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문장제 해결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에 대한 초기 관념과 수행

        임재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2 No.2

        다이어그램은 수학 문장제의 구조를 표현하고 추론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 용하다. 다이어그램에 관한 교사의 관념과 실행은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교사들이 다이어그램 관련 역량을 기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다이어그램에 대한 어떤 사전 경험 과 관념을 가지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입문하는지, 프로그램을 거치면서 어떤 변 화가 일어나는지, 프로그램에 어떤 개선이 필요한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 에서는 그 출발점 작업으로, 교육대학교의 수학교육 프로그램에 입문하는 초등예비 교사들의 다이어그램에 대한 관념과 수행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초등예비교사 들은 다이어그램 유용성 인식과 다이어그램 교육 의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나, 수학 문장제 해결에 다이어그램을 자발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았고 학 교에서의 다이어그램 학습 경험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또, 초등예비교사 들이 그린 다이어그램을 분석한 결과, 해를 구하는 추론 (풀이) 과정을 나타내는 다 이어그램을 그린 초등예비교사는 소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이어그램에 관한 경험 과 지식이 부족한 상태로 수학교육 프로그램에 입문하는 초등예비교사가 많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olved an investig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preconceptions and experiences of diagrams and their ability to draw diagrams in solving math word problems. A questionnaire and two math word problems were administered to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who began to taking an introductory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tems indicate tha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ppreciate the value of diagrams as tools for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have the will not only to teach their future students how to use diagrams but also to encourage them to draw diagrams in solving math word problems. However, the results also indicates tha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neither use diagrams spontaneously in their math problem solving activities nor have confidence in drawing useful diagrams.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lso manifested low scores on the questionnaire items asking whether they were taught how to draw useful diagrams or encouraged by their teachers to use diagrams in their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diagrams tha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drew in solving math word problems showed that most of them had difficulty drawing diagrams that represent their reasoning and solving process.

      • KCI등재

        다이어그램에 대한 분석과 감각 중심 미술교육에의 제안

        이명순(Myeung-Soon Le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2

        본 글은 회화 속에 나타난 다이어그램에 대한 고찰과 함께 감각을 중심으로 한 미술 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는 글이다. 회화 속의 다이어그램은 들뢰즈(Gilles Duleuze)가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다이어그램과 권력을 내포한 다이어그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회화에 적용한 개념으로서, 작가의 감각이 물질세계에 내재하는 힘을 받아들여 형상화 된 기호를 의미한다. 다이어그램은 짧지만 극히 강도 높은 작가의 감각에 접근할 수 있는 질적인 시간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감각의 기호이며 모든 형식의 회화 속에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미술교육에 있어서 이성보다 감각을 활용시킬 수 있고, 감각의 힘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과 그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왔다. 다이어그램에 대한 이해는 감각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수 있는 또 하나의 준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화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다이어그램을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서 미술교육 현장에서 감각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이어그램에 대한 깊이 있는 조명을 통해 학습자의 감각을 열어주는 동시에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키워줄 수 있는 미술교육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모색이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 In this essay, I contemplate the diagram appear above paintings and suggest on need of pursuing art education studies based on sensory activities. The diagram on paintings is an applied concept after paintings grounded on view of the semiotics and version of power by Duleuze. The diagram means a symbol of embodied power in world of substances by artists. The diagram is the symbol of sensation which can provide people with a matter of the upmost and extremely intense experiences yet being momentary. The diagram appear in the every type of paintings with various form. In addition, I draw up frame of art education that is able to conjugate sensation rather than brain power and how can we maximized value of sensation in all area of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study for importance of sensation and exertion of finding way of maximize the power of sensation has lasted steadily. The understanding of the diagram can be used for one of the criteria that is able to remind the importance of sensation. This essay ends by expecting that the studies for art education on sensation core will be activated based on enlightenment of diagram and hoping for extended study about a diversity of diagrams from varied artists.

      • KCI등재

        다이어그램과 내재성의 평면: <성학십도 VR>에서의 개념 공간 시각화

        이현진,이원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철학적 사유를 다이어그램을 통해 전개해 온 사례는 동서양에 공존한다. 조선은 동양에서도 이른 시기에 도상(圖像)적 사유를 가장 높은 수준까지 개척한 나라였다. 특히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 圖)』는 성리학이 담고 있는 모든 추상 개념을 10개의 다이어그램으로 정리해 개념 공간을 창의적으로 시각화하며 도상의 종합판을 보여줬다. 서양에서는 질 들뢰즈가 베르그송과 푸코, 스피노자가 시도한 이미지와 다이어그램, 내재성의 개념 등을 종합해서 다이어그램적 사고를 전개했다. 그는 비록 시각화된 이미지를 많이 남기지 않았지만, 주름, 탈주선, 지도 그리기, 내재성의 평면 등의 시각적 메타포를 적극적으로 사용해 독자적 사유를 펼쳐냈다. 들뢰즈가 추구한 것은 다이어그램을 통해 매순간 개념을 생성해가는 역동적 삶이었다.『성학십도』 역시 매순간 일상에서 자신을 수양하고 고양시킬 수있게 하는 매개체[잠(箴)과 명(銘)]이자 지도다. 그들에게 다이어그램은 그저 그림이 아니라 그 안에전 우주가 응축된 ‘내재성의 평면’이다. 우리는 이런 동서양 다이어그램적 사유의 공통점에 착안해 성학십도를 가상현실(VR)로 만들면서 생성적 철학 시공간을 더욱 역동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했다. VR 매체는 도상을 입체적이고 다이나믹하게 시각화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그러나 자칫 VR의 무한한 공간속에서 철학적 개념에 대한 접근이 주체할 수 없이 확산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성학십도 원본 도상, 본래 2차원 다이어그램이 응축하는 내재성의 평면을 환기시키면서도, 개념이 잠재적으로 무한하게 생성되는 운동성을 만들기 위해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설계했다. 그리고 이를 VR이라는현대적 매체 안에 3차원의 다이어그램으로 혁신시키고자 했다. 이렇게 제작된 3차원 다이어그램은 개념의 잠재태이자 그 안에서 무한히 새로운 개념을 창발하는 새로운 다이어그램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시퀀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을 위한 M2M(Model-to-Model) 변환 규칙

        김진아(Jin-a Kim),김수지(Su Ji Kim),서용진(Yongjin Seo),천은영(Eunyoung Cheon),김현수(Hyeon So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2 No.1

        시퀀스 다이어그램에 대한 모델 기반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시퀀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 나타내는 시나리오를 파악하고 테스트 커버리지를 만족하는 경로를 추출하여 테스트 정보를 생성해야 한다. 하지만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결합 조각을 사용하여 반복 및 조건, 대안 정보를 나타내므로 시퀀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은 복잡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액티비티 다이어그램으로 변환을 수행하는 모델 변환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시퀀스 다이어그램의 시나리오를 제어 흐름 형태로 표현하고 여기에 테스트 커버리지를 적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사례 연구를 통하여 시퀀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인다. In model-based testing using sequence diagrams, test cases are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sequence diagrams. For the generation of test cases, scenarios need to be found for representing as a sequence diagram, and to extract test paths satisfying the test coverage. However, it is hard to automatically extract test paths from the sequence diagram because a sequence diagram represents loop, opt, and alt information using CombinedFragments.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transformation process that transforms a sequence diagram into an activity diagram which represents scenarios as a type of control flows. In addition, we generate test cases from the activity diagram by applying a test coverage concept. Finally, we present a case study for test cases generation from a sequence diagram.

      • KCI등재

        디지털 건축과 다이어그램의 활용 -Ben Van Berkel, MVRDV, 피터 아이젠만을 중심으로-

        박영욱 ( Young Wook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1

        디지털 건축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디지털 디자인이다. 주지하다시피 디자인은 현실의 결과물을 만들기에 앞서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이다. 따라서 디자인은 그 본성상 시각적인 차원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디지털 디자인에서 가장 큰 변화는 2D `도면`으로부터 모니터상의 3D 이미지로의 변화이다. CATIA, Form-Z, Rhino 등의 프로그램은 기존의 설계도면을 디지털 이미지로 처리하는 CAD(Computer Aided Design)라는 의미를 넘어서서, 디자인의 본성 자체를 변화시킨다. 디지털 디자인의 과정에서 더 이상 기존의 도면은 필요 없다. 기존의 설계 도면은 2차원적인 평면에 바탕을 둔다. 따라서 이들 도면이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극히 제약된다. 수평선을 긋는 티자와 수직자, 그리고 원이나 호를 긋는 컴퍼스에 의해서 이들의 이미지는 제약되며, 건축물의 형태나 구조는 이러한 도면의 한계에 그대로 제약될 수밖에 없었다. 도면으로부터의 해방은 건축 디자이너들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디지털 디자인은 건축가가 역학이나 구조에 대한 해박한 지식보다는 창조적이고 예술적인 직관을 갖추는 것이 더 중요하게 만들었다. 이는 건축에서 공학적인 요소 못지않게 예술적이고 인문학적인 비전이 개입할 여지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이러한 변화는 건축가들에게서 `다이어그램`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건축에서 다이어그램이란 직접 시공을 전제로 한 설계도면과 달리 그 자체가 바로 시공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시각적 이미지 일반을 나타낸다. 도면의 생산에 제약되었던 근대의 건축가들에게서 다이어그램의 활용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디지털 건축 디자인의 등장과 함께 건축에서 다이어그램의 활용과 중요성은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때 흥미로운 사실은 디지털 건축과 함께 부각된 다이어그램의 개념이 들뢰즈의 철학에서 제시된 다이어그램과 연관이 된다는 것이다. 다이어그램을 전면에 내세운 대표적인 건축가 혹은 그룹인 아이젠만, 베르켈, MVRDV는 모두 이 개념을 들뢰즈의 철학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하지만 다이어그램에 대한 이들의 접근 방식은 서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차이는 들뢰즈가 베이컨의 회화를 다룬 『감각의 논리』에 제시된 다이어그램의 세가지 양상과 조응한다. 본 연구는 이들 건축가들의 다이어그램 방법론과 들뢰즈의 텍스트에 나타난 다이어그램을 서로 비교하며 고찰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건축이 갖는 새로운 매체론적 전망을 드러내고자 한다. The essential part of digital architecture is digital design. To design is to make visual image before constructing a building. Design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visual dimension. The use of new visual medium in the design doesn`t mean just an introduction of a new tool but also a profound change of designing process itself. Digital design shows the very typical cas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changes whic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design tools brought about is the transition of 2D drawings into 3D images on the computer monitors. Digital design tools such as CATIA, Form-Z and Rhino do away with the established drawings in the design process. It means that it can liberate the architecture design form the traditional vestige caused by the flat 2D drawings. Digital design make it possible for the designers to go beyond the geometrical drawing. So-called a new integrated process of design and manufacturing name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is emerging and changing radically the paradigm of design and giving a chance for architects not to be confined to the drawing and to design more audaciously. In this context the term of `diagram` is coming out to the horizon with the spread of digital design tools these days. Diagrams are all kinds of visual images which can not be directly used for the manufacturing in contrast with drawings. This kind of change demand that architects should be more equipped with the intuitional qualities and knowledges of ar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presentative architects wh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diagrams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how they deal with diagrams in their works. The ways they use diagrams reveal the profound meaning of digital designs. Curiously all of them mak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agrams rooted on the Deleuzian term of diagram. Therefore analyzing and comparing their methodological bases of diagrams in the relation to Deleuzian philosophy can make an decisive contribution to elucidate the essence of digital architecture.

      • KCI등재

        강건성 테스트 케이스 생성을 위한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의 생성 연구

        이선열(Seon Yeol Lee),채흥석(Heung Seok Chae)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41 No.1

        최근 강건성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을 위한 강건성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 생성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강건성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은 행위적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behavior state machine)으로부터 생성되었기 때문에, 상태와 전이의 관계에 따른 강건적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강건적 취약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강건성 테스트 케이스 생성을 위한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을 생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토콜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의 상태 불변식과 진출 전이의 선행 조건간의 관계를 분석을 통한 강건성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5가지 상태와 8가지 전이를 가진 회원 등급 변환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을 4 가지 상태와 12가지 전이를 가진 비디오 대여 시스템의 상태 머신 다이어그램에 적용하였다. Recently, generating a robustness state machine diagram(RSM) for robustness test cases has been studied. However, conventional RSMs have robustness problems related with relation between states and transitions because the RSMs were derived from behavior state machine diagrams. In this paper, we try to generate robustness test cases which can check the problems. To achieve it, we suggest a RSM constructing method which uses relation analysis between state invariants and transition preconditions of protocol state machine diagrams. We present a grade of members converting state machine diagram with 5 states and 8 transitions to demonstrate the proposed method. And we apply the proposed technique to video rental system state machine diagram with four states and 12 transitions.

      • 역공학 기능을 갖는 교육용 저작도구의 설계 및 구현

        한규정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5 公州敎大論叢 Vol.32 No.2

        본 저작도구인 한올은 언어 성격인 강한 저작 시스템으로 개발된 한올 프로그램의 분석 및 유지 보수에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역공학 도구인 로직 다이어그램은 프로그램의 분석과 재사용을 위한 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원시 코드의 흐름에 대한 구조와 복잡성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고 구조적 모순이나 결함을 쉽게 발견할 수 있게 한 다. 로직 다이어그램은 순서도와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순서도와는 달리 소스 프로그램과의 1대1 연결이 가능한 직렬 방식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다이어 그램과 관련된 소스 코드나 그에 대한 구조 파악이 프로그램의 순서와 일치되어 수정 을 포함한 편집에 유리한 형태를 보인다. 또한 로직 다이어그램상에서 직접 편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발견된 구조적 모순이나 결함 사항을 원시코드 편집 상태로 돌아 가지 않고서도 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에도 다이어그램의 결합 및 분해 기능으 로 모듈을 생성시키고 이식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의 생산성을 향 상시킬 수 있다.[7]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디버깅과 테스팅을 위한 오류 자동 검색[8],실행과 다이어그램 의 결합성 검토,원시 코드 구조의 정량화 방법론,다이어그램 결합 및 분해에 따른 라이브러리 관리 체계화,언어간의 원시 코드 변환 기술 연구 등이 있다.

      • KCI등재

        다이어그램의 개념, Bacon의 다이어그램, 그리고 Bacon의 회화적 준칙이 예술교육과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 Deleuze의 관점에서

        김영철(Kim Young-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Deleuze는, 구상적 회화와 추상적 회화 사이에서 형상적 회화공간을 연 화가 Bacon의 회화와 면담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프랜시스 베이컨: 감각의 논리』라는 저서를 출간한다. 이 논문은 Deleuze의 저서들과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다이어그램의 개념과 그 특징, Bacon의 다이어그램, 그리고 Bacon의 회화적 준칙을 추출하고, 그 각각이 예술교육과 미술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밝힌다. 다이어그램은 추상성, 기계성, 고유성의 특징을 가지며, 이에 따라 Bacon의 다이어그램은 선과 색, 우연, 그리고 분리의 특징을 가진다. 다이어그램과 회화를 연결하는 Bacon의 주체성은 회화적 준칙 17개로 요약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예술교육은 교육 일반의 탁월한 모델이자 도덕을 선도할 역량을 가지고 있고, 색채의 감응력을 키우는 미술교육은 교육의 핵심에 위치하며, 우연과 실험의 적극적 도입은 미술교육의 본질을 이룬다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works of Deleuze, to explore the concept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iagram, the particular features of Bacon’s diagram, and Bacon’s pictorial maxims, and to examine their implications in the education of arts and fine art from Deleuze’s perspective. A thousand plateaus and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are Deleuze’s works this research mainly depends on. To explore the concept of diagram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t, the researcher depends on the former work. The particular features of Bacon’s diagram are line and color, chance, and separ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e. abstractness, machinism, and uniqueness. Soon after 17 pictorial maxims which Bacon might have in mind at pre-pictorial phase are presented.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the researcher discusses several educational issues, such as the education of diagram, of spirituality, of chance, of tradition, and of autonomous arts, and presents some implications: education of arts as the superme model of education in general and as the leader of the morality as well as the knowledge; education of fine art as the core part of education in way of colorism, as the game of chance, and as the experimentation of the pictorial tradition.

      • KCI등재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다이어그램의 접목 방식에 대한 연구 : 합동과 대칭 단원을 중심으로

        박진형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합동과 대칭 단원의 수학 과제에 다이어그램이 어떻게 접목되어 있는지, 그리고 수학적 추측 생성을 지원하는데 적절한지 확인하 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다이어그램 생성 과제는 주로 대칭을 다루는 차 시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수학적 추측 생성보다는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을 그 리는 성취기준과 관련되었다. 또한, 다이어그램 실험은 모눈을 이용하여 도형 내의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비교하거나 자와 각도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합동을 다루는 과제에서는 주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 도형의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비교하는 데 초점을 둔 반면, 선대칭도형과 점대 칭도형을 다루는 과제에서는 주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도형에 대칭축이나 대칭 의 중심 및 기타 보조선을 나타내게 하고, 본래 도형의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에 더하여 이와 같은 보조선들과 함께 추가로 생성되는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함 께 비교하는 데 초점을 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on diagrammatic reasoning relat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adopted Peircean semiotic perspective to analyze mathematical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specifically analyzed mathematical tasks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inquiries into congruence and symmetry. As a result, we found that diagram construction tasks were mainly found in symmetry chapters, and these tasks were related to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rather than conjecturing. We found that diagram experimenting tasks were categorized into tasks of comparing edges and angles in grids and tasks of measuring lengths of edges and sizes of angles using ruler and protractor. We also identified several differences of diagrammatic reasoning related tasks between congruence chapters and symmetry chapters.

      • KCI등재

        그래픽 인터페이스로서의 다이어그램의 속성별 구조해명

        한석우(Han, Seok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본 연구는 그래픽 다이어그램을 구체적 속성별 요인간의 상관관계구조로 인식하고, 객관적으로 고찰하여, 유형별 형상적 특성을 재해석하며, 일반화에 대한 동질성 확보를 연구 목표로 하였다. 다이어그램은 물리적 공간이나 그 속에서의 대상이라든가 프로그램 요구인자들의 활동들이 존재하는 상태의 모형이기 때문에 공간의 한정성을 범위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다이어그램의 속성별 구조 해명은 다이어그램이 지닌 유형별 구성요인들 간의 상관적 구조와 요인 규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재확인하고 잠재적 응용가치를 상승적으로 확대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문제의 논의와 기준설정 및 상관 관계성을 비교·판별을 통해 진술하고, 요인 간의 상호관련성과 속성 구조를 비교·판별하고, 문제구조가 지니고 있는 시지각적 역할을 진단하였다. 그래픽 인터페이스로서의 다이어그램 디자인 개념화 과정과 내용 및 구조화 단계에서의 구조이론은 다원적으로 응용·확산할 수 있는 범주화된 속성의 응집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이어그램이 지닌 외연적·내포적 속성은 개념적 구성요소와 같은 철학적, 미학적, 실용적 가치와 같은 존재론적 상태와 형상을 이루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이어그램의 형식미학과 현상학적 구조에 의한 제 속성으로 연관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interpret figurative characteristics by type and to secure the homogeneity on the generalization by perceiving graphic diagrams as correlation structure between factors by concrete properties and by reviewing them objectively. As a diagram is a physical space or the model where activities of program demand factors or objects exist, the limitation of the space was included in the scope for the analysis. Additionally, explanation of structure by the properties of a program is to reconfirm the new possibility and to exp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values of correlation structure and factor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of a diagram by type. Consequently, discussions, criteria and correlations of problems were described through comparison and differentiation, correlation and property structure of factors were compared and differentiated and visual cognitive roles of the problem structure was diagnosed. The diagram design conceptualization process as a graphic interface and structure theory at the structured phase were confirmed to have cohesiveness of categorized properties that can be applied and expanded pluralisticall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xplicit and implicational properties that a diagram has the ontological status and shape of philosophical, aesthetic, and practical values such as conceptual components. It was identified to be connected with various kinds of properties by formative aesthetics and phenomenal structure of a dia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