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교육 관련 민간자격 교육과정 분석 연구

        이만수,Lee, Man-So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3

        이 논문은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자격을 수여하고 있는 민간단체를 조사하고, 민간자격을 위한 교육과정을 논의하였으며, 자격을 위한 교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자격을 수여하는 민간단체가 지나치게 많다. 둘째,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수여되는 자격증은 민간자격이다. 셋째,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수여되는 자격은 독서지도사, 논술지도사, 독서치료사, 독서코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넷째, 독서교육에 관련된 자격증 수여는 민간자격이라도통합 관리하는 주체가 필요하다. 다섯째, 수여되는 자격을 위한 교육과정과 과목의 선정 및 내용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rivate organizations which have issued the certificates according to the reading education, to describe the right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 and to propose the proper subjects and curriculum for it. The results of the surve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ivate organizations which have issued the certificates are so many. 2) The certificates which have been issued are not to acquire the proper authorities' cachet. 3) The kinds of the certificate are reading instructor, reading therapist, reading couch, etc. 4) It's necessary for the chief organization to manage all of the organizations which have issued the reading education certificates. 5) It's thought that it's necessary to study more the subjects and curriculums as for the proper reading education certificates.

      • KCI등재후보

        사회교육기관의 독서 프로그램 운영 실태

        정옥년 ( Ok Ryun Jung ) 한국독서학회 2004 독서연구 Vol.- No.12

        이 연구에서는 사회교육기관에서 독서지도를 담당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독서전문가로서 필요한 자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을 지도자 대상 프로그램과 학생 대상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독서지도에서 토론수업 모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독서프로그램의 목적은 사고력과 독해력 계발이 가장 많았다. 독서지도에서 많이 강조되는 활동은 통합적 활동이었고, 학습 자료는 필요에 따라 가르치는 사람이 직접 제작하거나 미리 제작된 교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독서프로그램의 성공여부는 학생의 흥미와 객관적인 검사 결과, 부모의 만족 등을 통해서 알아보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비용은 거의 학습자 부담이었다. 그러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는 독서지도 담당자들의 교육배경과 활동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독서전문가로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내용은 이해력 향상과 글쓰기 전략이었다. 독서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기관의 성격에 따라서 지도자 대상 프로그램의 성격을 달랐으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질과 강사진의 수준, 운영방식도 차이가 있었다. 학생 대상 프로그램은 단계별 교육과정 체계, 독서기능과 학습용 워크북, 집단구성 방법, 강조하는 활동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nature of reading instruction in the social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form was made and sent to the reading coaches who were working in the social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cussion model was used more frequently by the reading coaches than any other reading instructional models.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reading coaches, there was some differences in the objectives of reading instruction, the kinds of reading materials and the workbooks which were utilized to develope reading skills. Third, the strategies to develope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ability were the qualities that the most reading coaches selected to be needed to them.

      • KCI등재후보

        일본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제도와 독서교육의 시사점

        임형연 한국일본교육학회 2016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0 No.2

        어린이 독서활동추진에 관한 법률은 일본의 어린세대의 독서능력향상을 위해 가정, 지역, 학교의 역할을 규명하고 지역, 사회단체들과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일본의 독서지도의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민간단체의 독서지도에 대한 활동 중에서 특히 독서지도 관련 전문가양성제도를 살펴봄으로서 일본의 독서교육의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일본 독서지도관련전문가 양성제도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보다는 지방자치단체, 도서관협회가 독서관련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전문인력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 둘째, 개인이나 민간단체가 주도적으로 양성하는 독서지도 전문가는 보다 엄격한 강좌를 통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으며, 갱신제도를 통해 그들의 전문가로서 역량이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독서전문가 교육이 소득을 목적으로 하는직업인으로서 보다는 독서를 통한 개인의 자기개발 및 자기교육 도모, 이러한 지식과 기술을터득함으로서 육아에 도움을 받는 것, 배움을 통한 정보교환 및 공동체 형성과 문화교류의 도모등이 강조되는 특징이 있다. The Act on activities for promoting children's reading of Japan's younger generation aims to identify the role of home, community, and schools in order to improve reading skills. It emphasizes the co-operation between related local and social organizations. The civic group is one of the leading organizations for the Reading Instruction Expert Training System in Japan. This research analyzes this training system for reading instruction expertise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in Korea. Individuals or private organizations, rather than municipalities or library association, has stronger initiative for training reading instructors with rigorous courses. Professional competence for reading instruction is updated through the system to maintain knowledge and skills of instructors to improve the child care education.

      • 독서관련 민간자격과 교육 및 훈련과정 현황 분석

        황금숙,이경민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독서관련 민간자격증의 발급 현황과 독서관련 교육 및 훈련과정 현황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독서문화진흥 정책의 참고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조사?분석 결과, 278개 과정의 독서관련 자격증이 모두 민간 비공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질적 제고의 노력과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요구되었다. 또한, 독서관련 교육 기관 및 훈련 과정을 조사?분석한 결과, 많은 교육기관과 훈련기관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교현장에서의 학생들과 도서관 현장에서의 이용자를 위한 독서교육을 담당할 인재들을 활발히 양성하고 있었다.

      • KCI등재

        문화역사 활동이론에 근거한 독서교육전문가 활동 사례

        김효숙 ( Hyo Sook Kim ),이경화 ( Kyung Hwa Lee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39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혁신교육지구 초ㆍ중ㆍ고등학교에 파견된 독서교육전문가 가운데 중등 독서교육전문가의 활동을 문화역사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학교 밖 독서교육전문가가 학교 현장에 들어가서 5년 동안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를 밝힘으로서 앞으로 학교 독서교육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실질적인 방안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처음에는 학교 독서교육전문가라는 낯선 역할로 많은 어려움과 갈등을 겪었으나, 학습공동체의 운영과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극복해 나갈 수 있었다. 교사와 독서교육전문가와의 협력수업은 다양한 모형의 교과연계 독서수업을 창의적으로 탄생시켰다.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태도와 독서능력이 향상되면서 독서교육전문가로서의 역할 확립과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었다. 학교 독서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 교사의 독서교육역량 강화와 함께 학교 밖 독서교육전문가들의 축적된 역량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모색과 정책이 뒷받침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school reading specialists among all other reading specialist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first assigned in Korean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on a basi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etical perspective’ theory. It seeks to assist in the field of the development in policies and practical plans of activation of school reading instruction by exploring which role outside reading specialists have played in schools. At first, school reading specialists faced many challenges as it being an uncommon occupation. However, they overcame those obstacles by managing learning community and communicating actively. Also, collaborative instruction of teachers and reading specialists gave rise to creation of a wide variety of new subject-related reading instruction models. It helped improve student``s attitudes toward reading a book and their reading proficiency, and form the identity of reading specialists and their roles. In order to activate reading instruction at school, teachers are encouraged to enhance their reading competence. Also, we should explore and adopt policies that support the work of reading specialists, and build an environment where reading specialists can make the best of their capabilities.

      • 『한국의 독서관련 단체/기관』에 대한 고찰

        윤인현 ( In Hyun Yoon ),류주현 ( Ju Hyun Ru ) 대진대학교 독서문화연구소 2010 독서문화연구 Vol.9 No.-

        본 연구는 『한국의 독서관련 단체/기관』에 대하여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에서 독서인이라는 사이트에서 정리해 놓은 내용을 중심으로 33개 단체/기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독서를 중요시 여기는 우리나라는 이외로 독서관련 단체와 기관이 많은 편이다. 한국의 독서관련 단체/기관은 첫째 설립 주체의 소속은 공익(공립), 사단(사립), 시민단체가 있다. 둘째, 운영 주체의 성격은 독립, 운영 주체 소속 등이다. 셋째, 설립 주체의 성격은 연구, 운동, 연구 및 운동의 복합, 학회 등이다. 넷째, 영리, 비영리로 나눌 수 있다. 다섯째, 운영 자금의 조달 방법은 기부금, 회비, 수익 사업(출판, 강의료, 인터넷 광고), 국가 지원 등이다. 여섯째, 운영 대상은 유아(미취학 아동), 초등학생, 중고등학생(청소년), 일반인(성인), 교사, 학자, 교사 등이다. 일곱째, 주요 업무로는 독서교육, 독서운동, 정간물 발간, 서적 출판, 세미나, 강연회 등 학술활동, 도서관 설립 등이다. 여덟째, 자격증 발급은 독서지도사, 논술지도사, 독서치료사, 독서지도전문가 등이다. 아홉째, 사단법인 단체가 많고, 운영 자금 조달은 기부금, 회비, 수익사업 등이다. 열째, 주요 업무는 독서교육, 독서운동이 중심이다.

      • KCI등재

        독서교육전문가의 자격 관리에 관하여

        최지현 ( Ji Hyun Choi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6

        2003년 한국독서학회에 의해 지정된 독서교육 분야의 민간 자격으로서 독서교육전문가는 독서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연구자 및 교육자들에게 그들의 전문성 수준에 부합하는 공인된 전문 자격을 부여하고자 만들어졌다. 지난 11년 동안 독서교육 분야 종사자 약 1,000여 명에게 세 등급으로 나뉜 자격을 부여하면서 이 분야의 대표적 전문 민간자격으로 자리매김되어 왔다. 하지만 독서지도사를 비롯한 기존의 유사 민간자격들이 난립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들어 오히려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자격 자체의 신뢰성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본고는 이 문제의 근본 원인이 공인된 민간자격의 부재에 있다고 진단하고, 실질적으로는 독서교육전문가 자격 규정이 본래의 취지를 실현시키지 못한 것이 문제 요인이 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고는 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전문가 자격 규정과 운영 상황을 살펴, 1) 자격 발급 요건의 엄정함에 비해 이를 실행할 방안이 미비했던것, 2) 자격의 권한과 각 자격별 직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것, 그리고 3) 자격 발급 후 질 관리를 위한 재인증과 재교육에 관한 규정과 제도가 마련되지 못한 것 등을 구체적인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보완할 정책 방안으로 자격 양성을 자격 인증과 분리함으로써 자격 관리자로서 한국독서학회의 공공성과 대표성을 강화하고, 자격 급별 직무의 범위와 전문성 분야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협약을 통해 이를 뒷받침함으로써 독서교육 분야 종사자들에게 해당 자격 취득의 구체적인 필요를 갖게 하며, 재교육 및 재심사 등의 자격 유지 요건을 강화함으로써 독서교육전문가의 전문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Reading Association defined the term ``Reading specialist`` as a private qualification of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in 2003, in order to authorize professional qualification apt for the level of expertise of scholars and instructors specializing in reading education. The term has been established as legitimate throughout the past eleven years, endowing over a thousand people in three different levels of credentials. However, similar non-certified qualifications continue to flood, and moreover, recently show a sharp increase in number, ultimately undermining the credibility of the qualifi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diagnosed the fundamental problem to be in the lack of an authorized system, and the failure of the reading specialist qualification to execute its original purpose. Based on observations of the Korean Reading Association`s regulations and the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reading specialist qualification program, I discovered that 1) compared to the strictness of the conditions required for certification, the management was insufficient; 2) the boundaries of the scope of authority given to the qualified and the roles of each specific qualification are obscure; 3) there exists no system nor regulations for retraining or re-certification after once the qualification has been given. Therefore I propose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to complement these problems: First,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and representability of the Korean Reading Asscociation as the qualification manager, the certifi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process of training through establishing qualification programs for institutions and programs. Second, to provide the necessity of the certification to th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the scope and level of expertise of each qualified level should be clearly publicized and recognized through association with respectiv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hird, to maintain the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of reading specialists the conditions of maintaining said qualification should be rendered stricter through re-training programs and re-examinations.

      • KCI등재

        독서관련 자격증 운영 현황 분석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황금숙,김수경,Hoang, Gum-Sook,Kim, Soo-K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독서관련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독서관련 자격증의 발급 현황과 교육과정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 278개 과정의 독서관련 자격증은 모두 민간 비공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질적 제고의 노력과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요구되었다. 이를 토대로 민과 관이 협력하여 독서관련 자격증의 질적 제고를 위한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독서문화진흥 정책의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looks at the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that examine the issues into the curriculum of reading-related qualifications specifically. The results of analysis, 278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are both operated by the private non-accredited. And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system was required the effort and systematic enhance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education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survey, It is proposed operational plans for the quality of reading-related qualifications by cooperation of the private and government that are utilized as a reference in the promotion policy.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 조사 연구 -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지역아동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순영 ( Lee Soon-you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3

        이 연구는 아동복지시설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기획되었다.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은 취약계층 아동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교육과 사회복지 분야에서 모두 적절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유의표집과 눈덩이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우수 사례로 평가받는 28개 사례를 조사하였다. 독서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운영계획서), 수업 관찰, 시설 종사자와 강사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한 독서 프로그램의 기본 특성은 운영 체계, 운영자, 예산, 사례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들은 소수의 아동과 장기간 자유롭고 창의적인 활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강점도 있으나, 1)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의 적합성 문제, 2) 목표-내용 간정합성 부족, 3) 프로그램 운영과 효과에 대한 평가 미비 등 각종 문제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독서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독서 활동은 없거나 미비하고, 문화예술체험 활동이 과도하고, 외부 강사가 가져온 프로그램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시스템이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였다. This study examined 28 reading-specialized programs provided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in South Korea. Various data including program syllabus, class observations, interviews(program lecturers and center-chairs), and fieldnot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in two years. This study first found out major characteristics of reading program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such as program operations and dual system by center-chair and program lecturer. Although reading program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had many strengths based on the small group of children and the possibility of flexible and creative reading activities, most programs had many fundamental issues and problems, especially mismatch between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the lack of reading activities. Unpacking embeded issues in reading programs in these institutions, some ideas and sugges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program were suggested.

      • 학습자 중심 이러닝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이인수 한국독서교육학연구회 2011 독서교육연구 Vol.- No.8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닝 콘텐 츠를 수업의 주체라는 측면에서 보면 교수자 주도 강의형과 학습자 주도 학습형의 두 가지 형 태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이러닝의 형태는 교수자 중심의 일방적 강의 형태이다. 교수자 주도 강의형 콘텐츠는 실제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보여 주거나, 교수자가 동영상으로 설명하는 방법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방식은 문자정보, 시각적, 청각적, 비언어적인 것까지도 전달할 수 있는 매체적 속성을 갖고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방 적인 강의 전달로 흐르기 쉽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반면, 학습자 자기주도 학습형 콘텐츠는 텍스트의 이미지, 음성 및 동영상의 다양한 자료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유형이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플래시 등을 사 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정교한 스토리보드가 필요하여 쉽게 개발하 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향후 이러닝의 형태는 개발상의 어려움들이 있지만 결국은 학습자 중 심의 자기주도적 콘텐츠 모형으로 나아갈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기주도형 콘텐츠 개발 사례로서 이러닝을 통한 독서지도사의 양성교육 과정을 분석하였다. 독서지도사는 학생들이 독서활동을 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전문교사이다. 이러닝의 특성이 학습자의 자율성과 적극성을 요구하는 것 이므로 이러닝 독서지도사 양성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들 역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서지도사 수강 과정에서 요구되는 이러닝 수강 과정을 분석하여 자기주도 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