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태복음 1:23의 ‘동정녀’와 ‘처녀’라는 용어의 유래에 대하여

        이환진(Hwan Jin Yi) 대한성서공회 2017 성경원문연구 Vol.- No.41

        The Biblical Greek parthenos (παρθένος) in Matthew 1:23 is rendered as either Dong-Jeung-Nyeo (동정녀) or Cheo-Nyeo (처녀) in Korean Bible translations like the Older Version (1906, 『구역 신약』), the Revised Version (1938, 『셩경개역』), and the Common Translation (1977, 『공동』), and etc. The two Korean words mean virgin or maiden. As we know, Matthew 1:23 in the Greek New Testament quotes LXX Isaiah 7:14, which has the Hebrew term almah ( עלמה ), presumably referring to a young woman. The Korean term Cheo-Nyeo (처녀) seems to come from the Old Chinese Marshman and Lassar’s Version (1822), which is followed by later Chinese versions of the Bible including Delegates’ (1852) and Bridgman and Culbertson’s (1863) versions. But most of the Chinese versions read the Greek word as 童女, even though the Contemporary Chinese Bible (『当代译本』) issued in 2011 has the word 童贞女in Isaiah 7:14 and Matthew 1:23. In contrast, Japanese Bibles have words like 處女 and 乙女 in Matthew 1:23. Both words are pronounced O-to-me (おとめ) nowadays. The Japanese Colloquial Version (1955) and the New Common Translation (1987) do not use Chinese characters but Japanese Hiragana script in the translated text. Interestingly enough, only the Japanese New Testament (1911) translated by the Dutch missionary Emile Raquet reads the Greek parthenos as 童貞女. The Common Prayer of the Church of England translated into Chinese by J. S. Burdon entitled 『教會禱文』 (1872) has the word 童貞女 (동정녀) in a section of the Apostles’ Creed. In addition, the Anglican Church in Korea issued a book called 『죠만민광』 (照萬民光) in 1894. The latter book, a translation of the Anglican Church’s shortened New Testament, Lumen Ad Revelationem Gentium (A Light To Lighten The Gentiles) also has 동정녀 (童貞女) within the creed mentioned above. We can therefore assume that the Korean term 동정녀 (童貞女) might have come from the Chinese 『會禱文』(1872) or the Korean 『죠만민광』 (1894) in that its use has begun to appear in the New Testament (1906) of the Korean Older Version amo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 KCI등재

        기획: 동아시아 젠더, 역사 : 조선시대 천주교 여성의 역사 다시 읽기: 동정녀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송지연 ( Jee Yeon So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69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 조선시대 천주교 여성사 연구의 준거를 제공해 온 “근대화 담론”이 오히려 이 분야의 연구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해 왔다고 보고 “근대화 담론” 없이 조선시대의 천주교 여성사를 다시 읽는 시도를 해 보았다. 기존의 연구는 특히 조선시대의 천주교 수용을 통해 결혼을 거부한 동정녀들을 “한국 여성 근대화의 내재적 맹아”로서 다루어 왔다. 여기서 “한국 여성의 근대화”는 천주교가 들여왔다고 믿어 온 “남녀평등 사상”과 “근대적 결혼제도”였다. 그러나 이것은 기존의 내재적 발전론이 한국 여성사의 측면에 결합된 것으로서 기존의 내재적 발전론과 더불어 20세기 한국의 식민지 경험에서 초래된 정신적 외상의 산물이었다. 또한, 천주교회가 조선의 여성들에게 들여온 “근대화”로 믿어진 새로운 결혼제도는 일부일처제를 기반으로 하는 12세기에 교회법에 의해서 법제화된 서구식 가부장제로서 역시 “근대”의 산물이 아니었다. 조선의 동정녀들의 삶을 “근대화”라는 담론을 제거하고 전근대사의 맥락 속에서, 그리고 여성사의 틀로 다시 읽어 보면, 그녀들이 사회의 변혁이나 여성 해방을 위해서 동정녀로서의 삶을 선택한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녀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진 현실 속에서 각자의 삶의 이유로 가부장제 밖으로 스스로 나가거나 혹은 나갈 수 밖에 없었던 현실 속의 사람들이었다. 또한 기존의 “근대화”라는 담론을 제거했을때 비로소 19세기 중반의 동정녀들과 파리외방전교회 출신의 프랑스 신부들과의 숨겨진 갈등을 제대로 읽어 낼 수 있다. 이들 프랑스 신부들은 1840년대 이후로 조선에 입국하여 조선 천주교회의 기틀을 다시 세우면서 조선의 유교적 가부장제를 서구식 가부장제로 엄격히 대체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과정에서 특히 신자들의 혼인은 그 형식이 천주교식으로 변형되어 다시 한번 신자들의 중요한 의무로 부과되었고 사제의 권위가 가부장의 권위 위에 놓이게 되었다. 이로써 조선의 동정녀들은 프랑스 사제들의 엄격한 규제의 대상이 되었고 동정녀로서의 삶의 선택권도 사제들에게로 귀속되어 버렸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천주교 여성들은 사제의 권위에 맞서 동정녀로서의 삶을 선택하였다. 동정녀들은 가부장제도의 밖에서 살기를 선택함으로써 혼인을 강요하는 조선 사회와, 자신들의 가족, 그리고 천주교회 모두와 투쟁하면서 수많은 고뇌와 좌절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녀들은 천주교의 서구식 가부장제와 유교식 가부장제의 충돌로 만들어진 틈새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자신의 삶의 주체로서 살아가고자 했다. 조선시대의 천주교 여성사로부터 근대화라는 언설을 제거하고 그녀들의 삶을 전근대사의 맥락에서 처음부터 다시 읽을 때에야 비로소 침묵당한 자신의 삶의 주체로서의 천주교 여성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subject of Korean Catholic women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It aims to critique the modern problematic discourse of “modernization” by reexamining their collective rejection of marriage. Previous researchers have defined Korean Catholic women’s history as the seed of Korean women’s modernization. Their conclusions were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 of Catholic women’s marriage practices and denials. These studies have shown that Catholicism in Korea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ried to liberate Korean women from Confucian oppression by awakening their consciousness about gender equality. This research has raised awareness of the collective rejection of marriage by young Catholic women’s collective rejection of marriage, indicating that they wished to preserve their virginity, and citing their responses as the most important example of Catholicism’s successful spiritual modernization and emancipation of women in nineteenth-century Korea. My research has found ruptures between the accepted research and the historical facts regarding Korean Catholic women. First of all, French missionaries prohibited marriage denials by Korean Catholic women in 1857 . despite these women’s protests. Second, the sources show that the consciousness and lifestyles of Korean Catholic women did not “advance” toward more modern forms of cultural behaviour but rather regressed towards patriarchal sentiments during the Persecution of Pyong‘in 1866. Accordingly, my paper scrutinizes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accepted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the original source material to discern how “modern” scholarship has silenced the voices of “pre-modern”Korean Catholic women by representing their history as a discourse on “modernization.”

      • KCI등재

        조선천주교 선교사들의 동정사목

        하태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Pastoral Care for Virgins of Missionariesin Joseon Catholic ChurchTaejin H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storal care of missionaries toward virgins in the Joseon Catholic Church in the era of persecution and to reveal the missionary guidelines about the ministry of virgins of missionaries at the time. I will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virgins during the period of persecution (1784-1878), their way of life, and their role in the church and will look about the pastoral care of missionaries for these virgins. Specially, I ascertain the missionary guidelines of missionaries with focusing on the prihibition of sacraments of the Catholic Church to virgins. I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Synod of Sichuan apostolic vicariate’, ‘The Synod of Joseon apostolic vicariate’, and ‘The 2nd Synod in 1884’, in order to find out the missionary guidelines of missionaries at that time. I ascertained their consistent pastoral care guidelines for virgins. Missionaries have taken care virgins strictly, because of a danger of persecution, a danger of outside, their selfishness and a trouble of consistent pastoral care for them. As succeeding study, we need to check the admission of virgins to the Religious Order (Congregation), and the pastoral care for them after the era of persecution. Key Words: Virgin, The Pastoral Care for Virgins, Missionary Guidelines, Prohibition of Sacraments, The Joseon Catholic Church 조선천주교 선교사들의 동정사목하 태 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박해시대 조선천주교회 동정녀들에 대한 선교사들의 사목을 살피고 당시 선교사들의 동정사목에 대한 선교지침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박해시대(1784-1878) 동정녀들의 현황과 삶의 형태, 교회 내에서 그들의 역할을 알아보고, 이들에 대한 선교사들의 사목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동정녀에 대한 성사금지 사건에 주목하여, 선교사들의 사목지침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당시 선교사들의 선교지침을 밝히기 위해 사천대목구시노드와 조선대목구시노드, 1884년 2차 조선대목구시노드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선교사들의 일관된 동정사목 방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선교사들은 박해의 위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위험, 개인의 이기적인 생각, 그리고 지속적인 사목의 어려움 때문에 당시 동정녀들에 대해 엄격하게 대응하였다. 후속 연구로 신앙의 자유가 주어진 이후 동정녀들의 수도회 입회와 이들에 대한 사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핵심어: 동정녀, 동정사목, 선교지침, 성사금지, 조선천주교회 □ 접수일: 2022년 7월 27일, 수정일: 2022년 8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전주대학교 사학과 박사(PhD, Jeonju Univ., Email: seelovetj@hanmail.net)

      • KCI등재

        박해기 한국 천주교회 순교자들의 성모신심

        차기진 수원교회사연구소 2006 교회사학 Vol.0 No.3

        1784년 한국 천주교회가 창설된 직후부터 형성된 신자들의 성모 신심은 천주 교리의 가르침 아래서 자발적으로 함양된 것이었으니, 여기에는 중국에서 전래된 서학서나 이를 한글로 번역한 서적들의 영향이 컸다. 신자들은 이러한 서적들을 통해 성모 마리아의 속성과 호칭의 의미를 이해하고, 찬미․청원 기도문들을 암송하거나 묵주신공을 바쳤으며, 묵상서와 성모 걸개화 등을 이용하여 묵상하였다. 바로 이러한 성모 신심의 자발성을 박해기 성모 신심의 첫 번째 특징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성모 신심의 자발성은 보편적인 성모 신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신자들 가운데는 성모의 정결을 이해하고 성모 공경을 중시하면서 윤점혜, 이순이와 같이 동정을 굳게 지키는 이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명도회원 이경언과 같이 회의 주보인 성모 마리아의 은총과 보호에 의지하여 순교의 길을 택하는 이들도 있었다. 주문모 신부의 가르침도 이와 같은 동정녀와 명도회원들의 신심 생활에 영향을 주었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성모 신심의 보편성을 박해기 성모 신심의 두 번째 특징으로 꼽아도 좋을 것 같다. 박해기의 성모 신심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교회 창설 이후 자발적인 성모 신심이 보편화되어 가는 시기와 1836년 초 프랑스 선교사들이 조선에 입국하면서 사제들의 가르침과 함께 성모 신심 단체의 도입과 확대가 신자들의 신심 함양에 영향을 주는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성모 신심은 신자들이 열심히 교리를 실천하고, 박해 가운데서도 신앙을 굳게 지키며, 때로는 성모 마리아께 의탁하고 전구함으로써 사제 영입과 교회 재건에 희망을 갖는 육화론적(肉化論的) 영성의 하나로 자리잡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신유박해 때의 김광옥이나 기해박해․병인박해 순교자들에게서는 성모 공경이 내세에서 영광스러운 천상의 영복을 얻는 순교 신심의 최종 목적, 즉 종말론적(終末論的) 영성으로 승화되었으니, 이를 박해기의 세 번째 특징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Since 1784 the foundation of Catholic Church in Korea, devotees' faith was developed spontaneously by the lessons of Catholic doctrines. The book of Western Learning from China or books translated in Korean had great deal of influence on it. Devotees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 of the Virgin Mary and the meaning of the name through those books. And they repeated prayers in memory by heart and gave chaplet also. This “Spontaneity of Devotion to Blessed Mary” would be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Devotion to Blessed Mary in the persecution period. “Spontaneity of Devotion to Blessed Mary” was continued to catholic devotion to Blessed Mary. There were some devotees like Yoon, Jeom-hae and Lee, Soon-yee, who understood the chastity of the Virgin Mary and attached great importance of respect on the Virgin Mary. Some other devotees like Lee, Kyung-yen, a member of Myungdo society, had died martyr and martyress for their faith depending upon the grace of the Virgin Mary. The teachings of priest Joo, moon-mo had influenced on the lives of faith of the virgins and members of the Myungdo society. Consequently,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Devotion to Blessed Mary in the persecution period should be “Catholicity of Devotion to Blessed Mary”. As explained above, Devotion to Blessed Mary in the persecution period can be divided into two terms : the terms of catholicizing the spontaneous Devotion of Blessed Mary after the foundation of Catholic Church and the other terms of influencing devotees' faith by the teachings of priests and introduction and extension of communities in the early 1836 when the French Missionaries came to Korea. Therefore, Devotion of Blessed Mary became one of “De Incarnatione Spirituality”, the will for bringing in the priest and rebuilding the church with the devotees reducing the Catholic doctrine to practice and keeping a living faith even in the persecution period. Also, for missionaries in the persecution period, respect on the Virgin Mary was sublimated to “Eschatologic Spirituality”, the last goal of devotion of martyrdom. Accordingly, it would be the third characteristic of Devotion to Blessed Mary in the persecution period.

      • KCI등재후보

        개혁파 교회에 대한 츠빙글리의 기여

        이승구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1 No.-

        In this paper, after presenting Zwingli’s life, I showed that the following five points can be mentioned as the contributions of Zwigli to the Reformed Church: (1) The recovering the early church’s tradition of lectio continua, (2) the recovering of the original tradition of worshiping in one’s own language, rather than in Latin, (3) the attempt to differentiate the right religion and the wrong religion, (4) the abolition of the images in the church buildings, and (5) beginning of the so–called prophesying as the regular study of the Scriptures of the preachers and the congregation. I also pointed out that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6 points there were some problems in Zwingli’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1) his use of too strong and non-proper language which could be easily misunderstood, even though there were spiritual presence view in Zwingli’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2) his disapproval of the congregational Hymns in the worship service, (3) his implication that there was no separ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Church, (4) his acceptance of the eternal virginity of Mary, (5) some exegetical errors, and (6) his not getting rid of the term “priest.” 개혁파 교회에 대한 츠빙글리의 기여를 논의하기 위해서 그의 생애를 간단히 논의하여 그가 어떤 배경 가운데서 교회 개혁 운동을 하여 가게 되었는지를 밝히고, (1) 연속적 성경 읽기와 강해 전통의 회복, (2) 자국어로 하는 예배의 시도와 정착, (3) 바른 종교와 그릇된 종교에 대한 명확한 구별의 노력, (4) 예배당 안의 상들의 제거, (5) 정규적 성경 공부 모임으로서의 소위 예언 모임의 시작을 츠빙글리의 기여로 제시하였다. 그 후에 (1) 성찬 이해가 영적 임재설에 가까우면서도 오해할만한 표현을 사용하여 간 것, (2) 예배 중에 회중 찬송을 허락하지 않은 것, (3) 국가와 교회의 관계를 너무 밀접히 제시한 것, (4) 마리아의 영원한 동정녀성을 지속적으로 인정한 것, (5) 때때로 지나친 주해로 건전한 해석을 벗어난 것, (6) 목자라는 용어를 선호하면서도 사제라는 용어를 온전히 제거하지 못한 것이 문제가 된다고 지적하였다.

      • KCI등재

        꾸란의 예수<sup>1</sup> 이해와 하나님의 선교

        정승현 ( Chung Seung Hyu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8 No.-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이슬람은 기독교 선교의 최전선에 위치하고 있다. 오늘날 무슬림의 인구는 17억을 넘어섰고, 이 인구 중에 93%가 60세 이하이며, 무슬림이 주류인 국가가 57개국에 이른다. 이 막대한 무슬림들을 하나님의 나라로 초청하려면 반드시 그들이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를 이해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무슬림들의 기본적인 입장은 유대교에서 예수를 폄하하거나 혹은 기독교에서 예수를 신성화시키는 것은 모두 왜곡된 것으로, 꾸란에서 나타난 예수의 모습이 온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꾸란에는 성경과 유사하게 천사가 동정녀 마리아에게 나타나서 그녀를 통해 예수가 탄생할 것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꾸란에서 예수는 마리아의 아들로서 23차례나 언급되어 인간의 아들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꾸란에서 동정녀 마리아를 통해 예수가 탄생한 것은 단순히 하나님의 능력을 드러내는 사건이지 성육신과는 무관한 것으로 무슬림은 이해한다. 꾸란에는 예수가 하나님의 선지자라고 여러 차례 기록되어 있지만, 꾸란 61장 6절에 의하면 예수의 사명이 무함마드의 도래를 예언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꾸란에서는 철저히 예수의 신성에 대해서는 부인한다. 또한 꾸란 4장 171절에 의하면, 이슬람은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삼신론으로 왜곡하여 이해하고 있다. 또한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표현을 생물학적으로만 받아들인 나머지, 꾸란에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믿는 자들에게 대해 여러 차례 경고하고 있다. 절대 다수의 무슬림들은 예수가 십자가에서 죽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자신의 선지자를 죽도록 내버려 두지 않고, 원죄 교리가 없는 이슬람에서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예수가 십자가에서 죽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예수는 부활하지 않았고 곧바로 승천하였다가 후에 적그리스도를 심판하러 재림할 것이다. 그러나 최후의 심판자는 무함마드이고 예수는 무슬림의 선지자 중의 한 사람에 불과하다. 오늘날 무슬림들은 성경을 자신들의 경전과 비교하여 읽고 평가한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이 자신들의 `올바른 길`로 돌아오도록 선교도 한다. 이러한 상황가운데 그리스도인들은 이슬람 관점의 기독교와 예수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져야 하고, 아울러서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을 하나님의 나라로 초청하기 위한 성숙한 선교를 실천해야 한다. The general approach of Muslims are taking in terms of understanding Jesus is deny neither the status of Judaism which denigrates Jesus nor the status of Christianity which consecrates Him the other way. Similar to the Bible, in the Quran, a story was recorded that the angel appeared and announced to Mary the Virgin that she would conceive Jesus. However, the Quran narrated Jesus as a son of man by mentioning Jesus as a son of Mary as many as 23 times. Their understanding of the birth of Jesus through Virgin Mary was God`s revealed power, not about any relations of incarnation of Jesus. In Quran, Jesus is a prophet, but according to Quran 61:6, his mission was prophesying Muhamad`s coming. Additionally, the Quran denies the divinity of Jesus completely. In the Quran 4:171, it has distorted perception about the theory of the Trinity as it believes it is Tritheism. In Quran Jesus is not as the Son of God. The absolute majority of Muslims do not believe that Jesus died on the cross. Since God never let His prophet die on the cross and no doctrine of the `Original Sin` exists in Islam, there is no reason why Jesus redeems human beings by death on the cross. Jesus did not die and ascended up into heaven by God. Jesus will come again to judge the anti-Christ. Yet, the ultimate judge is Muhammad and Jesus is just one of the Muslim prophets. Today, Muslims read and compare the Bible with their Quran and they do missionary work by leading Christians to `the right way.` In such a situation, We Christians need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Jesus and Christianity in Muslim perspective in order to invite them to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예수의 동정녀 수태에 대한 신학적 반성

        정지련 ( Chi Lyun Chung ) 한국조직신학회 201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3 No.-

        The traditional Christianity has understood the virginal conception of Jesus-the idea that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Jesus was conceived of Mary a virgin - as miracle of God. This understanding reinforces the faith in Jesus as the son of God. So the virginal conception of Jesus has been understood as the historical event that reveals the identity of Jesus, that is, the uniqueness and humanity of Jesus. But the modern rationalists who see the miracle not with the eyes of respect but with the eyes of the suspect, regards the virginal conception of Jesus as embarrassing problem.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make clear the theological thinking of the virginal conception of Jesus, so that we could find the way to make an approach to the historicity and the message of the virginal conception of Jesus. The result is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problem of historicity, I agree with R. E. Brown who maintains that the totality of the scientifically controllable evidence leaves an unresolved problem. Even if the modern theology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problem of historicity. the great part of modern theologians are of the same opinion that the tradition of the virginal conception has the character of confession of faith. In this context I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the virginal conception as confession of faith, and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is confession of faith asks us to accept Jesus as the new creation of Holy Spirit and as the truly human. Finally I proposed the dialogue on the one hand with the Jewish adoptionism and charge of illegitimacy, and on the another with the catholic Mariology. Because Christianity can never seek refuge in anything except the truth, painful as it may be.

      • KCI등재
      • KCI등재

        아르눌 그레방의 『수난성사극』에 나타난 성모 마리아의 모습

        김애련 ( Kim Ae-ryun )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08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11 No.-

        Selon le Pere R.L.Bruckberger, sur le point de l’eminente dignite de la femme, tous les mouvements feministes ont ete devances par l’Eglise catholique de Sainte Marie, puisque le culte catholique de Marie est immemoriel. Pourquoi ce culte de Marie? Qui est Marie? Notre etude a pour objet d’eclairer l’image de Sainte Marie dans le Mysore de la Passion de Notre Sauveur Jesus Christ pour avoir la comaissance vivante et concrete de cette Marie, objet de la culte catholique. A travers l’analyse de la parole, de la pensee et de l’action de Marie et des autres personnages autour d’elle, nous avons pu deduire l’image de Marie, Conception immaculee, Vierge Mere, Servante humble, Femme de la foi et de la charite, Mere de la douleur, et de l’eglise. Ces diverses images de Marie, pleine de grace de Dieu, ne sont pas seulement le fruit de la meditation de l’ecrivain mais aussi celui de l’eglise du moyen age, fondee sur la Bible et la Sainte Tradition. Et d'ailleurs, ce qui est important et significatif, ces images de Marie sont encore considerees comme pertinentes dans la mariologie de notre eglise contemporaine et nous appellent a suivre Marie comme un modele des croyants, ou plutot comme un modele de la femme. Et parmi ces diverses images de Marie, quelle est la plus soulignee par l’auteur? C'est l’image de Marie, mere de la douleur. Pouixjuoi? D'abord, c'est parce que A.Greban a voulu souligner la signification salvatrice de la Passion de Jesus a travers la souffrance de sa mere, Marie. Deuxiemement, les gens du moyen age aimaient parlcr de Marie d'une fagon tres affectueuse. Mais la raison plus profonde, c'est parce que la souffrance de Marie nous permet d'avoir l’intuition sur celle de Dieu qui souffre infiniment de nos iDeches. Pourtant, Arnoul Greban, ce theologien de l’espcrance n’a pas fini son oeuvre par cette triste image de Marie. Il nous a montre la bienheureuse Marie. Apres la resurrection, quand Jesus s'est apparu devant Marie, sa tristesse s'est changee en joie parfaite. Ici nous nous souvenons de son Magnificat, lors de la Visitation. Pour finir, Bienheureuse Marie, priez pour nous, nos peche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