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자 고등학교 엘리트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 레슬링 선수들의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요추부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이효철,손희정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교 엘리트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 레슬링 선수들의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요추부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고등학교 엘리트 레슬링 선수 16명(그레코로만형 집단 9명, 자유형 집단 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선수들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측정은 전자기식 에르고미터를 이용하 였고 등속성 근력은 Cybex 77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교 엘리트 레슬링 선수들의 무산소성 파워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슬관절 등속성 근력은 그레코로만형 집단이 자유형 집단에 비하여 우굴근의 상대근력과 절대근력(p<.05, p<.01)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좌굴근의 상대근력(p<.05)과 좌신근의 절대근력(p<.05)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추부 등속성 근력은 그레코만형 집단이 자유형 집단에 비하여 요추부 신근의 절대근력 과 상대근력(p<.05, p<.05) 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남자 고등학교 엘리트 레슬링 선수들의 종목별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등속성 근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목별 특성과 성장기 선수들의 운동능력을 고려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계획 및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between male high school greco-roman and free style wrestler's anaerobic exercise ability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The subjects were sixteen high school wrestlers (greco-roman group; n=9, free style group; n=7). Anaerobic exercise ability was measured by computeraided electrically braked cycle ergometer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was measured by Cybex 770. As results, anaerobic exercise 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eco-roman and free style group. The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of knee joint, right flexor was observed a significantly high in the greco-roman group than free style group(relative strength p<.05, absolute strength p<.01) and also, left flexor and left extensor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greco-roman group(per p<.05, p<.05). The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of lumbar, lumbar extensor was observed a significantly high in the greco-roman group than free style group(relative strength p<.05, absolute strength p<.05). In conclusion,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high school wresters' anaerobic exercise ability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ort and the athletic ability of the athletes during their growth period should be planned and applied.

      • 근력 훈련이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근력과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및 상관

        한동기,하상민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3 특수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근력 훈련이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등속성 근력과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 및 근력과 평형성 간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삼체성 다운증후군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6주간 근력을 훈련을 실시(하지 근육 강화 훈련 4종목과 복근 및 척추기립근 강화 훈련 2종목, 총 6가지 종목으로 구성하여 주당 3회 10~15RM, 3세트)하였다. 근력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 전과 훈련 6주 후에 등속성 근련 변인과 평형성 변인을 측정하였다. 등속성 근력은 Cybex 770을 이용하여 운동부하속도 60°/sec와 180°/sec에서 무릎의 굴곡근력과 신전근력, 즉 각근력(최대회전력과 전체 일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평형성 변인은 정적평형성 검사인 스틱 테스트와 동적평형성 검사인 직선보행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다운증후군 대상자의 근력 훈련 전과 후 등속성 근력과 평형성 변인의 결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근력과 평형성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로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등속성 근력 변인은 운동부하속도 180°/sec에서 우측 슬관절 신전 시 최대회전력, 운동부하속도 60°/sec에서 우측 슬관절 신전회전 시 최대회전력 그리고 좌우측 슬관절 신전회전 시 전체 일량을 제외한 모든 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어, 비교적 짧은 기간인 훈련 6주만에 근력 훈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6주간의 근력 훈련을 통해 정적평형성 검사인 스틱테스트의 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지만, 동적평형성 검사인 직선보행검사의 측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근력 훈련 전과 후에 모두 근력과 정적 평형성이 높은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력과 동적 평형성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근력 훈련 전과 후, 시기 간 근력-정적 평형성 상관계수의 차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 참가한 다운증후군 청소년들은 비교적 짧은 훈련기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등속성 근력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정적평형성 검사인 스틱테스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근력 훈련이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정적평형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력과 평형성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근력훈련을 하여 향상된 근력은 관절을 안정화시키고, 자세제어 시 하체와 체간부의 근육 반응속도의 향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청소년들이 근력 훈련을 비롯한 다양한 향상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가함으로써 근력 향상과 동시에 평형성을 향상시킬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현장 사례 연구 : 소프트볼 투수의 신체 분절별 등속성 근력과 투구스피드의 상관관계 분석

        김윤영 ( Yun Young Kim ),윤성원 ( Sung Won Yo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볼 투수의 신체 분절별 등속성 근력과 투구스피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엘리트 선수를 포함한 우수 여자 고교, 및 대학 소프트볼 투수 각 5명씩 총 10명을 대상으로 투구스피드와 등속성 근력을 측정하였다. 투구스피드는 스피드건을 이용하여 총 5회 투구된 속도 중 최고 속도를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등속성 근력 측정은 등속성 근력장치인 Cybex 770을 이용하여 어깨관절은 60°/sec과 240°/sec, 허리관절은 30°/sec과 120°/sec, 무릎은 60°/sec과 180°/sec에서 각각 신근 및 굴근을, 발목관절에서는 30°/sec과 120°/sec에서 족저 및 배측 굴근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손의 크기, 악력, 손목과 팔꿈치 관절은 정적 근력측정기를 사용하여 굴근력을 측정하였다. 어깨관절의 경우, 240°/sec의 부하속도에서 신근 파워(r=.713)와 체중당 신근 파워(r=.718)가 투구스피드와 유의한(P<.05)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허리관절의 경우, 부하속도 30°/sec에서 신근력(r=.697)과 신근 파워(r=.654)가 투구스피드와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배근력(r=-.644)은 120°/sec 부하속도에서 투구스피드와 유의한 부적상관(P<.05)을 나타냈다. 무릎관절의 경우, 180°/sec에서 굴근력(r=.722)이 정적상관을, 발목관절의 경우, 30°/sec에서 족저근력(r=.674)과 체중당 족저근력(r=.667)이 투구스피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관련성을 고려할 때 투구스피드 속도 증가에 신체 각 분절의 등속성 근력이 크게 기여함을 판단할 수 있어 소프트볼 투수의 투구스피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투구동작에 관여하는 관절 운동시 발휘되는 근력들을 고르게 향상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body segment isokinetic strength and throwing speed within 10 softball pitchers(high school: 5, college: 5). Throwing speed was valuated at maximum speed of 5 times throwing using speed gun. Cybex machine was used to measure strength during isokinetic flexion and extension in shoulder, hip, and knee, plantarflexion and dorsiflexion in ankle joint. Measurement of hand size and squeeze, flexor power of wrist and ankle joint were measured by using static muscular strength test system.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e shoulder extensor power(r=.713) and throwing speed at 240 °/sec velocity, and percentage of average power to body weight(r=.718) and throwing speed at 240 °/sec velocity. Hip jointy was significant correlated to the extensor(r=.697) and extensor power(r=.654) at 30 °/sec velocity and 120 °/sec velocity(r=-.644), and throwing speed. Knee extensor at 180 °/sec velocity(r=.722), and plantarflexion(r=.674) and percentage of peak torque body weight(r=.667) at 30 °/sec velocity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rowing speed.

      • KCI등재

        근수축 구현 방식에 따른 레그프레스 트레이닝이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전태원 ( Tae Won Jun ),신현정 ( Hyun Jung Sin ),김용운 ( Yong Woon Kim ),박성태 ( Sung Tae Park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전태원, 신현정, 김용운, 박성태. 근수축 구현 방식에 따른 레그프레스 트레이닝이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397-404, 2011. 본 연구는 12주간의 레그프레스 동작을 통한 등장성 트레이닝과 등속성 트레이닝이 하지근력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20대 젊은 성인 남성으로 규칙적인 운동 트레이닝의 경험이 없는 6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20명씩 세 그룹으로 무선배정하여 등장성 트레이닝 집단(IT), 등속성 트레이닝 집단(IK) 그리고 통제집단(Con)으로 나누었다. 각 집단은 사전에 등장성 및 등속성 근력측정을 시행하였고, 12주 트레이닝 기간 후에 같은 측정을 시행하였다. 두 트레이닝 집단은 등장성 및 등속성 측정과 트레이닝이 동시에 가능한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통제집단은 12주간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장성 근력측정 결과, 등장성 트레이닝집단과 등속성 트레이닝집단은 양측, 우측, 좌측 근력측정 모두에서 트레이닝 전에 비해 트레이닝 후에 최대근력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통제집단은 트레이닝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트레이닝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등속성 근력측정 결과에서도 등장성 트레이닝집단과 등속성 트레이닝집단은 모든 측정 모드와 저속, 고속측정에서 트레이닝 후에 최대근력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통제집단은 트레이닝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트레이닝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등장성 및 등속성 레그프레스 트레이닝은 하지근력의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으로 적합한 것으로 제안될 수 있다. Jun, T. W., Sin, H. J., Kim, Y. W., Park, S. T. Effect of leg press training on low-extremity muscle strength to muscle contraction modes. Exercise Science. 20(4): 397-404,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ow-extremity muscle strength to isotonic and isokinetic leg press training. For this purpose, sixty healthy ma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sotonic (IT: n=20), the isokinetic (IK: n=20) and the control (Con: n=20) group. Both IT and IK groups trained their bilateral (UI), unilateral right (ULR), unilateral left (ULL) leg 3 sessions/week for 12 weeks on dynamometer with isotonic or isokinetic method, respectively. Isotonic and isokinetic tests were performed on a dynamometer before and after strength training. Significant strength increases in both two test conditions were noticed for IT and IK groups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ained groups. And there is no change i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both isotonic and isokinetic training methods could be proposed to improve muscle strength in various training fields.

      • KCI등재

        K지역 운동선수들의 운동 종목과 등속성 무릎 근력 수준이 등속성 최대토크각에 미치는 영향

        이종백,박규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5

        본 연구는 등속성 무릎 근기능 검사 중 최대토크각와 종목, 근력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선수들의 훈련과 재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K지역 13개의 운동종목 총 134명의 남자 일반(38명), 대학부(60명), 고등부(34명)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신체조성과 함께등속성 무릎근력과 근파워의 최대토크각을 평가하였다. 최대토크각은 종목과 근력수준별 상호작용, 근력과 근파워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첫째, 운동종목과 근력수준은 등속성 무릎 최대토크각과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운동종목은 좌ㆍ우측 굽힘근과 폄근의 최대토크각과(p<.05), 근력수준은 우측 굽힘근의 최대토크각과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좌ㆍ우측 등속성 굽힘근 최대근력토크각과 최대파워토크각은 등속성 굽힘근(p<.001)과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측 굽힘근 최대파워토크각의 경우 우측 굽힘근 근파워(p<.01), 좌측 폄근 최대근력토크각은 좌측 근력과 근파워 모두와(p<.05) 유의한 상호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목과 근력수준이 최대토크각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선수들의 종목특성에 따른 등속성 근력 평가에 있어서 최대토크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훈련평가와 부상 후 재활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ngle at peak torque during the isokinetic knee muscle function test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ent and muscle strength level to use as basic data for training and rehabilitation of athletes. A total of 134 male general (38), college (60), and high school (34) athletes from 13 events in K-region were evaluated for isokinetic knee strength and angle at peak torque angle of muscle power along with body composition. For the peak torque angle, the interaction by event and muscle strength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uscle strength and muscle power were analyzed. First, exercise event and muscle strength level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isokinetic knee maximum torque angle, exercise event was both left and right (p<.05), and muscle strength level only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right flexor muscle. (p<.05).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isokinetic muscle strength, muscle power and maximum torque angle, the left and right isokinetic muscle strength torque angle and maximum power torque ang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sokinetic flexor muscle (p<.001). In the case of the right flexor maximum power torque angle, the right flexor muscle power (p<.01), and the left extensor maximum muscle power torque ang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left muscle strength and muscle power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tended to have a certain effect on the peak torque angle by the event and strength level.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ak torque angle in the evaluation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thletes,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information can help improve athletes' performance in training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after injury.

      • KCI등재

        엘리트 알파인 스노보드 선수의 12개월 주기화 트레이닝이 등속성 최대근력 및 근비율에 미치는 영향: 개인별 사례연구 분석

        김기홍,최종인,손재헌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12개월 주기화 트레이닝을 통하여 비시즌과 시즌 직전, 시즌 이후의 무릎 및 허리의 근력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종목 특성에 맞는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엘리트 선수 경력 10년 이상의 스노보드 알파인 선수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직 적응훈련(3주), 근비대 훈련(6주), 최대근력 훈련(4주), 근파 워 훈련(4주), 근력 유지훈련 (7개월), 휴식기(4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비시즌과 시즌 직전의 등속성 무릎 및 허리의 최대근력과 근비율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으나, 선수별 근력 향상에 개인차가 발생하였다. 시즌 이후의 등속성 무릎 및 허리의 최대근력과 근비율 또한 변화하였으며, 선수별 근력 감소에 개인차가 발생하였다. 비시즌부 터 시즌으로 이어지는 주기화 트레이닝에 입각한 체력훈련 프로그램은 훈련된 운동선수의 근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며, 시즌 이후 훈련강도 및 훈련량의 감소로 인한 근력감소가 확인되었으나, 선수에 따른 개인차가 발생하였다. 향후 주기화 트레이닝의 적용 시 활주 방향차이에 따른 근력 변화에 대한 연구가 기대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by observing changes in muscle strength and muscle ratio of knee and Lumbar after off-season, just before and after season through 12-month periodization trai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ive snowboard alpine play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lite athletes' career. The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was measured before the periodization training, the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was measured three times including measurement of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fter the season, which includes the training of snowboarding and the schedule of the game. The maximum muscle strength and muscle ratio of the isokinetic knee and Lumbar before the off-season and the season changed, but individual differences occurred in the improvement of muscle strength by player. The maximum muscle strength and muscle ratio of the isokinetic knee and Lumbar after the season also changed, but there was a personal difference in the muscle strength reduction by player. The physical fitness training program based on periodization training from the off-season to the season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trained athlete, and the decrease in muscular strength due to the decrease in training intensity and training amount after the season was confirmed, but individual differences occurred according to the athlet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n the change of muscle strength due to the gliding direction difference is expected when applying periodic training.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에서의 수술 전 후 등속성 근력검사

        김진영(Jin-Young Kim),태석기(Suk-Kee Tae),여도현(Do-Hyun Yeo),이호민(Ho-Min Lee),오종수(Jong-Soo Oh)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2

        목적: 수술적으로 치료한 회전근 개 파열에서 파열의 크기, 극상근의 지방변성 및 추시 자기공명영상검사상에서 복원 유지 여부 등의 해부학적 상태와 등속성 근력검사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검사 및 등속성 근력검사, 수술 후 평균 10개월에 시행한추시 자기공명영상검사 및 등속성 근력검사의 자료가 있는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등속성 근력검사는 외회전, 내회전의 근력을 60 °/sec에서 환측의 최대 우력 및 총 일의 양을 건측과 비교하여 결손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수술 전 등속성 근력 결손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01). 수술전 극상근의 점유율과 등속성 근력 결손은 낮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p<0.001). 추시 자기공명영상검사상 완전 치유된 군에서 수술 전 외회전의 최대 우력 및 총 일의 양에서의 결손은 각각 39%, 54%였고, 재파열된 군은 각각 44%, 58%로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외회전의 최대 우력과 총 일의 양에서의 결손은 완전 치유된 군에서 각각17%, 32% 감소하였으며, 재파열된 군은 23%, 35%의 감소를 보였지만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결론: 수술 전의 등속성 근력검사는 파열의 크기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나 근육의 위축을 반영하지는 못하며, 수술 후 건의 재파열과도 상관 관계가 없었다. 수술 후 건의 연속성 여부는 수술후의 등속성 근력검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 isokinetic muscle strength correlated with (ii) anatomical assessment of rotator cuff tear size, fatty degeneration of the supraspinatus muscle or postoperative cuff integrity. Materials & Methods: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32 patients in whom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at an average of 10 months after repair, took par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isokinetic strength (peak torque and total work) deficit in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at a 60°/sec load. Results: Preoperative isokinetic strength deficits correlated with tear size (p<0.001) but correlated weakly with fatty degeneration of supraspinatus muscle (p<0.001). In patients with healed rotator cuffs, preoperative peak torque and total work deficits were 39% and 62% for external rotation. At final follow up, they were decreased to 17% and 32%, respectively. In the re-tear group, preoperative peak torque and total work deficit were 44% and 61% in external rotation. At final follow up, they were decreased to 23% and 35%,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Preoperative isokinetic strength correlates with tear size but not fatty degeneration of the supraspintus muscle or postoperative cuff integrity. Postoperative cuff integrity did not have an effect on postoperative isokinetic strength.

      • KCI등재

        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반동점프 시 반사적 근력, 지면접촉시간과 전문체력간의 상관성

        손희정,정연성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반동 점프 수행 시 반사적 근력, 지면 접촉시간과 전문체력 변인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40명의 고등학교 남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반동점프 테스트(Opto-Jump, Microgate, Italy)시 반사적 근력, 지면접촉시간과 등속성 근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축구선수들 의 양발 반동점프 시 반사적 근력과, 지면접촉시간은 대퇴 굴근의 최대근력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났으며(p<.05), 대퇴신근의 최대근력은 반사적 근력에서는 상관성이 나타났으나 지면접촉시간과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주 측의 외발 반동점프 결과에서는 반사적 근력은 주측의 신근 최대근력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나(p<.05), 굴근 최대 근력과는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반동점프 수행평가 결과에서 양발과 외발의 점프높이, 파워, 반사적 근력의 모든 결과에서 무산소성파워의 평균파워와 최대파워와의 상관성이 나타났다(p<.01). 반면에 반동점프 시 지면접 촉시간은 무산소파워와 유의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축구선수들의 반사적 근력이나 지면접촉 시간 은 전문체력 결과의 일부에서만 관련성을 보임으로써 종목 특이적인 신체적 기능평가와 훈련계획에 있어 근신경계 기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eactive strength index(RSI), ground contact time(GCT) and specific physical fitness variables in high school soccers. A total of 40 high school male soccerrs were tested for countmovement jump(Opto-Jump, Microgate, Italy), isokinetic muscle strength, and an anaerobic power. Studies have shown that RSI during bilateral countmovement jump and ground contact time were significant in the peak torque of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flexor muscle (p<.05), and the peak torque of extensor muscle was not related to GCT. In addition, in the countmovement jump of the dominant, the RS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ominant extensor peak torqu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SI On the other hand, the countmovement jump showed that the mean power and peak power of wingate test were correlated (p<.01), while the GC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aerobic power. In order for these results to be used in the sports field, further studies will need to expand field test that are more specialized in the sport to provide a clearer relevance.

      •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과 Isokinetic test를 통한 근력 평가의 상관 관계

        김덕원,성정환,정재은,고민수,Kim, Deok-Weon,Sung, Jung-Hwan,Jung, Jae-Eun,Ko, Min-S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2

        목적: 회전근 개 질환 치료 후 복귀 판정에 있어 기능적 평가로서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과 등속성 근력 평가 간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충돌 증후군 59명과 회전근 개 파열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KSS와 등속성 근력을 측정하고 KSS의 총점 및 기능적 평가 항목을 등속성 근력 결핍과 비교하여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등속성 근력 결핍은 KSS의 총점이나 근 지구력 검사 항목 점수가 클수록 근력 감소가 적게 나타나면서 상관계수 값(r)이 0.346이하로 약하게 보였다. KSS 도수 근력 검사 항목은 등속성 근력 감소와 상관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론: 등속성 근력 결핍은 KSS 총점과 KSS 지구력 항목과는 약한 관련성을 보였다. 치료 후 정상 활동 복귀를 위해서 등속성 근력 검사를 통해서 판단함이 유용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test for allowance of the return to unrestricted activities after rotator cuff disease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59 patients with impingement syndrome and 36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 KSS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were analyzed and we sought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score or each functional parameter scores of KSS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deficit with Pearson's correlation test. Results: We foun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nd the total KSS score and the endurance test as well (r<0.34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nual muscle test of KSS and isokinetic strength deficits was not significant (p>0.05). Conclusion: The isokinetic muscle strength deficit had a weak correlarion between total score or the edurance test of KS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sokinetic muscle strength test may be needed for return to normal activity after treatment.

      • KCI등재

        무용전공별 등속성 대퇴 근력비와 근지구력 비교 연구

        함정선(Jung Sun Ham) 한국무용과학회 200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훈련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상해 예방을 위한 안정성의 제공을 위해서 전공별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대퇴사두근 (quadriceps)과 대퇴슬괵근(hamstrings)의 비율을 측정하여 근력과 근지구력비를 알아봄으로써 무용훈련의 과학화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C대학에 재학중인 발레 전공자 9명과 현대무용 전공자 7명, 한국무용 전공자 8명을 대상으로 Cybex 770장비를 이용하여 대퇴 사두근과 대퇴 슬와근의 저속 운동 부하속도(60º/sec), 중속 운동부하속도(180º/sec)에 따른 절대근력과 상대근력, 동측근력비율, 세트 총일량, 근지구력비 등의 운동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등속성 저속부하속도 60º/sec에서 좌·우측 절대 신근력은 한국무용 전공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상대 신근력 또한 집단간에 유의하지 않았다(p>.05). 2. 등속성 저속부하속도 60º/sec에서 좌·우측 절대 굴근력은 발레 전공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나 집단간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우측상대 굴근력에서 발레 전공자 집단이 40%로 현대 무용전공자 집단과 한국무용 전공자 집단 보다 유의하였다(p<.05). 3. 등속성 저속부하속도 60º/sec에서 좌측 신근과 굴근의 동측근력비는 집단간에 유의하지 않았으며, 우측 신근과 굴근의 동측근력비는 발레 전공자 집단이 51.37%로 현대 무용전공자 집단과 한국무용 전공자 집단 보다 유의하였다(p<.05). 4. 등속성 중속부하속도 180º/sec에서 좌·우측 신근과 굴근의 동측근력비는 발레 전공자 집단이 57.31%, 60.23%로 현대 무용전공자 집단과 한국무용 전공자 집단 보다 유의하였다(p<.05). 5. 등속성 중속부하속도 180º/sec에서 좌·우측 굴곡시 세트 총일량은 집단간에 유의하지 않았다(p>.05). 6. 등속성 중속부하속도 180º/sec에서 좌측 신전시 세트 총일량은 한국무용 전공자 집단이 763J로 다른 두 집단 보다 유의하였으며(p<0.05), 오른쪽 신전시 세트 총일량은 현대무용전공자 집단이 741.14J로 다른 두 집단보다 유의하였다(p<.05). 7. 등속성 중속부하속도 180º/sec에서 신전 및 굴곡시 지구력비는 좌·우측 모두 집단간에 유의하지 않았다(p>.05).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Isokinetic Muscle' functional on Thigh classified by Major in Dance, I used Cybex 770 equipment on the subjects, consisted of 9 Ballet group, 7 Modern dancing group, and 8 Korean Dancing group, to analy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bile capacity of Isokinetic such as Peak torque and Peak torque to body weight followed by quadriceps's and hamstring's low loading velocity(60º/sec), and mid loading velocity(180º/sec), Ipsilateral balance ratio, Set total work, endurance ratio, and etc,…. And I came to the conclusion as specified below. 1. Although at Isokinetic low loading velocity 60º/sec, left and right Peak torque of knee extension is high among Korean Dancing group, they, as well as Peak torque to body weight of knee extensio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p>.05). 2. Although at Isokinetic low loading velocity 60º/sec, left and right Peak torque of knee extension is high among Ballet group, they, as well as Peak torque to body weight of knee extensio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On right Peak torque to body weight of knee Flexion, Ballet group achieved 40% and they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Modern dancing group and Korean Dancing group(p<.05). 3. At Isokinetic low loading velocity 60º/sec, left Extensor and Flexor's Ipsilateral balance rati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On right Extensor and Flexor's Ipsilateral balance rati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On right Extensor and Flexors's Ipsilateral balance ratio, Ballet group achieved 51.37% and they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Modern dancing group and Korean Dancing group(p<.05). 4. At Isokinetic mid loading velocity 180º/sec, Ballet group achieved 57.31%, 60.23% on left, right Extensor and Flexor's Ipsilateral balance ratio and they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Modern dancing group and Korean Dancing group(p<.05). 5. At Isokinetic mid loading velocity 180º/sec, left, right Set total work of knee Flexor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p>.05). 6. At Isokinetic mid loading velocity 180º/sec, Korean Dancing group achived 763J on the left Set total work of knee Extensor and they significantly different more than the other two groups. on the right Set total work of knee Extensor, Modern dancing group achieved 741.14J and they significantly different more than the other two groups(p<.05). 7. At Isokinetic mid loading velocity 180º/sec, left, right Extensor and Flexor endurance ratio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groups(p>0.05).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characters of each candidates on Thigh have close relation to the ankle and the knee injury caused by the un balanced development of muscles and the definite Muscle exercise is necessary for that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