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별정정 판례를 통해본 사회질서의 변화방향

        노다솔,노다은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21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4 No.1

        우리나라는 태어나면서부터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되고, 사회적으로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의해 사회질서가 유지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의 전통적인 남성본위의 유교적 사회질서는 현재는 남녀고용평등법 등의 법과 제도의 발전으로 오히려 남성이 역차별을 받는다고 인식할 정도가 되었다. 더구나 4차 산업혁명의 기술발달로 남성의 전유물이었던 신체적으로 힘을 필요로 하는 업무영역까지 여성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현재 과학적으로 밝혀진 바로 출산과 육아에 있어서 남성도 못할 바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어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사회질서가 얼마가 지속될지는 모르는 상태가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의학의 발달은 남성과 여성 이외에 제3의 성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과 외적 성기와 내면적 성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법원 판결로 성별을 정정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더해 세계인권기구나 세계보건기구 등의 성차별에 대한 인권적 측면에서 권고 등에 따라 점차 법원은 외과적인 수술이 없는 경우에도 성별 정정을 허가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법원의 성별 정정을 의학적 지식에 정비례하여 허용한 것은 아니다.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구성을 해치지 않거나, 고용질서에 혼란을 주지 않는 선에서 성별 정정을 허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현재 2030세대는 반드시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경향도 있고, 점차 1인가구가 증가하여 전통적인 가족을 중심으로 사회질서는 변화가 예상되고, 기술의 발달로 노동시장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업무도 구분이 모호해 지고 있고, 더구나 현재 성 소수자의 사회 참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공존하고 있어 한국사회가 추구하는 모든 국민이 차별 없는 평등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질서의 변화방향에 대해 활발한 토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Since our birth, Korea has been divided into males and females, and the social order has been maintained by the social demand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However, Korea's traditional Confucian social order based on men is now recognized as being reversely discriminated against by the development of laws and systems such as the Gender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Furthermor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de it easy for women to access the areas of work that require physical strength, which were exclusively for men, and it is unclear how long the social order that separates men and women will last. In this respect, the development of medicine has been scientifically proven that there may be third sex besides men and women, and that external genitals and internalities may not match, leading to a court ruling to correct gender. In addition, following recommendations on gender discrimination by the World Human Rights Organization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court gradually allowed gender correction even if there was no surgical surgery. In the case, it seems that the court's gender correction was not changed in direct proportion to medical knowledge, but allowed the gender correction in the sense that it did not confuse the employment order such as family composition and company, which are the basic units.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c current millennial generations in Korea do not believe that they must marry, and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gradually increasing, the social order is expected to change, centering on the traditional family. The division of work in Korea is becoming ambiguous, and negative perceptions of LGBTI people's participation in society coexist, so all the people pursued by Korean society are actively debating about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social order to realize an equal society without discrimination.

      • 이머징 이슈 사례 연구— 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의견의 융합 —

        박성원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21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4 No.2

        Emerging issue analysis in the field of futures studies aims to respond to future threats and opportunities while exploring the precursors of future events.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emerging issues analysis that give birth to visible trends, it is not easy to conduct research. It is difficult to discuss emerging issues on the public agenda because there is a lack of data that can be trusted to form a trend in the future, and most of them are unfamiliar to social conventional wisdom or dominant perspectives. However,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in processing and analyzing large amounts of data have improved the method of identifying emerging issues. This article explains the process by which the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 analyzes a large amount of data, identifies emerging issues through expert panel discussion, and reveals its future implications. Through the discussion, we emphasize that both of good data and expert insight should be properly combined in order to develop emerging issue analysis. 미래학계에서 이머징 이슈 연구는 미래 사건의 전조를 탐색하면서 다가올 미래의 위협과 기회에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눈에 보이는 트렌드를 배태하는 이머징 이슈는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의 수행은 쉽지 않다. 이머징 이슈가 장차 트렌드를 형성할 것으로 믿을 수 있는 데이터가 부족하고 대부분 사회적 통념이나 지배적 시각에서 낯선 내용이 많아 공공 의제로 논의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술적 진전이 이뤄져 이머징 이슈를 확인하는 방법이 개선되고 있다. 이 글은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그룹의 논의를 통해 이머징 이슈를 확인하며, 그 미래적 함의를 드러내는 과정을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회미래연구원이 2021년 수행한 이머징 이슈를 사례로 언급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적절한 미래연구는 좋은 데이터와 전문가의 식견이 적절히 융합되어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할 것이다. 미래의료인문사회학회에서도 이머징 이슈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면 다가오는 미래의료환경의 변화와 방향을 예측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융합적 대응의 방안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 트랜스젠더 선수에 대한 스포츠 규정의 변화과정과 그 쟁점을 위한 예비 고찰

        심지원,최은주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21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4 No.2

        의료기술이 발달하면서 의료기술의 개입은 아픈 몸뿐만 아니라 건강한 몸에 대한 개입의 정도와 범위를 확장시켰다. 태어난 성에서 벗어나 성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바람을 기존기술에 비해서 용이하게 한 것이 한 예다. 우리 사회는 의료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그리고 의료기술의 활용을 거부하는 사람들로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물론 본인이 원한다고 모든 의료기술을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에 따른 많은 사회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선택적 다양성 속에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면서 어떤 사람은 존재 자체를 부정당하기도 한다. 특히 남성과 여성이라는 뚜렷한 구분아래 운영되는 사회제도와 그러한 구분아래 활용되는 여러 사회적 공간 사용 문제들이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한 경쟁을 기반으로 하는 스포츠에서 여성 트랜스젠더 선수의 여성 경기 참여 문제가 큰 논란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트랜스젠더와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스포츠 규정이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성에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는 선수들의 경기 참여를 어떠한 방식으로 배제해왔는지 그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그 과정을 통해 트랜스 여성의 여성 경기 참여에 대한 논란의 중심이 된 쟁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intervention of medical technology has expanded the extent and scope of interventions not only for the sick body but also for the healthy body. Compared to existing technologies, it has made it easier for people to choose their own sex by escaping from the biological sex they were born with. Our society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into those who actively use medical technology, those who do not, and those who refuse to use medical technology. (Of course, not all medical technologies can be freely used if desired, and a lot of social and ethical discussion is required accordingly.) As various people with these diverse bodies live together, some people are denied their very existence. The social system operated under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problems of using social space are causing a lot of controversies. Specifically, in sports based on fair competition, the issue of female transgender athletes participating in women's competitions is also controversial.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various cases being discussed in relation to transgender people, examine the process of how sports rules have excluded athletes who are not clearly classified into the male-female dichotomous gender, and how they have been excluded. In the process, we would like to examine what is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over trans women's participation in women's competitions.

      • 의료용 나노로봇 기술에 대한 전망과 과제

        이인영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21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4 No.2

        Medical nanorobots are nanoscale robots with medical functions and are important parts of nanomedicine and nanomarkets, where results can be expected not onl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areas, such as drug delivery systems and cancer treatment, but also in brain research. Medical nanorobots are areas to which bioethics, engineering ethics, and philosophical theories can be appl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reflect on nanoethics as a new ethical model for nanotechnology. The issue of nanoethics, for example, the issue of equity that resolves the nano-devide as an equity issue, privacy protection, and human ability enhancement, which raises essential issues related to human identity, is an ethical issue inevitably raised at the stage of R&D and commercialization of medical nanorobots.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the social conditions required for nanotechnology to develop in more desirable direction. How to introduce future nanotechnology clinical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programs, how transparent and openly these decisions are made, how well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all stakeholders are reflected and accepted, and whether these needs are reflected in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but also the problems that arise socially and ethicall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medical nanorobots, approval of the clinical trial plan must be obtained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for manufacturing permission of medicines, and pharmaceutical safety regulations must be complied with. When conducting research on human subjects as part of nanomedicine researches the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 under the Bioethics Act should deliberate on scientific and ethical validity. In particular, medical nanorobots are generally likely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that are generally difficult to solve, and in this case, if the benefits of this technology are emphasized due to the urgency of treatment and usefulness of treatment methods, the inspection and monitoring of the clinical trial itself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In the case of clinical trials for therapeutic purposes, it requires that a fairly high level of information be disclosed for patients who are in a marginal situation, and a sufficient explanation is required. 의료용 나노로봇은 의료적 기능을 가진 나노스케일의 크기의 로봇으로서 진단영역, 치료영역인 약물전달시스템과 암 치료 뿐만 아니라 뇌연구 등에서도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나노의학 및 나노시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의료용 나노로봇은 인간을 대상으로 진단, 치료 등을 행한다는 점에서 생명윤리, 공학윤리, 철학적 이론 등이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지만 나노기술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기술 혁신을 넘어서 인간 삶과 사회의 변화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새로운 윤리모델로서의 나노윤리에 대한 논의와 성찰이 필요하다는 계기를 만들어주고 있다. 나노윤리의 쟁점들 예를 들어 형평성 이슈로서 나노격차를 해소하는 분배정의의 문제, 프라이버시 보호의 문제, 인간의 정체성과 관련된 본질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인간능력 향상의 문제는 의료용 나노로봇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의 단계에서 필연적으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나노기술이 한층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조건들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미래의 나노기술 임상연구 및 상용화 프로그램을 어떻게 도입하고, 이러한 의사결정이 얼마나 투명하고 공개적인지 그리고 모든 이해 관계자의 요구와 인식을 얼마나 반영하고 수용하였는지 이러한 요구가 정책에 반영되었는지, 더 나아가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사회적, 윤리적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의료용 나노로봇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의약품 등의 제조허가를 위해서는 약사법상 임상시험의 계획 승인 및 의약품안전규칙의 준수가 필요하다. 나노과학 연구의 일환으로서 상용화 단계 이전에 인간대상의 연구를 시행할 경우에는 생명윤리법상 기관윤리위원회에서 과학적 및 윤리적 타당성에 대한 심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의료용 나노로봇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결하기 힘든 질병의 치료를 위해 쓰일 확률이 높으며 이 경우 임상시험의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치료의 시급성 및 치료방법의 유용성으로 인하여 이 기술이 가져다줄 수 있는 이득을 강조하게 되면 임상시험 자체에 대한 점검과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치료목적의 임상시험의 경우 한계상황에 놓여있는 환자의 경우 상당히 높은 정도의 정보가 공개되고 그에 따른 충분한 설명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 유전기술과 의료기술 그리고 미래

        김형래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18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1 No.1

        의료기술은 19세기까지의 경험적 기술에서 20세기를 거치는 동안의 자연과학기술과 더불어 발전하였다. 20세기 말에서 21세기로 진입하면서, 유전자재조합기술이 개발되고 그 산물인 인슐린, 성장호르몬, 표적항암단백질치료제 및 유전자치료제 등에 이르기까지 임상현장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인간유전체프로젝트 이후, 질병과 생물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 변이를 분석하는 개인유전체분석의 비약적 발전하였고, 유전변이와 유전학 지식이 진단과 치료에 직접적으로 활용되어 개인별 정밀의학이 구현되고 있다. 유전자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보건의료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변혁기를 맞고 있다. 개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변이를 정교하게 수정하는 유전자편집기술의 급속한 확산은 여러 질병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것이다.ᅠ그렇지만, 변이의 다양성을 직접적으로 조작함으로 인해 생기는 인류 종과 생태계 종 균형의 변화가 어떠할 지는 생각해 볼 문제이다. Medical technology has developed with the natural science during the 20th century through empirical medicine until the 19th century.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nd into the 21st century, genomic recombination technology was developed and used in clinical fields ranging from insulin, growth hormone, targeting anticancer protein therapeutics and gene therapy. Since the human genome project, there has been a breakthrough in the analysis of individual genomes that analyze genetic variants that determine disease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recision medicine is being implemented that directly uses genetic variation and genetic knowledge to diagnose and treat. As a result of these gene-related technologies, not only health care, but also health, medical and social changes are taking place. Gene editing technology that precisely corrects the genetic variation is rapidly spreading. This technology will overcome many diseases. However, it is a question of what changes in the balance of human species and ecosystem species arise from direct manipulation of variability.

      • 유전학・유전체학의 발달과 그에 따른 미래 의학, 윤리, 법과 사회 변동 예측

        김세원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22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5 No.1

        Significant developments in genetics/genomics, such as CRISPR Cas9, have been observed during The First Human Genome Project (1990-2003) and the ongoing Human Genome Project-write since 2015. Various applications of genetics/genomics in clinical fields have been experimental but encouraging so far. Transition from traditional medicine to Precision Medicine, with emphasis on preventive, predictive, participatory and personalized aspects is soon expected, yet those have been accompanied by controversial implications in bioethics, laws and society. First, immortality of human life seems close at hand with all these technical developments, however, potential for worse polarization in both human health and wealth has been well indicated and illustrated in the movie ‘In Time’ (2011). Second, the novel concept of Precision Medicine was introduced in hope for better health care, but possibilities of high-level surveillance society, social problems and crimes including violation of privacy at individual level and discrimination by race, ethnic group or gender, have been simultaneously raised in processing. Third and lastly, all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s above may lead us to the final, big question. “What would be the revised definition of a human, human life, and life and death, after all such changes?” Possibilities of worse disparity in health, wealth or information are simultaneously suggested, yet such consequences would be best prevented by joint efforts of all stakeholders. In other words, individuals should remain aware of legal/ethical/social issues,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workers should maintain freedom in academics with high level of work ethics, and national governments/international organizations should hold appropriate control of laws and regulations. It is obliged for every one of us to continue to make necessary efforts to reach a consensus on this final question of human life and death, if not the best answer. CRISPR Cas9 유전자 편집 기술로 대표되는 유전학・유전체학은 1차 Human Genome Project(1990-2003), 2차 Human Genome Project(2015∼, 미국 주도)를 계기로 빠르게 다양한 분야로 확대, 발전하였다. 현재 주로 암의 진단과 치료, 유전자 치료, 약물유전체학, 불임 및 난임 치료 중 산전 검사 등의 임상 현장 진료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외 소비자 직접 검사(DTC, Direct-To-Consumer testing)와 같은 일반 소비자의 직접 참여도 증가하였다. 의료 또한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라는 새로운 의료 개념이 전통적 의료를 대체할 전망이다. 단, 기술 발달과 동시에 논란의 여지가 있는 윤리・법・사회적 이슈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첫째, 유전학과 유전체학을 비롯한 과학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인류의 오랜 소원인 불로불사, 영생이 현실화되는 시기가 멀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치열한 생존 경쟁을 강요받고, 빈부와 수명의 격차가 심화되어 극소수의 상위 집단만이 그러한 기술의 혜택을 받아 무료하고 의미없는 영생을 누리게 되는, 결국 과학기술의 발전이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못하는 세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정밀의료란, 발달된 과학 기술과 빅데이터를 근거로 환자 자신이 주도할 수 있는, 가장 정밀한 최선의 의료를 지향하는 새로운 개념의 의료이다. 일부 국가에서 정부가 주도하여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잘못 관리되는 경우 과거의 전체주의 사회와 같은 고도의 감시 사회를 실현시키며, 개인 수준의 인권 침해뿐만 아니라 나아가 인종, 성별, 민족 차별 등 더욱 심각한 수준의 사회 문제 또는 범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모든 발달과 변화는 최종적으로 인간 그리고 삶과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물음으로 이어진다. 과학 기술이 계속 발전하여도 소수의 전문가 또는 권력자들에게 정보가 과도하게 편중되어 지식 격차와 빈부 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개인은 지속적인 관심과 문제의식과 심사숙고를, 관련 전문가 집단과 민간 분야는 높은 수준의 윤리의식에 기초한 자유로운 연구와 사업 전개를, 마지막으로 정부 및 국제사회는 법률과 제도의 적절한 적용 및 관리로 각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면 그러한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를 아우르는 가장 근본적인 이 물음에 대하여, 사회 구성원 전원이 문제의식을 갖고 함께 끊임없이 고민하고 어떤 합의점을 찾아가도록 노력하는 것은 현대인 우리 모두의 의무이자 권리이다.

      •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김남욱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18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1 No.1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이 애정의 대상을 구하거나 아이를 낳는 것을 ‘자연스러운’ 과정을 없이도 가능하게 해주었다. 섹스가 아니라 체외 수정 기술로 배아를 만들어 내고, 배아를 착상시키기 전에 유전자를 확인하여 유전 질환을 진단하는 것뿐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 유전자 편집 기술로 성별, 외모, 지능 등의 조건을 원하는 대로 선택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를 원하는 조건에 따른 맞춤 아기 (designer baby)로 만들어 내는 것은 가까운 미래의 일이 된 것이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물론이며, 인류는 다른 종의 장점을 흡수하거나 기계나 인공 지능을 뛰어 넘는 능력을 가지는 신인류로 진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 기술에 비하여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나 윤리적이나 법적 기준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며, 최초의 의도와 무관하게 그 결과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섹스와 생식이 분리 되면서 번식과 무관하게 즐기기 위한 섹스의 의미가 더 강조 되었고, 대상에 대한 다양성과 접근성도 증가했다. 더 이상 인간만이 아니라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이용한 포르노그래피나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성욕뿐 아니라 정서적인 욕구의 해소를 가능하도록 해주고 있다. 동시에 인간이 이러한 대체재에 몰두하여 실제 인간관계를 맺는 능력이 떨어질 수가 있다는 우려도 있다. 우수한 맞춤형 아기를 낳고, 나를 성적, 정서적으로 만족 시켜줄 수 있는 대체재를 찾고자 하는 욕구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사람들은 진보하는 과학기술이 제공하는 편의성을 즐기는 동시에 기술에 대체 당해 도태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양가감정을 느끼고, 거기서 비롯되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시 과학기술에서 답을 찾으려 하는 끝없는 고리를 반복하고 있다. 결국 ‘과학기술만의 발전’은 인간을 진화시킬 수도, 대체할 수도 없다. 과학 기술의 개발이 인간을 위한 것이라는 근본적인 목적을 잊지 말고 사회 구조와 인식을 함께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for human being to have sexual relationship or reproduce without previous 'natural' process. We will be able to select and modified several conditions to ‘design’ our superior babies through in vitro fertilization and genetic editing techniques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re may not be always good point. Compared to the rapidly developing scientific technology, social consensus and ethical and legal standards are still insufficient. The debate over whether parents have the right to genetically manipulate their babies is a fundamental criticism of gene editing technology. As sex has been separated from reproduction due to developing scientific technology, people have been able to enjoy sex regardless breeding and diversity to select sexual partnership have been also increased. People are able to see porn through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or to relieve sexual desire to sexbo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y may be efficient substitute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in having sexual relationship or emotional interaction with others. However, there is also a growing concern that the ability to adapt in real life may be deteriorated by engrossing in relationships in the virtual reali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o evolve human and develop human substitutes. It may be the fear for inferior people to be isolate or eliminated In a highly developed society.

      • 보건의료와 연구에서의 인공지능

        엄주희,최주원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21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4 No.1

        인공지능(이하, AI로 칭한다)은 질병의 발견, 만성질환 관리, 의료 서비스의 전달과 신약 개발 등의 보건의료와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임상시험에 적용되고 있다. AI는 주요 건강 관련 도전과제들을 다루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사용가능한 의료 데이터의 질적 문제와 인간의 특성을 보여주는 AI의 능력 부재로 인한 한계가 있다. AI 사용은 다음과 같은 윤리적 이슈를 불러 온다; AI가 잘못된 결정을 내릴 가능성, 의사결정 지원하는데 활용되는 AI의 경우 그 책임의 문제, AI 시스템의 작업결과를 검증하기 곤란함, AI 시스템을 훈련하는데 활용되는 데이터의 내재적 편향성, 잠재적인 민감 데이터의 보호하는 문제, AI 기술의 사용과 개발에서 존재하는 대중의 신뢰도 구축 및 유지, 돌봄 상황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효과, 보건의료 종사자들의 역할과 기술적 요구사항에 미치는 영향, AI가 오남용의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바로 그것이다. 앞으로 AI의 주요한 추진과제는 보건의료 분야에 혁신을 촉진하고 추동하는 동력이 되도록 하는 것과 대중의 이해에 부합하고 투명한 개발이 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될 것이다. AI is being used or trialled for a range of healthcare and research purposes, including detection of disease, management of chronic conditions, delivery of health services, and drug discovery. AI has the potential to help address important health challenges, but might be limited by the quality of available health data, and by the inability of AI to display some human characteristics. The use of AI raises ethical issues, including: the potential for AI to make erroneous decisions; the question of who is responsible when AI is used to support decision-making; difficulties in validating the outputs of AI systems; inherent biases in the data used to train AI systems; ensuring the protection of potentially sensitive data; securing public trust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AI; effects on people’s sense of dignity and social isolation in care situations; effects on the roles and skill-requirement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the potential for AI to be used for malicious purposes. A key challenge will be ensuring that AI is developed and used in a way that is transparent and compatible with the public interest, whilst stimulating and driving innovation in the sector.

      • 트랜스휴먼 사회에서 몸과 마음의 미래

        진설아,박성원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18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1 No.1

        의료 관련 기술은 그 영향력이 광범위하고 크기 때문에 공익적 기술로 볼 수 있다. 이 기술들이 사회에서 받아들여지고 확산되려면 사회적 합의 절차를 통한 동의가 필요하다. 기술의 안전성은 매우 엄격하게 수행되어야 하고, 이 기술이 확산되었을 때 누가 혜택을 받고 누가 받지 못하는지도 예측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미래연구자는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의 변화에 대비한다는 관점에서 의료의 미래를 예측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글은 의료분야가 다루고 있는 인간의 신체가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급격한 변화를 겪을 수 있음을 논의할 것이다. 신체의 급격한 변화를 유인하는 기술을 우리는 트랜스휴먼 기술이라고 정의하며, 트랜스휴먼이 되려는 인간의 욕망을 트랜스휴머니즘으로 간주한다. 트랜스휴먼 기술을 개괄하면서 우리는 이 기술이 신체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인 육체와 정신, 몸과 마음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을 와해시키고 있음을 논의할 것이다. 더 나아가 많은 부분의 신체가 기계로 대체되고 있거나 서로 연결되고 있음을 논의하면서 의료분야에서도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것임을 예고할 것이다. The article attempts to explore the meaning of transhumanism through a perspective of Humanity 2.0, in which humans try to transform their body and mind in order to set them free from unnecessary sufferings and to extend life span by developing and making widely available technologie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meaning and purpose of transhumanism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lso, by using the text mining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changes in the discussion on transhumanism in literature published from 1968 to 2016, in terms of fields and contents. After review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cussions, the types of related technologie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concept of transhumans, and the status of the classified technologies was explained in terms of the conversion from body to mind.

      •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 변화과정과 현재의 변화방향

        이동현,김소윤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2019 FUTURE MEDICINE & HUMANITIES Vol.2 No.1

        From the late 1980s until now, gender roles of men and women have shifted from traditional gender distinctions that have lasted a very long time since the past agrarian and industrial societies until the mid-1980s, It began to be divided according to individual tendency, choice, and ability of oneself. In this respect, the biological differences that can distinguish men and women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specific areas of women, namely ‘pregnancy and delivery’, have reached the level of being able to overcome male differences in women throug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has gradually removed the difference in performing social roles by overcom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or human beings, as well as specific areas of ‘pregnancy and delivery’. In addition, due to the overcoming of biological differen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gender role of men and women traditionally pursued in accordance with the feminism and the social change that is going on has become blurred, Harmony in the realm and enlargement of the active area of women in the social range have begun to appear. However, our society continues to recognize and act on the gender roles of men and women, yet they are not fully receptive to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iscuss the problems of various conflicts in our society and to overcome them.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은 과거 농경사회와 산업사회 를 거쳐 1980년대 중반까지 매우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전통적인 성별적 구분에서 벗 어나 더 이상 무엇이 남성의 역할이고 여성이 역할인가를 구분하기 보다는 개인의 성 향과 선택, 스스로의 능력에 따라 나눠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남성과 여성을 가장 기본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생물학적 차이 특 히, ‘임신과 출산’ 이라는 여성 고유의 영역은 생명공학의 기술적 발전을 통해 남성의 여성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정도에 다다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임 신과 출산’ 이라는 특정한 영역 뿐 아니라 ‘신체적 능력의 차이’라는 남성과 여성 또 는 인간 각자가 가지고 있는 차이를 극복하여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그 차 이를 점차 없애고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의 통한 생물학적 차이의 극복과 함께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여성운동과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따라 전통적으로 추구하던 남성과 여성의 성 역 할은 그 한계가 모호해졌으며 성 역할을 구분한다기 보다는 가정적 영역에서의 조화 와 사회적 영역에서의 여성의 적극적 영역 확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사회는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해 지속적으로 변화를 인식하고 진행하면서도 이것을 완전하게 받아들이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의 변화에 대하여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 한 갈등의 문제에 대하여 지속적인 인식변화에 대한 교육과 논의의 장이 적극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