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동정의 근대성과 분화

        최창근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4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7 No.-

        동정은 인간의 본성 중 하나로 동양 사회에서 매우 중요시되어온 감정이다. 그러나 동정이 사회적 가치를 가지게 된 것은 프랑스 혁명 등의 결과로 근대가 시작된 이후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동정은 근대 국가라는 구체적 환경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반면 구한말 조선은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었고 이는 동정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유발했다. 대표적으로 이인직과 이광수, 김동인은 동정에 대한 자신만의 가치관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지식인이나 작가 등에 한정되어 있다. 당대 독자나 민중이 동정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 등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이들 민중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다. 또한 여기에는 근대화 이후 조선이 접한 과학과 기술문명이 반영되어 있기도 하다. 일제강점기 동정담론에서 특이한 점은 재난과 동정의 결합이다. 카메라와 비행기의 결합으로 재난을 극장에서 상영할수 있게 되었고 관객은 영상으로 이를 감상했다. 비극적 재난을 보고 기부를 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동정의 지불이라는 교환체계가 성립한다. 반면 이러한 재난과 동정의 결합은 동정이 가지고 있던 서사적 맥락을 단절시켰다. 그리고 이 서사의 빈틈에서 영웅서사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동정의 탈맥락화와 동정의 공연성이 일제강점기 동정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동정의 가능성 자체를 제거하는 시도도 있었다. 채만식은 자신의 작품에서 선인에 대한 동정과 행복한 결말 대신 악인에 대한 징벌을 추구한다. 이는 악인에 대한 처벌을 통해 서사적 필연성을 확보하려는 의도였으나 오히려 서사적 세계가 가지고 있는 안정성을 전부 파괴해버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한쪽에서는 공동체의 대응을 강화하는 서사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동정은 그 사회의 다양한 가치관이 반영된 결과이자 현상이다. 그러므로 동정담론의연구는 그 사회의 변화과정에 대한 가장 중요한 분석 작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Sympathy is one of human nature and an emotion that has been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Eastern socie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sympathy gained social value after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as a result of the French Revolution. In that respect, sympathy is closely related to the specific environment of a modern state.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Joseon was in a special situation of being a colony, which triggered various discourses about sympathy. Representatively, Lee In-jik, Lee Kwang-soo, and Kim Dong-in show their own values for sympathy.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discussions are limited to intellectuals and writers. The thoughts of readers and the people of the time about sympathy were not of interest. What is really important is the thoughts of these people. Also, this reflect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that Joseon encountered after modernization. What is uniqu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sympathy discourse is the combination of disaster and sympathy. The combination of cameras and airplanes made it possible to screen the disaster in theaters, and the audience watched it through video. By watching a tragic disaster and donating, an exchange system of payment of sympathy for the disaster is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of disaster and sympathy cut off the narrative context of sympathy. And a hero narrative was created from the gap in this narrative. This decontextualization of sympathy and the performance of sympathy can be sai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lonial era sympathy. On the one hand, there was also an attempt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sympathy. In his work, Chae Man-sik pursues punishment for the evil instead of sympathy for the good and a happy ending. This was intended to secure narrative inevitability through punishment for the evil, but rather destroyed all the stability of the narrative world. In order to overcome this, a narrative was created on the other side to reinforce the community’s response. In this way, sympathy is a result and phenomenon that reflects the various values of the society. Therefore, the study of sympathy discourse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alysis works of the process of change in society.

      • KCI등재

        王守仁의 ‘動靜’ 해석에 관한 硏究

        김윤경(金潤?)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4

        신유학에서 動靜은 宇宙本體를 설명할 때는 ‘動極而靜 靜極而動,’ ‘動而無動 靜而無靜’, ‘動中有靜 靜中有動’ 등으로 표현되고 心體와 공부의 문제를 설명할 때는 ‘動於氣’ ‘動於有我’ ‘動亦定 靜亦定’, ‘主靜’ 등으로 표현되었다. 다양하게 표현되는 動靜을 해석하는 문제는 本體와 공부상의 견해를 규명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미비한 편이고 특히 陽明學에서의 動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이런 시도가 없었다. 이런 인식하에서 본 논고는 王陽明이 動靜개념을 바라보는 관점을 규명함으로써 그 공부론의 특징을 드러내고자하였다. 기본적으로 王陽明의 動靜觀은 그의 體用觀을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그에게 있어서 宇宙本體와 心의 本體는 모두 良知 本體를 말하고 本體의 體와 用은 體에 나아가면 그 속에 用이 있고 用에 나아가면 그 속에 體가 있으며, 體가 곧 用이고 用이 곧 體인 相卽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모든 宇宙本體와 心體에 관한 動靜 표현은 모두 本體의 卽體卽用을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陽明에 의하면, “動極而靜 靜極而動,” “動中有靜 靜中有動”, “動而生陽 靜而生陰”은 宇宙 本體의 感通과 寂然을 설명하는 술어로서 本體의 妙用이 쉬지 않는 가운데 항상된 體는 바뀌지 않는 것을 설명한다. 이 때의 動靜이 곧 體와 用 자체를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天理가 유행하는 하나의 이치(一理)로 本體의 완전성을 표현한다. 그리고 陽明은 ‘動而無動 靜而無靜’ 이라는 표현을 心體의 卽體卽用을 설명하는 술어로 해석하였다. ‘動而無動 靜而無靜’은 周敦?가 시공간의 제약을 받는 物에 대비해서 神을 설명한 개념이다. 陽明이 이 표현을 “本體는 動하고 靜하지만 動靜의 구체적인 형상을 갖지 않는 것”으로 해석했다는 견해는 “動而無動 靜而無靜’”이 “體用一源”을 설명하는 것이라는 陽明의 언급에 위배된다. 왜냐하면 “本體가 動하고 靜하지만 動靜의 구체적인 형상을 갖지 않는 것”은 體와 用의 相卽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本體의 妙用을 설명한 것이기 때문이다. 陽明이 보는 “動而無動 靜而無靜”은 心體에 있어서 體와 用이 相卽 관계임을 밝힌 것이다. 즉 ‘이런 體가 있으면 이런 用이 있다’는 것을 心體의 發用上에서 설명한 것이다. “動而無動”은 心體가 그대로 발현되어 動하였지만, 사사로운 欲에 動한 것은 없는 것을 말하며, “靜而無靜”은 心體가 靜하지만, 그것이 발현되었을 때 사사로운 의사로 인한 거짓된 靜은 없는 것을 말한다. 이 두 구절은 모두 心體가 어떠한 장애 요인없이 온전히 드러난 것을 의미한다. 이때의 動靜은 마음이 어떠어떠한 때, 곧 마음이 만나는 時의 의미이며 때론 마음에 장애를 일으키는 불완전한 요인이 된다. 心體의 본래성을 구현하는 문제에서 動靜은 역시 時로, 자기애(有我)와 사사로운 자기의사에서 비롯된 잘못된 工夫와 心에 대한 인식을 설명한다. 특히 靜을 구하려고 하는 공부 방법은 “구하고자 하는” 사사로운 자기 의사 때문에 오히려 더 靜할 수 없고 본질과 어긋나는 공부가 된다. 이런 의미에서 陽明은 “動亦動 靜亦動”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거칠건 미세하건 動한 것은 모두 인욕으로서 근본이 같다는 의미이고 이 표현 속에는 진정으로 참된 경지와 공부를 지향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 陽明은 本體의 明覺은 본래 자연히 발현하는 것인데, 이때 어떠한 사사로움이나 작위도 없어야 온전해진다고 보았다. 이런 측면에서 本體가 발현할 때 자기애로 인한 動을 없게 하는 것이 공부의 핵심이 되는데 이때도 억지로 의도하는 것은 오히려 방해가 된다. 결론적으로 말해, 陽明이 이해한 動靜 표현은 결국 本體의 두 측면을 설명한 것임과 동시에, 본체를 가리는 불완전한 動靜이라는 사태를 설명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動靜을 이렇게 해석한 이유는 卽體卽用한 본체가 불완전한 動靜에 의해 가려짐 없이 본래성을 그대로 드러내도록 하는 本體 공부론을 제시하기 위해서였다.

      • KCI등재

        ‘심율(心律)’로서 동정(同情)공동체와 ‘국민주의’

        전성곤 ( Jun Sung K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2

        본 글에서는 근대 일본의 ‘국민주의’를 만든 감정적 기원으로서 동정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감정의 정치화(定置化)라는 의미에서 ‘마음의 규율=심율’(마음<心>+법칙<律>)화로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당시 서구의 유행담론 중 하나였던 동정의 의미들과 그것을 메이지기 일본에서 수용하는 과정에서 형성한 ‘스노비시(snobbish, 우월성)’로서 동정공동체라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즉 일본에서는 인간의 자율적 감성의 하나인 동정개념을 자아와 타자의 문턱을 넘고 가족공동체와 천황제 국가주의로 변용해 가는 프로세스 속에서 어떤 억압이 작동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는 역설적으로 일본의 가족공동체 논리가 국민의 감정을 지배한 개념으로서 동정이 동원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동정의 확장개념으로 만들어진 동정공동체는 결국 천황의 일시동인(一視同仁)이라는 절대공동체로 치환되어 국민의 감정을 포섭하여 억압의 기제로 사용되었음이 드러났다. 본고에서는 이를 규명하기 위해 첫째, 일본이 서구로부터 동정개념을 수용할 때 중시된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동정논리를 살펴보았다. 당시 서구에서 파퓰러 메모리였던 동정개념을 둘러싸고 ‘타자의 이해 가능성/불가능성’에 대한 논쟁을 벌이고 있었는데, 그 논쟁 내용을 상세히 검토해보았다. 둘째, 이를 근거로 일본에서는 야마지 아이잔과 이노우에 데쓰지로가 동정개념을 어떻게 수용했는지를 고찰했다. 야마지 아이잔은 기독교를 수용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위해 ‘동정’과 공고(共苦) 영웅을 연결시켰다. 그리고 서구와 동양의 이분법을 넘어 ‘인간’에 초점을 맞춰 ‘서구와 동양을 넘는 인간성’을 설명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그리고 사회주의를 국가 사회주의라는 특수성ㆍ보편성 논리를 통해 계급의 평등을 주장하는 동정공동체를 제창하고 그 정점으로 천황의 자애를 설파했다. 이노우에 데쓰지로는 야마지 아이잔과는 달리 불교를 통해 인간의 보편성을 설명하고 동정공동체의 논리를 동서일원론으로 설명하는 방식을 취했다는 점을 밝혀냈다. 셋째는 이를 통해 가족공동체를 지탱하는 동정개념 안에서 도덕이나 윤리의 언사가 인간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독자적 개별성을 무너뜨리며 가족공동체가 정당성을 획득하는 논리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이상주의적 ‘동정=도덕=공동체’는 무제약성을 갖는 것이며 반대로 그로 인해 ‘자타분리’의 의식을 소거하는 과정이었음이 드러났다. 이에 반대하는 사상은 통제하고 배제하면서 자율적 감성의식을 억압하게 만들었다. 동정개념은 결국 일본 인민 대중의 자발적 복종을 강요했으며 사회주의적 균질성을 완성하는 상징으로서 천황국가의 제도(법률적 위치)를 넘어 ‘심성’을 지배하는 정당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동정공동체 논리는 국가의 이해(利害)가 우선시되었고 개인의 감정세계를 컨트롤하기 위한 감성 인과율로서 동정개념을 국민에게 주입시켜 천황이 가진 ‘순도성=숭고함’이라는 후광을 밝히기 위해 자율성을 어둠 속에 갇히게 만들었음을 보여주었다. In this discussion, modern Japan’s nationalism is regarded as a “politicized emotional community,” and the discussion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politicizing the mind precepts. In particular, this discussion aims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sympathy, which was a popular discourse in the West, as well as the “snobbishness,” which is the concept of sympathy formed as the concept of sympathy was accepted. The reason is that in Japan, the concept of sympathy, which is one of the emotions, led to the creation of a community that suppressed individual entities as it expanded to be applied to a family community and the Emperor system nationalism. Paradoxically, this shows that the Japanese logic of a family community employed sympathy, an emotion that ruled the people’s emotions. This discussion will reveal that the sympathy community that was created as the expansion of sympathy was replaced with the Japanese emperor’s fair love for everyone and became a mechanism that included and suppressed the people’s emotions. To prove this, this discussion will examine the logic of sympathy by Schopenhauer and Nietzsche, which was valued when Japan accepted the concept of sympathy from the West. There were arguments over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to understand others” about the concept of sympathy, which was a popular memory in the West, and these arguments will be reviewed. Second, this discussion will examine how the concept of sympathy was accepted by Yamaji Aizan (山路愛山) and Inoue Tetsujirō (井上哲次郎) in Japan. Yamaji Aizan accepted Christianity and sought to connect “sympathy” to a “hero” for individuals’ autonomy, and suggested a way to explain “humanity that transcends the boundary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with the focus on “humans” beyond the East-West dichotomy. Third, socialism was advocated as a “sympathy community”, which argued for “equality between classes” based on the logic of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benevolence of the emperor at the apex is explained. Unlike Yamaji Aizan, Inoue Tetsujirō explained the universality of humans based on Buddhism and suggested a way to explain the logic of a sympathetic community using the East-West monism. This will make the words of morality and ethics destroy independent individuality, which exists between persons, in the logic of the concept of sympathy that supports a family community, and family community gain legitimacy through the logic of the unity of the self and the others. This will, in turn, explain how the concept of sympathy expands indefinitely to the words conveying the emperor’s way at the apex and obtains mental “symbolism.” In conclusion, this discussion will reveal that this idealistic formula “Sympathy = Morality = Community” has no limits and conversely, but it was a process of elimina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separation of the self and the others.” Thoughts opposing the formula were controlled and excluded while people were made to suppress the consciousness of autonomous emotions. The concept of sympathy forced the public of Japan to be voluntarily obedient and gained the legitimacy to rule “sympathy” beyond the system (legal position) of the emperor’s state as a symbol to complete the socialistic homogeneity. A sympathy community supported by sympathy discourse puts the state’s interests first and began from the concept of sympathy, which was imported from the West and voluntarily accepted in Japan. This shows that sympathy, as the principle of causality to control individuals’ emotions, was infused into the people and the autonomy was locked in to give a halo to the idea that the emperor’s purity constitutes nobility.

      • KCI등재후보

        허균의 <東征賦> 연구 : 정철의 <관동별곡>과 김창협의 <동정부>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곽미선 (Kwak, Mi-sun) 洌上古典硏究會 2008 열상고전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허균의 금강산 기행체험을 형상화한 <동정부>를 중심으로 정철의 <관동별곡>, 김창협의 <동정부> 등 세 작품의 관련성을 고찰한 글이다. 辭賦와 歌辭는 수사적인 운용면에서 유사성을 지니는데 敷衍性, 對偶, 그리고 用事를 들 수 있다.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정철의 가사작품과 허균, 김창협의 賦작품은 양식상의 차이를 뛰어넘어 금강산 유람이라는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기에 비교고찰이 가능한 작품이다. 허균은 친구인 권필과 이안눌을 통하여 당파를 서로 달리 했던 정철의 <관동별곡>을 입수할 수 있었다. 허균의 <동정부>는 정철의 <관동별곡>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주관적 감흥의 표출, 자연친화의 의지, 주제를 드러내는 방식 면에서 구체화되어 드러난다. 허균의 <동정부>는 賦라는 문체적 특성을 잘 살리면서 遊山의 흥취를 장편의 편폭 속에 담아 잘 드러나게 하고 있는데, 󰡔와유록󰡕에 수록되어 훗날 금강산여행을 떠나는 문인들에게 여행지침서로 되었다. 김창협은 21세의 나이에 금강산으로 떠날 때, 󰡔와유록󰡕을 가지고 올라 󰡔와유록󰡕에 수록된 허균의 <동정부>에 깊은 공감을 느끼고, 허균과 같은 제목으로 <동정부>를 지었는데, 이 작품은 김창협에게 기행체험을 적기 위한 참고문헌의 역할을 하였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relevance of three works such as Heo-Gyun's "Dongjungbu", Jung-Chul's "Gwandongbyulgok" and Kim,ChangHyup's "Dongjungbu(東征賦)". Sabu and Kasa have similarity on the rhetoric using, there are amplification, contraposition and quotation of classics. Because Jung-Chul's Kasa and Heo-Gyun, Kim,Chang-hyup's Bu handle the same subject―Geumgangsan tour, comparison of the three works is possible. Heo-Gyun acquired Jung-Chul's "Gwandongbyulgok" form his friends Gwon-Pil and Lee,An-nul. Heo-Gyun's "Dongjungbu" is similar to Jung-Chul's "Gwandongbyulgok" in style. It appears on expression of one's fun, will of natural affinity and the way of showing the subject. Heo-Gyun's "Dongjungbu" was collected in "Wayurok" and it became a trip indicator book to the writers who went to Geumgangsan. Kim,Chang-hyup felt deep sympathy in Heo-Gyun's "Dongjungbu" when he was 21 years old and made a composition in the same title. This work did the role of references to write a book of travel experience.

      • KCI등재후보

        動靜字에 대한 初步的 檢討 -『四聲通解』의 引用과 記述을 중심으로-

        이영섭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09 외국학연구 Vol.13 No.2

        動靜字是一個中國古代傳統語言學的術語. 動靜字的槪念早在先秦時期可見一斑, 但其術語的全面活用却是從宋代開始的. 對于動靜字的內容試圖描述者, 歷來不乏其人. 其中比較重要看法, 在說明動靜字時, 常常被引用, 已經看熟瞭. 可是因種種緣故, 而世人罕知『九經韻覽』「凡例」也有關于動靜字的分析, 幾無言及. 朝鮮著名語言學者崔世珍撰『四聲通解』時, 在「凡例」中引用『九經韻覽』的動靜字分析, 同時略加案語. 再者, 改編『經史正音切韻指南』「經史動靜字音」而附錄于『四聲通解』末尾. 本稿首先槪括動靜字之沿革, 然後對『四聲通解』所引用的『九經韻覽』一條進行初探, 以資鑽硏動靜字的基礎

      • KCI등재후보

        근대국가의 파토스, ‘공감’의 (불)가능성

        박숙자(Park suk ja)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2

        본고는 근대/국가의 파토스로 ‘공감’의 감정-구조를 논의하고자 한다. 근대/국가 사이에 놓인 빗금은 공감의 번역 (불)가능성을 가시화한 것이다. ‘공감(empathy)’은 평등한 인간관계 안에서 야기되는 상호주체적인 감정으로 근대적인 감정-구조에서 배태되었다. 그러나 국가주의의 맥락 하에서 타자의 삶에 대한 주체의 감정적 개입을 통해 ‘공감’은 ‘동정’의 도덕감정으로 규율되었다. 그간 ‘동정’과 ‘공감’이 유사한 개념으로 혼용되면서 ‘공감’이 제기한 긍정적이고 해방적인 감각들이 설명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며, 공감/동정의 의미론적 자질을 분리한 후 근대적 감정의 기원에 놓인 ‘공감’의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애(fellowship), 동정(sympathy), 공감(empathy)의 의미를 변별한 후, ‘동정’의 의미를 주체중심의 상상력으로 환원되는 감정으로, 공감의 의미를 자아와 타자의 경계를 뛰어넘는 상호성의 감정으로 가정했다. 1910년대 ‘sympathy’가 ‘동정(同情)’으로 번역될 때 그 함의가 ‘도덕감정’으로 한정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정 이면에 놓인 평등한 관계들이 야기하는 상호성의 감정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대적 감정이 재현된 춘원의 『무정』으로 돌아가 ‘감정’의 재현 양상을 다시 살펴보았다. 그간 이 작품의 주제를 동정을 통한 민족주의로 논의해 왔는데, 이 지적은 식민지에 불가피한 감정으로 주체 중심의 민족주의를 추인하면서 결과적으로 ‘공감’의 정치성을 외면하게 하였다. 이는 ‘공감’의 감정-구조를 감각해내지 못하는 식민주체의 번역능력이 야기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자발적 감정을 계몽이성으로 추인하고자 했던 계몽주의의 동학 때문이기도 하다. 더욱이 한국 문학사 속에서 이러한 논리가 강화되면서 ‘공감’의 내적 자질인 자유와 평등의 감각이 ‘자유연애’와 ‘민족애’로 양분되었다. 근대문학사에 선취해야 할 ‘공감의 근대성’이 ‘통속성’과 ‘계몽성’으로 오인된 채 오역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형식’의 ‘연민’과 ‘연설’ 이전에 삼랑진 수해를 공동운명으로 감각하며 ‘공감’하는 인물이 있었다는 것, 그리고 당대 독자들이 이 인물이 제시하는 ‘공감’에 ‘감동’하고 감화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는 근대문학이 선취한 ‘공감’의 가능성이다. This article redefines the meaning of fraternity, sympathy, and empathy to focus on the modernity of ‘empathy’ lying in the origin of contemporary emotion. ‘Sympathy’ and empathy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and imagine the context of others’ lives; however, ‘sympathy’ might be reduced to subject-oriented imagination. Thereup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of ‘empathy’. ‘Empathy’ is the form of emotion of mutual aid beyond the border of ego and others. This is exposed in collecting feeling that shows the ethics of solidarity toward compatriots in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empathy is ‘mistranslated’ as sympathy ideology. Because of that, this paper focuses not on the 122nd episode showing the national collective feeing but on the 123rd one converging it into ideology. This is not because of Chun Won’s personal problem that he could not translate the modernity of ‘empathy’ but the fellow students of the Enlightenment who saw only the morally planned emotion as proper emotion. However, literary history has solidified it so far and bisected the sense of freedom and equality that ‘empathy’ has as free love and enlightenment.

      • KCI등재

        動靜 問題에 관한 李柬의 見解

        鄭然守(정연수)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8

        본고에서는 動靜 問題에 관한 李柬의 見解를 理論的 측면과 實踐的 工夫論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理論的 측면에서 李柬은 對待관계를 벗어날 수 없는 動靜 개념과 더불어 道德的으로 욕망이 動하는 것과 욕망이 없이 純善한 靜으로 分屬될 수 있는 動靜 개념을 통하여, 未發을 深言(中底未發)과 淺言(不中底未發)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未發時에는 深言 또는 淺言의 관점을 막론하고 氣가 動靜한다고 할 수 없으나, 淺言의 관점에서는 다만 외물에 접하지 않아서 氣가 動靜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深言의 관점에서 氣가 動靜하지 않는 것은 도덕적으로 순선한 神明으로서의 心이 至靜(人生而靜)한 것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이간은 沖漠無朕은 理의 體를 말하는 것이므로 動과 靜을 분속하여 도덕적으로 心의 體가 순선한 靜이 될 수 있는 근원적 이치로서 오로지 靜에 분속시켜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實踐的 工夫論에 있어서 李柬은 淺言의 관점에서 비록 외물에 접하지 않아서 氣가 動靜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善惡이 혼재되어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聖人과 凡人을 구분할 수 있는 내재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已發時에 氣가 動靜함에 至靜한 神明으로서의 心이 항상 주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神明으로서의 心이 靜한 상태가 아닌 血氣가 靜한 상태를 추구하는 공부를 경계한다. 動靜 개념을 통한 이간의 工夫法은 血氣의 측면에서는 血氣가 動하거나 靜할 때를 아울러 不中함이 없도록 省察하는 것이며, 神明으로서 心의 측면에서는 도덕적으로 순선한 靜을 함양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小蠹 鄭河源의 生涯와 太極動靜에 대한 蘆沙學 繼承性 一攷

        이형성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5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was fluctuating in Korea under domestic crisis and foreign powers’ suppression, Losa Confucian School(蘆沙學派) tried to protect the country, reinforce the national power and handle the foreign power based on such justification as WiJeongCheokSa(衛正斥邪: to repulse the foreign power by keeping the tradi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aeGeukDongJeong(太極動靜: the Confucian issue of the birth principle of universe) studied by Jeong Hah-won, a member of Losa Confucian School, his life and his written works. He had succeeded the learning in his family tradition but went to Losa Ki Jeong-jin to study under Losa when he was 17. Since then, he had communicated with other schools’ scholars as well as with his alumni. Resolving not to take the national exam for government official, he devoted himself to learning and to educating people of traditional values in his local area, and tried to correct the national ideology by writing the articles to overcome the social problems. At his 42, he wrote TaeGeukDongJeongRon(太極動靜論: the theory of the Confucian issue of the birth principle of universe) after discussing with his teacher about TaeGeukDongJeong inherent in EumJeongYangDong(陰靜陽動: Yin is static while Yang is dynamic) of the second picture of TaeGeukDo(太極圖: picture of the birth principle of the universe) maybe because the Losa Confucian School mentioned the evilness of the syndrome revealed by DongJeong(being dynamic and being static) as a child of the concubine from the lowest class. In his TaeGeukDongJeongRon, he regarded ‘the subtlety of TaeGeuk’ as ‘DongJeong’ to advocate that there is DongJeong in TaeGeuk. He considered TaeGeuk existing amid EumJeongYangDong of the syndrome that is pure but he defined what comes out of DongJeong of TaeGeuk as the cause of badness, the child of the goodness’s concubine from the lowest class. Such thoughts of his would help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of TaeGeukDongJeong and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Li(理) unitary ideology of the Losa Confucian School. 19세기 조선은 내우외환으로 매우 혼란하여 전통적 가치체계가 크게 흔들렸다. 그 시대 유학자들은 위기의식을 느끼고 정통론(正統論)을 내세우며 외세에 대처하였다. 당시 활약한 노사학파(蘆沙學派)는 위정척사(衛正斥邪)라는 대의명분을 통해 나라를 지키고 국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 학파의 성리학 이론체계는 리(理) 일원론에 따른 그 주재성을 중시하였다. 본 논문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직전제자 정하원(鄭河源)의 삶과 저술, 그리고 태극동정론(太極動靜論)을 다루었다. 정하원은 가학을 계승하다가 17세 때 기정진에게 나아가 학문을 익히며 동문과 타학파의 학인들과 서로 교류하였다. 과거를 포기하고 향리에서 학문 연찬에 힘쓴 정하원은 강직한 성품과 출중한 학덕을 지닌 정여창(鄭汝昌)의 「악양(岳陽)」이란 시를 애송하며 그의 호 일두(一蠹)를 차용하여 자신의 호를 소두(小蠹)로 하였다. 정여창의 행의를 조금이나 본받고자 함이었을 것이다. 더욱이 그는 서세동점의 시대에 다양한 시문을 지었는데 그 내용은 주로 향리를 교화시키며 국시(國是)를 바로잡고자 한 것이었다. 정하원은 42세 때 「태극도」 두 번째 그림의 음정양동 속에 내재한 태극의 동정성을 스승과 문답하였다. 이는 노사학에서 악을 선의 얼자(孼子)로 표현한 의미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스승과 담론한 것을 기초로 「태극동정론」을 지었는데, ‘태극의 오묘함’을 동정으로 간주하여 태극에 동정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에 의하면 현상의 음정양동 속에 존재하는 태극은 순선하지만, 그 태극이 동정할 때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곧 나누어 차지할 수밖에 없는 것을 악의 원인자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논지는 「태극도」를 통한 태극동정의 참다운 의미, 그리고 노사학파의 사유양상 속에서 선의 얼자로서의 악을 규정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노사학파의 리 일원적 사상의 특징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도 될 것이다.

      • KCI등재

        1930년대 후반기 근대적 주체의 '동정(sympathy)'의 발현 양상에 대한 한 연구

        김나래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57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sympathy' as a poetic language in Baek-Seok 's works in the late 1930' s in terms of 'subjectification' of the individual. The practice of 'sympathy' revealed in Baekseok 's works in the late 1930' s is different from the practice in the literary terrains around the 1920s, when 'sympathy' was settled as a modern emotion norm. We will first examine what sympathy meant during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ture and then analyze "yeo-seung," "pal-won," and "chon-e-seo on a-i" from the works of Baek-seok. Through this, I want to show that the process of recreating the experience of the poetical subject of Baek-seok, which he experienced,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self-identification, which is conducted by organizing his inner self. This process of subjectifica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internal need to rebuild oneself as a new modern man, given the perception that the modernity acquired by the subjects of the late 1930s must be re-examined. 이 글은 1930년대 후반기 백석의 작품에서 ‘동정’이 시적 언어로 구현되는 과정을 개인의 ‘주체화’라는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1930년대 후반기 백석의 작품에 드러나는 ‘동정(sympathy)’의 실천 양상은 근대적 감정 규범으로써 ‘동정’이 정착되기 시작했던 20년대 전후의 문학 지형에서의 실천 양상과는 차이가 있다. 이에 본고는 먼저 근대 문학 형성기에 ‘동정’이 어떤 함의를 갖고 있었는가를 살피고, 이후 백석의 작품 가운데 일상에서 마주친 타자의 고통을 주제로 한 「여승」, 「팔원」, 「촌에서 온 아이」를 선별하여 분석함으로써 변화된 1930년대 후반기 동정의 실천 양상을 포착하려한다. 이때 필자는 동정의 주체가 발화하는 위치와 동정을 수행하는 주체 고유의 인지 작용인 ‘상상(想像)’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백석의 시적 주체가 자신이 체험한 ‘동정’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이 자신의 ‘내면’을 구성함으로써 수행되는 주체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이러한 주체화 과정은 1930년대 후반기의 주체들이 획득했던 근대성을 재고(再考)해야 한다는 시대 인식에 말미암아, 새로운 근대인으로서 ‘자기’를 재구축해야하는 내적 필요성으로부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자신이 ‘동정’에 감화되었음을 인지하는 시적 주체가 이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실천하기를 망설이며, 대신 동정을 경험했던 자신의 내면에 대해 발화하는 시작(詩作)태도는 동시대 문인 윤동주와 이용악의 작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이렇듯 동정이라는 정동적 체험을 시적 언어로 옮기는 과정이 주체의 내면을 ‘구성’하는 문제와 맞닿아 있음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근대적 주체로서의 길을 모색했던 1930년대 후반기의 주체들의 내면 탐색의 한 흐름을 살피고자 한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동정 담론의 변천과 함의 ― 이광수와 김동인을 중심으로 ―

        최창근 ( Choi Chang-ge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감성연구 Vol.0 No.17

        감정은 근대의 중요한 유산중 하나이다. 이성과 과학의 시대를 연 근대는 자연스럽게 주체의 감정도 해방시켰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감정 특히 동정은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재난이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우리 사회는 국가가 아니라 개인의 동정심에 호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국가의 책임보다는 개인의 사적인 희생을 요구하는 시대착오적 모습임에도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감정에 대한 과도한 의존의 기원을 밝히는 것은 한국의 근대화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일제 강점기 동정에 대한 담론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당대의 대표적인 두 소설가 이광수와 김동인은 동정에 대해서도 상당한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광수에게 중요한 것은 국가와 민족의 발전이었다. 그러나 식민지배하에서 정상적인 국가 건설은 불가능했다. 자연스럽게 민족주의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던 이광수는 동정의 감정으로 민족을 한데 묶고자 했다. 반면 김동인은 이광수와는 반대로 철저히 개인적인 차원에서 동정을 해석했다. 그에게 동정은 두 주체간의 내밀한 상호작용과 공감속에서 작동한다. 이광수는 민족을 형성하기 위해 ‘타인을 사랑하라’라고 외치고 있다. 김동인은 반대로 근대적 주체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철저한 자기애를 주장한다. 두 사람이 보여주는 동정은 각각의 한계도 가지고 있다. 이광수의 경우 동정을 통한 민족주의의 형성과 강화는 계몽의 폭력적이고 위계적인 시각을 전제하고 있다. 또한 동정이 생산되고 유통되기 위한 야만적 현실이 계속되어야 하는 모순과 불합리를 내포하고 있다. 김동인의 경우에는 철저하게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있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김동인의 작품이나 창작론은 대부분 유아기적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이는 자신만의 상상의 세계에 살면서 이를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 한다. 김동인 역시 이와 유사하게 자신의 개성이 누군가에게 인정받기를 원한다. 이는 또 다른 방식의 폭력이자 독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광수와 김동인이 보여주는 양상은 한국적 근대화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성과 감정이 균형 있게 발전하지 못한 사회가 보여주는 한계인 것이다. 여기에는 외세에 의한 근대화와 일본의 식민지배를 겪은 한국의 특수한 상황도 반영되어 있다. Sympathy is a heritage of modern society. Along with the liberation of reason and science after modernism arose, emotion of each individual was also freed. However, emotions, especially ‘sympathy’, hold special position in Korean society. When a disaster or an accident occurs, there is a tendency to appeal to sympathy rather than to the government. Though which is an anachronistic aspect that requires sacrifice of an individual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it still remains. This attempt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he dependency on emotion shall be the foundation to better understand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To achieve the purpose, it seems to be an effective work to look into the discourse on ‘sympathy’ that star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 two prominent writers of the day, Kim Dong-in and Lee Gwang-su,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about ‘sympathy’. Lee Gwang-su regarded national development as important, but building a nation in a proper way was not possible under Japanese rule. Hence, he tried to use sympathy to bind the whole nation together as he concentrated on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Kim Dong-in dealt with sympathy on an individual scale. His idea was that sympathy works in the midst of intimate interactions and empathy between two subjects. Whereas Lee Gwang-su exclaimed to love others for the construction of a nation, Kim Dong-in suggested complete self-love for the perfection of the modern subject. Both of their ideas of ‘sympathy’ also have limitations too. In case of Lee Gwang-su, his idea of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nationalism, by means of sympathy, was based on the premise of the vision of violent and hierarchical enlightenment. Additionally, it involved contradiction and absurdity that harsh realities should go on to produce and distribute sympathy. Meanwhile, Kim Dong-in was completely confined in his own world. His works and his creation methodology are possibly understood as a perspective of one in its early childhood period. A child who lives in his imaginary world wants to be approved of the world. Similarly, Kim Dong-in desired to be approved of his individuality by others. It also signifies violence and dogmatism in a different way. The aspects that the two writers displayed represent the peculiaritie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 In other words, those are the limitations of the society that developed with imbalance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ere are also the unique situations that Korean society had gone through, the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by the power of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