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프리아누스의 진술과 로마 카톨릭 교회에 관한 연구

        김칠성 ( Kim Chil Su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5 No.-

        이 연구는 ‘교회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키프리아누스의 진술에 대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오해를 주로 다루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로마 가톨릭 교회는 ‘가톨릭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로마 교회의 우위권을 담고 있는 이 교리는 주로 키프리아누스의 글에 대한 해석들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나 키프리아누스의 원문(i.e., 교회밖에는 구원이 없다)은 오직 로마 가톨릭 교회 안에만 구원이 존재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키프리아누스의 “가톨릭 교회의 연합”이라는 제목의 글은 가톨릭 교회의 우위권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기록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박해 이후에 교회연합을 보호하려는 목회적인 목적으로 기록되었다. 키프리아누스의 본래적인 의도와 상관없이, 로마 가톨릭 교회는 로마교황의 우위적 힘과 오직 가톨릭 교회 만을 통한 구원을 강조하기 위해서 키프리아누스의 어구를 잘못 사용했던 것이다. 즉 로마 가톨릭 교회는 그리스도 교회의 통치기관은 자신들의 교회이고, 그 통치기관의 보이지 않은 수장은 유일한 자, 그리고 지상의 대리자인 로마교황 임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대부분의 가톨릭 교인들은 교황 무오설에 근거하여 다른 종교와 다른 기독교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오직 가톨릭 안에만 구원이 있다고 아주 오랫동안 믿어 오다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 때 비로소 이러한 사상을 수정하기에 이르렀다.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e misunderstanding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owards Cyprian’s statement: there is no salvation outside the Church. For many centuries, the Roman Catholic Church insisted that ‘there is no salvation outside the Roman Catholic Church.’ This doctrine concerning Roman supremacy was largely started from interpretations of Cyprian’s writing. However, Cyprian’s original statement (i.e., Salus extra ecclesiam no est: there is no salvation outside the Church) did not intend to suggest that salvation is only possible by the Roman Catholic Church. Cyprian’s “the Unity of the Catholic Church” was written focused on pastoral issues to protect church unity after the persecution rather than to explicate Roman Supremacy. Without Cyprian’s essential intention, the Roman Catholic Church misused the phrase to establish the power of the Supreme Pontiff and salvation through the Roman Catholic Church. That is, the Roman Catholic Church insisted that Christ’s ecclesial government is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its invisible Head is the Pope (extraordinary one), His vicar on earth. For many subsequent centuries, therefore, most Roman Catholic Christians believed in salvation within only the Roman Catholic Church based on the infallibility of the Roman Pope with having an exclusive attitude to other religions and even other Christian Churches until the Second Vatican Council (1962-65).

      • KCI등재후보

        로마가톨릭교회의 마리아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상웅 ( Sang Ung Lee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2 No.-

        본고를 통해 논자는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의 마리아론에 대해서 논구해 보았다. 가톨릭에서는 마리아를 여신으로 숭배(latria)하는 것이 아니라 마리아에게 최대의 존경(hyper-dulia)을 표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여 왔다. 반면에 극단적인 개신교 비판가들은 가톨릭이 마리아를 여신으로 숭배해 왔다라고 비판하여 왔다. 따라서 우리는 가톨릭 교회의 마리아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비판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공식 문서들과 마리아론 교본들을 주요 관찰자료로 삼아보았다. 본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서론에 이어지는 두 번째 부분에서는 (2) 로마 가톨릭 마리아론의 4대 기본 교의에 대해서 논구해 보았다. 4대 교의란 동정녀 마리아의 신적 모성 교의, 평생 동정성 교의, 원죄로부터 면제된 무염시태 교의, 몽소승천교의 등이다. 특히 마리아의 무염시태 교의와 몽소승천교의는 전혀 성경적인 근거가 없고, 다만 중세와 근현대 가톨릭신학자들과 신자들의 신심에 근거하여 교황이 선포한 교의들이라고 하는 점을 확인해 보았다. 또한 평생동정성 교의는 성경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교의이기 때문에 신앙의 조항이 될 수 없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3) 로마 가톨릭교회가 마리아에게 부여한 가장 중요한 위치와 역할인“중재자”(mediatrix) 교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톨릭에 의하면 마리아는 그리스도와 신자들 사이에 모든 은혜의 중재자이며, 위하여 기도해 주는 중재자라고 한다. 그러나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에 이러한 마리아 중재 사상은 성경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는 사상이며, 오히려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되어진 신자들의 신심에 바탕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수가 없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로마 가톨릭의 마리아론은 많은 비성경적인 교의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말로는 마리아공경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de facto) 마리아를 그리스도와 동등한 반열에 놓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우리는 다시 한 번 마리아와 같은 신앙의 선조들의 신앙적 모범을 귀하게 여겨야 한다는 인식과 더불어서, 그리스도의 유일 중보자되심을 부인하거나 약화시키는 어떠한 마리아론이나 성인숭배 사상 등을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바로 비판하고 물리쳐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Mariolog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Catholics have argued that they do not worship (dulia) Mary as a goddess, but they attribute the highest respect (hyperdulia) to her. On the contrary, the extremists of the Protestant Church have criticized that the Roman Catholics have worshiped Mary as a goddes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proper understanding and criticizing the Catholic Mariology. So, in this paper, I made a thorough research on the official documents and the textbooks of Mariology produced by the Roman Catholic Church. This paper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second chapter, following the introduction, I have dealt with the four basic dogmas of the Roman Catholic Mariology, which are (1) the dogma of the divine motherhood of the Virgin Mary (theotokos), (2) the dogma of the perpetual virginity, (3) the dogma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exempt from original sin, and (3) the dogma of the assumption into heaven of Mary. I have argued that the dogmas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and of the assumption into heaven of Mary are not grounded on the Bible at all. They are produced by the encyclicals of Popes on the basis of the opinions of various Catholic Theologians (from the Medieval period to the Contemporary times) and believers of common faith. In addition, we have observed that the dogma of the perpetual virginity cannot be forced as the article of faith, for it has no Biblical basis at all. In the third chapter, we looked at the dogma of mediatrix, which talks about the important position and role of Mary. Roman Catholics have asserted officially that Mary is the mediatrix of all grace between Christ and the Catholic believers, and she is the intercessor who prays for them. However,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the mediatrix thought cannot be justified biblically. It is only grounded on the faith of the Catholic believers and it has been shaped by a long historical procedure.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he Roman Catholic Mariology is composed of the un-biblical dogmas, and they, de facto, put Mary on a par with Christ, although they acclaim that they gave highest respect to her. Therefore, we must rightly criticize and reject the Mariology as it denies or weakens the only mediatorship of Jesus Chri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theology.

      • KCI등재

        역사신학의 과제와 종교개혁 교회사관

        임원택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3 역사신학 논총 Vol.43 No.-

        역사신학의 과제는 하나님 말씀인 성경을 올바르게 풀고 가르치는 것이다. 역사를 살필 때 중요한 것이 사관이다. 사관의 차이가 역사 해석의 차이를 낳기 때문이다. 교회사관은 교회관에 따라 결정된다. 교회사관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사관, 신령파 교회사관, 종교개혁 교회사관. 로마 가톨릭 교회사관은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과 로마 가톨릭 교회를 동일시한다. 그 결과, 교회와 교회 전통이 절대시 되고, 성경 해석도 교회의 결정과 가르침에 종속된다. 신령파 교회사관은 교회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계시의 역사성의 상관관계를 영적으로 단절한다. 신령파 교회사관의 문제는 불가시적 교회라는 교회의 본질적 개념 안에서 교회의 역사성이 사라져버린다는 사실이다. 종교개혁사관은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의 긴장 관계 속에서 교회사를 살핀다. 건전한 전통은 계시의 말씀인 성경에 근거해 분별하며, 주관적인 성경 이해를 피하기 위해 교회의 역사와 전통에 자문한다. 종교개혁 교회사관을 가지고 교회사를 연구한다면, 세계교회적 보편성과 지역적·민족적·역사적 특이성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균형 잡힌 교회사관을 가지고 있으면, 오늘날 교회가 성경이 가르치는 교회상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점검하고 동시에 성경적 교회상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교회사의 과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교개혁 교회사관의 적용 실례로 다음과 같은 주제들에 대한 해석들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해석을 제시했다. 교회의 기초(마 16:16-19), 교회와 국가의 관계, 신약성경의 정경화 과정,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마 28:18-20). The task of historical theology is the right interpretation and teaching of Holy Scripture. In studying historical theology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view of history. For a different view of history results in a different interpretation of history. Views of church history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conceptions of the Church. There are three main forms of history of the Church: the Roman Catholic, the Enthusiastic, and the Reformed. The Roman Catholic conception of the Church identifies the mystical Body of Christ with the historically verifiable Roman Catholic Church. As a result, the Roman Catholic Church places absolute trust in their church and church tradition, and their interpretation of Holy Scripture is subject to the decision and teaching of their church.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Enthusiastic conception of the Church consists in its spiritualizing sever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historicity of the revelation in Jesus Christ. The basic significance and problem of this lies in the fact that the historicity of the Church disappears in the essential conception of an invisible Church.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assumes the antithesis between a visible and an invisible Church. The Reformed Church discerns between sound and unsound traditions by Holy Scripture, the revealed Word of God, and considers history and tradition to avoid arbitrary interpretations. A historical theologian with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should always give his or her mind to keeping the balance between ecumenicity and relevanc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f we have a balanced and sound view of church history, we can achieve the task of historical theology, that is, to evaluate the Church of today how much it conforms to the teaching of Holy Scripture, and to help it take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of the Biblical Church. As examples of the interpretation of church history according to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following subjects are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the Church(Matthew 16:16-19), the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state, the process of canonization of the New Testament, and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Matthew 28:18-20).

      • KCI등재

        깔뱅의 선교신학과 선교활동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2 No.-

        깔뱅과 개혁교회에 가해진 선교 부재에 대한 비판이 과연 정당한가에 대한 물음이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동기이다. 연구결과 우리는 깔뱅의 선교 신학과 선교 활동이 매우 적극적이었음을 발견했다. 로마 가톨릭교회신학자 벨라르민과 슈미들린의 종교개혁의 선교 부재에 대한 비판이나 특히 벨라르민의 주장에 동의하여 종교개혁의 선교 부재를 정당화하고, 홍보하는 데 큰 영향력을 미친 루터교 신학자 바르넥의 주장이나 바르넥의 견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 일부 선교신학자들의 견해가 정당하지 않았다. 종교개혁자들의 선교 부재나 소극성에 대한 선교 상황적 이유와 선교 신학적 이유들과 관련하여, 일부 선교 상황적 이유들은 설득력을 갖고 있었다. 깔뱅의 선교 사상과 관련하여 깔뱅은 서신서, 설교, 주석, 『기독교 강요』등에서 기독교 강요 에서 그리스도론이나 구원론이나 교회론이나 국가론을 쓰듯이 선교론이나 선교학을 체계적으로 전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글들 속에서 그 당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의 잘못된 방법이나 상황 및 올바른 선교의 필요성에 대한 깔뱅의 인식이 충분히 발견된다. 비록 벨라르민은 해외선교만을 선교로 정의하고, 해외선교로서의 선교를 교회 표지에 포함시켜 종교개혁자들을 이단으로 간주했을지라도, 깔뱅이나 오늘날의 선교 이해는 매우 포괄적이다. 다시 말하면 성경에 일치하는 복음진리에 근거하여 지구상의 모든 곳과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나라를 구현시키는 총체적인 구원 활동이 바로 깔뱅에게는 선교였다. 특히 깔뱅의 직제론이나 예정론이나 종말론 등이 그의 선교신학의 부재를 낳았다는 주장은 깔뱅의 글을 통해서 그 설득력을 잃었다. 그러므로 깔뱅은 제네바에서 제네바 콘시스토리움과 제네바 아카데미와 제네바 종합구빈원을 중요한 선교 기관과 도구로 사용하였다. 콘시스토리움을 통하여 종교와 신앙과 도덕을 향상시키고, 제네바 아카데미를 통하여 교육선교를 지향하고, 종합구빈원을 통하여 위생과 복지선교를 가능케 하였다. 깔뱅과 제네바는 선교 영향력을 유럽 전역과 해외 브라질까지 향하게 했다. 특히 프랑스 선교를 위해 목회자를 통한 복음전파와 교회설립, 프랑스 기금을 통한 문서선교와 복지선교를 전개했다. 특별히 유럽 각지에서 온 지도자들은 제네바교회와 제네바 아카데미에서 교육과 훈련을 받아 조국이나 다른 곳에 나아가 선교사역을 성공적으로 감당했다. 개신교 최초이며, 개혁교회 최초의 브라질 해외 선교는 특히 빌가뇽의 배반으로 약 8개월이라는 기간의 선교로 막을 내렸지만, 깔뱅과 제네바교회의 브라질 선교는 선교사적(宣敎史的)으로 매우 중요하다. 제네바는 그 당시 프랑스 선교로 인해 교회적 부담이 컸고, 지리해상 조건도 만만치 않는 환경가운데서도 빌가뇽이 제네바의 브라질 선교단을 요청했을 때, 브라질 해외선교를 하나님의 뜻으로 알고, 감사 기도 드리면서 즉각적으로 행동으로 옮겼다. 깔뱅과 제네바교회의 선교 사상과 활동은 그 당시는 물론 오늘날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개혁교회와 장로교회는 물론 심지어 다른 교회들에게까지도 영향력을 미쳤고, 미치고 있다. It is wrong that the Protestant Reformers were not conscious of the missionary ideas and displayed no missionary activity. We focus on Calvin`s mission theology and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Genevan Reformation. Calvin was not lacking in concern for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to people outside the evangelical faith and church. Calvin`s chief concern was the spread of the reformed faith in Christendom, conceived as the mission of the Word of God.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mission field of Calvin was the city of Geneva. Calvin tried to establish the theocracy in the city and change into the most prefect school of Christ through both Consistory and General Hospital. With the establishment of Geneva Academy in 1559, Calvin was to become an evangelist of Europe and Geneva a missionary center. He sent the missionaries to Brazil.

      • KCI등재

        An Ecumenical Dialogue on the Eucharist: A Comparative Research of Reformed and Roman Catholic Responses to the Eucharist Text in the BEM Document

        PARK Gyeung-Su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3 장신논단 Vol.45 No.3

        This study analyzes the responses of Roman Catholic Church and Reformed Churches on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that were published by the Commission on Faith and Order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1982. This study briefly examines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the BE M1 document, especially on the Eucharist Text. This is because the Eucharist has been one of the most delicate and divisive problems from the Reformation until now. Then, it concentrates on the official responses of Reformed and Roman Catholic Church regarding the Eucharist Text of BE M. In this section, it discloses points of agreement and areas of disagreement. Finally, this study rethinks the task as well as the necessity of ecumenical dialogues. The Eucharis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ommon ground of Christian faith and a symbol of Christian unity. Historically, however, the Eucharist has been a major hindrance to Christian unity. Many controversies have arisen with regard to the Eucharist since the Reformation period, and the gap of understanding about the Eucharist persists even today. The BE M document, which was published through a long time discussion between many denominations, is one of precious fruits of modern ecumenical movements. Nevertheles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Reformed and Catholic still exist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ecumenical dialogues in our century. 본 연구는 WCC 신앙과 직제 위원회에서 1982년 출간한 BE M(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문서 가운데 성만찬을 다룬 본문에 대한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혁교회의 응답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BEM 문서 가운데 성만찬 본문이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내용은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어서 성만찬 본문에 대한 로마교회와 개혁교회의 반응을 살펴보면서 양자 간의 일치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오늘날 에큐메니칼 대화의 필요성과 과제에 대해서 재고해 볼 것이다. 성만찬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공통적 근거이며 교회 일치의 상징적 성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성만찬은 16세기 종교개혁 이후로 그리스도인들의 일치에 중대한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16세기 이래로 성만찬은 심각한 논쟁의 중심에 있었고, 지금도 그 논쟁은 정도는 다르지만 계속되고 있다. 이런 성만찬 문제에 대해 오랜 대화를 거쳐 나온 BEM 문서는 현대 에큐메니칼 운동이 맺은 가장 귀중한 열매들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EM 문서 중에서 성만찬을 다룬 부분에 대한 개혁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견해에는 여전히 상당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성만찬에 대한 양자 간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자세히 열거하면서, 성만찬이 화해의 성례로서 본래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를 검토하고 있다. BEM 문서 중 성만찬에 대한 개혁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응답을 검토하고 있는 본 연구는 향후 에큐메니칼 대화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AI 윤리에 관한 로마의 호소」에 나타난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고찰

        방종우(Bang, Jong Woo)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2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2 No.1

        제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지금, 급격한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AI 기술은 현재 우리의 삶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긍정적 요소들과 함께 여러 가지 문제 또한 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2020년 2월, 교황청 생명학술원에서 발표한 「AI 윤리에 관한 로마의 호소」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삶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는 현대과학기술에 대한 교회의 관점과 그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학기술은 표면적으로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중립적인 수단으로 보이지만 개발과 사용에 있어 윤리적 원칙이 결여되어 있을 경우 인간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실제로 그러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인간 삶의 변혁 앞에서 여러 사회회칙과 가르침들을 통해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온 교회는, 최근 현대의 AI 기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 「AI 윤리에 관한 로마의 호소」는 그 구체적인 시작점이 된다는 것에서 의미 있는 문서라 할 수 있다. 이 문서는 AI 기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사용되어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특별히 AI가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영역인 윤리, 교육, 권리를 다루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투명성과 포용성, 책임감, 공정성, 신뢰성, 보안과 사생활 보호 등의 구체적인 원칙들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학기술의 개발이 기초적인 사회교리 원칙인 인간의 존엄성과 공동선, 연대성 등을 바탕으로 이뤄져야 함을 알게 되며 아무리 뛰어난 과학기술이라 할지라도 인간은 이를 사용하는데 있어 주인의 자리에 머물러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인간이 만들어낸 도구는 결국 인간 스스로에게 영향을 주게 되어 있으며 내부적인 변화를 일으키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의식과 책임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AI로 인해 현대 사회에서 마주하게 되는 문제들과 기술 자체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을 시도하고 이를 바라보는 교회의 시선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후, 「AI 윤리에 관한 로마의 호소」를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현대의 과학기술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한편, 이 문서는 AI에 대해 심도 깊은 신학적 고찰을 하기 보다는 보편적 견지에서의 AI 윤리를 다루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보다 깊이 있는 신학적 논의와 앞으로 파생될 다양한 분야의 문제들은 큰 과제로 남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기술에 있어서 지켜져야 할 기초적 윤리 원칙들을 제공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논의에 대한 기틀을 마련한 문서라는 점에서 매우 시의성이 있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I technology, which is developing at a rapid pace, is deeply involved in our lives now and is causing various problems along with various positive factors as well. Therefore, this thesis present the Church s perspective on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at directly affects human life and its prospects by examining “Rome Call for AI Ethics” presented by the Pontifical Academy for Life in February 2020. Al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seem to be a neutral means of enriching human life on the surface, if it lacks ethical principles in development and use, it can negatively affect human life, and such problems are actually occurring. The Church, which has been providing the right direction through various social rules and teachings in the face of the transformation of human life represent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recently begun to speak out on modern AI technology as well. “Rome Call for AI Ethics” is a meaningful document in that it serves as a concrete starting point. This document talks about how AI technologie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In particular, it deals with the three areas where AI affects human life: ethics, education, and rights. Based on this, concrete principles such as transparency and inclusion, responsibility, impartiality, reliability, security and privacy are presented. Through this, we learn that the development of human technology should be based on basic social doctrine principles of the Church such as human dignity, common good, and solidarity, and that no matter how excellent science technology is, humans should remain as its masters in using it. The tools created by humans are supposed to affect themselves in the end and cause internal changes, so specific consciousness and responsibility are needed. To this end, this thesis attempts an ethical consideration on the problems encountered in modern society due to AI and the technology itself, and analyzes the Church’s perspective on it. Afterwards, by closely examining “Rome Call for AI Ethics”, we intend to discover ethical principles that must be considered in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this document deals with AI ethics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rather than a theological consideration on AI. In this regard, more in-depth theological discussions and problems in various fields to be derived in the future remain a big task. Nevertheless, it is very timely in that it is a document that provides basic ethical principles to be observed in modern technology and provides a framework for future discussions.

      • 로마 가톨릭에서 본 영성과 정신의학

        강석진(Seok-Jin Kang),박한선(Hanson Park),신용진(Yong Jin Shin),이호선(Ho Seon Lee),임미래(Meerae Lim),고석만(Seok-Man Ko),최영숙(Young-Sook Choi),신경철(Kyung-Chul Shin),최용성(Yong-Sung Choi)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4 사회정신의학 Vol.19 No.1

        인간의 몸과 마음이 분리될 수 없는 것처럼 인간의 영성과 마음도 분리될 수 없는 속성을 가진 실체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수 천년 전부터 여러 가지 형태와 이름으로 인간의 영성에 대한 신학적 이론 아래에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고, 또한 실천적인 치료를 해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영성 정신치료의 역사적 연원을 다루어 보고, 로마 가톨릭의 입장에서 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다루고 자 한다. 또한 임상적인 측면에서 가톨릭 영성 정신치료의 역할과 한계, 가능성을 간략하게 검토한다. It is human mind that has inseparable relation from the spirit, like the relation of body and mind. Roman Catholic Church has a long history of theory and practic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ly disabled people by a variety of therapeutic forms in the view of theological virtues. In this article, we overview the historical roots of spiritual psychotherapy and deal with the theological background in the terms of Roman Catholic Church. In addition, we review the role, limitation and possibility of Catholic spiritual psychotherapy in clinical psychiatric aspects in brief.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가톨릭교회의 이슬람에 대한 태도의 특징과 한계 -베네딕토 16세를 중심으로

        안신 ( Shin Ahn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3 중동연구 Vol.32 No.1

        Roman Catholic Church gives the pope the highest authority to lead whole Catholic churches in the world and to decide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issues, including its attitude to Islam.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Roman Catholic Church`s attitude to Islam, it is necessary to examine Benedict XVI(2005-2013)`s thought of religion and his understanding of Islam. The name of Benedict XVI is Joseph Ratzinger. As a professor Ratzinger taught Catholic theology in Bonn and Muenster. He was involved in the Second Vatical Council (1962-1965) as the reformer and admirer of Karl Rahner, Ratzinger was appointed to a chair at the University of Tubingen. After experiencing Marxist student riots in 1968, his theological position gradually was changed into conservatism. He served as professor and then as vice president of the University of Regensburg. He was appointed as Archbishop of Munich and Freising(1977-1982) and named as the Prefect of the Sacred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1981-2005). First, Benedict XVI wrote three encyclicals, "God is Love", "Saved by Hope", and "Love in Truth." He argues that religious freedom is needed for world peace. Distinguishing religious freedom from syncretism and religious pluralism, he emphasizes the uniqueness of Roman Catholic Church and considers the balance between faith and reason. Second, he applies phenomenology of religion to the development of his theology of religions. Razinger rejects the positions of Karl Rahner and Hang Kung but accepts the necessity of religious dialogues and peace. He explains the evolution of religion and claims the finality of monotheism, which including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He doesn`t consider Islamic worldview seriously. Third, his conservative position is exclusive to other religions. He is suspicious of the possibility of inter-religious dialogue since the Roman Catholic Church cannot find a proper dialogue partner. There are many difference forms of Islam in the world, so he thinks that religious-dialogue is impossible in a real sense. It should be noted that Benedict XVI finds the common ground between Roman Catholic Church and Islam in the crisis of secularization. Muslims criticize the dualism of politics and religions in public areas of the West, which Benedict XVI regards as the particularity of Islam. Fourth, Benedict XVI`s insulting lecture on Muhammad and Islam offended Muslim leaders to protest against his speech. Though he mentioned the expression of the Byzantine emperor Manuel II Paleologus, Muslims regarded his quotations as his own negative opinion against Islam. Pope gave public apology to Muslims in the world. After this accident, Benedict XVI met Saudi Arabia`s king Abdullah in 2007 and Catholic-Muslim Forum was held in November 2008. In conclusion, there are many cases of Roman Catholic efforts to understand Islam with empathy and respect. Benedict XVI was the head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but he didn`t find the partner of Catholic-Islam Dialogue. Rather than doctrinal and theological dialogue,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new dialogues in social respo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