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공동체 존재의 토대로서 실존적 대화

        윤석빈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49 No.-

        The existential dialogue as the basis of a language community in human existence is the theme of this argument. Man, as a gemeinschaft being, not a solitary being, exists with other people. Human being is a becoming existence, since man thrown in gemeinschaft is an incomplete existence and not a perfect being. Human being is a tragic existence as well; in that it can never achieve the instinctive desire which is permanently pursued. Man tries to satisfy this desire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the nature in human language as well as having dialogue with other people. The dialogue is the human being mode, not to mention that it is a communication. It is an essential base for a gemeinschaft human being. Human relationship needs dialogue. While making a dialogue, I become myself and you become yourself. Most people live through and in the dialogue, and our life begins with dialogue. I and you should be open minded to each other in dialogue.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have an attentive attitude that listens to others, rather than to talk. The subjects of this argument are as follows. First, man is the gemeinschaft existence. Second, man, as a gemeinschaft existence, grows up with others. Third, human existence in the gemeinschaft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existential dialogue. The dialogue should neither be reasonable nor emotional, but existential which includes both. 인간은 이성적 존재, 즉 언어적 존재다. 이성적 존재이며 감성적 존재다. 인간은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공동체 존재다. 인간은 타자와 함께 존재 할 경우에만 자기 존재 의미를 획득한다. 인간은 공동체 속으로 내던져졌고 공동체 속에서 살아간다. 그 중에서도 특히 언어공동체 속에서 타자와 함께 실존한다. 인간의 살아감은 인간이 완성된 존재자가 아니라 되어가는 존재자임을 의미한다. 되어가는 존재자로서 인간은 다른 한편 불완전한 존재자이며 욕망을 가지고 있는 존재자이기도 하다. 인간은 죽음에 이르기까지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다. 불완전한 존재로서 자신의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인간은 자연세계를 탐구하고 해석하며, 타자와 대화를 통해 공존하고 상존하고자 한다. 불완전한 존재이기에 타자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인간은 공동체 존재일 수밖에 없다. 인간의 공동체를 성립시키는 가장 중요한 토대는 언어, 보다 정확히 말해서 대화다. 엄밀히 말해 대화는 커뮤니케이션, 즉 의사전달 수단이 아니다. 물론 의사전달 수단을 포함하기는 하나, 그보다 더 근원적으로 대화는 존재방식이다. 인간은 내던져진 언어공동체 속에서 공동체언어를 배우며 감성과 이성을 성장시킨다. 그리고 언어습득을 통해 타자와의 공동체 삶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공동체 언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단순히 언어를 배운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공동체의 정신을 배운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 습득의 기초는 너와의 대화다. 대화는 자기의 주장을 관철하려는 토론도 아니고, 상대방을 이기려는 논쟁술도 아니다. 즉 납득과 설득이 대화론의 중요한 초점이 아니다. 대화의 영역은 주체성의 영역이 아니라, 대화는 공존의 길로 함께 나아가기 위한 필연적 토대이다. 대화자들은 서로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함께 대화의 장에 참여를 하면서 상생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다. 대화의 장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열려있는 태도를 가지고 들을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대화의 장에서 모두 모든 직위와 권위를 내려놓고 평등한 상태에서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이끌어 나갈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 대화에서 반드시 합의된 결론이 필요치 않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논점은 첫째 인간은 언어공동체 존재라는 것이고, 둘째, 인간은 공동체존재로서 되어가는 존재이며 그 되어감은 홀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 함께 살아가는 것이며, 그것을 실존이라 규정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실존적 존재로서 타자와 함께 되어가는 과정은 실존적 대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 KCI우수등재

        소통과 치유의 공동체는 어떻게 가능한가?

        김선희(Sun-Hie Kim)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2

        이 논문에서 필자는 대화가 자기인식 및 자기이해에 기여한다는 존 하드윅의 논의에서 출발하여, 대화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자기이해를 돕는 소통과 치유의 공동체 모델을 탐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집단철학상담의 대화공동체를 모델로 삼아, 진정한 대화와 소통은 치유공동체로 발전해 나가는 출발점이 된다는 것을 논의하고자 한다. 즉 진정한 대화는 단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기이해와 자기인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 나아가 자기이해를 증진시키는 대화공동체는 치유공동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여기서 소통과 치유는 별개의 독립적인 문제가 아니라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나아가 집단철학상담의 사례를 통해, 어떻게 한 공동체는 소통과 치유의 공동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지 그 조건들을 검토하고 논의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start with John Hardwick’s argument that dialogue contributes to self-knowledge, and I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of dialogue and healing that helps self-knowledge by analyzing the nature of dialogue. Specifically, through the model of group philosophical counseling, I will argue that genuine dialogue and communication is a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into a healing community. In other words, true dialogue is not just for communication, but also for promoting self-understanding and self-knowledge. It will also show that dialogue communities that promote self-understanding can develop into a healing community. Here it will be revealed that communication and healing are not separate independent problems but have a close connection. Furthermore, through cases of collective philosophical counseling, I will review and discuss the conditions of how communities can develop into communities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 KCI등재

        사회과 대화교육의 한계와 대안에 관한 연구

        오승호 ( Seung Ho Oh ) 한국법교육학회 2015 법교육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대화교육의 한계에서 벗어나 대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 대안은 근대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화공동체를 구성하자는 것이다. 대화공동체는 대화적 관계를 전제로 하는 탐구공동체이자, 민주적 공동체이다. 대화공동체는 대화참여자들이 공론을 형성하고 탐구를 수행하는 대화를 통해 자기반성과 상호주관성, 비판적 사고와 공감등과 같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이처럼 대화공동체는 대화를 통해 개인과 공동체 모두가 특별한 경험을 체험함은 물론 민주적 의사결정을 통해 공동선을 추구한다. 이와 같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 대화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필요로 한다. 이 조건을 대화 이론 연구 성과를 통해 인지, 정서, 태도, 행동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ose alternative out of conversation education limits. This alternative is to construct conversational Community to overcome Modernity problem. Conversational community is inquiry and democratic community. Conversational community have educational values that conversation participants construct public opinion, reflect theirs thinking, generate intersubjectivity with conversation for inquiry, bring about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Thus conversational community provides special experience through conversation to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pursues common good through democratic decision-making. We needs certain conditions for construct conversational community holding educational values. These conditions is presented to part cognitive , emotional , attitude , behavior through conversational theory result.

      • KCI등재

        기획심포지엄 예술과 삶의 공동체: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와 대화의 미학

        유현주 ( Hyun Ju Yu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2 No.-

        본 논문은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 이론을 통해 공동체 자체에 대한 사유와 동시대 공동체 예술에서 전개되는 대화의 미학을 다룬다. 낭시에 따르면, 공동체의 정체성은 공동체의 본질을 공동체 내부에 절대화시키는 내재성의 신화에 불과하며, 개인 즉 단수성이 서로를 향한 외존의 관계로 존재할 뿐이다.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 이론은 그러한 내재성의 신화로서 전체주의, 곧 나치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며 존재 자체의 물음을 물었던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에 대한 물음을 묻는 것이다. 낭시가 말하는 ‘무위’란 비-행동(non-agir)에 가까운 개념으로서 죽음이라는 실존적 유한성을 의식하고 자신의 존재를 벗어나 탈자태의 자세로 공동체와 대면하는 수동성을 함의한다. 이것은 자신의 실존을 함께 발효시켜가는 공동체에 개인을 열어두기 위해 사용된 개념이다.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와 ‘공동 존재’ 개념을 가져와 낭시는 자신의 ‘무위의 공동체’의 ‘공동-내-존재’와 ‘외존’, ‘탈자태’의 개념으로 전유한다. 동일한 본질을 갖는 공동체가 아닌 공동체 내부의 차이들을 수용하고자 하는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는 오늘날 새 장르 공공미술과 대화의 미술들을 비롯해 협력적 작업을 전개시키는 다양한 공동체 미술의 담론과 관련을 맺는다. 권미원은 공동체 관련 예술들이 공동체를 대상화하기보다는 집단적 예술실천으로 지속적인 공동체의 문제를 제기하고 창안해가는 공동체 예술에 공감한다. 케스터는 개방적 분위기에서 ‘차이’의 문제에 접근하고 대중매체에 오염되지 않는 소통의 방식으로 대화를 발생시키는 대화의 미학의 예술작업들을 지지한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대화의 예술들은 대화를 통해, 공동체 내부의 서로 다른 실존들을 이해하고 함께 성장해가도록 하는 낭시의 ‘외존’ 개념을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deals with a thought on community per se and dialogical aesthetic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through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According to Nancy, the identity of community is nearly the mythology of ‘immanentisme’, which functions to make the nature of community absolute within it. Also it exits only in terms of the relation of ex-position, which individuals, singularite stand towards each other. The theory of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starts with criticism on totalitarianism, Nazism and Communism, and asks the question of what community is on the basis of existentialism in which existence per se is asked by Heidegger. Deœurvrement to which Nancy refers is very similar to non-praxis(non-agir) and implicates the passivity that is our being conscious of the finitude of existence towards the death and faces the community while taking the stance of ‘extase.’ This concept is intended to open individuals to community with which we could come into effect ourselves. Nancy brings the concepts of Heidegger, ‘In-der-Welt-Sein’ and ‘Mitsein’ and appropriates them into his own concepts of Inoperative Community which are ‘being-in-common’, ‘ex-position’, ‘extase.’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which holds not homogeneous identity of members of it, but differences of community inside, relates to various discourses of collaborative-community art including new genre public art. Kwon Miwon sympathizes with community arts which raise issues of sustainable community and create something for them as collective artistic praxis rather than such arts to objectify community. G. Kester supports artworks of dialogical aesthetics, which help us approach to issues of ‘difference’ and create dialogues in different way of communication not polluted by mass-media in open atmosphere. In conclusion, today dialogical arts have potentially Nancy`s concept of ex-position which encourages us to understand others and grow with them in community through dialogue.

      • KCI등재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방법: 대화(Conversation)와 내러티브(Narrative)

        박선영 ( Seon Young Park ),김회용 ( Hoy Yong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9 No.-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교육의 효과적인 종합을 구상한 립맨은,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통해 개인 사고능력의 계발과 합당한 공공선의 성취를 동시에 모색한다. 이러한 가능성은 프래그머티즘에 바탕한 탐구공동체의 특성에서 발견된다. 개인과 공동체는 `탐구`라는 활동으로 상호관련 지어져 연속적으로 발전되어 나갈 때 개인 혹 공동체 어느 한 요소만 교육목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수단-목적으로 그 역할을 바꾸어나가며 발전할 수 있다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은 대화(conversation)를 통해 이루어진다.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내적 특성상 대화는 불확실성이 내재된 고유한 상황에서 체득한 질적 경험(qualitative experience)을 유도하며, 개인에게는 사고와 감정의 종합적인 발달을 이끌어내고 공동체 차원에서는 문제해결에 가장 적절한 해결책을 합당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실제 대화가 실천되는 과정에서는 언어훈련과 논리훈련, 텍스트분석에 의존해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내적 특성을 미처 발휘하지 못한 채 사고기술 훈련에만 치우칠 수 있다 나아가 사고의 종합적 발전을 통해 좋은 판단을 학습하는데 목적을 두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육은 단지 개인과 공동체의 인식론적 변화를 가져다줄 뿐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존재론적 변화의 경험 추구라는 본연의 목표와 거리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개인의 구체적 맥락에서 의견을 재구성하고, 개인의 감정적 혹은 비논증적 배경을 설명함으로써 타인에게 깊이 공감할 기회를 주는 내러티브(narrative) 활동이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과정에서 병행될 것을 제안했다. 내러티브와 대화가 적절히 구성된 철학적 탐구공동체 속에서 개인은 질적 충만감이 있는 체험을 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role of narrative which can supplement the conversation used in the situation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for Children. To reveal the nature of conversation and narrative in detail, researchers first identify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Matthew Lipman`s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for Children model can integrate the educational purpose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While the purpose of liberal education lies at autonomy of individuals, communitarian education aims at achievement of the common good. Therefore, these two educational models inevitably conflict each other in the educational practice. Lipman`s model doesn`t aim at the fixed educational goals because his model is based on Dewey`s thought, pragmatism In the actual practice of conversation, Lipman focused on training the logic of language or thinking skills which are based on the mental acts. In these cases, these conversations do not lead to holistic autonomy and community hardly experience the rational judgement. That`s why narratives should be formed in personal and concrete context. The narratives are characterized as being illogical, emotional. Furthermore, they can create and reconstruct the events in the human life and meaning to a human life. Narrative can help to achieve its intended objectives of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and successfully make up for the activity of the conversation.

      • KCI등재

        배움공동체와의 비교를 통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육방법론 개선 방안

        오창진(Chang Jin Oh),김회용(Hoy Yong Kim)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아동의 인지적 발달과 공동체 활동 모두에 효과적인 립맨의 탐구공동체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립맨 탐구공동체의 강점과 단점을 명료히 하기 위해 이 이론의 이론적 전제인 콜버그와 리코나의 도덕교육론을 고찰하여, 탐구공동체의 의미와 성격을 명료히 하였다. 립맨 탐구공동체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최근 한국의 교육혁신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는 사또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에 주목하였다. 탐구공동체와 배움의 공동체는 비고츠키 이론을 심리학적 배경으로 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전문적 역량을 강조하는 면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반면, 교사 연수와 교재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배움공동체에서 강조하는 교사들의 수업연구회 조직, 학교의 조직개편, 지역과의 연계 지도 등은 교재에 기반한 추론식 수업을 강조하는 탐구공동체 수업에 접목될 필요가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community of the philosophical inquiry proposed by Matthew Lipman. The teaching method of this program is based on the conversational method - Socratic dialogue and the community of inquiry. Kohlberg s justice community serves as a mean to attain person s moral development. Lickona s moral community critiques autonomous moral judgment and emphasizes moral education. But in Lipman s community of inquiry, person s autonomous judgment and community are related organically. Psycho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his philosophy for children is based on Vygotsky. Sato Manabu s learning community is based on the constructivism by Vygotsky. Sato Manabu s learning community serves as a method for improving autonomy of individual and communitarian education. Sato manabu s learning community was based on the dialogue such as Lipman s dialogue. There are some limitation in Lipman s community of inquiry. First, his thought i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logical reason of rationality. Second, the community doesn t have questions related with social implications. If we want to overcome limitation of Lipman s philosophy for children, Sato manabu s learning community could be an alternative to our education. To this end, we should introduce the teacher s community into Lipman s community of inquiry such as Sato Manabu s study groups made by teachers spontaneously. And the link with local communities to foster autonomous citizenship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의 대화 분석과 교육적 의미 탐색-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김남균 ( Nam Gyun Kim ),심영택 ( Young Taek Shim ),김민조 ( Min Jo Kim ),이현명 ( Hyun Myoung Lee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 간의 대화를 분석하여 대화상에 나타난 특징을 찾고, 그 특징의 교육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사학습공동체의 활동에 대한 분석, 즉 개방형 교수법으로 초등 수학 수업을 공동으로 설계하고 실행하고 성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양한 해결책을 제안하고, 공유하고 합의해 나가는 과정에서 교사 간 주고받는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대화상에 나타난 특징을 탐색하고, 그 특징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실천적 지식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대화 형식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교과전문가가 대화 주제를 선정하거나 화제를 전환하는 촉진자 역할을 하였지만, 수업 계획, 내용, 진행 과정 등과 같은 주제를 다루는 수업 설계 활동에서는 교사들이 교사학습공동체를 이끌어가는 리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대화 내용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교사들은 교과지식의 엄밀성보다는 교수법과 수업 기법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의 경험과 성찰은 매개 도구에 따라 그 발현 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공동 수업 설계, 실행, 성찰에 대한 교사들의 내적 역량이 강화되면서 교사학습공동체가 점차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징이 지닌 교육적인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과 내용 지식을 강조하는 중등학교 교사들과 달리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을 바탕으로 자신이 관계하는 실제 상황에 맞게 실천적 지식을 재구성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utilizing a method of dialogue analysis among teachers who are participating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could explor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analyzing dialogue among teachers who were co-planing, implementing, reflecting on lessons with the open-ended approach in the Mathematics class and who were proposing the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sharing and reaching agreement on practical knowledge. As a result of dialogue analysis, educational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that a pedagogical approach were weighed more on the subject content knowledge, that the degre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mong teachers became different by its mediation tools, and that sharing visions and pedagogical approaches contributed to enhance teachers` internal capabilities, that shifting operating responsibilities from teacher educators and/or educational researchers to teachers stabilized systematically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suc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olding educational meanings need to become a community that leads to long-held education future embodied its own tradition, change, and future, public accountabilities improving oth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tudent learning, a community which is sharing its public memories by framing narratives and educational discourse including its unique culture, and a community where individuals and groups try to improve it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대화 양상을 통해 본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

        손은애,권재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나누는 유치원 교사들의 ‘살아내는 이야기’이자 ‘그들의 삶’인 대화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대화에서 드러나는 학습공동체 내 교사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K시에 소재한 A사립유치원 교사들이 운영하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2021년 10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참여관찰과 면담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성된 자료 중 교사들의 대화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대화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은 공감과 위로, 지지, 격려 등 마음의 소통을 통한 ‘교호작용’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로 간에 공동체의 의미와 신념을 상호공유하였다. 둘째, 경력에 따른 교사 간의 위계적 관계가 대화 중 끊임없이 지식(경험) 지위와 관계적 힘의 전복, 분할 및 배분, 조율되는 권력관계에서의 역동성과 조화로움을 보였다. 셋째, 대화를 통해 교사들은 개별 학급에서의 교육 실천에 대한 의미와 해석을 협력적으로 공유 및 생성함으로써 교육신념과 가치를 나누는 철학적 탐구가 이루어졌다. 끝으로 교사학습공동체 내에서의 정서적 교류 및 소통의 문화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가 협력적이고 상호소통적 문화로 성장해 가기 위해서는 공동체 내에서의 교사들의 정체성과 관계성, 그리고 그 안에서 형성되는 대화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a learning community as revealed in their conversations by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conversations that are the 'living stories' and 'their live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from October 2021 to July 2022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run by teachers of a private kindergarten in K city, and the data were analysed and interpreted in depth.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kindergarten teachers engaged in 'mutual interaction' characterized by heart-to-heart communication, including empathy, comfort, support, and encouragement, Through this interaction, they shared the meanings and beliefs of their learning community each other. Second, a dynamic interplay of power relations among teachers based on their career experience showed dynamism and harmony in relations, where knowledge(experience) status and relational power were constantly undermined, shared, allocated and coordinated during the dialogues. Third, the dialogues were a philosophical exploration of the teachers' shared educational beliefs and values as they collaboratively shared and generated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of children’s play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their individual classrooms. Finally,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culture of affective exchange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was emphasised that in order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develop into a collaborative and interactive culture, attention to and understanding of teachers'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within the community and the culture of dialogue that emerges within it is necessary.

      • KCI등재

        공감적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화법 교육 방안

        김윤정(Kim Yune-jung),권순희(Kwon Soon-hee)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대화 함축은 공감적 소통에 있어서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는 화행론적 개념이다. 의도적으로 협력의 원리를 깨뜨림으로써 청자가 함축된 의미를 추론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우리 일상생활에서 매우 빈번하게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교과서 분석과 교사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대화 함축 관련 학습 활동에 대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교육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화 함축 관련 단원을 설계하고 관련 내용을 집중적으로 제시한다. 대화나 소통 관련 단원에서 여러 사례를 집중적으로 제시하여 대화 함축의 개념을 공감, 소통과 연계시켜 교육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화자의 입장에서 상대를 고려한 말하기 학습에 대한 활동을 보완한다. 현재 교과서에서는 청자의 입장에서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도록 하거나 그 상황을 분석하게 하는 활동 위주로 단원이 구성되어 있다. 청자 입장에서의 학습도 중요하지만, 공감적 소통을 위한 화법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화자의 입장에서 상대를 고려하는 말하기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중학교 교과서에 관련 개념에 대한 내용을 보완한다. 교사들의 인터뷰에서 알 수 있듯이 고등학교 화법이 선택과목으로 채택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중학교 단계에서 ‘대화 함축’의 개념을 쉬운 말로 풀어서 제시해주고, 실질적인 활동으로 구현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 문화적 맥락을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는 활동을 구안한다.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된 대화 함축을 가르칠 경우 단편적인 상황에 대한 분석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활동, 우리말 문화에 익숙하지 못한 외국인들에게 그 상황을 이해시킬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는 활동이 추가되어야 한다. 다섯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실용적이며 구체적인 수업 방식을 제시한다. 현재 대화 함축 관련 활동은 분석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다양한 수업 방식을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화 함축에 대한 이해는 공감적 소통 공동체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국어 교육 이론을 제시하였다. 공감적 소통 공동체를 상상하며 대화 참여자가 대화 함축을 해석하는 능력도 대화 교육에서 다루어야 한다. Conversational implicature is a concept of speech-act theory that is applied with importance for emphatic communication. By intentionally breaking the principle of cooperation, it allows the listeners to make inference of the implications from the speech, which can be observed frequently in our daily lives. Based on the textbooks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conversational implicature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guidelines for education was deducted. First, chapters regarding conversational implicature need to be created and relevant content need to be introduced intensively. By presenting various practical cases in the chapters of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e concept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can be educated linked with the concept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Second, speech training supplementation to consider the listener from the speaker’s point of view. Current textbooks are composed of activities where the listeners are asked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or to analyze a certain situation from the speaker’s viewpoint. Although learning from the position of the listener is important, speech training to understand the counterparts from listeners in order to perform speech with empathic communication should proceed. Third, relevant concept in middle school textbooks need to be complemented. As shown in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subject of speech is not adopted as an optional subject in high school. Thus, the concept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needs to be presented with illustrations in an easier format during middle school. Fourth, activities that intensively deal with social and cultural context should be devised. When conversational implicature of socio-cultural context is being educated, activities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other culture and finding ways to help foreigners to understand certain situations despite the language barriers should be applied additionally instead of a simple situation analysis. Fifth, interesting and practical, and specific education method should be presented. Currently, activities related to conversational implicature focus largely on analysis. Diverse ways of class teaching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textbooks or into guidelines for teachers. Furthermore, we presented a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ory that the understanding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mpathic communicative community. In the education, interpretation skills of the participants imagining empathic communicative community should be included.

      • KCI등재

        믿음의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

        이상흥 ( Sang Heung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6 No.-

        본 논문은 리꾀르가 제시하는 내러티브 정체성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설교 사역을 통해서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설교 모델을 개발하며 이로 인한 교회를 공동체로 세우는 설교 사역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오늘날 교회는 세상의 문화의 영향을 받아 세속화되고 그 결과로 주변화 되었고, 그러한 영향 중 하나인 개인주의로 인해서 교회는 공동체적 성격을 상실하였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해서 창조되었고 세워지기 때문에, 설교의 첫 번째 목표는 교회를 세우는 사역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동체적 성격을 상실한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의 공동체로 세우는 설교이론과 실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리꾀르에 의하면 정체성은 내러티브로 표현되고, 내러티브 정체성은 시간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시간적 측면에서 개인은 안정과 변화 사이의 긴장을 과거와 미래를 통해서 현재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또한 관계적 측면에서 개인은 자신의 이야기와 타인으로부터 들려진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형성한다. 이와 같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모델들은 공동체적 정체성 형성으로 확대 적용될 수 있는데, 특별히 “번역의 모델,” “교환의 모델,” “용서의 모델”들을 통하여 공동체의 정체성이 확립된다. 이러한 모델들은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 사역에 중요한 함축점을 제공한다. 먼저,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는 대화의 행위가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개인들의 집합체”로서 교회 안에서 개인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그런 소통의 방식은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인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다. 이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서로의 정체성을 교환하고 공동체의 정체성을 세울 수 있는 공간과 자유가 마련된다. 둘째,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는 기억하는 행위와 그 기억의 나눔의 행위가 되어야 한다. 기억하는 것은 해석의 행위로서 과거에 하나님께서 그 백성들에게 행하신 일들을 기억하고 또한 미래에 행하실 것을 통해서 현재 자신들이 누구이며 무엇을 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기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또한 기억하는 일은 공동체가 함께 공동으로 기억하는 일이 되어야 하며 또한 공동의 기억들을 즉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행하신 일들을 기억하고 나눔을 통해서 개인들이 공동체 안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셋째, 공동체를 세우는 설교는 용서의 행위가 되어야 한다. 이 용서는 곧 자신의 정체성을 공동체 안에서 교정하는 위이다. 용서의 사역은 공동체 안에서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동체 안에서 서로에 의해서 재조정하는 일이며 또한 공동체로서 교회가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즉 세상 속에 있지만 세상에 속하지 않는 긴장 속에서 바른 정체성을 형성해야 하는 행위이다. 세상과의 관계에서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은 먼저 회중이 공동체 존재하는 일이며, 둘째, 세상 속에 종으로서 세상을 섬기는 것이며, 셋째, 세상 속에 그리스도의 증인으로 복음을 증거하는 일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homiletic theory for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of faith which based on Ricoeur`s theory of narrative identity and to help the preacher to build up the community of faith as the Body of Christ. Most contemporary churches have been secularized and, as a result, marginalized by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dividualism has influenced on the church and made it an aggregate of individuals. The purpose of preaching is primarily to be the formation of the church as the community because the Church is created and built up by the Word of God. According to Paul Ricoeur, identity is expressed by narrative. Narrative identity has temporal and relational dimension. In the temporal dimension, individual identity has tension between stability and change. This tension connects the past and the future through the present. In the relational dimension, personal identity is not only constructed by his/her stories from memory, but also for the stories he/she is being told. These models of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could be applied to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Ricoeur proposes three models for the integration of identity and alterity-the model of translation, the model of exchange of memories and the model of forgiveness. These models provide some insights on a homiletic theory for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Firstly, preaching is to be a dialogue act in order to form the community because the style of communication in the Body of Christ is a dialogue. The dialogical communication makes the space and freedom among the individuals to communicate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Secondly, preaching is to be a remembering and sharing act. Remembering is a hermeneutic act that the individuals interpret their identities by the Story of God. Sharing is a co-remembering act that the individuals find their identities among the community. Thirdly, preaching is to be an act of forgiveness for the corporate identity. Forgiveness is a specific form of revision of the past, and through it, of our narrative identities. The revision of the identity is to be done in the community. The identity of the church is also revised in the tension between `in the world` and `not of the world.` As a result, the identity of the church is to be a community, servant and messe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