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동지, 인지, 행동조절전략의 종단적 과계

        문병상(Byung Sang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3년 동안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조절전략들 간의 종단적 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의 2차 년도부터 4차 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시점에 걸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에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의 자기회귀 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이 각각 이후 시점의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이 각각 다음해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에서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의 교차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3년에 걸쳐 동기조절은 다음해 인지 및 행동조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인지조절은 다음해 동기조절에 아무런 양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행동조절은 다음해 동기조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행동조절은 인지조절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동기조절과 행동조절 간에는 상보적 인과 관계(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은 모두 서로 원인과 결과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동기조절과 인지조절은 상보적 인과 관계가 없었다. 즉 동기조절은 인지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나 인지조절은 동기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넷째,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은 상보적 인과관계가 있었다. 즉 행동조절은 인지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동시에 인지조절은 행동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에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조절의 종단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2(2006)-T3(2008)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in self-regulated learning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That is, prior motivational self-regulated strategy predicted subsequent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significantly. Second, the prior cognitive self-regulated strategy did predict subsequent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significantly. Third, the prior cognitive self-regulated strategy did not predict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Fourth, there were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and there was a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

        초등과학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안미경 ( Mi Kyung Ahn ),정영란 ( Young Lan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초등 과학수업에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형태가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실제 자기조절학습의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개월간 자기조절학습 수업모형을 서울C초등학교 5학년 1개반(3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이 학생들의 인지, 동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상위, 중위, 하위그룹에서 남녀 1명씩, 총 6명을 집중관찰학생으로 선정하여 정성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B와 학생C는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의 혼합으로, 학생E와 학생F는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의 혼합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D는 ``인지조절``, ``동기조절``뿐 아니라 ``행동조절``의 혼합형태로 자기조절학습이 발전하고 있었다. 이처럼 자기조절학습은 각각의 영역에 의해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고 있었다. 즉, 유기적인 관계속에서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며, 동기조절이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을 유도하며, 인지조절이 다시 행동조절을 유도하는 구조를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ulate their learning in science class and proposes type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on three main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regulation of cognition, regulation of motivation, and regulation of behavior. Six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groups (from high/middle/low levels of science achievement) based on quantitative data. The study showed that the self regulated learning teaching model can improve a cognitive regulation, motivative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And each factor contributed independently in the enhancement of self regulated learning capacity. However, the combination of cognition and motivation, and the combination of motivation and behavior also appeared to have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the capacity. The combination of all three factors also appeared to have impact.

      • KCI등재

        무용과 대학생의 목표성향과 학습동기 및 인지-행동적 조절전략의 관계성 검증

        박중길 ( Jung Gil Park ),한미경 ( Mi Kyoung Ha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과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결정성 동기가 인지-행동적 조절전략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725명의 무용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 학습동기 및 인지-행동 자기조절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수행-숙달접근과 숙달회피성향은 메타인지전략과 도움구하기의 행동전략에, 수행-숙달접근성향은 노력조절과 수업시간관리의 행동조절전략을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내적 동기는 도움구하기, 동일시 규제는 메타인지전략과 노력조절 및 수업시간관리의 행동전략, 무동기는 노력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외적 규제는 인지-행동 자기조절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성취목표와 학습동기 및 인지-행동적 조절전략의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ognitive-behavioral regulation strategies among college dance students. A total of 725 university dance students answer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Data were analyzed by EFA,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erformance-mastery orientation and mastery avoidance wer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metacognitive strategy and seeking help of behavioral strategy. Intrinsic motivation predicted the level of seeking help, identified regulation predicted significantly metacognitive-behavioral strategies of effort, class time management. Whereas amotiv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on effort, external regulation affected significantly both 세 cognitive-behavioral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자기주도학습 능력 진단검사 도구의 구성요인 탐색

        이다현(LEE Da?Hyun) 한국글로벌문화학회 2017 글로벌문화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진단검사 도구의 구성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 영역의 세부 구성요인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세 영역의 하위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관련 문헌고찰 및 사례분석을 하였다. 특히 약 8,000명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온 숭실대학교 SMMIS 모형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내용과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일차적인 구성요인을 추출한 뒤,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를 수정,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13개의 요인을 선정하였다. 동기조절 영역에서 자기효능감, 귀인성향, 학습의 목표성향, 자기결정성을, 인지조절 영역에서 인지전략으로 시연, 정교화, 조직화, 상위인지전략으로 계획, 점검, 조절을, 행동조절 영역에서 행동통제, 시간/환경관리, 도움추구를 자기주도학습능력 진단검사 도구의 최종 구성요인으로 결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measurement scale for K-12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omponents of motivation regulation factor of K-12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2) What are the components of cognition regulation factor of K-12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3) What are the components of behavior regulation factor of K-12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earch method wer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es, and focus group interview. Thirteen components were identified after literature review and analyses of content and results from 8,000 cases of Soongsil University’s SMMIS-based SDL program appli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nine educational exper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lf-efficacy, attribution type, goal orientation style, self-determination in the motivation regulation factor; rehearsal, elaboration, organization of the cognitive strategy and planning, review, control of the meta-cognitive strategy in the cognition regulation factor; behavior control, time/environment management, help seeking in the behavior regulation factor.

      • KCI등재후보

        자기조절학습 구조에 대한 발달적 경향 탐색

        정미경(Chung, Mi Ky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발달하기 시작하는 자기조절학습이 중·고등학교로 진학해 감에 따라 어떻게 분화하게 되는지 발달 경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고등학생까지 총 3,394명이 참여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자기조절학습 구조모형에 대한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급별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이론적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3차원의 자기조절학습 위계모형이 적합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학생의 경우는 인지조절의 2차 요인이 인지전략 요인으로 분화된 형태인 모형이 적합모형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고등학생의 경우도 인지조절의 2차 요인이 인지전략과 초인지전략으로 분화된 형태인 모형이 현실자료와 합치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다변인 복합체로 구성된 자기조절학습의 구조는 동기 조절, 인지 조절, 행동 조절의 하위영역을 포함한 위계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분화되는 정도 및 위계적 특성이 달라진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Self-regulated learning has became a popular construct in educational psychology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of self-regulated learning development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I first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an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then defined the concept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model. The conceptual models, which were developed and tested in this study was not parallel model, but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3,394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who were in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C+ Program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using AMOS program(ver. 4.01). Such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s best fit model by developmental level. In conclusi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not parallel model, but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 행동과 자기결정성 동기, 학업 자아개념,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관계

        박소희,조민아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0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이론과 자기결정성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 행동이 인지적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결정성 동기, 학업 자아개념이 매개하는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경험적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중학교의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 행동 중 자율성 격려는 확인/통합된 조절동기, 내적 조절동기, 학업 자아개념을 매개로 인지적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 행동 중 학업정보제공은 학업 자아개념을 매개로 인지적 조절학습 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내적조절동기와 학업 자아개념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인지적 자기조절학습 전략으로 가는 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과 교육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On the basis of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ory proposed by Deci and Ryan and prior research findings,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positiv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behavior would affect student's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rough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self-concep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with data from 500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Results showed that the link between 'encouraging autonomy by parents' and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partially mediated by two self-determined motivations, and academic self-concep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link between ‘offering academic information' and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partially mediated by academic self-concept and only 'internally determined motivation'.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현황과 교육적 함의

        박승호,서은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4 No.1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psychological and social devices to foster self-regulated learning of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investigated meta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current research. In terms of metacognitive factors, we reviewed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of adolescents for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Especially we gave a great emphasis on the role of comprehension monitoring metacognitive strategy for the learning to read in this review. For motivational factors, recent research of self-regulated learning has tended to focus 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The current research examining behavioral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has tended to focus on time manage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Research findings in the motivational aspect suggest that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to improve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recognize new re-conceptualization of the goal theory. Research findings in the behavioral aspect recommend practical tips and strategies to improve time management skills and to overcome academic procrastination. Finally,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우리가 고려해야 할 심리적 측면과 사회·정책적 측면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최근 연구들의 초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영역별 주요 관심사를 살펴보았다. 초인지적 영역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에서 인지전략과 초인지전략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특히 읽기학습에서 자기조절기능으로 간주되는 이해점검 초인지전략의 연구동향을 고찰하였다. 동기영역의 연구결과들은 자기효능감과 목표지향성의 최근 연구 동향을, 행동영역의 연구결과들은 시간 관리와 지연행동의 최근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이러한 연구동향이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향상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동기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수행목표지향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언급하였다. 행동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시간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전망

        정미경(Chung, Mi ky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2

        본 연구는 영재의 자기주도학습 특성을 고려한 국내외의 자기주도학습 모형과 프로그램을 탐색하여 영재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외의 문헌분석에 의해 영재성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높은 관련성을 갖고 있지만, 동기 조절, 인지 조절, 행동 조절의 하위 구성요인의 통합에 의해 이루어진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수준에는 다양성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또한 영재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동기 조절, 인지 조절, 행동 조절은 별개로 다루어서는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호 융합되어 시너지 효과를 갖게 되는 구인으로 가정하였다. 끝으로, 영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서 파악된 몇 가지 과제와 전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진단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영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따른 유형화가 필요하다. 셋째, 영역 일반적 혹은 영역 특수적 영재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영재를 위한 사이버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and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and to development and asp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is, I first reviewed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s to explored the various features and elem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uch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such as motivation, cognition, and behavior regulation was major factors determining educational achievements of the gifted studen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gifted education it is required to be developed of self-regulated learning test for gifted students. 2. In the gifted education it is required a program developed of self-regulated learning type for gifted students. 3, In the gifted education it is required to be developed of domain generality program or domain specificity program for gifted students. 4, In the gifted education it is required to be developed of cyber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

        A Study on the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of General English and Spanish Learners in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Myeong-Hee Shin,Pil Woon Kang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전략에 있어서 교양영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전통 학습(Traditional Learning) 있어서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바 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양영어와 교양스페인어에 있어서 거꾸로 학습 전략이 학습자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해보았다. 2018년 9월 10일부터 2018년 12월10일까지 교양 영어와 교양스페인어 수강생 총 81명을 대상으 로 하였으며 사전 사후 자기조절 테스트를 통해서 1) 인지조절능력, 2) 동기조절능력, 3) 행동조절능력 세 개의 영역의 변화 를 고찰했고 3개의 영역은 6개 하위영역, 총 65개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 동기 조절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영어와 스페인어 수업 모두 인지 및 행동조절 학습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flipped learning strategy affects learners' self-regulating ability in both general English and Spanish, based on the study hypothesis that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of general English learners will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in comparison to that of traditional learning. The study was also focused on how flipped learning was related to learners' self-regulating ability. From September 10, 2018 to December 10, 2018, a total of 81 students in general English and Spanish were surveyed in which three sub areas of self-regulating learning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control) were considered, and which were divided into six sub-domains, a total of 65 items were composed. Although not very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in the case of motivational control, both English and Spanish class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ies.

      • KCI등재후보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고찰 및 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 모색

        한민경,이순복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아동 및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과는 구별되는 심리적 구인이라는 이론 및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교육적 개념, 발달 특성, 교육 프로그램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에 있어 학령기에 있는 중·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과는 차별화되는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조절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발달은 다차원적인 학업적성의 복합체로서 후천적으로 계발 되는 것이기 때문에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환경과 지원전략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ecent research and psychological theory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a-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current research.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for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was reviewed. Regarding motivational factors, goal orientation was discussed as one of key factors for support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 current research examining behavioral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focuses on time management in conducting tasking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Research findings emphasize that for efficiently supporting teachers' self-regulated learning, the researcher or teacher educators needs to consider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in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adult learners, especially teachers, and adolescents or children. Based on the review discussed above,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