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동맥의 내막, 중막, 내중막 두께 분리측정 및 임상적 중요성

        김원식,정환택,노기용,배장호,Kim Wuon-Shik,Jeong Hwan-Taek,No Ki-Yong,Bae Jang-Ho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 의학물리 Vol.16 No.4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심각한 정도는 일과성 뇌 허혈, 중풍, 그리고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의 원인 질환이 되는 죽상동맥경화에 대한 독립적 예측인자이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내막두께와 중막두께로 구성되어 있지만, 내막과 중막 각각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하여는 연구가 잘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죽상동맥경화증을 진단하기 위하여 B-mode 초음파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내막, 중막, 그리고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내막, 중막, 내중막 두께의 임상적 중요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44명(평균연령: 57세, 남성: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총경동맥의 영상을 스캐닝 하였다. 그 결과, 죽상동맥경화성 질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내중막(p<0.01) 두께뿐만 아니라 내막(p<0.05) 및 중막(p<0.05)의 두께도 모두 유의하게 더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인자 중 고혈압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해 내막(p<0.01), 중막(p<0.001) 및 내중막(p<0.001) 두께 모두가 유의하게 더 두꺼웠고, 흡연을 하는 집단은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내막의 두께만 유의하게 더 두꺼웠다(p<0.01). 내막(r=0.374, p=0.001), 중막(r=0.433, p=0.000) 및 내중막(r=0.479, p=0.000) 두께는 연령과 정적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보였다. 두께들간의 공유설명량 ($r^2$) 평가결과는 내중막두께와 중막두께가 $92.4\%$, 내중막두께와 내막두께는 $49.1\%$, 그리고 내막두께와 중막두께는 $27.4\%$이었다. 이 결과는 경동맥의 내막과 중막은 서로 다른 생리현상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severity of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atherosclerosis which causes transient cerebral ischemia, stroke, and coronary events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The IMT consists of Intima thickness (IT) and media thickness (MT). However, the Individual clinical significance of IT and MT has not been well studied. We devised a method of measuring IT, MT, and IMT using B-mode ultrasound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the diagnosis of atherosclerosis. To inspec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IT, MT, and IMT, one hundred forty-four consecutive patients (mean age; 57 years old, 72 males) were underwent common carotid artery scanning using high-resolution ultrasound. Results showed that, the IT (p<0.05), MT (p<0.05) as well as IMT (p<0.01) of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disease were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out atherosclerotic disease. Patients with hyperiension showed significantly thicker IT (p<0.01), MT (p<0.001), and IMT (p<0.001). However, only IT was thicker in patients with smoking (p<0.01). The IT (r=0.374, p=0.001), MT (r=0.433, p=0.000), and IMT (r=0.479, p=0.000)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were estimated to be $92.4\%$ for IMT and MT, $49.1\%$ for IMT and IT, and $27.4\%$ for IT and M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ima layer of the carotid artery has a different physiology with the media layer.

      • KCI등재

        교정용 미니스크류 식립을 위한 입천장뼈 두께의 골격 분석

        유선경,조용화,임진웅,김흥중 대한체질인류학회 201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2 No.3

        Orthodontic miniscrews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areas, because they are stable, easy to use, and inexpensive.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the palatal bone thickness, to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the alveolar arch and palatal bone thickness, and to discuss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hard palate for miniscrew placement. Twenty-four dry skulls in Koreans were used. The three different horizontal reference lines were established at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between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nd first molar. And then, a total of 12 points were set up in relation to each horizontal reference line by drawing a vertical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central incisor, between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lateral incisor, between lateral incisor and canine. At each point, the palatal bone thicknes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alveolar arch,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incisive foramen were measured directly with the bone caliper and the digital calip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dth and the length of alveolar arch and the palatal bone thickness was analyzed. The mean of palatal bone thickness based o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was 11.4±3.2 mm in between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7.4±2.4 mm in between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nd 5.2±1.5 mm in first molar, decreased posterior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osition between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showed a constant thickness, and thickened laterally from the median palatal suture due to the alveolar proces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osition between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nd the position in first molar, it were also constant, then became significantly thicker toward point between lateral incisor and canine due to the alveolar process and the palatal spine. The width of the alveolar arch was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the alveolar arch and the palatal bone thickness of between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but not with the length of the alveolar arch and the palatal bone thickness. These results can provide useful anatomical data on palatal bone thickness including skeletal structures of hard palate for orthodontic miniscrew placement. 교정치료에서 뼈대 고정원으로 미니스크류는 시술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여러 부위에 다양하게 적용되 는데, 그 중 입천장이 충분한 뼈 두께, 얇은 각화 연조직 및 환자의 선호로 인하여 가장 널리 이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교정용 미니스크류 식립을 위해 추천되는 부위의 입천장 뼈 두께를 계측하고 이틀활의 크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여, 입천장가시와 입천장융기와 같이 입체적으로 나타나는 정상 구조물을 평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인 마른 머 리뼈 24개를 사용하였다. 치아 위치에 따른 입천장 뼈의 두께를 계측하기 위하여 첫째작은어금니와 둘째작은어금니 사 이, 둘째작은어금니와 첫째큰어금니 사이, 첫째어금니에서 3개 수평기준선을 설정하고, 이어 수직기준선으로 안쪽앞니, 안쪽앞니와 가쪽앞니 사이, 가쪽앞니, 가쪽앞니와 송곳니 사이의 수직으로 연장선을 그어 각 수평기준선과 만나는 총 12 개의 지점을 정하였다. 각각의 지점에서 입천장 뼈의 두께와 이틀활의 너비와 길이 및 앞니구멍의 너비와 길이를 Bone caliper와 Digital caliper를 이용하여 직접 계측하였다. 이틀활의 너비, 길이 및 입천장 뼈 두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 다. 입천장 뼈의 평균 두께는 첫째작은어금니와 둘째작은어금니 사이부터 순서대로 11.4±3.2, 7.4±2.4, 5.2±1.5 mm로 뒤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첫째작은어금니와 둘째작은어금니 사이는 정중입천장봉합에서 가쪽으 로 일정한 두께를 보이다가 가쪽앞니와 송곳니 사이 지점에서 이틀돌기로 인하여 두께가 두꺼워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작은어금니와 첫째큰어금니 사이와 첫째큰어금니 위치에서는 가쪽으로 일정한 두께를 보이다가, 가쪽앞니와 송곳니 사이 지점에서 두께가 각각 이틀돌기와 입천장가시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두꺼워졌다. 이 틀활의 너비는 이틀활의 길이 및 첫째작은어금니와 둘째작은어금니 사이의 입천장 뼈 두께와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이틀활의 길이와 뼈 두께와는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정용 미니스크류 식립 시 입천장 뼈 두께를 포 함하여 단단입천장의 골격 구조물에 대한 유용한 해부학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만삭 임신에서 자궁하절부 두께의 임상적 의의

        이은실 ( Eun Sil Lee ),김광준 ( Gwang J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임신 말기에 자궁하절부 두께가 분만예정일의 예측에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이는지 알고, 자궁하절부 두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단태임신 산모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신 36주부터 질식 분만시까지 전향적으로 매주 자궁하절부 두께, 자궁경관 길이 및 자궁경관선의 두께 및 양수지수를 초음파를 통해 관찰하였다. 자궁하절부 두께와 실제 분만일까지 남은 기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은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고, 자궁하절부 두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기 위해 산모 연령, 분만력, 자궁경관의 길이, 자궁경관선의 두께 및 양수지수와 자궁하절부 두께 사이의 관계 분석은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 산모들의 평균 연령은 30±2세였고 평균 분만력은 0.5±0.5였으며 신생아 평균 출생체중은 3433±41 grams이었다. 자궁하절부 두께는 각 개인 내에서는 임신 주수가 지남에 따라 즉 실제 남은 분만일이 짧아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전체 산모 내에서의 자궁하절부 두께와 분만시까지 남은 날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자궁하절부 두께는 산모의 연령, 분만력, 자궁경관선의 두께 및 양수지수와는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궁경관의 길이와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자궁경관의 길이가 짧을수록 자궁하절부 두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P<0.01). 결론: 만삭임신에서 자궁하절부 두께는 자궁경관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그 두께가 감소하지만 객관적으로 실제 분만일을 예측하는데 있어 자궁하절부 두께를 이용할 수는 없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ole of Lower uterine segment thickness in predicting an actual delivery date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th of Lower uterine segment. Methods: Sixty patients with singleton gestation were weekly measured for their Lower uterine segment (LUS), cervical Length, cervical gland thickness and AFI by ultrasonography from 36 weeks.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to find out the relevance between LUS and the remaining days to birth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relevance between LUS and other factors such as maternal age, parity, cervical Length, cervical gland thickness, and AFI. Results: LUS became thin as cervical Length decreasing. However, the relevance between LUS and other factors such as age, parity, cervical gland thickness, and AFI was not found. While individual LUS thickness is decreasing as delivery date becomes closer, LUS thickness as a group is found not to be related with the delivery date. Conclusion: In term pregnancy, LUS thickness decreases with cervical change but it cannot predict the delivery date.

      • KCI등재

        전 제왕절개 부위 두께의 경질초음파 평가

        조주연(Joo Yun Cho),이유미(You Me Lee),김인현(In Hyun Kim),정창조(Chang Jo Chung),장성운(Sung Woon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전 제왕절개 산모에서 임신 36주 이후 경질초음파로 잰 자궁 앞쪽 하절부 두께와 제왕절개 시 직접 잰 두께 차이를 평가하려고 하였다. 연구 방법: 160예의 산모에서 임신 36주 이후 경질초음파로 자궁 앞쪽 하절부 근육층 두께를 재고(초음파 두께) 진통을 하지 않은 상태로 반복 제왕절개 시 제왕절개부위 자궁 근육층 두께를 두께 측정 기구로 재서(수술 두께) 비교하였다. 경질초음파로 잘 보이는 자궁하절부 부분이 자궁경부 위로부터 4cm 이상인 군(1군)과 4cm 미만인 군(2군)으로 구별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초음파로 잰 자궁 앞쪽 하절부의 평균 두께는 1.7 0.8 mm, 반복제왕절개 시 잰 자궁의 평균 두께는 1.9 0.8 mm였다. 초음파 두께와 수술 두께의 차이(두께 차이)는 전체적으로 0.5 0.5 mm였는데 31.3%는 차이가 없었으며 0.1-0.5 mm가 39.4%, 0.6-1.0 mm가 21.9%, 1.1-1.9 mm가 4.4%, 2.0-2.5 mm가 3.1%였다. 평균 두께 차이를 보면 초음파 두께 2.0 mm 이상일 때가 0.4 0.5 mm로 초음파 두께 1.0 mm 이하일 때인 0.6 0.6 mm보다 적었고 1군은 0.4 0.4 mm로 2군 0.9 0.6 mm보다 적었다. 결론: 두께 차이는 0.5 0.5 mm였으며 초음파로 두께가 2mm 이상일 때는 1.0 mm 이하일 때보다, 자궁 하절부가 자궁 경부로부터 4cm 이상 잘 보이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작았다. Objectives: Estimation of the anterior lower uterine segment (LUS) thickness difference who underwent prior cesarean delivery measured with transvaginal sonography at or after 36 gestational weeks (sonographic thickness) and a ruler during elective cesarean section (operation thickness) Methods: One hundred sixty women who underwent prior cesarean delivery had the thickness of their LUS measured with transvaginal sonography at or after 36 gestational weeks. The LUS thickness was measured with a ruler during elective cesarean section. We compared group I whose LUS was fairly well visualized 4 cm or more from the uterine cervix to group II which had less than 4 cm. Results: The mean sonographic thickness of LUS was 1.7 0.8 mm and that of operation thickness was 1.9 0.5 mm. The mean difference of the two (thickness difference) was 0.5 0.5 mm. In 31.3% the sonographic thickness was same as the operation thickness and in 70.7% of the total with 0.5 mm or less difference, the sonographic thickness could be regarded as accurate. The thickness difference with the sonographic thickness with 2 mm or more was smaller than those with 1 mm or less (0.4 0.5; 0.6 0.6) and that of group I was smaller than that of group II (0.4 0.4; 0.9 0.6) (P < .05). Conclusion: The thickness difference was 0.5 0.5 mm and it was smaller when the LUS thickness is 2 mm or over, clearly visible 4 cm or over from the cervix.

      • KCI등재

        위턱뼈에서 미니임프란트 식립을 위한 물렁조직과 겉질뼈의 두께

        박종태(Jong-Tae Park),정려령(Rye-Ryeng Jeong),김규탁(Kyu-Tag Kim),김상봉(Sang-Bong Kim),허경석(Kyung-Seok Hu),김희진(Hee-Jin Kim),임성훈(Sung-Hun Lim),김흥중(Heung-Joong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1 No.3

        위턱뼈의 정중입천장봉합 부위와 어금니 사이는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적절한 장소이다. 이 연구는 물렁조직과 겉질뼈의 두께와 관련하여 미니임플란트를 가장 적절한 부위에 위치시키기 위한 장소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용 사체 15구의 위턱뼈를, 정중입천장봉합 부위와 위턱 어금니 사이의 물렁조직과 겉질뼈의 두께를 계측하기 위해, 정중시상면과 볼쪽-입천장쪽면으로 절단하였다. 각 절단원 절편들을 스캐너로 스캔한 다음, 물렁조직과 겉질뼈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정중시상절편에서는 안쪽앞니 잇몸유두로부터 5㎜ 간격으로 6개의 지점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볼쪽-입천장쪽 절편에서는 이틀능선으로부터 치아뿌리끝쪽으로 1㎜ 간격으로 5개의 지정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정중입천장봉합 부위에서 물렁조직의 두께는 안쪽앞니 사이 잇몸유두로부터 15㎜ 지점에서 1.46㎜를 보였고, 그 뒤쪽에서 비교적 일정하다가 잇몸유로부터 35㎜ 지점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겉질뼈의 두께는 안쪽앞니 잇몸유두로부터 20㎜ 지점에서 2.13㎜로 가장 두꺼웠고, 그 뒤쪽 부위에서 일정한 두께를 보이다가 잇몸유두로부터 30㎜ 지점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입천장쪽의 물렁조직의 두께는 세 군 모두에서 이틀능선에서 1㎜ 지점에서 가장 얇았으며, 치아뿌리끝쪽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였다. 입천장쪽 겉질뼈의 두께는 세 군 모두에서 이틀능선에서 1㎜ 지점에서 가장 두꺼웠으며, 치아뿌리끝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그 차이는 미약하였다. 볼쪽 물렁조직의 두께는 세 군 모두에서 이틀능선에서 1㎜ 부위에서 가장 두꺼웠으며, 치아뿌리끝쪽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볼쪽 겉질뼈의 두께는 세 군 모두에서 이틀능선에서 1㎜ 지점에서 가장 앓았으며, 치아뿌리끝쪽으로 갈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입천장쪽과 볼쪽을 비교하였을 때, 물렁조직의 두께는 입천장쪽이 더 두꺼웠고, 겉질뼈의 두께는 볼쪽이 입천장쪽보다 두꺼웠다. 위의 결과들은 위턱뼈 정중입천장봉합 부위와 어금니 사이에 미니임폴란트 식립 시 안전한 부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물렁조직과 겉질뼈의 두께에 대한 해부학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midpalatal suture area and maxillary interdental area are suitable site for the placement of orthodontic mini-im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line to indicate the best location for mini-implant placement as it relates to the thickness of soft tissue and cortical bone. Fifteen maxilla from 15 cadavers were cut in midsagittal plane and buccopalatal plane to measure the thickness of soft tissue and cortical bone of midpalatal and maxillary posterior interdental areas. Sectioned samples were scanned and the thickness was measured. The thickness of soft tissue and cortical bone were measured at 6 points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with 5-mm intervals in the mid-sagittal section. And, the thickness of soft tissue and cortical bone were also measured at 5 points from the alveolar crest with I-mm intervals in the buccopalatal sectio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ment were calculated. Soft tissue thickness at the midpalatal suture area was 1.46 ㎜ at 15 ㎜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and remained uniformly thick posterior to this point, and steeply increased at 35 ㎜ area posteriorly. Cortical bone thickness were greatest (2.13 ㎜) at 20 ㎜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and remained uniformly thick posterior to this point, and decreased at 30 ㎜ area posteriorly. Palatal soft tissues thickness in all groups was thinnest at the 1 ㎜ from the alveolar crest and gradually increased from alveolar crest to apical portion. Cortical bone thickness in all groups was thickest at the 1 ㎜ from the alveolar crest and slightly decreased from alveolar crest to apical portion. Buccal soft tissue thickness in all groups was thickest at the 1 ㎜ from the alveolar crest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alveolar crest to apical portion. Cortical bone thickness in all groups was thinnest at the 1 ㎜ from the alveolar crest and slightly increased from alveolar crest to apical portion. Soft tissue thicknesses were greater on the palatal side than on the buccal side. Cortical bone thicknesses of the buccal side were thicker than the palatal side. These results provide anatomical data of soft tissue and cortical bone thickness to assist in the determination of safe location for the mini-implant placement in the midpalatal and maxillary interdental areas.

      • KCI등재

        심장외막의 지방두께에 따른 대사질환의 위험도 분석

        김선화(Sun-Hwa Kim),김정훈(Jung-Hoon Kim),김창수(Chang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심장외막지방(epicardial adipose tissue, EAT)은 여러 호르몬을 분비하는 대사활성 내분비 기관으로 지방의 두께증가는 심혈관질환이나 대사질환의 위험인자이다. 본 연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대상군의 심장외막 지방두께와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측정한 후 일반적 특성 및 혈액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대사질환의 예측을 위한 지방두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심장외막지방두께의 평균은 각 단면도에서 각각 8.890mm, 4.783mm, 4.777mm, 6.147mm로 측정되었다. 각 단면에서 심장외막지방두께평균과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나이, BMI, 수축기혈압, LDH, LDL, TC가 양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냈다. 특히 대사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대상자에 비하여 심장외막지방두께 및 복부피하지방의 두께가 유의(p<0.05)하게 높게 나타났다. EAT1에서 측정한 심장외막지방 두께 8.950 mm에서 대사질환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도 66.7 %, 특이도 80 %를 보여 가장 신뢰성 있는 cut off value를 나타냈다. Epicardial adipose tissue(EAT) is metabolically active endocrine organ that secretes several hormones in fat thickness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metabolic disorders.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then using ultrasound epicardial adipose tissue thickness,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in the target group correlates and general blood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and presents a local thickness for prediction of metabolic disorders. Results epicardal adipose tissue of the average thickness measured in each of the subjects was 8.890mm, 4.783mm, 4.777, 6.147mm in each section. Showed the epicardial adipose tissue in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risk factors age, BMI, SBP, LDH, LDL, TC is a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p<0.05) in each section. In particular, the thickness of the metabolic disorders epicardial adipose tissue thickness, abdominal subcutaneous compared to subjects that do not have the risk subjects with a risk factor for fat significantly higher(p<0.05). It showed the most reliable that can be cut-off value of 8.950mm obtained with 66.7 % sensitivity and 80 % specificity for predicting the risk of metabolic disorders.

      • KCI등재

        견갑골 두께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기하학적 모델

        유정현(Jeong Hyun Yoo),정수태(Soo Tai Chung),박상준(Sang Jun Park),장준희(Jun Hee Chang),백두진(Doo Jin Pai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견갑골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인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견갑골의 정확한 두께를 측정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재구성함으로써 견갑골의 정확한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51개의 해부용 시체에서 적출한 102개의 견갑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적인 견갑골의 형태를 얻기 위해 8개의 평균적인 길이와 2개의 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견갑골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견갑골에서 동일한 위치의 시상면을 얻고, 각각의 시상면에서 견갑골의 두께를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견갑골의 두께에 대한 실측치를 토대로 평균값을 계산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견갑골 두께의 차이를 Student t-test 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견갑골 관절와의 평균 두께는 22.4 mm, 외측연의 평균 두께는 13.83 mm, 내측연의 평균 두께는 4.44 mm, 견갑골 체부의 중간 1/3 위치의 평균 두께는 2.06 mm 로 측정되었으며, 남성의 견갑골이 여성의 견갑골 보다 더 두껍게 측정되었다. 측정된 실측치를 참고로 하여 견갑골들의 두께에 대한 3차원적인 기하학적인 모델을 재구성하였다. 결론: 측정 수치의 분석 결과 견갑골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은 관절와 부위 및 외측연 부위이며, 반대로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은 견갑골 체부의 중간 1/3 지점이 견갑골에서 가장 얇은 부위로 나타났다. Purpose: Understanding exactly detailed anatomy and morphology of scapula is very important for further surgical procedur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ccurate anatomic and morphologic information of scapula by exactly measuring scapular thickness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reconstructing its geometric model. Materials and Methods: Eight average lengths and two angles of 102 scapular structures obtained from 51 cadavers were generally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Also, to measure the scapular thickness, sagittal planes of each scapula were divided almost equally and the thicknesses of each sagittal plane was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After measuring every thickness, average results were calculated and the gender difference was compared by Student t-test. Results: Average results of the thickness of glenoid fossa, lateral border, medial border, and the middle 1/3 portion of the scapular body were 22.4 mm, 13.83 mm, 4.44 mm and 2.06 mm, respectively. Also, male scapula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thicker than female. Based on these measured thicknesses, we reconstructed the 3-dimensional geometric model of scapula.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glenoid fossa and lateral border were the thickest part of scapula, while the middle 1/3 portion of the scapular was the thinnest.

      • GPR 시험으로부터 측정한 포장두께가 아스팔트 포장의 역산탄성계수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백종은,이태훈,박영한,김명일,권수안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도로포장의 구조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FWD(Falling weight deflectometer) 시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FWD 시험은 자유낙하 하는 추에 의하여 포장표면에 발생하는 처짐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 표 면처짐량으로부터 포장체 각 층의 탄성계수를 역해석하여 추정한다. 역해석시 포장체의 두께는 코어채취를 통하여 측정한 실측값을 사용하거나 설계값을 사용한다. 실제 도로에서 포장체의 두께는 시공상태, 보수이력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설계 두께와 상이하고, 두께 측정을 위해 코어를 매번 채취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역해석시 정확한 포장층 두께를 고려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부정확한 포장층 두께로 인하여 역산된 탄성계수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포장체 구조해석 및 공용수명 예측에 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포장체의 층두께를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지표투과레이더 (Ground penetrating radar, GPR)가 사용되고 있다. GPR 시험은 지표면으로 송출된 전자기파가 반사, 회절, 산란된 후 돌아오는 시간과 형상을 기초하여 층구조 및 매설물의 위치 등을 탐지할 수 있는 비파괴 시험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기술연구원의 일반국도 포장관리시스템(Pavement management system, PMS)에 도입된 접촉식(Ground-coupled) GPR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포장의 층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정확한 층두께가 역산된 포장체의 탄성계수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의 효율성과 공간적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촉식 GPR 안테나를 기존 FWD 장비 하부에 설치하였다. 그림 1은 GPR 시험으로 측정한 데이터로 한 지점에서의 시간이력 데이터(A-scan)와 거리 에 따라 연속적으로 나타낸 데이터(B-scan)를 나타낸다. 그림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장층의 두께가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제 층두께를 역해석에 고려하여 추정된 탄성계수와 가정된 층두께를 고려한 탄성계수를 비교하여 신뢰성 분석을 하였다.

      • KCI등재

        아동들의 굴절이상에 따른 안축장과 황반두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상관성연구

        최형석,임현성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Purpose : We identified correlation between macular thickness and RNFL (retina nerve fiber layer) measured by OCT and axial length in Korean children divided as three groups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Methods : In total, 134 eyes of 67 Korean children who experienced no eye disease and ophthalmology surgery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nd then divided as three groups such as hyperopic, emmetropic and myopic groups. Macular thickness and RNFL thickness were measured with Cirrus HD-OCT, and axial length was done with IOL Master.Macular thickness and RNFL thickness were measured by Cirrus HD-OCT, and axial length using IOL Master. Correl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retinal thickness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was investigated. Results : The type of refractive error measured by axial length was myopic, emmetropic andhyperopic groups in order,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center thickness of macular was myopic, emmetropic and hyperopic groups in order,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e thicknesses of superior, nasal and inferior regions in peripheral macula were the thinnest in myopic group (p<0.05). It was shown tha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enter thickness of macula and axial length (r=0.283, p<0.05), whil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RNFL and axial length. The temporal thickness of RNFL represented the thickest in myopic group,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xial length(r=0.39, p<0.05). The superior, nasal and inferior thickness of RNFL represen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xial length,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asal thickness of RNFL(r=-0.23, p<0.05).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correlation between macular thickness, thethickness of RNFL and axial length using OCT in Korean children, and also found the differences in three refractive error groups. 목적: 굴절이상별 세 그룹으로 분류한 우리나라 아동들의 안축장과 빛간섭단층촬영(OCT)로 측정한 황반두께, 망막신경섬유층두께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아동 67명(134안)을 대상으로 원시, 정시, 근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황반부와 망막신경섬유층두께는 Cirrus HD-O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안축장은 IOL Ma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안축장은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길게 측정되었다(p<0.05). 중심부황반의 두께는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두껍게 측정되었다(p<0.05). 주변부황반부는위쪽, 코쪽, 아래쪽부분에서 근시그룹이 가장 얇았다(p<0.05).황반의 중심부 두께는 안축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83, p<0.05). 주변부 황반의 두께는 모두 안축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귀쪽망막신경섬유층두께(Temporal RNFL Thickness)는 근시그룹이 가장 두꺼운 결과를 보였고,안축장과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상관성이 나타났다(r=0.39, p<0.05). 위쪽과 코쪽, 아래쪽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안축장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코쪽 부분의 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r=-0.23, 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소아들의 OCT로 측정한 망막의 황반부의 두께,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와 안축장은 근시의 정도가 높을수록 안축장의 길이가 더 길게 측정되었으며, 굴절이상별 세 그룹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 연령에 따른 중심 및 주변부 각막두께의 상관관계

        이혜정,정세준,백승선,정미아,김형진 대한시과학회 2009 대한시과학회지 Vol.11 No.2

        목적: 성별, 좌우안 및 나이에 따른 중심 및 주변부 각막두께, 각막중심부와 가장 얇은 곳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Scheimpflug pho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방법: 각막질환이 없고 건강한 대학생 51명(남자 29명, 여자 22명, 평균나이 22.50±3.31세)과 장노년층 39명(남자 21명, 여자 18명, 평균 나이 54.26±6.25세) 총 180안을 대상으로 Pentacam(Oculus Co.)을 이용하여 동공중심, 동공중심에서 3 mm 떨어진 상, 하, 좌, 우 지점, 가장 얇은 곳의 각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평균 중심각막두께는 555.98±32.69 μm, 주변부는 위쪽, 코쪽, 아래쪽, 귀쪽 순으로 681.72±36.04 μm, 653.34±38.04 μm, 628.69±35.18 μm, 624.26±36.06 μm이었고, 장노년층의 평균 중심각막두께는 543.69±33.40 μm, 주변부는 위쪽, 코쪽, 아래쪽, 귀쪽 순으로 649.97±45.53 μm, 630.95±39.65 μm, 620.94±37.09 μm, 614.28±35.59 μm이었다. 성별(t=-0.3966, p=0.69214) 및 좌우안(t=-0.41772, p=0.67665)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나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2.47572, p=0.01423),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각각 r=-0.414, r=-0.254, r=-0.155 and r=-0.203). 각막에서 가장 얇은 곳은 하이측에 존재하였으며(우안: r=0.69±0.25 μm, θ=209.49˚, 77/90안, 좌안: r=0.57±0.22 μm, θ=-41.57˚, 78/90안), 각막 중심두께와 가장 얇은 곳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6229, p=0.10549). 결론: 각막두께는 성별 및 좌우안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나이가 증가할수록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상비측이 얇아진다. 또한, 각막에서 가장 얇은 곳은 대부분 하이측에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생리적 변화는 증가하는 굴절수술 및 안과적 수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cor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es and between central and the thinnest corneal thicknesses by sex, sides and ages using Pentacam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nd elderly people. Methods: 51 healthy eyes(male: 29, female: 22. average age: 22.50±3.31 year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39 healthy eyes of elderly people (male: 21, female: 18, average age: 54.26±6.25 years) were recruited. We measured central, peripheral (3 mm away from the central cornea at 0˚, 90˚, 180˚ and 270˚ each) and the thinnest corneal thicknesses using Pentacam(Oculus Co.) and analyzed their correlations by sex, sides and ages. Results: The average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555.98±32.69 μm an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es were 681.72±36.04 μm superiorly, 653.70±38.04 μm nasally, 628.69±35.18 μm inferiorly, and 624.26±36.06 μm temporally in undergraduate students group. In elderly group, the average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543.69±33.40 μm an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es were 649.97±45.53 μm superiorly, 630.95±39.65 μm nasally, 620.94±37.09 μm inferiorly, and 614.28±35.59 μm tempor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x(t=-0.3966, p=0.69214) and between the sides(t=-0.41772, p=0.67665), however we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The inferotemporal quadrant is thinner than the superonasal quadrant. The thinnest points of right and left eyes were r=0.69±0.25 μm, θ=209.49°, 77/90 eyes and r=0.57±0.22 μm, θ=-41.57°, 78/90 eyes respectively. Increasing ages was associate with reduced the superonasal quadrant(r=-0.414, r=-0.254, r=-0.155 and r=-0.203 respective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the thinnest corneal thickness. Conclusion: Increasing age was associate with reduced peripheral corneal thicknesses in superonasal quadrant. The inferotemporal quadrant is thinner than the superonasal quadrant. The thinnest point was located in the inferotemporal quadrant. The information like age-related anatomic change would be useful for refractive surgery and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