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녹조류, 옥덩굴(Caulerpa okamurae)의 양식을 위한 연구 I . 생장과 재생
최창근,황은경,손철현 한국양식학회 2000 韓國養殖學會誌 Vol.13 No.3
Monthly samplings were made at Yongho-dong, Pusan, on the south eastern coast of Korea from May 1998 to April 1999 to investigate population growth and regeneration pattern of C. okanurae. The growth of erect branches was dependent mainly on the habitat water temperature. Maximum length of an erect branch was 13.4 cm in July and the minimum was 5.1 cm in March; during the corresponding months maximum and minimum weights of the alga were 2.2 and 0.7 g, respectively. During this investigation, gametangia did not occur. Regeneration of excised ramuli was dependent on irradiance. Regeneration rate was the highest under 50 ${\mu}$molm$^{-2}$s$^{-1}$ at 2$0^{\circ}C$. Under the conditions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temperature (18, 22, 25, 28 and 1$^{\circ}C$) and irradiance (10, 20, 40, 60 and 100 ${\mu}$molm$^{-2}s$ $^{-1}$) regimes, regeneration of excised erect branch was highly affected by temperature and irradiance. The highest regeneration occurred at 25 $^{\circ}C$ and 20 ${\mu}$molm$^{-2}s$$^{-1}$, whereas the highest growth in length (4.5${\pm}$1.0 cm) and fresh weight (1.2${\pm}$0.7 g) was attained after 15 days of culture. 녹조식물 옥덩굴의 자연 개체군 동태 및 영양번식성을 파악하므로써 이를 옥덩굴의 양식에 적용하기 위하여, 1998년 5월부터 1999년 4월까지 부산 용호동 인근의 조하대에서 옥덩굴 엽체를 skin diving에 의해 매월 채집하였다. 염장의 변동은 수온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동하였으며, 7월에 13.4${\pm}$1.5 cm로 길이생장의 최고치를 보였고 3월에 5.1${\pm}$0.5 cm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생체량은 7월에 2.2${\pm}$0.4 g으로 최고치를 보였고 10월에 가장 낮은0.7${\pm}$0.1 g이였다. 이 조사기간동안 옥덩굴의 배우자낭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옥덩굴 말단가지 (ramuli)의 재생률은 적정 수온 조건하에서는 광량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50 ${\mu}$molm$^{-2}$s $^{-1}$에서 최대 5.6%였으며, 20 및 70 ${\mu}$molm$^{-2}$s $^{-1}$에서 각각 3.0 및 2.6%를 보였다. 옥덩굴 직립지 (erect branch)를 절단하여 5개의 온도 구간 (18, 22, 25, 28, 31$^{\circ}C$) 및 5개의 조도 구간 (10, 20, 40, 60,100 ${\mu}$molm$^{-2}s$ $^{-1}$)의 조합인 총 25개의 각 배양조건별로 직립지의 재생을 조사한 결과 배양 15일 후 25$^{\circ}C$ 와 20 ${\mu}$molm$^{-2}s$^{-1}$) 실험 구에서 엽장 4.5${\pm}$1.0 cm, 중량 1.2${\pm}$0.7 g으로 가장 높은 길이생장 및 엽중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 옥덩굴의 인공채묘는 자연에서 성숙된 개체를 얻기 어려우므로 재생에 의한 영양생장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보여진다.
특집 - 초고층건축과 구조 : 우리나라에 있어 건축구조설계의 발전
최창근,이환우,김이두 대한건축학회 1987 建築 Vol.31 No.2
본 문에서는 고층건물의 특성을 먼저 개관하고 해방전후로 부터 현재까지 당시의 관점에서 고층에 해당하는 건축물을 구조적인 관점에서 그 변천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최창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6 No.-
채만식은 한국 현대문학 초기에 가장 뛰어난 업적을 남긴 작가 중의 한 명이다. 그의 대표작품은 일제강점기의 부조리한 현실을 탁월한 감각과 풍자정신으로 담아냈다. 동시에 그의 친일 행적은 그의 문학적 업적에 지울 수 없는 오점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작품을 통한 고백과 반성으로 인해 큰 비난을 받지는 않았는데 오히려 이러한 점이 그의 친일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에 방해가 되고 있다. 친일 행위는 단지 반성으로만 끝내면 안 될 문제이다. 친일행위가 시작된 배경과 그것이 작가와 작품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감정은 주체와 세계가 맺고 있는 관계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해방을 통해 채만식이 느낀 가장 큰 감정은 수치심이다. 해방을 예상하지 못했던 그는 친일행위라는 죄에 대해 거센 비난을 받았다. 채만식은 자신의 수치심을 극복하고 과거의 잘못을 은폐하기 위해 죄에 대한 판단을 유예하였다. 그리고 죄에 대한 처벌을 아직 오지 않은 미래로 영원히 지연시켰다. 그는 역사의 발전이나 정의의 실현과 같은 믿음을 모두 버리고 그 대신 인간에 대한 부정과 혐오를 강하게 느꼈다. 채만식의 친일 행위나 친일 작품의 경우 수치심과 그로 인한 변화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Chae Man-sik is one of the writers who left the mos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 early days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His representative work captures the absurd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era with an outstanding sense and satirical spirit. At the same time, his pro-Japanese behavior remains an indelible stain on his literary achievements. However, he was not severely criticized because of his confession and reflection through his works. Rather, this fact hinders in-depth research on his pro-Japanese activities. Pro-Japanese behavior is a problem that should not be ended only with reflection. It is importan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pro-Japanese act and its impact on the artist and work. Emotions show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world. The biggest emotion that Chae Man-sik felt through liberation is shame. He, who had not expected liberation, was condemned for the crime of collaboration with Japan. In order to overcome his shame and conceal his past wrongdoings, Chae Man-sik suspended his judgment on sin. And it forever delayed the punishment for sin to the yet-to-be-come future. He abandoned all beliefs such as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the realization of justice. Instead, he strongly felt denial and hatred toward humans. In the case of Chae Man-sik’s pro-Japanese behavior or pro-Japanese works, it can be said that it is due to shame and the resulting changes.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연작을 통해 본 1970년대 소시민의 근대체험
최창근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08 南道文化硏究 Vol.15 No.-
In 1970s, Korea had a special period of Modernization developing their industrialization and a high growth of economy under Korean militarists’ despotism. The government had strongly executed several policies to develop their nation which was one of the typical under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side effects on the artificial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situational inertia of their plans. The military government promoted more intensive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to shirk the denunciations of the orthodox government, then that caused more contradictions and discords. There were two main purpose of Korea’s modernization, one is the government power and the other is capitalization during this period These kinds of modernization exerted a bad influence on those who were familiar with community life style. To make worse, the modernization has induced several serious social phenomenons such as urbanization, the impoverishment of rural communities, the housing problems and labor problems. The sequence <The man remaining with nine pairs of shoes> written by Yoon Hueng-gil, realistically described the modernistic experiences of the people who were in those days and their countermeasures during the rapid industrial 1970’s. This paper contains some mentions of the problems which were caused by the framework of Korean society and tried to reach some issues of government power and capital which has affected our society for many kinds of ways until now. The newly starting government began to oppress the individual’s life and control its people in accurate ways under its observation due to developing our society. That means our modernization made the newly powerful authority rather than the government power promoted its modernization. This paper intend to display the aftermaths of Korean modernization throughout the personal experience and bring a matter of the people in lower middle class who went through violence and alienation in 1970s
지진하중에 대한 건물구조의 동력학적 해석 ( Dynamic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s for Seismic Load )
최창근 대한건축학회 1979 建築 Vol.23 No.1
지진에 관한 설계방법에는 지진의 영향을 단지 등가정하중( Equivalent static load )으로 계산하여 횡하중으로 가하는 것이 가장 손쉬운 방법이고 지진의 영향을 고려하는 국가의 구조설계 규준은 대부분 이 방법을 쓰고 있다. ( 미국의 UBC등 ) . 그 이유는 동력학적해석 ( Dynamic analysis )에 의한 설계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것뿐, 이 방법의 충분한 신뢰를 갖고 있기 때문은 이니다. 지진에 대한 건물구조의 Response를 정확히 알아내고 그의 입각한 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건물구조의 동력학적 해석이 필요하며 실제로 중요시설, 즉 병원이나 집회장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건물과 통신시설이나 핵시설등, 국가안보상 중요 건물등에 대해서는 이 동력학적 해석에 의한 설계가 절대 필요하다.
고층건물의 구조 시스템 ( Structural Systems of Tall Buildings )
최창근 대한건축학회 1976 建築 Vol.20 No.1
1855년 Otis에 의해 Elevator가 발명되고 이어서 강철(Steel)이 건축자재로 개발되자 건물은 20~30층으로 획기적인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에 소위 뼈대구조(Bean-column Frame)가 본격적으로 사용되었고 최근(1950년대)까지 이 뼈대구조가 고층건물의 주된 구조시스템으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 및 1960년대에 이르러 비로서 오늘날 고층건물에 사용되고 있는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구조시스템들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개발에 힘입어 많은 40~60층짜리 건물이 세계 도처에 건설되기 시작했고 더러는 100층을 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