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개발 및 활성화지역 선정 연구

        유선철,여관현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4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설정하고, 이 지표를 서울지역에 적용하여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도시재생 지표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요소들이 반영되어 적용될 수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재생지표를 서울특별시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선정하였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의 선정은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도시재생 지표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적용하여 도출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 취약지역은 영등포구, 양천구, 광진구, 성동구, 용산구, 서초구, 강북구, 동대문구, 마포구, 송파구로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 취약지역을 전력 사용량을 상・하위로 구분하면, 상위 행정동은 여의도동, 역삼1동, 방배2동, 하위 행정동은 월곡3동, 잠실2동, 강일동 등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전력 사용량을 상・하위로 구분하면, 상위는 구의1동, 명동, 소공동, 하위는 진관내동, 진관외동, 강일동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은 강북구, 영등포구, 성동구, 동대문구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법제의 현황과 전망

        조성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9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9 No.4

        In the process of rapid urbanization, it focused on physical maintenance. The social and economic promotion of the residents was not promoted. Under this consciousness, not only the physical aspects but also the means to revitalize the deteriorated city in terms of environment, life and economics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is a new paradigm of urban policy, also known as urban regeneration. The term “urban regeneration” means economic,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revitalization of a city which is declining due to depopulation,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indiscriminate expansion of cities, deterioration of the dwelling condition, etc. by strengthening the local capacity, introducing and creating new functions, and utilizing the local resources.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has succeeded in shifting the paradigm from the “development” of urban policy to the “regeneration”.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many aspects, including lack of government support. Therefore, as a comprehensive national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strategy, the city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The revised law is in effect to promote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t contains the city regeneration certification project, city regeneration general project manager, and innovation district designation. There are four ways of urban regeneration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e four ways are as follows: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Block Grant, Introduction of contract system in the form of regional development investment agreement, Improvement of special accountf, introduction of Tax Increment Financing system. For the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Block Grant, Law revision is needed in the Special Act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lans. and The content is a revision of the Subsidization in local autonomous account of the Accounts -Subsidization for the following projects undertaken by local governments. The use of administrative contracts is necessary. That is, activ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investment agreement in the Special Act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lans. The scope of the special account for urban regeneration shall be limited. Tax Increment Financing systems should be introduced under certain requirements. 우리나라의 경우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물리적 정비에 치중하여 건설사업에 집중하고 주민의 사회 경제적인 증진을 도모하지 못 하였고,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단순한 물리적 측면만이 아닌 쇠퇴한 도시를 환경, 생활, 경제적 측면에서 재활성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였다. 이는 곧 도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고 이를 일컬어 도시재생이라 한다.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시재생 특별법의 제정으로 도시정책의 “개발” 중심으로부터 “재생” 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에는 성공했으나, 계획수립 중심・낮은 체감도・정부지원 미흡 등 한계를 보였다. 이를 참고하여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인프라 확충, 지속가능한 재생역량 강화 등을 위한 종합적인 국가 도시재생 추진전략으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도시재생 인정사업, 도시재생 총괄사업관리자, 혁신지구 지정 등의 내용이 개정 도시재생 특별법에 반영되어 시행중이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방안으로는 포괄보조방식 예산편성 확대, 지역발전투자협약 형식의 계약제도 도입, 특별회계 자체의 개선, 조세담보 금융제도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포괄보조금의 기능 확대를 위해서는 도시재생사업을 포괄보조사업의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으로 활용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34조의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에 대한 보조 항목에 도시재생 특별법을 포함하는 개정이 필요하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상 지역발전투자협약은 중앙과 지방이 지역균형발전사업에 관해 합의하는 행위로 대표적인 협약이고 공법상 계약인데, 투자협약 제도 자체를 전체적인 국가보조금 사업에 적용 가능하도록 조문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도시재생 특별회계에 있어서는 그 운용범위를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한정하여야 할 것이며, 조세담보 금융제도 역시 문제점을 참고하여 일정한 요건 하에 그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 KCI등재

        도시재생에 대한 유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 분석과 분류 -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마을 만들기를 포함한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최성익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ult types of service design through the cas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including the vitalizing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design. Firstly, I reviewed the history and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new deal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Korea. And also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service design by examining that service design processes and methods are adopted in urban regeneration. Secondly, I analyzed several cases of urban regeneration to classify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ult types. So I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lowing cases. In the case of 'Local city revitalization', I was able to find that the policy for the system of city regeneration and conservation of government such as 'Main street program', 'Historic district designation' and 'Traditional environment preservation ordinance' was a lot of support for the project success. In the case of 'Village community renewal', I learned that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was important, but the cooperation and the lead of local residents, traders and building owners were the keys to the success of the project. In the case of "Revitalization space centered urban regeneration," I learned that private companies purchased space or buildings first in this kind of project and then revitalized the area by developing the space that contained the identity of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to coexist with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study, I Finally found that the intangible outcomes were 10 categories in total such as 'group establishment, finance, education, caring, cultural property system, transportation system, meeting/club, experience/play, festival/event’ and the tangible outcomes were 11 categories in total such as ‘space regeneration, landscape design, environmentally friendly green area development, public and exchange facilities, education facilities, care facilities, residential/commercial, culture/arts, lodging facilities, silver facilities and safety facilities’.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마을 만들기 사례를 포함한 여러 도시재생 성공 사례들을 통해 도시재생에 대한 유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들을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도시재생의 역사와 개념, 한국의 도시재생 뉴딜 정책 등에 대해 고찰하였고 도시재생이 어떠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방법을 도입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도시재생과 서비스 디자인의 관계를 밝혔다. 그리고 도시재생에 대한 유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조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사례들의 특징을 파악하게 되었다. ‘지역단위 도시재생 사례’에서는 지역 주민의 참여와 더불어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 ‘역사지구 지정’, ‘전통 환경 보존 조례’ 등과 같은 정부와 지역 지자체의 도시재생과 보존에 대한 제도가 사업 성공에 많은 뒷받침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마을공동체 도시재생 사례’에서는 정부나 지자체의 도움도 중요했지만 지역 거주민이나 상인, 건물 소유주들의 협력과 주도가 사업의 성공에 핵심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공간재생 중심 도시재생 사례’에서는 주로 민간 회사가 공간이나 건물을 매입한 후 지역 공동체와 같이 상생할수 있게 지역 정체성을 지키며 역사와 문화를 유지하면서 공간을 재생하여 지역을 활성화 시켰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러한 전체적인 연구를 통해 알아본 결과 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들은 크게 ‘단체 설립, 금융, 교육, 돌봄, 문화재 제도, 교통시스템, 모임/클럽, 체험/놀이, 축제/행사, 홍보/출판’으로 총 10개의 범주로 분류되었고 유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들은 ‘공간재생, 경관조성, 친환경녹지조성, 공공 및 교류시설, 교육시설, 돌봄시설, 주거/상업, 문화/예술, 숙박시설, 실버시설, 안전시설’로 총 11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 KCI등재

        경기도 오산시 지역 쇠퇴도 분석에 따른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박현욱 ( Park Hyeon Wook ),이종호 ( Lee Jong 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9 No.-

        인구와 고용의 감소, 소통의 부재, 물리적 시설의 노후화가 가속화 되어 삶의 터전으로써 도시 지역이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도시개발계획 전략 등의 내용을 포함한 전반적인 도시 활성화에 대한 도시마케팅, 도시재생, 도시디자인 등 도시의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오산시의 인구, 사업체, 주택보급율 추이에 따른 생활권분석과 쇠퇴진단을 통해 활성화 후보지를 선정하여 이에 따른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의 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쇠퇴한 도시지역을 환경적, 경제적, 문화·사회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개발전략을 수립하고 다양한 산업의 진흥과 특화된 지역문화조성을 통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도시 활성화는 다양한 제도개선과 지역의 잠재력을 통해 지역전략특화산업의 연계를 통한 정책적 계획으로 연구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쇠퇴지역의 현안분석을 통해 주민주도의 지속가능한 창조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으로 스마트재생 커뮤니티 센터건립, 스토리텔링이 있는 거리조성, 쾌적한 주거환경조성 등을 연구하였다. 도시재생을 추진함에 있어 물리적 요소뿐 아니라 경제·산업요소, 사회복지·문화요소, 정책·제도의 요소들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경기도 오산시만의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The decline in population and employment, lack of communication, and the aging of physical facilities are accelerating urban areas as a place of life. Accordingly, researches to create urban values such as urban marketing,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design for overall urban activation, including contents of urban development planning strategy, are continuously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plan by selecting the candidate sites through the analysis of living zone and decline diagnosis according to the trend of population, establishment, diffusion ratio of house in Osan-city, Gyeonggi-do. In order to regenerate a deteriorated urban area environmentally, economically, culturally and soci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o promote regional activation through the promotion of various industries and the creation of specialized regional culture. Urban revitalization should be studied through policy planning through linkage of regional strategic specialty industries through various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regional potential.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struction of smart regeneration community center, street building with storytelling, and creation of pleasant living environment as a way of activating sustainable creative city regeneration led by resident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issues in the decline area. In pursuing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lan in Osan City, Gyeonggi-do, to promot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by analyzing not only physical factors but also economic, industrial, social welfare, cultural factors, and policies and systems.

      • KCI등재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관광숙박시설 개선방안 -지역전문가와 국·내외공무원대상 SWOT-AHP분석을 중심으로-

        문창용,신우진 대한부동산학회 201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ourist accommodation facilities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 for revitalizing the Old CBD(Commercial Business District).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SWOT-AHP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Focused Group Interview(F.G.I.) th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experts participated in to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ourist accommodation facilities in terms of sustainable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As a result, the national expert group analyzed that WO strategy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rovement strategy for tourist accommodation and ST strategy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for international expert group. For WO strateg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eb-base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facility and promoting tourism events nearby, establishing an exchange program between guests, and mandating community space in the facilities. The ST strategy should be supported by the establishment of an available housing DB, a system for participation of residents' organizations, a certification evaluation system for facilities and a safety management guide. In addition, it has been strategically derived to find out the subject through the resident organization and to link it wit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WO strategy is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the traditional Korean experience business and the ST strategy for city home-stay services for foreign tourists. 도심관광을 통한 쇠퇴지역 재생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문화·예술관련 시설 확충, 축제·이벤트, 전시 및 관람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으나, 관광소비를 견인하고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정취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관광숙박시설에 대한 확충 및 개선방안이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원도심을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주거지역의 관광숙박시설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선도지역의 관광숙박시설(한옥체험업,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의 개선방안을 지역전문가와 국·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SWOT-AHP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전문가 그룹에서는 WO전략이, 국외 전문가 그룹에서는 ST전략이 도출되었다. WO전략으로는 시설 간 운영정보와 주변 관광상품 홍보 등 웹기반 통합정보제공시스템구축, 게스트 간 교류프로그램 마련, 조성 시 커뮤니티공간 의무화 등이 필요하다. ST전략으로는 활용가능 주택 DB구축, 주민조직의 참여를 위한 제도마련, 시설에 대한 인증평가제 및 안전관리 가이드 등의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주민조직을 통한 운영주체 발굴, 도시재생사업과의 연계 등이 전략으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브랜드 연구 - <청풍면> 지역브랜드를 중심으로 -

        신희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2017년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지방도시와 낙후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 뉴딜 정책’이 시작되었으나, 경관조성 위주로 진행되어 주민들의 실질적 니즈를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청풍호댐조성에 따른 수몰지역인 ‘도곡리 마을’에서 진행된 도시재생 사업도 관광객용 경관조성 위주로 이룩되어, 농민이 대다수인 주민들의 니즈를 반영한 도시재생 사업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주민들의 니즈를 반영한 도시재생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시재생에 대한 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로지역 브랜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1. 선행연구로서 도시재생 뉴딜 정책 사업, 지역브랜드의 개념, 공동브랜드 현황을 고찰하였다. 2. 본 프로젝트와 관련한 이론(유사사례, UX리서치 방법 및 프로세스)을 바탕으로 지역브랜드를 개발하였다. 대상지와 사업경과 과정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해관계자(Stakeholder)들을 대상으로 사용자경험(UX)리서치를 실시하여 그들의 정확한 니즈를 파악하여, 사용자 니즈에 맞는 서비스 플랜과 디자인 컨셉을 설정하여 브랜드디자인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도곡리와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청정하담> 플랫폼 및 서비스전략, <청정하담> 브랜드 로고, 홍보물 영상, BI가 들어간 생산 농산물별 패키지 디자인, <청정하담> App 프로토타입이다. 그리고 도곡리의 폐교<수여리>를 활용하는 디자인들도 제작하였다. 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도시재생에 있어서 그 지역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지역주민의 참여가 가장 중요함을 고찰하였다. 지역 농산물 브랜드를 개발하여 지역 문제점을 타개하고 미래지향적 대안들을 제시한 본 연구가, 앞으로 진행되는 도시재생 브랜드개발 프로젝트와 연구에 롤모델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경복궁서측 지역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보완책

        허경진,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1 No.-

        이 글은 경복궁서측(서촌, 세종마을) 지역의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검토한 것이다. 서촌(세종마을) 지역은 경복궁의 서측과 인왕산 동측 사이에 있는 청운효자동(청운동, 궁정동, 신교동, 옥인동, 효자동, 창성동, 통인동, 누상동, 누하동, 통의동, 체부동, 필운동)과 사직동 일부(사직동, 내자동, 적선동, 내수동)을 말한다. 이곳은 현재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도시재생사업의 대표적인 테스트베드(Test Bed) 지역 중의 하나이다. 경복궁서측 지역은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도시재생사업이 시행되면서 종합발전계획과 더불어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안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력 있는 도심주거지이자 역사, 문화, 예술의 삶이 함께하는 곳’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도시재생사업을 점검하는 일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에서 시행할 도시재생사업에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룬 내용들은 그간의 중요 사례들과 문제점이다. 이 논의를 통하여 앞으로 지속적인 이 지역의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을 바라며, 무엇보다 이 지역주민들이 바라는 ‘매력 있는 도심주거지, 역사, 문화, 예술의 삶이 함께하는 곳’이 되는데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Seoul Seochon (Sejong village) area. Seochon (Sejong village) is an area between the west of Gyeongbok palace and the east side of Mt. Inwangsan (Cheongun-dong, Gungjeong-dong, Shingyo-dong, Okin-dong, Hyoja-dong, Changseong-dong, Tongin-dong, Nusang-dong, Nuha-dong, Toneu-ding, Chebu- dong, and Pilun-dong), and some areas in Sajik-dong (Sajik-dong, Naeja-dong, Jeokseon-dong, Naesu-dong). It is the the current Test Be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the enforce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promote a variety of urban regeneration-plan business proposals with a Comprehensive West-side Development Plan, various projects with the goals of 'attractive urban residential, historical, cultural, and art places' have now been established. This series of projects in this area are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many other cities in the country.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case studies. We hope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through this discussion, and expect to build an 'attractive urban residential, historical, cultural, and art place' that the residents wish for.

      • KCI등재후보

        도시재생 지역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연구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김경천(Kim kyong Chun),김갑열(Kim gab Youl),이재수(Lee jae Su) 韓國不動産學會 2015 不動産學報 Vol.61 No.-

        우리나라는 급속한 도시발전으로 인하여 신도시 건설, 대규모 주거지 개발 등의 물리적인 발전이 지속되어 왔다. 이에 따라 도시재생사업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국가 및 지방정부 재정의 한계로 인해 모든 신청지역을 동시에 지원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이고 지속적인 정부의 제도적,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위한 도시재생 신청 지역 평가를 위해 도시재생 지역선정 평가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평가지표 도출을 위하여 특별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역선정 기준과 도시재생, 지역선정 평가지표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검토와 일본, 영국, 미국, 프랑스 등의 선진 도시들의 도시재생 지역선정 평가지표와 비교하여 물리·환경, 인구·사회, 산업·경제 부문으로 구분되는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최종 도출된 요소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재생에 있어서 물리·환경부문에는 토지이용, 건축물 상태, 접근성이, 인구·사회부문에는 교육·문화·복지, 환경·위험·재해가, 산업·경제부문에는 산업·고용, 사업추진여건, 재무성 및 부동산 가치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주거환경개선, 재건축 등에서 분류되었던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들이 도시재생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aluation indexes of site designation for urban regeneration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ng regions applied for urban regeneration, ensuring sequential and continuous government's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2) RESEARCH METHO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evaluation indexes,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target sites stipulated in the special laws, an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on evaluation indexes of site selection. Furthermore, the findings from the review were compared with relevant evaluation indexes developed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Japan, the U.K., the USA and France to come up with useful implications. The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provided factors divided into physical·environmental, demographic·social, industrial·economic sectors. (3) RESEARCH FINDINGS The analysis result for urban regeneration showed that land use, building condition and public interest were suitable for the physical·environmental sector and education·culture·welfare and environment·hazard·disaster were for the demographic·social sector and industrial level, project promotion conditions, financial conditions and real estate value were for the industrial and economic sector. 2. RESUL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classified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nd reconstruction sectors are a little different in urban regeneration sector.

      • KCI등재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정성적 선정지표 및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김수연,정혜영 한국도시행정학회 2017 도시 행정 학보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dicators to be newly added in qualitative aspect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evaluation considering the willingness and empowerment of residents when selecting the urban regeneration activating areas. Qualitative indicators are categorized into 'regional policy' and 'regional empowerment', and a total of 16 indicators are derived. The 'regional policy', which related to the upper plans and related plans, can identify whether they can be connected and whether they have experience in establishing the plan in which resident participated. The 'regional empowerment', which is categorized into 'resident network' and ‘resident willingness’, can determine the socioeconomic urban regeneration potential of residents. A 'resident network' is an indicator that measures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of community. 'Resident willingness' is an indicator to judge the possibility of active participation dur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identify whether it has local identity and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regional policy' presented the method of linking with the upper plan and the related plan through the case, and the 'regional empowerment' suggested the survey method, the analysis method and the scope of survey based on the case. 본 연구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시 지역주민의 의지와 역량을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성적인 측면에서 새롭게 추가되어야 할 지표를 도출하고 지표의 조사 및 분석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석적 지표는 크게 ‘지역정책’과 ‘지역역량’으로 구분되었으며 총 16개의 지표를 도출되었다.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이 해당되는 ‘지역정책’은 연계가능한 계획 여부, 주민참여 계획수립의 경험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주민관계망’과 ‘지역주민의지’로 구분되는 ‘지역역량’은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도시재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주민관계망’은 커뮤니티의 내·외 네트워크의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이다. ‘주민의지’는 도시재생사업 추진시 적극적으로 참여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지역의 정체성과 정주의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지역정책’은 사례를 통해 상위계획 및 관련 계획과 연계방법을 제시하였고, ‘지역역량’은 사례를 근거하여 설문조사방법, 분석방법, 조사범위 등 조사 및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