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비판적 언어인식 교육 방법 연구

        심영택 ( Young Taek Shim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본고는 한국의 교실 공간에 적합한 비판적 언어인식(CLA) 교육 방법을 개발하여, 교사들로 하여금 학생들의 비판적 언어인식 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비판적 담화 분석은 Fairclough에서 처음 도입되었는데, 그는 담화를 분석하기 위해 3가지 층위를 설정하였다. 즉 구어나 문어로 된 언어 텍스트 분석 층위, 텍스트 생산과 분배, 소비를 다루는 담화 실천 층위, 논증적 사건을 다루는 사회문화적 실천 층위이다. CDA의 핵심 역할은 사회적힘(권력)과 언어(담화) 지배의 관계와 그 기능을 밝히는 데 있다. CDA는 담화를 권력 관계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지만, 기존의 언어인식은 단지 사회문화적 맥락과 무관한 언어만을 연구해 왔다. 이런 이유로 말미암아 CLA는 CDA를 교육적 맥락에까지 확장해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교실 수업 담화에 적용하여 교사로 하여금 CLA에 대한 내용을 쉽게 이해하도록 소개하였다. 비판적 언어인식 활동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의미 중심, 실제 사회적 환경 중심, 발달적인 관점, 학생 중심, 성찰을 수반한 언어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Fairclough가 제시한 CLA의 4단계를 신문 기사에 나타난 ``자유 간접 화법``에 적용해 보았다. 각 단계마다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할수 있는 언어인식 활동 자료를 소개하고 나서, 수업 시간에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설명 자료를 곁들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s is to develop of educational method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CLA) and then to provide it to teachers who endeavour to improve student`s CLA. First, I studied perspective of language of Fairclough who had introduced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theory. He divided the three-dimensional framework for examining discourse, which comprised of analysis of language texts, discourse practice(process of text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nd discourse events as instances of sociocultural practice. In CLA the focus is on the ways in which language represents the world and social construction. CLA exemplifies CDA in teaching contexts whilst strengthening essential principles of language awareness. I applied this frame of CLA and CDA to classroom discourse and reinterpreted them to teachers who hav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m. Finally I developed new case study which can be apply to classroom, which was based on Fairclough`s CLA instruction into four stages: Reflection, Systemizing, Explanation, and Developing practice. It is teaching direct and reported speech from a CAL perspective.

      • KCI등재

        수업 비평적 글쓰기 방법에 관한 연구

        심영택 ( Young Taek Shim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9 No.-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수업 비평의 개념과 특성 및 수업 비평적 글쓰기의 구성 요소를 밝히는 데 있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이러한 연구를 통해 수업 비평적 글쓰기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교사로 하여금 수업을 보는 안목을 높이는 데, 그리고 교사나 예비 교사들로 하여금 수업 비평적 글쓰기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그래서 먼저 수업 비평을 교육적 감식안으로 수업 현상에 내재된 가치를 판단하는 행위로 그 개념을 정의하고, 그 특성을 소개하여 두려움을 주는 상대를 명확히 인식하게 하였다. 그 다음 단계로 수업 비평적 글쓰기의 구성 요소를 글쓰기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정서적 수업 비평, 지각적 수업 비평, 지성적 수업 비평, 영감적 수업 비평이라는 네 가지 내적 구성 요소와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비평적 글쓰기의 제목과 목차와 같은 외적 구성 요소를 비교 분석하고, 그리고 다양한 시선들로 쓴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 글쓰기와 형식면이나 내용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차이점을 명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함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는 교사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공개하고자 하는 마음, 남의 비평에 귀 기울여 듣는 자세, 그리고 자신의 수업을 다시 성찰하는 태도임을 역설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 of writing of criticism classes by investigation the concept of criticism of classes and the distinct features of criticism of classes and the components of writing of them. It is easy for teachers to be good teachers. But it is not easy that people recognize them as an expert. Writing of criticism of classes is a good way to rebirth as a professional teachers. But teachers fear that makes writing assignments. Criticism of class is an acts of judging of values which are embedded in the phenomenon of class with educational forensics. These attributes get a teacher to know what writing assignments are, and this definition makes teachers no more to fear about that assignments. The second step is for teachers to teach the four internal components of writing of criticism of classes. They ar emotional, perceptual, intellectual, spiritual criticism of classes. The last step is to suggest the external components. So they make teachers to know the format and content of writing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will be found. But the most important task is to reveal themselves in the classroom in mind and attitude of others which is also necessary to listen to criticism, and reflection which required the re-examination of his classes.

      • KCI등재

        협상 담화 교육 방법 연구

        심영택 ( Young Taek Shim ) 한국화법학회 2011 화법연구 Vol.0 No.18

        한국의 협상 문화는 장유유서, 권위주의 조폭 기질과 비합리성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과거의 이런 낡은 협상 문화를 가능한 빨리 청산하고 합리적이고 평등한 협상 문화를 교육적으로 구안하려면, 협상의 본질을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과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협상 교육의 목적은 협상에 대한 학생의 태도, 가치, 행동을 총체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있다. 본고는 이 목적을 달성하고자 학생들의 심리와 사회·문화적으로 친숙한 소재와 자료를 협상 내용으로 삼고,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구축하여 실천적 협상 경험을 맛보게 하였다. 그리고 협상 경험을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단계로 협상 전 단계, 사전 협상 단계, 본 협상 단계, 협상 후 단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2차시에 걸쳐 각 단계에 필요한 활동을 배치하여 협상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본고에서 설정한 이러한 내용들은 궁극적으로는 협상 교육의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한 작업이다. 그리고 학생들 스스로 교육의 주체가 되어 협상 경험을 해 보고 그 필요성을 자각하고 판단하도록 구안하였다. 물론 이러한 판단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교사는 학생들이 협상 교육의 각 단계마다 제시된 활동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행동을 스스로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 분야에서 전문적인 시각을 지닌 실천적 연구자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지속적인 실천과 노력이 필요하다. The features of culture of negotiation in South Korea are irrational and authoritarian. These features should be changed to an equal and rational cultu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negotiations. And it is need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by developing materials. The purpose of negotiation is to transform the attitudes and values and behaviors of students. And contents and materials of negoti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students friendly. Teachers should to build a learning environment which all students will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of negotiating. Steps 4 is teaching of negotiation. Using this steps, students will be experience to negotiation effectively. There are several activities in each steps This steps are performed over the course of negotia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of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the negotiation in secondary schools. The heroes of this activity are students who verify the need of experience and realize values of this. The teacher`s role is also important in the negotiations. Teachers should try to establish a systematic plan. The plan helps the students activities. And the plan helps students to reflect of their activities. Teachers should continue to do these things. Someday they will have professional and practical knowledge of this planes.

      • KCI등재

        초,중등 학생의 화법 양성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담화 유형을 중심으로 ; 수업 비평적 담화 방법의 원리 탐색

        심영택 ( Young Taek Shim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3

        수업을 보는 안목을 높이는 데 기여한 수업 비평 연구물이 많이 있지만 교사 스스로 수업 텍스트를 분석하고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고 해석하고 수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생산적인 차원의 경험은 부족한 편이었다. 본고의 목적은 실천적 전문가로서 교사들이 이해 차원이 아닌생산 차원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로 수업 비평적 담화를 이끌어내는 데두었다. 먼저 수업 비평을 하는 이유를 살펴보았다. 우리가 수업 비평을 하는 이유는 수업을 즐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비평가로서 동료 교사의 안목을 즐기기 위함이며, 동료 교사의 수업 비평은 좋은 수업 이야기를 듣고 싶은 우리의 욕구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우리가 수업 비평을 하는 또 다른 이유 하나는 교육적 상상력으로 수업 현상의 본질을 언어적 이미지로 포착하고 설명하기 위함이다. 수업 비평적 담화의 실태를 분석해 보면, 대부분 비평 초보자들은 수업 동영상을 보자마자, ‘기술’과 ‘분석’, 그리고 ‘해석’은 생략한 채 수업 동영상을 ‘관찰’ 하자마자 바로 ‘평가’로 달려가는 경향을 보이며, 그 결과 관찰과 기술, 평가만 난무하는 결과물을 생산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업 비평 담화 공동체에서 행하고 있는 수업토론회나 수업 대화 질문법은 수업 비평의 특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실태 분석을 토대로 새로운 수업 비평적 담화 방법의 원리를 제시하였는데, 먼저 기존의 기술로서의 수업, 예술로서 수업과 같은 수업을 보는 관점에 덧붙여, 새로운 관점, 즉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수업, 자기 발견으로서의 수업을 덧붙였으며, 수업 비평 자료를 반복해서 읽고 각각의 경험을 성찰할 것, 수업 동영상을 전사하며 세밀하게 볼 것 등을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관점으로 수업 보기>를 활용해 수업 비평을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re are so many articles which can increase an teachers`s eye for class instruction. But they could not be levels which teachers can to produce about discourses of class crit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evel-up of teachers teaching critical discourse to be productive. I first looked at the reasons for class critiques. The reason we have a class critique is not to enjoy the class. The reason are enjoyment of the eyes of critics and fellow teachers. Classes critiques evoke our desire to hear about good teaching. The other reason is educational nature of imagination which explains the phenomenon of class. Its essence is captured in the verbal image. I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of critical discourse. Most beginners have a tendency to run to and evaluate. They didn`t describe, analyze, and interpret of videos of classes. Such trends leaded to such a result. The discourse community had done discussion and questions, but discussions and questions didn`t have characteristics of a class critique. I presented some principles of method of the critical discourse of class. I recommend teachers to have perspectives of class which are as an description, as an art, as an social practice, as a self-discovery. Teachers should read the data repeatedly et al. Teachers can use the paper activities of perspectives which I had designed to discours class critiques.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인식 분석

        심영택(Shim, Young taek),김남균(Kim, Nam gun),김민조(Kim, Min jo),이현명(Lee, Hyun m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This study aims to unveil the specific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analyzing how teacher participants perceive goals and social norms abou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this study, researchers formulat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 teacher participants perce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A’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B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participat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These researchers administered survey questions to ‘A’ and ‘B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tool for this research is derived from Grossman, Weinburg and Woolworth(2001) study which categorizes goals, norms, conflicts and tensions, and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eacher participant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erceived, to some extent,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general. They also actively engaged in a process of establishing goals and norms and resolving conflict. Teachers in A elementary school and B elementary school had the very similar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relatively short experiences than those of ‘B’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t they were very closed to the goals and orientation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had commonly shared with.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이 교사학습공동체의 목표와 규범, 갈등조정, 성과 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은 ‘교사 학습공동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학교 맥락에 따라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방법으로, 2개 초등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도구 는 Grossman, Wineburg와 Woolworth(2001)를 참고하여 교사학습공동체의 목표,규범, 갈등 조정, 교사 성장 등으로 그 범주를 구분하여 설문 영역을 구성하고 세부항목을 개발하였다.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참여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의 목표와 규범 설정, 갈등 해결 과정, 성과 전반에 대해 어느 정도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A초등학교와 B초등학교 교사들은 비슷한 인식 경향을 보이는데,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지만 국립학교라는 특성을 가진 A초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자신들이 참여하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가 지향에 근접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이혁규 ( Hyug Kyu Lee ),심영택 ( Young Taek Shim ),김남수 ( Nam Soo Kim ),이현명 ( Hyun M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2

        오늘날 교육자의 교육 실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자기 연구(self-study)가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K교대 교육연구원의 연구팀들이 자기연구에 대한 연구물들을 독해하는 과정에서 어떤 질문을 제기하고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이해를 생성해 가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글이다. 글의 전체 구조는 <만남> - <탐색> -<전망>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만남>에서는 상이한 교수및 연구 경험을 지니고 있는 우리들이 어떻게 자기연구라는 공부와 인연을 맺게 되었는지를 주로 개인적 내러티브 형태로 기술하였다. <탐색>에서는 K교대 교육연구원에서 매주 열리는 공부 모임에서 자기연구(self-study)에 대한 연구물을 읽으면서 함께 경험한 일종의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독해의 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망>에서는 자기연구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실천이 심화될 경우 교사 교육자로서의 우리의 실천 및 K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의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에 어떤 새로운 모색이나 변화가 일어날지를 전망해보았다. 교사의 교육 실천의 변화를 위해서 시작한 자기연구는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또 다른 교사로서의 우리의 실천에 대해서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자기연구에 대한 글을 읽는 과정은 다른 사람의 교육 실천의 변화를 촉진하기 이전에 우리 자신의 교육 실천을 돌아보도록 요구받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즉, 자기연구에 대한 글들을 통해서 우리는 교사로서, 예비 교사 교육자로서, 교사 교육자로서, 대학 연구자로 우리 자신과 우리가 변화를 촉진코자 하는 학교 현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다각도로 성찰하게 되었다. One of the most interesting emerging research methods in teacher education is self-study as a means of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ing. This study was about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rofessional literatures related to self-study by research team members in K university of educ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what questions were raised, what was learned, and what was understood. This study consists of ``meeting-inquiring-prospecting``. First, ``meeting`` was about a description with a narrative form of how we who had the widely different experiences of teaching and research were able to engage in self-study. Second, ``inquiring`` was addressing interpreting process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s in a study group of K university of Education in a every week. Last, ``prospecting`` was searching for new ways or changes in our research project,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ing if our understanding and practice were deepened in self-study. Self-study initiated in the change of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s offered us whom we taught in colleges of educatio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ur own practice of teaching. During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s of self-study, we realized that we were required reflecting on our educational practices, prior to facilitating changing others` educational practices. In other words, we as teacher, pre-service teacher educator, teacher educator, and educational researcher were necessary to reconsider relationships with schools that we were trying to facilitate their changes and to reeducate ourselves through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s related to self-study.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의 대화 분석과 교육적 의미 탐색-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김남균 ( Nam Gyun Kim ),심영택 ( Young Taek Shim ),김민조 ( Min Jo Kim ),이현명 ( Hyun Myoung Lee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 간의 대화를 분석하여 대화상에 나타난 특징을 찾고, 그 특징의 교육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사학습공동체의 활동에 대한 분석, 즉 개방형 교수법으로 초등 수학 수업을 공동으로 설계하고 실행하고 성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양한 해결책을 제안하고, 공유하고 합의해 나가는 과정에서 교사 간 주고받는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대화상에 나타난 특징을 탐색하고, 그 특징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실천적 지식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대화 형식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교과전문가가 대화 주제를 선정하거나 화제를 전환하는 촉진자 역할을 하였지만, 수업 계획, 내용, 진행 과정 등과 같은 주제를 다루는 수업 설계 활동에서는 교사들이 교사학습공동체를 이끌어가는 리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대화 내용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교사들은 교과지식의 엄밀성보다는 교수법과 수업 기법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의 경험과 성찰은 매개 도구에 따라 그 발현 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공동 수업 설계, 실행, 성찰에 대한 교사들의 내적 역량이 강화되면서 교사학습공동체가 점차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징이 지닌 교육적인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과 내용 지식을 강조하는 중등학교 교사들과 달리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을 바탕으로 자신이 관계하는 실제 상황에 맞게 실천적 지식을 재구성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utilizing a method of dialogue analysis among teachers who are participating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could explor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analyzing dialogue among teachers who were co-planing, implementing, reflecting on lessons with the open-ended approach in the Mathematics class and who were proposing the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sharing and reaching agreement on practical knowledge. As a result of dialogue analysis, educational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that a pedagogical approach were weighed more on the subject content knowledge, that the degre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mong teachers became different by its mediation tools, and that sharing visions and pedagogical approaches contributed to enhance teachers` internal capabilities, that shifting operating responsibilities from teacher educators and/or educational researchers to teachers stabilized systematically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suc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olding educational meanings need to become a community that leads to long-held education future embodied its own tradition, change, and future, public accountabilities improving oth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tudent learning, a community which is sharing its public memories by framing narratives and educational discourse including its unique culture, and a community where individuals and groups try to improve its profession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