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느님의 종 124위 선정 과정과 시복 자료 정리에 관한 연구

        차기진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5

        The selection work of 124 Korean martyrs was followed the decision of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in October 1997. Next the Joint Committee to Promote Beatification of Korean martyrs was composed on October 12, 1998, and five meetings were held until June 18, 2001. And June 30, 2001, the research staff was organized to select candidates for beatification under the responsibility of priest Peter Yoo Han-young who was postulator. As a result, 122 martyrs were selected as Servants of God by the primary research work of the staff. September 12, 2001, there was composed the Committee to Select Candidates for Promote Beatification(short CSC). Since then the staff’s second research work was paralleled with the CSC’s work. As a result, 124 martyrs and 2 Witnesses of Faith were determined as Servants of God until February 2002. March 7, 2002, the Special Episcopal Commission to Promote Beatification(short SEC) approved the beatification promotion of 124 martyrs, and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of Roman Curia named the title of the beatification agenda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尹持忠) and 123 Companions” on the same year September 4. The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for the beatification of 124 Servants of God was started in the writing biographical outline. This wok began with a shared form in the first place, but shortly afterwards was entrusted to the Yang-eop(良業) Research Institute for Church History(short YRI, Chief : Cha Ki-jin). And the YRI finished writing biographical outline and published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 and 123 Companions in the name of SEC on september 19, 2003. At the same time, the first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finished. The May 21, 2004, the decree on the court constitution for the beatification of the 124 Servants of God was promulgated, and the second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entrusted to YRI. After that, YRI have published The Source Book for Beatification of Servants of God Paul Yun Ji-chung and 123 Companions up to five volumes in the name of SEC from November 15, 2005 to February 14, 2008. At the same time the second arrangement work of materials was finished. 124위의 선정 작업은 1997년 10월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 결정된 시복 통합 추진에 따른 것이었다. 이어 1998년 10월 12일에는 ‘한국 순교자 시복시성 통합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2001년 6월 18일까지 다섯차례 회의가 개최되었다. 또 2001년 6월 30일에는 청원인 류한영 신부의 책임 아래 시복 추진 대상자 선정을 위한 실무진이 구성되었으며, 실무진의 1차 연구 작업 결과 모두 122명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2001년 9월 12일에는 ‘시복시성 추진 대상자 선정위원회’가 구성됨에 따라 실무진의 2차 연구 작업과 동 위원회의 활동이 병행되었고, 2002년 2월까지 시복 청원 순교자 124명, 증거자 2명의 ‘하느님의 종’이 확정되었다. 2002년 3월 7일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에서는 124위의 시복 추진을 승인하였고, 시성성에서는 같은 해 9월 4일 시복 안건의 제목을 “하느님의 종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123위”로 명명하였다.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은 124위 약전 작성에서 시작되었다. 이 약전 작성은 처음에 분담 형식으로 추진되었으나, 곧이어 양업교회사연구소(소장 : 차기진)에 위임되었다. 이후 양업교회사연구소에서는 약전 작성을 완료하여 2003년 9월 19일 시주특위의 이름으로 《하느님의 종 윤지충바오로와 동료 123위》를 발간하였다. 동시에 1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완료되었다. 2004년 5월 21일에는 124위 시복 법정 구성에 대한 교령이 공포되었으며, 2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양업교회사연구소에 위임되었다. 이후 동 연구소에서는 2005년 11월 15일부터 2008년 2월 15일까지 전5권으로 된 124위 시복 자료집을 시주특위 이름으로 간행하였고, 이로써 2차 시복 자료 정리 작업이 완료되었다.

      • KCI등재

        최양업 신부의 행적에 대한 재검토 - 유학로와 선종지를 중심으로

        차기진 수원교회사연구소 2010 교회사학 Vol.0 No.7

        1836년 12월 3일 중국 마카오로 유학을 떠난 최양업(토마스)과 동료 최방제(프란치스코 하비에르), 김대건(안드레아)은 다음해 6월 7일 그곳의 조선대목구 신학교에 도착하였다. 이 유학로는 조선 최초로 서양식 교육을 받기 위해 마카오까지 가야만 했던 신학생들의 첫 여정으로, 첫걸음을 뗀 천주교 사제 양성사의 한 과정을 규명한다는 교회사의 의미도 담고 있다. 조선 신학생들은 1836년 12월 28일 중국 변문에 도착하였다. 그리고 그곳에서 조선 선교사 샤스탕(J. Chastan) 신부와 그를 인도해 온 왕 요셉, 서만자의 안내자 Touan 마리아노와 Tchen 요아킴을 만나게 된다. 이후 신학생들은 중국인 안내자들을 따라 요녕성의 심양, 내몽고의 마가자, 하북성의 서만자를 거쳐 산서성의 장치에 도착하였다. 그런 다음 왕 요셉 은 장치에 남고, 서만자의 안내자 2명이 마카오까지 조선 신학생들을 인도하였다. 이처럼 최양업 신부와 동료 신학생들의 유학로는 ‘변문-심양-마가자-서만자-장치’로 이어졌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장치까지의 유학로만 밝힐 수 있었고, 이후의 여정은 육로를 택했다는 것 외에는 추정할 만한 자료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1861년 6월 15일에 선종한 최양업 신부의 선종지요 가매장지에 대해서 는 진천 공소 선종설, 문경 약국 선종설, 배티 선종설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대한 근거 자료는, 정규량 신부의 전문 내용, 최상종이 기록한 집안의 전승, 유영근 신부의 기록 등인데, 이 중에서 최상종의 기록은 최 신부의 선종지 가매장 사실을 알지 못했다는 점 등 몇 가지 중요한 약점들을 지니고 있으며, 유 신부의 기록도 훗날 자신의 의견을 추가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최양업 신부의 시신이 충북 제천의 배론으로 이장될 때 목격했을 최경신의 증언을 직접 듣고 기록한 정규량 신부의 ‘진천 공소 선종설’이 가장 신빙성이 높다. 한편 최양업 신부의 선종을 직접 목격한 푸르티에(J.A. Pourthié) 신부의 기록, 그 사실을 전해들었던 페롱(S. Féron) 신부의 기록에는 선종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 내용이 없다. 다만, 푸르티에 신부는 자신의 거처가 있던 배론에서 최양업 신부의 선종지까지의 거리를 ‘17리외 혹은 17~18리외’로 기록했는데, 이 거리 개념은 <대동여지도> 상에서 약 214~226리가 된다. 그렇다면 배론에서 가장 먼 진천의 배티 공소(교우촌)을 포함하여 모든 진천 공소들은 <대동여지도> 상에서 220리 이내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위의 범주에 들어가게 된다. 기록에 나타나는 박해기의 진천 공소(교우촌)들은 이미 이 지역을 순방한 적이 있던 페롱 신부가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최 신부의 선종지를 자신이 알지 못한 ‘한 작은 교우촌’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최양업 신부가 진천의 어느 공소에서 선종했다면, 그곳은 담당 선교사에게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곳이었음이 분명하다. This article aims to re-examine Father Yang-eop Choi's itinerary to Macao and his deathplace. Yang-eop Choi(Thomas) left Seoul for Macao to study to become priest with two other seminarists, Bang-je Choi(Francisco Xavier) and Dae-geon Kim(Andreas), on Dec. 3rd, 1836, and arrived there on June 7th, 1837. This is the journey taken by the first Korean seminarists, who were educated in western way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This is also a part of history of Korean Catholic priest education. Father Choi passed away on June 15th, 1861 and was buried, and years later his body was moved to Baeron. His itinerary to Macao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yet by scholars, and also the whereabout of his exact deathplace remains speculative. First, it is discovered that Thomas Choi and his two fellow students left on Dec. 3rd, 1836 and reached Bianmen(邊門, so called 柵門) on Dec. 28th, and they met St. Chastan, Joseph Ouan and two guides, Mariano Touan and Joakim Tchen. It is also showed that their journey continued from Bianmen to Shenyang(瀋陽), Majiazi(馬架子), Xiwanzi(西灣子) and Changzhi(長治), with the help of the two guides. However, not enough records have been found yet to figure out the rest of the itinerary to Macao. On Father Choi's deathplace three suggestions have been made so far: a Kong-so(Catholic community) in Jinchun, a pharmacy in Moon-gyoung, and Baeti Kong-so. I try to refute two other claims and argue that one Jinchun Kong-so must have been the place where Father Choi passed away and was buried at first. It is because the record made by Father Gyu-ryang Jeong, who himself listened to people of the exhumation time, is deemed the most reliable. The exact deathplace is not mentioned in the records of Father Pourthié's who was present at Father Choi's death, or of Father Féron's who was told of the story. Still according to Pourthié's note of distances we can include all Kong-sos in Jinchun for the possible deathplace. It is probable that the Kong-so where Father Choi passed away and was buried was a small town, hardly known even to the missionary in charge of the area.

      • KCI등재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시복 추진 과정

        차기진 수원교회사연구소 2021 교회사학 Vol.- No.19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시복 추진은 지금까지 대략 세 단계에 걸 쳐 진행되어 왔다. 첫 번째 단계는, 1995년 봄 청주교구 배티성지에서 최양업 신부와 관 련된 자료들을 정리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때 배티성지에서는 최양업 신부 의 전기 자료집 전4권을 완간하였고, 최양업 신부 약전과 시복 청원서를 준비하여 9월 20일 교구장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던 중 1997년 10월 한국 천주교주교회의에서 한국 순교자와 증거자들의 시복 작업을 통합 추진하 기로 결정하였고, 1998년 10월 12일에는 시복시성통합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그 결과 최양업 신부의 시복 추진 작업도 이 위원회에서 담당하 게 되었으며, 2001년 7월에는 증거자 최양업 신부의 시복 안건이 단일 안 건으로 확정되었다. 두 번째는 관할 교구의 예비 심사 단계이다. 이때 최양업 신부에 대한 예비 심사는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가 관할 교구가 되었으며, 2001년 10월 18일에는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제1차 회의가 개최되었 다. 이후 시성성에서는 2004년 1월 10일과 31일에 각각 최양업 신부의 시 복 추진을 위한 ‘교회 법정 권한에 관한 교령’과 ‘장애 없음’을 승인하였다. 그 결과 2005년 12월 3일 최양업 신부의 영웅적 성덕에 관한 예비 심사가 개정되어 2009년 5월 20일 제13회기까지 계속되었다. 이어 최양업 신부 의 시복을 위한 기적 심사 법정이 2015년 9월 8일부터 2016년 6월 15일 까지 계속되었다. 세 번째는 교황청 시성성의 심사 단계이다. 교황청 심사는 2009년 5 월 28일과 6월 3일에 시복 청원서와 예비 심사 문서가 각각 시성성에 제 출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최양업 신부의 영웅적 성덕에 대한 포지시오 (Positio, 심문 요항)가 작성되었고, 역사·신학위원회에 이어 추기경·주교 회의에서 이 포지시오가 차례로 통과되었다. 그 결과 2016년 4월 26일 교 황 프란치스코 성하에 의해 최양업 토마스 신부는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이어 2016년 6월 17일에는 한국 천주교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에서 기 적 심사 문서를 시성성에 제출하였고, 현재 시성성에서 이 기적 심사에 대한 포지시오가 심의 중에 있다. The Process of promote beatification of the Venerable Father Choi Yangeop Thomas has been carried out in approximately three stages so far. The first stage began in the spring of 1995 when the materials related to Father Choi Yang-eop were organized at the Baeti Shrine of the Cheongju Diocese. At this time, the Baeti Shrine published 4 volumes of Father Choi Yang-eop's biography collection and Cheongju Diocesan Bishop approved Father Choi Yang-eop's biographical outline & the petition for beatification. In the meantim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decided to integrate the beatification in October 1997 and next the Joint Committee to Promote Beatification of Korean martyrs & witnesses of Faith was composed on October 12, 1998. As a result, this Committee was also in charge of promoting the beatification of Father Choi Yang-eop and the beatification of Father Choi Yang-eop, witness of Faith, was confirmed as a single case in July 2001. The second is the preliminary examination stage of the Jurisdiction Diocese. At this time, the Special Episcopal Commission to Promote Beatification(short SEC) became the Jurisdiction Diocese of the preliminary examination of Father Choi Yang-eop and the first meeting of the committee was held on October 18, 2001. Afterwards,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approved the decree on the court constitution and the ‘nihil obstat’ for the beatification of Father Choi Yang-eop on January 10 and 31, 2004,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Preliminary Examination on the Heroic Virtue of Father Choi Yang-eop was held on December 3, 2005, and continued until the 13th session on May 20, 2009. Subsequently, the court on the Miracle Trial for the beatification of Father Choi Yang-eop was held from September 8, 2015 to June 15, 2016. The third is the examination stage of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This examination began on May 28 and June 3, 2009, respectively, when the petition for beatification & the Preliminary Examination documents were submitted to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After that, the Positio on the Heroic Virtue of Father Choi Yang-eop was written and the Positio was passed one after another by the Council of Cardinals and Bishops after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mmittee. As a result, Father Choi Yang-eop Thomas was proclaimed Venerable by Pope Francis on April 26, 2016. Subsequently, the SEC of Korea submitted the court on the Miracle Trial documents to the Congregation for the Causes of Saints on June 17, 2016 and the same Congregation is currently examining the Positio on the Miracle Trial.

      • KCI등재

        박해시대 남한산성의 순교자들

        차기진 수원교회사연구소 2004 교회사학 Vol.0 No.1

        박해 시대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것으로 기록에 나타나는 천주교 신자는 모두 38명에 달한다. 남한산성에서는 신유박해부터 기해박해, 병인박해를 거쳐 1871년까지 지속되었다. 이곳은 서울의 서소문 밖, 충청도의 해미 순교 터, 전라도의 전주 등과 함께 가장 오랫동안 순교자들의 피가 흘렀던 곳이다. 남한산성의 순교자들 중에는 구산 김씨 집안의 순교자가 무려 6명에 달하며, 그것도 하나의 박해가 아니라 기해박해와 병인박해 등 두 시기에 걸쳐 탄생한 순교자들이라는 특징이 있다. 단내 출신의 정은(바오로)의 거룩한 생애와 덕목은 입교 당시의 내용과 김대건 신부로부터 성사를 받았다는 사실과 가족을 입교시킨 사실에서 드러난다. 정은의 경우는 구산 출신 순교자들과 마찬가지로 무덤이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점은 아주 의미가 크다. 병인박해 이후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신자들 중에는 죽산 출신의 이 요한과 양성 사람 오 안드레아, 양지 사람 서 아우구스티노 등의 순교 행적이 비교적 자세하다. 1801년에 순교한 한덕운(토마스)이 ‘천주교 신앙을 올바른 도리로 여기고, 형벌을 받아 죽을지라도 배교할 수 없다’고 단언한 것은 그의 순교 용덕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The martyrs at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 amounts to 38 persons in aspect of available documents, and here the persecution against catholics lasted to the year of 1871. This is the place of the longest persecution, along with the outer Seosomoon(西小門) the small west Gate in Seoul, Haemi(海美) the place of martyrdom in Choongcheongdo(忠淸道), Jeonjoo(全州) the place of martyrdom in Jeonrado(全羅道). It is the special feature that there are 6 martyrs at Gusan(龜山) from the Geehae persecution(己亥迫害) to the Byeongin persecution(丙寅迫害). The saint life and the virtue of Palus Jeong-Eun(鄭溵) appears well in the aspect of entering to the catholicism, as well as of receiving Sacrament from St. Rev. Kim Dae-geon(聖金大建神父) Andreas and of making his families enter the catholic church.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grave of Jeong-Eun has been observed as well as the ones of Gusan martyrs. The acts of the martyrs such as Lee John at Joogsan(竹山), Oh Andreas at Yangseong(陽城) and Seo Augustinus at Yangjee(陽智) is more familiar to us as compared with the other martyrs. It appears the martyr's bravery very well that Thomas, Han Deog-oon(韓德運) said that I think the catholicism is right and I will never betray even if I were killed.

      • KCI등재

        박해기 한국 천주교회 순교자들의 성모신심

        차기진 수원교회사연구소 2006 교회사학 Vol.0 No.3

        1784년 한국 천주교회가 창설된 직후부터 형성된 신자들의 성모 신심은 천주 교리의 가르침 아래서 자발적으로 함양된 것이었으니, 여기에는 중국에서 전래된 서학서나 이를 한글로 번역한 서적들의 영향이 컸다. 신자들은 이러한 서적들을 통해 성모 마리아의 속성과 호칭의 의미를 이해하고, 찬미․청원 기도문들을 암송하거나 묵주신공을 바쳤으며, 묵상서와 성모 걸개화 등을 이용하여 묵상하였다. 바로 이러한 성모 신심의 자발성을 박해기 성모 신심의 첫 번째 특징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성모 신심의 자발성은 보편적인 성모 신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신자들 가운데는 성모의 정결을 이해하고 성모 공경을 중시하면서 윤점혜, 이순이와 같이 동정을 굳게 지키는 이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명도회원 이경언과 같이 회의 주보인 성모 마리아의 은총과 보호에 의지하여 순교의 길을 택하는 이들도 있었다. 주문모 신부의 가르침도 이와 같은 동정녀와 명도회원들의 신심 생활에 영향을 주었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성모 신심의 보편성을 박해기 성모 신심의 두 번째 특징으로 꼽아도 좋을 것 같다. 박해기의 성모 신심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교회 창설 이후 자발적인 성모 신심이 보편화되어 가는 시기와 1836년 초 프랑스 선교사들이 조선에 입국하면서 사제들의 가르침과 함께 성모 신심 단체의 도입과 확대가 신자들의 신심 함양에 영향을 주는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성모 신심은 신자들이 열심히 교리를 실천하고, 박해 가운데서도 신앙을 굳게 지키며, 때로는 성모 마리아께 의탁하고 전구함으로써 사제 영입과 교회 재건에 희망을 갖는 육화론적(肉化論的) 영성의 하나로 자리잡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신유박해 때의 김광옥이나 기해박해․병인박해 순교자들에게서는 성모 공경이 내세에서 영광스러운 천상의 영복을 얻는 순교 신심의 최종 목적, 즉 종말론적(終末論的) 영성으로 승화되었으니, 이를 박해기의 세 번째 특징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Since 1784 the foundation of Catholic Church in Korea, devotees' faith was developed spontaneously by the lessons of Catholic doctrines. The book of Western Learning from China or books translated in Korean had great deal of influence on it. Devotees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 of the Virgin Mary and the meaning of the name through those books. And they repeated prayers in memory by heart and gave chaplet also. This “Spontaneity of Devotion to Blessed Mary” would be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Devotion to Blessed Mary in the persecution period. “Spontaneity of Devotion to Blessed Mary” was continued to catholic devotion to Blessed Mary. There were some devotees like Yoon, Jeom-hae and Lee, Soon-yee, who understood the chastity of the Virgin Mary and attached great importance of respect on the Virgin Mary. Some other devotees like Lee, Kyung-yen, a member of Myungdo society, had died martyr and martyress for their faith depending upon the grace of the Virgin Mary. The teachings of priest Joo, moon-mo had influenced on the lives of faith of the virgins and members of the Myungdo society. Consequently,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Devotion to Blessed Mary in the persecution period should be “Catholicity of Devotion to Blessed Mary”. As explained above, Devotion to Blessed Mary in the persecution period can be divided into two terms : the terms of catholicizing the spontaneous Devotion of Blessed Mary after the foundation of Catholic Church and the other terms of influencing devotees' faith by the teachings of priests and introduction and extension of communities in the early 1836 when the French Missionaries came to Korea. Therefore, Devotion of Blessed Mary became one of “De Incarnatione Spirituality”, the will for bringing in the priest and rebuilding the church with the devotees reducing the Catholic doctrine to practice and keeping a living faith even in the persecution period. Also, for missionaries in the persecution period, respect on the Virgin Mary was sublimated to “Eschatologic Spirituality”, the last goal of devotion of martyrdom. Accordingly, it would be the third characteristic of Devotion to Blessed Mary in the persecutio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박해기 수원지역에서 활동한 성직자와 그 활동무대

        차기진 수원교회사연구소 2005 교회사학 Vol.0 No.2

        박해기 수원 지역에서 사목한 성직자들의 활동은 크게 기해박해(1839년) 이전과 김대건 신부의 활동 시기(1845~1846년), 병오박해(1846년) 이후로 나뉘어진다. 최초로 조선에 입국한 주문모 신부는 수원 지역 중에서 양근 한감개만을 방문하였다. 그러다가 1831년 조선교구 설정 이후에 입국한 중국인 유방제 신부와 프랑스 선교사 모방 신부, 앵베르 주교에 의해 본격적으로 수원 지역 교우촌 순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어 김대건 신부는 용인의 은이와 배마실 등을 중심으로 사목 활동을 하였다. 1846년의 병오박해 이후 1866년의 병인박해 이전까지 수원 지역을 순방한 선교사는 베르뇌 주교와 다블뤼 주교, 페롱 신부, 칼래 신부, 오메트르 신부 등이었으며, 조선인 성직자 최양업 신부도 때로는 이곳을 방문하였다. 그리고 조안노 신부, 도리 신부, 볼리외 신부도 용인 손골에서 조선어를 배우는 동안 인근의 신자들에게 성사를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박해기 수원 지역의 교우촌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신앙 공동체가 지속된 곳은 광주의 구산, 용인(양지)의 배마실(은이)과 손골, 수원의 양간 등지였다. 또 기해박해 이전에 성직자들이 주로 활동한 지역은 광주·양근(양평)·용인(양지)·과천(안양)·수원(화성)·시흥 등이었지만, 병오박해 이후로는 양근·과천·시흥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여주·안성(양성)·진위 등 수원 남쪽에 위치하는 교우촌의 이름이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ministry of the Catholic clergy during the persecution period in Suwon region can be chronologically divided into three phases: before the Gihae Persecution(in 1839), the ministry of Fr. Kim Daegeon Andreas(1845-1846), and after the Byeong-o Persecution(1846). Fr. Ju Munmo James(a.k.a. Vellozo), who was the very first priest to ever enter Korea, visited only Han-gam-gae(a.k.a. Han-kam-kai) village in the town of Yang-geun in Suwon coun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hosun Diocese in 1831, the Chinese priest Yu Bangje(a.k.a. Pacifico), the French missionary priest Pierre Philibert Maubant, and the French bishop Laurent Joseph Marius Imbert came to Korea and visited various Catholic communities. Following these three, Fr. Kim Daegeon Andreas ministered in the villages of Euni and Baemasil in Yong-in . Between the Byeong-o Persecution in 1846 and the Byeong-in Persecution in 1866, Bishop Simeon Francois Berneux, Bishop Marie Nicolas Antoine Daveluy, Fr. Stanislas Feron, Fr. Alphonse Calais, and Fr. Pierre Aumaitre visited the Suwon region, and Fr. Choi Yang-eop, a Korean priest, also paid a visit from time to time. Fr. Pierre Marie Joanno, Fr. Pierre Henri Dorie, and Fr. Bernard Louis Beaulieu also seemed to have ministered the sacraments to local Catholics while learning Korean language in the Son-gol village in Yong-in. Among the Catholic communities in Suwon, Gusan in Gwangju, Baemasil(Euni) and Son-gol in Yong-in, Yang-gan in Suwon sustained the faith communities for the longest time during the persecution period. Before the Gihae Persecution, the clergy worked most actively in Gwangju, Yang-geun(Yangpyeong), Yong-in(Yangji), Gwacheon(Anyang), Suwon(Hwaseong), and Siheung; but after the Byeong-o Persecution, the names of Catholic communities such as Yang-geun, Gwacheon, Siheung, and the like were no longer mentioned, whereas the names of Catholic communities that were in the south of Suwon, such as Yeoju, Anseong(Yangseong), and Jinwi, appeared frequently in various documents.

      • KCI등재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 과정에서의 포도청의 역할과 천주교 순교사 연구

        차기진 수원교회사연구소 2013 교회사학 Vol.0 No.10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천주교 박해 과정에서 서울의 좌·우포도청이 한 역할을 살펴보고, 103위 성인과 ‘하느님의 종’ 257 명을 중심으로 포도청 증거자와 순교자들을 박해 시기별로 조사해 본 것이다. 기록상의 규정과는 달리 포도청에서는 을묘 박해(1795년) 때부터 천주교 박해에 개입하였다. 또 1801년의 신유박해기에 와서는 천주교 신자들에 대한 기찰·체포가 포 도청의 금조(禁條)에 수록되었다. 신유박해 때까지 포도청의 기찰·체포 범위는 성저십리(城底十쐮) 지역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1839년의 기해박해 때는 그 범위가 경기도까지 확대되었고, 1859∼1860년의 경신박해 때는 충청도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이어 1866∼1874년 의 병인박해 때는 강원도 일부와 경상도 북부 지역까지 경포(京捕)들이 파견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때 포교들에 대한 포상 제는 그들이 경쟁적으로 천주교 신자 체포에 집착하는 결과를 낳았다. 포도청으로 압송된 신자들은 고통스러운 옥살이를 겪으면서 문초와 형벌을 받아야만 했으며, 그 과정에서 신앙을 증거하 거나 순교하였다. 을묘박해에서 신유박해(1801년) 때까지 포도청에서는‘하느님의 종’순교자 5명과 증거자 31명이 탄생하 였다. 이어 1819∼1838년에는 성인 1명과‘하느님의 종’5명이 이곳에서 신앙을 증거하였다. 1839년의 기해박해 순교자는 성인 15명과‘하느님의 종’6명이었고, 신앙 증거자는 성인 54명과‘하느님의 종’1명이었다. 1846년의 병오박해 때는 7명의 성인이 포도청에서 순교했으며, 2명의 성인이 신앙을 증거하였다. 1866∼1874년의 병인박 해기와 1878∼1879년의 무인·기묘박해 때는‘하느님의 종’17명이 포도청에서 순교하였고, 성인 13명과‘하느님의 종’15명이 신앙을 증거하였다. 천주교회사에서 포도청이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의 첫 번째 순교터이자 마지막 순교터라는 데 있다. 둘째, 포도청은 서울에서 서소문 밖 형장(성인 44명, 하느님의 종 26명 순교) 다음으로 많은 순교자(성인 22명, 하느님의 종 28 명)가 탄생한 순교터였다. 셋째, 포도청은 성인 70명과‘하느님의 종’52명 등 122명의 증거자를 탄생시킨 한국 최대의 신앙 증거터였고, 신앙 증거자들을 통해 서울 및 각 지방의 형장과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 넷째, 포도청은 1866년의 병인박해 이후 서울의 최대 순교터가 되었다. This research paper is a study on the role of Podocheong in the Catholic persecution of the late Chosun and the witnesses of faith & martyrs focusing on 103 saints and 257 servants of God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Unlike the provisions of Record, Podocheong were involved in the Catholic persecution since Eulmyo(乙卯) persecution(1795). And the Investigation and arrest for Catholics was included in the prohibition of Podocheong within the Period of Sinyu(辛酉) persecution(1801). The Investigation and arrest range for Catholics of Podocheong was confined to the area of Seongjeo-sipri(城底 十쐮). Then its scope was expanded to Gyeonggi-do within the Period of Gihae(己亥) persecution(1839) and was expanded to Chungcheong-do within the Period of Gyeongsin(庚申) persecution(1859∼1860). Next Gyeongpo(京捕) was dispatched to Gangwon-do & North Gyeongsang-do within the Period of Byeongin(丙寅) persecution(1866∼ 1874). In this case the reward system for Pogyo(捕校) has resulted in obsession over the arrest of Catholics. The Catholics who were sent to Podocheong must be endured the suffering of prison life and received the interrogating a criminal and painful punishment. In the process, they must be proved their faith or died a martyr. From Eulmyo to Sinyu persecution 5 martyrs & 31 witnesses of faith among the servants of God were produced. 1819-1838 1 saint & 5 servants of God proved their faith in Podocheong. During the Gihae persecution Martyrs of 15 saints & 6 servants of God and witnesses of faith of 54 saints & 1 servants of God were produced from Podocheong. During the Byeongoh(丙午) persecution(1846) 7 saints martyred in Podocheong and 2 saints proved their faith in the same place. During the Byeongin and 1878-1879 persecution 17 servants of God martyred and 13 saints & 15 servants of God proved their faith in Podocheong. The significances of Podocheong in the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are as follows: First, Podocheong was the first and last site of martyrdom in Seoul. Second, Podocheong had a lot of martyrs(22 saints & 28 servants of God) next Seosomun(西小門) execution ground(44 saints & 26 servants of God). Third, Podocheong was the maximum witnesses’site which produced 122 witnesses of faith(70 saints & 52 servants of God) in Korea and was connected Seoul & province execution ground because of witnesses of faith. Fourth, Podocheong was the maximum martyrs’ site in Seoul since Byeongin persecution.

      • KCI등재

        해미 지역의 천주교와 순교사 연구

        차기진 수원교회사연구소 2007 교회사학 Vol.0 No.4

        1801년의 신유박해 이전 해미에서는 인언민(마르티노)과 이보현(프란치스코)이 순교하였고, 1811~1839년의 기해박해 이전에는 김진후(비오)가 1814년에 옥사한 것을 비롯하여 모두 8명이 순교하였다. 또 1866년 이후의 병인박해기에는 122명에 이르는 순교자가 이곳에서 탄생하였다. 이처럼 해미의 유명 순교자는 모두 132명에 이르는데, 여기에 무명 순교자 47명 이상의 수를 더하면, 기록으로 확인되는 박해기의 순교자 총수는 179명 이상이 된다. 한편 해미 순교자들의 순교 형식은 교회 순교록을 통해서만 67명이 확인되는데, 그 중에서 교수형이 3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참수와 옥사가 각각 5명, 병사가 4명, 생매장이 3명, 장사가 3명, 미상이 14명으로 나타난다. 해미읍성 안의 진영 동헌 앞은 순교자들이 갖은 문초와 형벌 속에서도 신앙을 증거한 장소가 되며, 읍성의 옥은 신앙 증거 장소요 중요한 순교 터가 된다. 또 서문 밖의 교수형(혹은 참수형) 터와 문 마리아, 박 요한, 방 마리아 등이 생매장으로 순교한 조산리의 생매장(교수형 포함) 터도 교회사는 물론 지역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해미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생매장 순교 터와 그 순교자의 유해가 확인 발굴되고 보존되어 왔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Before Sinyu(辛酉) Persecution in 1801, In Un-Min Martin and Yi Bo-Hyun Francis were executed in Hae-mi(海美) before Gihae(己亥) Persecution between 1811 and 1839, Eight catholics died for their belief, including Kim Jin-hoo Pius(金震厚) who died while in jail in 1814. Also, a total of 122 martyrs occurred during the Byeongin(丙寅) Persecution Period after 1866. Like mentioned earlier, the number of well known martyrs in Hae-mi were 132, when you add over 47 people with unrecognized martyrs, then the total number of martyrs in Persecution period would be more than 179. On the other hand, we can confirm 67 people who were identified from martyrologies about martyrs's foam of martyrdom. they were known as followings. 33 people were died by hanging at most. And five people were died by beheading as well as in jail. Four of them died from a disease, three were died by burying alive, and three were beaten to death. Unknown deaths were 14 out of 67 martyrs. In front of Jin-Young Dong-Hun(陣營 東軒) of Hae-mi Ub-Sung(海美邑城) is a place where martyrs testified their religion in spite of interrogation and punishment, and jail of Ub-Sung(邑城) is a place for not only confession of martyr's religion, but an important spot of martyrdom. Also, the spot died by hanging(or by beheading) outside of The West Gate(西門) and the spot of Jo-San-ri(造山里) where Moon(文) Mary, Park(朴) John, Bang(方) Mary and etc put to death by burying alive have very important significance for histories of a region and a Catholic church as well. Especially, Hae-mi(海美) has a considerable significance because it is the only place in Korea where the spot by burying alive and ashes of martyrs have been confirmed and found, and being preserv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