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사소송에서 필적분석증거의 허용성과 그 한계

        권영법(Kwon, Young-Bub) 대검찰청 2012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35

        The 「Law on the Identity Verification by Confirming the Fact of Self‒signature」 hadbeen enacted and will be enforced soon. Accordingly, the use of signature instead of thumbprint or seal is gradually increasing. The use of signature is helpful in active dealings on credit however, there is also a possibility of ill‒use. If a document is suspected of forgery, handwriting analysis is required and handwriting analysis i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the handwriting of each individual is unique, handwriting shows the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and there are no two handwritings that are perfectly same”. However, this hypothesis has never been validated and, furthermore, it is very difficult to test its validity. In Korea, the two elements of handwriting analysis standard are the constancy and the scarcity. However, in case of the constancy, handwriting of an individual changes as time passes by. As for the scarcity, it can differ dependent on the quantity/quality of exemplar‒document/questioned ‒ document and the experience/qualification of the handwriting analysis specialist. When these facts are considered, it is very difficult to warrant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andwriting analysis. It is known that the accuracy of handwriting analysis specialist is 85% while the accuracy of ordinary person is 70%. However, this is based onthe assumption that there had not been any impact of external factors. Ifthe fairness of handwriting analysis would be questionable, it can be said that the accuracy difference between ordinary person and handwriting analysis specialist is not on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the handwriting analyses for criminal cases in Korea are mostly done by government institutes such as the National Scientific, Criminal & Investigation Laboratory; therefore, the fairness of it is not warranted. The handwriting analysis should meet the objective requirements such as; the authenticity of the exemplar document should have been validated, there should be sufficient evidences thatvalidate that the exemplar document and questioned document had been prepared by same person, the creation timing of the exemplar document should be within the same time frame with the creation timing of questioned document and all cautions during the requested writing had been abode by. In the absence of any one of these, the admissibility of handwriting analysis as an evidence in the court should be denied. Evena handwriting analysis specialist witness would be allowed after all above objective requirements had been met, still the handwriting verification of the questioned document should be done by the judge and jurywhile the handwriting analysis specialist would just explai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questioned document and exemplar document in the court. At present in Korea, there is no curriculum for the handwriting analysis in universities which would teach the theories and practice of document authenticity analysis including the handwriting analysis. Also, there is neither chartered certificate system nor an association of handwriting analysis specialists. In the criminal cases, most of the handwriting analyses are done by government institutes. Accordingly, there is minimal accumulation of handwriting analysis theori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empirical studies on the accuracy rate of handwriting analysis. Another issue is that the number of handwriting analysis requirement is too many for one handwriting analysis specialist in a government institute because the number of handwriting analysis specialist itself is very small. The judgment on the sameness between an exemplar document and a questioned document should be consequently made by a judge;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being published in Korea, which would provide the judges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c information on the handwriting analysis. 「본인서명사실 확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무인 또는 날인을 갈음한 서명이용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서명의 이용은 활발한 신용거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악용될 소지도 많다. 문서가 위조될 경우 필적분석을 하게 되는데 필적분석은 “각 개인의 필적은 고유하고 필적은 개인의 특징을 나타내고 완전히 동일한 필적은 없다”는 가설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러나, 그 가설은 입증된 바 없고 나아가 성립되기도 매우 어렵다. 우리나라에서 필적분석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두 가지 요소 중, 항상성(恒常性)의 경우 세월에 따라 개인필적도 변경이 되며, 희소성(稀少性)이라는 요소도 대조자료와 의심자료의 양과 질, 분석관의 경험과 자질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필적분석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다는 것은 매우 힘들다. 필적분석 전문가의 정확도가 85%, 일반인의 정확도가 70%에 이르고 있다고 조사되고 있는데, 이는 필적분석시 외부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경우이고, 그 공정성이 의문시 된다면 일반인과 전문분석가의 정확도의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라고 할 것이다. 나아가 우리나라는 형사사건에 있어 필적분석이 대부분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등 국가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 공정성이 담보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필적분석은 대조자료의 진정성이 입증되고, 대조자료와 의심자료가 동일인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입증하기에 충분한 증거가 있어야 하고, 대조자료의 작성시기가 의심문서와 같은 시기에 작성되고, 시필시 주의사항이 준수되는 등 객관적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하고 이를 결여한 경우 증거능력이 부정되어야 할 것이고, 이러한 객관적 요건을 갖추어 필적분석 전문가증인이 허용되더라도 의심문서의 필적확인은 판사와 배심원이 하여야 할 것이고, 필적분석 전문가는 법정에서 의심문서와 대조문서의 유사ㆍ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만 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대학에서 필적분석 등을 포함한 문서감정을 전문으로 이론과 실습을 담당하는 과정도 개설되어 있지 않고, 공인된 자격증제도도 시행되고 있지 않고, 문서 분석인협회도 없으며, 형사사건에서 필적분석은 대부분 국가기관이 실시하고 있다. 이에따라 필적분석은 이론적인 축적도 미미하고, 오류율 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도 거의 찾기 어려운 실정이며, 필적분석인이 극소수여서 국가기관의 경우 1명당 담당하는 분석 건수가 너무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결국 대조문서와 의심문서의 동일성판단은 판사가 하여야 하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판사로 하여금 필적분석에 대한 이론적ㆍ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해주는 자료도 발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필적분석을 포함한 문서 분석인의 자격증이수과정을 개설하고, 공인자격증을 수여하는 제도가 강구되어야 하겠고, 재판을 담당하는 판사로 하여금 필적분석에 대한 이론적 ․ 실무적인 기초 소양을 제공하는 책자를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법관연수시 이를 연수하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하며, 국가기관이 담당하는 필적분석 등 문서감정을 단계적으로 중립적인 기관으로 이관하여야 할 것이고, 신용거래에 있어 서명 외에 본인의 신분증제시 등 신원확인을 하는 제도적 장치가 강구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실험군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에 대한 이표본 t-검정과 공분산분석의 의료보건 데이터 사례연구

        김규곤,김혜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6

        In this study, a better method of data analysis was proposed in a field of health care study. Experimental designs was comparative stud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ith pre and post observations, homogeneity of pre test was not satisfied. Two-sample t-test was used for testing non-equal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using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 observations, and also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for raw data without variable transformation. As a result, two-sample t-tes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two subgroup among all of nine subgroup, and analysis of covaria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x subgroup among all of nine subgroup. Consequently, in data analysis in a field of health care, it was founded that analysis of covariance increased the power rather than two-sample t-test. 본 연구에서는 의료보건분야에서의 더 좋은 데이터 분석방법 한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실험설계는 사후 관측값과 사전 관측값을 가지는 실험군 대조군의 비교실험이고, 사전점수의 동질성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이다. 검정방법은 사후 관측값과 사전 관측값의 차이를 사용하여 실험군 대조군을 이표본 t-검정을 할 수도 있고 데이터 변환 없이 원시자료를 가지고 공분산분석을 할 수도 있다. 분석 결과 이표본 t-검정을 하는 경우 9개 영역 중에서 2개 영역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공분산분석을 하는 경우 9개 영역 중에서 6개 영역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의료보건분야의 데이터 분석에서는 이표본 t-검정을 하는 것보다는 공분산분석을 하는 것이 검정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조분석을 위한 말뭉치의 타당성 연구 -한중 대조분석을 중심으로-

        황은하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2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verify the bilingual corpus used in the Korean-Chinese contrastive analysis. To this end, Chapter 2 describes the problems of the corpus construction and corpus used in contrastive linguistics. Chapter 3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kinds of the bilingual corpus - parallel corpus and comparative corpus used in Korean-Chinese contrastive analysis. In Chapter 4,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arallel corpus used in the Korean-Chinese uni-direction contrastive study: the corpora used in five different studies on the Korean particle ‘e(에)’ and ‘eseo(에서)’ and their correspondences in Chinese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corpora used in these five papers were different, and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study subjects were different, which proved the effect of parallel corpus structure in contrastive studies. Furthermore, we conducted a replica study focusing on the comparative study of Korean-Chinese suffixes. Focusing on the large difference in corpus siz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sub-corpora of the comparative corpus, we resized the Korean sub-corpus and conducted a replica study on the suffix. As a result of increasing the Korean corpus siz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results on the Korean suffix significantly depend on the corpus size. In summary, it is vital to apply strict standards for representativeness, balance, and size in constructing parallel and comparative corpus in contrastive linguistics studies. 이 연구는 대조분석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말뭉치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말뭉치의 구조가 대조분석 연구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사례 연구를 통해 입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대조분석용 말뭉치에 관해 제기되는 문제를 자세히 기술하고 3장에서는 말뭉치 기반 한외 대조분석 연구 중 논의가 가장 활발한 한중 언어쌍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그에 사용된 말뭉치의 구조적 특성을 정리하여 문제점을 짚어 본다. 4장에서는 병렬말뭉치와 비교말뭉치를 나누어 일부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과 재연(replica) 실험을 통해 말뭉치의 구조가 대조분석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해 보였다.

      • KCI등재

        중국어 전치사 ‘在’, ‘于’와 한국어 조사 ‘에서’ 의미구조 대조 분석

        한경숙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5 No.-

        전치사 ‘在’와 ‘于’는 현대중국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전형적인 전치사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성분분석법과 의미소분석법 그리고 격문법 분석법으로 중국어 전치사 ‘在’, ‘于’와한국어 조사 ‘에서’를 대조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이들 의미구조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하여중국어 전치사 ‘在’와 ‘于’, 한국어 조사 ‘에서’의 의미자질을 고찰하였고 나아가 이들의 변별적자질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중국 북경대학교 CCL말뭉치에서 ‘在’, ‘于’의 예문들을 축출하여 성분분석과 의미소분석 그리고 격문법 분석법으로 중국어 전치사 ‘在’, ‘于’의 의미자질을비교, 묘사하였고, 이들의 변별적 자질도 찾아냈다. 그리고 본 논문은 이들과 한국어 조사 ‘에서’와의 의미구조 대조분석도 하였으며 이런 대조 분석을 토대로 ‘在’, ‘于’와 ‘에서’의 대응관계를 찾아보았고 한국 학생들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중국어 전치사 ‘在’, ‘于’ 교수법을 모색하였다. This article in the analysis, using the componential analysis, semantic structure analysis method and case grammar. This article through to the Chinese Preposition ‘Zai(在)’, ‘Yu(于)’ and Korean auxiliary ‘Eseo(에서)’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rying to grasp the features of its languageform, and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semantic features location. Inthis paper the preposition to the Peking University Chinese corpus of ‘Zai(在)’and ‘Yu(于)’ example analyzed composition analysis and sememe, find out thepreposition ‘Zai(在)’ and ‘Yu(于)’ semantic feature, and by further analysis ofthese semantic features, the preposition ‘Zai(在)’ and ‘Yu(于)’ the root of thedifference of the description. This paper also examples of the Korean auxiliary‘Eseo(에서)’ has carried on the analysis component analysis and sememe, andthrough the Chinese Preposition ‘Zai(在)’, ‘Yu(于)’ and Korean auxiliary ‘Eseo(에서)’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comparative analysis, find out their semanticfeatures, in order to further prompt Chinese Preposition ‘Zai(在)’, ‘Yu(于)’ teaching method provides effective basis.

      • KCI등재

        영어와 한국어의 대조 스트리핑 구문

        김소지(Kim, So-Jee),조세연(Cho, Sae-Yo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와 한국어의 대조 스트리핑 구문(Contrastive Stripping Construction: CSC)에 대한 독특한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대조 스트리핑 구문의 대조적 의미(contrastive meaning)를 전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가 무엇인가를 논의하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이다. 영어와 한국어의 대조 스트리핑 구문은 각각 (but/and) (not) NP 그리고 (그러나/그리고) NP[-은/는] 아니-와 같이 불완전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완전한 대조적 명제 의미를 전달한다. 이러한 형태 · 의미의 불일치를 설명하기 위해 두 언어의 대조 스트리핑 구문에 대한 통사 및 의미 · 화용적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해당 구문의 언어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영어와 한국어의 대조 스트리핑 구문 문법 분석을 제시하면서, 영어와 한국어의 대조 스트리핑 구문이 외견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대조 해석을 어떻게 도출하는지를 보여준다. The paper aims to study the peculiar properties of the Contrastive Stripping Construction (CSC) in English and Korean. The key issue in this paper is what lead to a contrastive meaning of the CSC in the two languages. The CSC in English and Korean can be comprised of a few fragments such as (but/and) (not) NP and (Kulena/kuliko) NP[-(n)un] ani- respectively, delivering a contrastive sentential reading. To account for the form-meaning mismatch, we compare the properties of the CSC in both languages at issue. Based on the properties we observed, we propose a construction-based analysis of the CSC in the languages, postulating the English CSC-cx and the Korean CSC-cx. Our analysis provides a simpler explanation for why the CSC of the two languages can have different syntactic properties, delivering similar contrastive propositional readings.

      • KCI등재

        한국어 조사 {로}와 관련되는 중국어 개사(介飼) 대조 연구

        번웨이샤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2

        본 연구는 한국어 부사격조사 중에서 가장 많은 의미기능을 가지고 있는 {로}와 관련된 중국어 개사를 대조 분석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방법은 선행연구와 사전 자료 등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여 {로}의 의미기능을 재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말뭉치자료를 이용하여 {로}와 의미상 대응 가능한 중국어 개사 표현을 정리하였다. 또한 {로}와 관련된 중국어 개사의 통사정보를 체계적으로 대조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표현 대조 측면에서 {로}는 의미기능에 따라 관련 중국어 개사 표현들과 대부분 대응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개별 문맥에 따라 ‘로’는 중국어에서 다른 형태로도 인식되었다. 통사적 측면에서 먼저 결합 형태에 있어 {로}와 관련개사의 결합 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 유형이 대조 가능한 부분과 대조 불가능한 부분을 분석하였다. 위치와 문장성분의대조 결과에서 {로}와 관련 개사는 공통된 점도 있었지만, 문맥에 따라 차이점도 보인다. 마지막으로, {로}는 한국어 조사로만 사용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중국어 개사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구조 형식으로 실현되는 성질에서 {로}와 구별된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두 언어에서 관련 어휘를 가르치는 교원에게 도움이 되기는 희망하며, 또한 두 언어 간 관련 어휘 대조의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dverbial auxiliary ‘로’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prepositions. For thisstudy, we selected some semantics of ‘로’, then we searched its corresponding Chinese prepositions. Also,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syntactic information of the Chinese preposition is related with Korean auxiliary ‘로’. As a result, In terms of the contrastive expression, ‘로’ could match with the most of the Chinese preposition. It just depends on about the function of the ‘로’. ‘로’ also can correspond to other morphology besides preposition in Chinese context. In the aspect of syntactic comparison, Fist, three combination forms of ‘로’ and preposition were compared systematiclly. Second, as the result of location and sentence constituent comparison, there are different points as well as same points. The last point, there is a limitation that ‘로’ is only used as korean auxiliary. But, Chinese preposition is used in various forms of the structure. This research, as the one of important data of Chinese and Korean vocabulary comparison, will give a help for teachers in the Korean auxiliary and Chinese preposition.

      • KCI등재

        한국어와 우르두어의 높임표현 대조 분석 연구

        장경미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5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우르두어의 높임표현을 대조 분석함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우르두어권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한국어 높임표현 교육 방안을 도출 하기 위한 기초 조사를 하는 데에 있다. 인도-아리아어족에 속하는 우르두어는 파키스탄의 국어이자 인도의 공용어 중 하나 이며 서남아시아 무슬림들의 문화어로서의 그 역할을 해 왔다. 이러한 우르두어와 한국 어의 높임표현 체계를 대조 분석해 본 결과 서로 다른 계통의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각각 문법적 높임표현과 어휘적 높임표현이 발달했다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 언어는 특히 상대 높임표현이 발달했는데 높임 화계가 점점 단순화되어 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양 언어에는 차이점도 있었다. 첫째, 한국어의 주체 높임표현은 주로 선어말 어미에 의해서 실현되나 우르두어는 종결어미에 의해서 실현된다. 둘째, 한국어의 상대 높임표현은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에서 다양하게 실현되나 우르두어 의 상대 높임표현은 주로 명령형에서 나타난다. 셋째, 한국어의 객체 높임표현은 몇몇 동사에서 나타나는데 우르두어에서는 객체 높임표현이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한국어 에서는 대화 상황에서 상대방을 부를 때 주로 이름, 직함 등을 부르나 우르두어에서는 2 인칭 대명사를 사용한다. 다섯째, 한국어에서는 높임 대상에 따라서 조사가 변했으나 우 르두어에서는 높임 대상에 따른 후치사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파키스탄 학습자들의 발화 및 작문에 나타난 오류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높임표현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Honorific expression of the Korean and Urdu language. Urdu is the national language of Pakistan and an official language of India that belongs to Indo-Aryan language. As it has a similar grammatic structure to Korean, Pakistani students who learn Korean have an outstanding competence in understanding and learning Korean honorific expression. However, the merit sometimes becomes a cause of learners’ careless errors. It is because Honorific expression of the Korean language is a complicated category, which needs to be explained by pragmatic aspect as well as lexical and syntactic aspects. Chapter two explo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honorific expression in Korean and Urdu depending on syntactic and lexical aspects. The results of the contrastive study are as follow: First, pre-ending ‘-si-’ is used in order to indicate respect when the subject of the sentence holds higher social status than the speaker in Korean language but sentence endings as ‘-e, -en’ is used in Urdu language. Second, Hearer-honorific expression in Korean and Urdu there are six levels of forms but nowadays mostly three levels are used in conversations. Third In Korean, according to speaker’s intention, listener’s age, status difference and relationship various sentence endings are used to express the degree of respect and politeness. But we can find out hearer-honorific expression in Urdu by imperative sentence. Fourth In the Korean, there is no honorific form of second-person pronoun such as ‘aap’ in Urdu. So in Korean language when addressing a person in the second person they use listener’s name. But in Urdu there are three second person pronouns, they are used commonly when addressing.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s we can find out how to teach Korean honorific expression for Pakistani learners.

      • KCI등재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Rhetorical Moves of Applied Linguistics English Research Article Abstracts

        Shim, Eun-Sook(심은숙)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3

        대조수사학 연구는 문화적, 수사학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언어의 담화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장르분석이론을 기반으로 영어논문초록의 수사학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응용언어학 분야의 국내학술지(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영어논문초록 30편과 국제학술지(Applied Linguistics) 영어논문초록 30편을 Hyland(2004)의 분석표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상향식접근법(content of the text)과 특정어휘중심으로 분석하는 하향식접근법(typical lexical and grammatical signals)을 사용하였다 (Pho, 2008). 장르분석 결과 영어논문초록은 Move-2-3-4(Purpose-Method-Result) 수사구조를 상당부분 포함하고 있었고, 연구의 중요성(Move-1)과 연구결과기여도(Move-5)의 수사구조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국내학술지 영어논문초록 경우에는 연구의 필요성과 영어교육현장에서 실제적인 교육학적 시사점이 강조된 반면, 국제학술지 영어논문초록 경우는 Swales의 CARS모형 (creating a research space)적용과 연구기여도(research contribution)를 강조하고 있다. 대조수사학기반 장르분석은 학문적 텍스트의 구조적, 수사학적 특징을 이해하고 학술목적(EAP) 논문쓰기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cultural rhetoric studies inform us about cultural factors and linguistic preferences to negotiate through written texts. This study examined the rhetorical move structure of the research article abstracts published in applied linguistics journal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 total of 60 research article (RA) abstracts were selected from the international journal, Applied Linguistics, and English RA abstracts from the national journal,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The identifications of move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content of the texts (a top-down approach) and also based on the particular linguistic signals (a bottom-up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RA abstracts included three obligatory moves: Situating the study, describing the methods, and summarizing the finding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in two groups were the frequent use of the situating the study move and the discussing the study move in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distinctive academic writing conventions preferred in the applied linguistics field and developing writing materials for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EAP) writing courses.

      • KCI등재

        분류체계·성분분석법 재개발 실행연구 : 수업분석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숙(Youngsook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1

        Spradley(1979)가 소개한 구조적 질문과 대조질문을 활용하는 분류체계분석방법과 성분 분석 방법은 그 유용성에서도 불구하고 너무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도록 제시되어있기 때문에 많이 활용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12개의 질문방법 중 가장 유용한 5개의 질문방법만 연계해서 질문하면서 분류체계·선분분석 표를 만들어 나가도록 분석법을 재개발하였다. 재개발된 분석법은 수업분서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연수용 교재로도 개발되었다. 연수용 교재는 연구방법론 강의와 연구방법 연수회/워크숍에서 사용하면서, 참여관찰과 참가자들의 피드백 분석을 통해서 계속 수정해나가는 실행연구를 거쳐서 수정·보안되었다. 이 글에서는 연수교재 개발 절차를 소개하고, 최종 개발된 연수교재 중 핵심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재개발된 분석방법들의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axonomic analysis using structural questions and componential analysis using contrast questions were introduced by Spradley in Ethnographic Interview(1979). Despite potential usefulness of these research methods, they have not been used much by educational researchers because the research methods presented by the book were regarded too complicated or difficult to be used by most reader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implify taxonomic analysis and componential analysis so that only one structural question(substitution frame questions) and four contrast questions(contrast set sorting question, triadic contrast questions, directed contrast questions and rating questions) are necessary. Moreover, all interviews conducted for this study used a set of cards to write an answer for the substitution frame questions on each of the cards. The use of cards help interviewers to conduct interviews more effectively by allowing them to use same cards for different questions without confusion and by making informants feel more comfortable. With this approach, many informants were found to regard the interview as a game. Through and action research, this study also developed a guidebook for researchers and teachers who want to use re-developed research methods. The first guidebook was developed in 2006 and has been refined continuously through several workshops, receiving feedback from participants in various occasions.

      • KCI등재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의 부공간 대조 샘플집단 마이닝

        이경미(Kyung Mi Lee),이건명(Keon Myung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1 No.5

        ?;?;이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에 대한 분석 문제로서 부공간 대조집단 식별 문제를 소개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부공간에서 속성값이 대조적인 집단의 쌍들을 식별하기 위해, 먼저 각 속성에 대해서 분석자가 지정한 대조영역의 값을 갖는 두 개의 샘플집단을 선택한 다음, 연관규칙 마이닝과 유사한 형태의 방법으로 부공간의 차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가면서 대조집단을 추출한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는 수천개 이상의 유전자에 대한 발현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다차원 데이터이기 때문에, 대조적인 발현특성을 갖는 유전자집합에 대한 샘플집단의 쌍을 모두 부차원에 대해서 질의를 통해 식별하는 것은 부담이 되지만,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면 분석자가 지정한 대조영역 값의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모든 가능한 부공간에서의 대조집단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subspace contrasting group identification problem and propose an algorithm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identify contrasting groups, the algorithm first determines two groups of which attribute values are in one of the contrasting ranges specified by the analyst, and searches for the contrasting groups while increasing the dimension of subspaces with an association rule mining strategy. Because the dimension of microarray data is likely to be tens of thousands, it is burdensome to find all contrasting groups over all possible subspaces by query generation. It is very useful in the sense that the proposed method allows to find those contrasting groups without analyst’s invol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