가정용 로봇은 가사일, 육아 도우미, 청소 등을 도와줌으로써, 개인의 생활을 윤택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인간 삶에 있어서 필요한 생활 도우미 로봇이기 때문이다. As the level of utilization of robots has been recentl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technologies has been also increased and technologies have been widely developed in various fields of study. The world robot market has been formed focusing on electronic technologies and robots for manufacture, and it is expected t hat the development of the robot technologies for individual service which would provide the services in the life of humans will have high growth rate by taking the lead in high growth. Meanwhile, the advanced countries have constantly studied the development of robot technologies, and spent a huge amount of money in developing robot technologies. However, compared with the advanced countries, Korea has insufficient R&D human resources and capitals for developing robot technologies, and therefore the infrastructure for robot production and the systematic R&D development have not been smoothly achieved. Therefore,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development of robot technologies for satisfying the needs of users in various fields should be accelerated, and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technical development researches related to "home robots" as a growth engine of next-generation robots. In other words, this study carries out similar grouping with about 400 robots cases through benchmarking cases, classifies robot technologies by type, and finally predicts that the type accounting for the highest percentage will be the future-promising robot industry. Thus, a robot area to be studied in the future is the home robot area, which is ranked second in the percentage, and in particular, the kitchen area should be focused on. This is because home robots can enrich the life of individuals by assisting household chores, child-care, cleanup, etc., and they are also living-assistant robots necessary for the life of humans.

      • 로봇기술에 대한 논점을 내포하고 있는 SF 영화 속 로봇 묘사 -영화 <채피>를 중심으로-

        임소연 ( Lim So-yeon ) 콘텐츠문화학회 2023 콘텐츠문화연구 Vol.5 No.-

        로봇의 목적은 인간의 생활과 편의를 위한 것이다. 앞선 전제를 충족했을 때, 로봇은 인간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공존할 것이라는‘긍정적 기대’와 충족하지 못했을 때, 로봇이 인간의 삶과 공존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는 ‘부정적 두려움’을 도출해낸다. 이러한 인간의 양가적 태도는 곧 ‘인간 같은’ 로봇이 투영하고 있는 인간의 도덕성과 폭력성에 있는 것이다. 본고는 영화 속‘인공지능 로봇’이 현실의 로봇개발에 대한 어떤 관점을 내재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함으로 시작되었다. 영화 <채피>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로봇 존재’ 나 로봇의 ‘행위’ -로봇 외형의 강인함과 같은- 가 영화 속에서 로봇에 대한 스펙타클이나 상상력을 유발하는 원인이기도 하지만 본질은‘인간 같은’로봇에게 투영된‘인간의 양면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히 어떤 기술적 발전에서 오는 두려움이 아니다. 역사 속에서 존재하고 축척해온‘인간’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이다. 즉‘인간’의 고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SF 장르 속 로봇은 단순한 기술적 발전과 즐거움이 아닌 로봇에 대한 인간의 태도와 함께 희망, 미래, 불안과 같은 로봇 기술에 대한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 SF 영화는 기술적 구현과 이미지, 서사는 보다 쉽게 논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 영화 속 로봇에 대한 묘사는 로봇 기술이 도래할 미래의 상황과 문제를 제시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술에 대한 논의를 대중들에게 보다 쉽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The purpose of robots is for human life and convenience. When the previous premise is met, robots will provide convenience and coexistence with humans. Fear is derived. This ambivalence of humans is at once in human morality and violence projected by human-like robots. This paper began by raising questions about what kind of perspecti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n the movie has for the development of real robo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vie < Chappie >, we find that the 'robot existence' or the robot's 'act' is the cause of the spectacle or imagination of the robot in the movie, but the essence is due to the human ambivalence projected on a human-like robot. can be understood as This is not simply the fear of some technological advance. It exists in history and is the fear and expectation of ‘human beings’ on a scal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as a consideration of 'human'. The same is true for robots used in science fiction movies. Depictions of robots are a way of presenting future situations and problems where robotic technology is coming, and of making it easier to communicate ongoing discussions about the technology to the public.

      • KCI등재

        기술 교육 기반의 생체 모방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성애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4

        In this study, it developed and applied a biomimicry robo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echnology education, and to examine its effects. To do this, We were developed a biomimetic robot education program and was applied to gifted education in the technology fields to examine changes of the effects along with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biomimicry robot education program conducted over 15 hours in total, comprised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teps. Second, satisfaction as a quantitative research of this program was higher than average, and as a qualitative research also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Third, the changes in the propensity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nd attitudes toward robo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본 연구에서는 기술 교육 기반의 생체 모방 로봇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 교육 기반의 생체 모방 로봇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기술 분야 영재교육에 적용한 후 수업 만족도와 함께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체 모방 로봇교육 프로그램은 총 15차시로 개발되었으며 기술적 문제 해결 과정에 따라 구성되었다. 둘째, 생체 모방 로봇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질적 평가에서도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냈다. 셋째, 생체 모방 로봇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 로봇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