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 과학과 교육학 분야 간 융합연구를 통한 예비교사교육의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 개발

        양수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3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future knowledge-based society. For developing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brain science and education was conducted. It has been mentioned as the method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for brain-based education. Accordingly, a total of six experts who three in each part were selecte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nducted delphi method and focus group interview three times for each method. And two external auditors who a professor in each part were selected and the validity of the final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as verified. The results suggested the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motivating strategy in the introduction step, cognitive strategy and experience strategy in the development step, and compensation strategy in the consolidation step that could be applied in every week of almost subjects. Through this study, the process and method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which following studies of brain-based education have to be considered was presented. And the comm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hich could be applied almost subjec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as presented. So it was expected that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of utility great value for teacher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미래 지식기반 사회에 대비한 효과적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고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뇌 과학 연구 결과에 기초한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뇌 기반 교육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되어 온 것을 극복하고자, 그 해결방안으로 언급되어왔던 뇌 과학 분야와 교육학 분야 간의 융합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융합연구를 위해 뇌 과학 전문가 3인, 예비교사 교육 관련 교육학 전문가 3인을 선정하고, 델파이 조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각각 3회씩 실시하였다. 또한 이후 융합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최종 검증 받고자 뇌 과학 분야 교수 1인, 교육학 분야 교수 1인에게 외부 감사를 받아 최종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과목에서 매 차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단계별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는데, 도입단계에서의 동기화전략, 전개단계에서의 인지전략과 경험전략, 마무리단계에서의 보상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뇌 기반 교육 연구들이 고려해야 할 융합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고, 또한 교사양성과정의 대부분 교과목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공통된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클 것이라고 기대된다.

      • 대학생의 뇌교육 수련 정도에 따른 낙관성 및 자기효능감 특성 연구

        김진이,윤선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0 뇌교육연구 Vol.6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뇌교육 수련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뇌교육 수련 기간이 1년 이상인 대학생 33명을 실험집단으로, 뇌교육 수련 기간이 14주인 대학생 42명을 비교집단으로, 뇌교육 수련을 받지 않은 대학생 5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1년 이상 뇌교육 수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14주 동안 뇌교육 수련을 받은 비교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낙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세 집단 간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1년 이상 뇌교육 수련을 받는 것은 대학생들의 취업으로 인한 심리적 부적응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희망을 나타내는 낙관성을 높여줌으로서 추후 낙관성 향상을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있고, 대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성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timism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Thirty-three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for more than one year at training center in 20 cities in South Korea served as the experimental group. Forty-two college students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two hours every week for 14 weeks at a college in Cheonan served as the comparative group. Fifty-five college students who had not received any Brain Education training from two colleges in Seoul and in Daejeon served as the control group. Optimism was measured using a redesigned version of Scheier, Carver & Bridge`s LOT-R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a self-efficacy test developed by Young-Min Lee, Ralf Schwarzer & Mattisa Jerusalem. PASW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ver. 18.0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Brain Education trai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ptimism compared to the comparative and the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Brain Education train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mparative and the control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Brain Education training can contribute to optimism in college students. This optimism may help college students cope with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job stress and have a positive expectation and hope for the future.

      • KCI등재

        뇌과학 연구 성과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진호 ( Jinho Han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오늘날 진일보를 거듭하는 신경과학기술의 수혜로 규명된 뇌 관련 지식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적용될만한 원리나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학에 적용될 수 있는 뇌의 주요 특성을 ‘가소성, 층위 포위성, 다양성, 사회성, 통합성’의 5가지로 정리하고, 문헌연구를 토대로 뇌기반 교육과정 개발 단계별 지침을 ‘교육목표 수립, 교육내용 선정, 교육내용 조직, 교육평가, 잠재적 교육과정’ 등 5개 영역의 틀로 총 84개의 항목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후 뇌과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교육학자 25명을 패널로 구성하여 이들을 통한 내용타당도비율(CVR) 검증을 거쳐 2개 항목을 제외하고 최종 82개 항목을 교육과정 개발에 유관한 것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기법을 활용하여 항목별로 교육적 필요성의 우선순위에 대한 의사결정 토대를 구축하였으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잘못 실행되거나 실행되지 않는 항목 23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실행지침 부분에 이들을 반영할 필요를 권고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장차 교육과정기준 문서의 개발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 ① 개별 학생의 독특한 뇌의 특성 존중, ② 역량을 뇌의 관점에서 해석, ③ 이성 뇌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으로서 안전 및 정서 함양 강조, ④이성 뇌의 효율적인 활용 강조, ⑤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⑥ 뇌(신경)기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학교와 전문기관의 협업 등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뇌 작동원리와 학습기제에 적합한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의 관점을 강조하며, 뇌기반 교육연구를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종합하여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활동 수행에 구체적이고 풍부한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icit the principles or implications applicable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by using the brain-related knowledge. For this first, the major features of brain which can be applied to a study of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brain plasticity, enveloping of layer, variety, sociality, and integrity. From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veloped and presented total 84 items of guidelines in each stage of developing the brain-based curriculum through the five-domain fram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oal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evaluation, and latent curriculum. After going through the verification of CVR by 25 panels composed of educationalist who tries to link brain science research to education, this study finally extracted total 82 items related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Also, using the IPA technique, established the decision-making foundation regarding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cessity in each item. And as the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discussed ① the honor for unique brain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student, ② the interpretation of competency in the perspective of brain, ③ the emphasis of safety and cultivating the emotion as an environment for the activation of rational brain, ④ the emphasis of efficient use of rational brain, ⑤ the presentation of guidelines for latent curriculum, and ⑥ the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specialized institution for the improvement of brain(nerve)-based problem behavi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ncrete and abundant guideline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performance of educational activities by emphasizing the perspective of plann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suitable for the brain operation principles and learning mechanism of students, and then reinterpreting and putting together the brain-based education researches in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 KCI등재

        뇌기반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및 해석

        조주연 ( Joo Yun Cho ),강문선 ( Moonsun K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뇌기반교육 연구들의 동향을 알아보고 그중에서 특히 교육의 이해에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뇌기반교육 연구들을 수집하고 뇌기반교육의 의미에 따라 분류한 후, 교육에 대한 뇌과학적 해석과 이해에 관련된 연구들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 뇌기반교육 분류의 기준은 뇌기반교육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순서에 따라 학습·인지·뇌에 대한 기초 연구, 학습자 이해를 위한 연구, 뇌과학적 해석 및 시사점 연구, 학습법 적용 연구의 네 가지로 수립하였다. 이 중 기존 현상에 대한 뇌과학적 해석 및 시사점에 관한 연구들은 교육 종사자들의 안목 형성과 전문성 제고에 이바지할 수 있다. 뇌과학과 교육을 연결하는 연구들은 과학적 입장에서 교육에 적용하려는 입장과 교육적 입장에서 이해의 폭을 넓히려는 입장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뇌과학적 타당성, 교육적 타당성, 교육과 뇌과학의 연결에서의 타당성을 갖추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of the brain-based learning which was carried out within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the study is focused on researche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a through the brain science research results.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co-researchers of this study have firstly collected the domestic brain-based learning researches according the logic inside the process of brain-based learn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domestic brain-based learning researches have referred the procedural sequence of the understanding/application of brain-based learning in the educational practic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hich have appl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asic researches on the learning, cognition, and brain, (2) researche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er/learning processes, (3) researches on the brain-scientific interpretation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4) researches on the brain-based teaching method. On the other hand, researches which have the purpose of connecting the brian science and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has the position to draw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scientific viewpoint, and the second group has the position to expand the understanding spa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viewpoin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rain-based learning researches should have different kinds of validity.

      •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 방안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본 연구에서는 ``뇌교육적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인성교육에 대한 뇌과학적인 이해 즉, 청소년기의 뇌 특징, 뇌 구조 및 기능 차원, 신경전달물질 차원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고,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을 적용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학교현장에 확산시키고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의 두뇌 발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인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두뇌 구조 및 기능의 문제, 신경전달물질의 과다 및 부족 등 근본 원인을 모색하여 그에 적절한 처방이나 인성교육 방안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정서·인지·신체 등 통합적인 관점에서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올바른 습관 형성 및 내면화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자기주도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은 올바른 습관 및 가치관 형성, 자기주도적인 정서조절,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 자아정체성 정립 및 도덕성 발달 등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외 많은 교육현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어 인성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은 학습자들의 삶 속에서 근본적인 의식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 몸과 마음, 정신이 일치된 인격 형성을 추구함으로써 전인(全人)교육을 실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personal education through brain science, focusing on features of adolescent brai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brain, and dimensions of neurotransmitter,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o generalize and spread personal education by observing the cases adopt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ailored personality education considering the traits of development stage of adolescent brains. Second, it is necessary to offer appropriate treatment or measures for personality education by analyzing fundamental causes of the problems in excess or scarcity of neurotransmitter,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brain. Third, schools can conduct self-initiated personality education as well as contribute to students` making good habits and their internalizing them, by providing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which as sumes integrative view of emotion, cognition and the body.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a new alternative as it has born fruit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field regarding humanistic education such as self-initiated emotion control, self-esteem, improving abili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ing identity, and moral development. This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not only brings about fundamental consciousness change in students` lives but also contribute to conducting whole-rounded education by pursuing character building for well rounded people.

      • KCI등재

        뇌 과학: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김두정 ( Doo J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fMRI, PET와 같은 스캔닝 기법의 발달로 최근 뇌 과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뇌 과학 분야의 연구는 교육학 분야 연구와는 거의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교육학자로서 지금까지의 뇌 과학 분야의 주요한 연구 성과와 그 교육적 원리들을 검토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참으로 어렵고 방대하였지만, 교육과 교육과정에 의미를 지니는 뇌 과학 분야의 주요한 연구 결과들이 뇌의 구조와 기능, 학습과 기억, 그리고 뇌의 발달 등의 견지에서 정리 되었다. 다음으로, 뇌 과학의 연구 결과 중 교육에서 응용될 수 있는 원리로 다섯 가지가 추출되었다. 첫째, 뇌의 각 기관들은 연결하여 상호작용을 하며 정보는 병렬적으로 처리된다. 둘째, 학습은 점증적·누적적이며 철저하게 경험 기반적이다. 셋째, 거울 뉴런을 통해 인간은 다른 인간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모방하거나 공감하고, 또한 그 행동의 의도도 알 수가 있다. 넷째, 인지와 정서 과정이 다양한 수준에서 뇌에서 통합된다. 마지막으로, 훌륭한 아이디어는 태생적으로 타고 난 뇌의 능력에서 나온 것이 아니고, 환경에 적응해 새롭게 창의적으로 신경 회로를 연결할수 있는 뇌의 유연성(plasticity)에 의해 만들어진다. 뇌 과학 연구 결과가 교육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들이 도출되었다. 대표적인 것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뇌 과학과 교육학은 상호 활발한 교류를 통해 그 간극을 메워 학교 교육에 실질적인 기여를 해야 한다. 2) 위계성을 가정한 교육 이론과 실천은 재검토 되어야 한다. 3) 난독증의 치료는 지능이나 동기 문제와는 다른 신경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4) 수학 학습은 뇌의 특정 영역을 활용하여 기억 재생을 하는 암기 위주보다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수학 전략 학습이 위주가 되어야 한다. 5) 개인적 뇌 발달에 초점을 둔 학습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6) 학교 교육과정은 학습 경험이 반복되고 정교화 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7) 정서는 교수·학습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Brain science(BS) has recently been an active research area thanks to scanning technology such as fMRI or PET. The BS and the science of education have worked separately. The science of education should reorganize its frameworks and contents in reference to the BS and search for the implications of BS` findings. The current study aimed to seek: 1) main research findings of BS, 2) to draw educationally applicable "bridge" principles from BS, and 3)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general and the school curriculum of BS. The main research findings of BS have been summarized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human brain and its functions, mechanism of memory and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brain and its cells. In the educational principles drawn from BS are included: 1) information in the brain is processed in parallel instead of in linear fashion, and 2) emotion and cognition are integrated on various levels in the brain. Various Implications for education general and school curriculum of BS were discussed including: 1) BS and education should mutually cooperate in their research in order to meet gaps between them, 2) the educational theories which assume hierarchy in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changed in reference to the finding of BS research, 3) various subjects integrating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should be constructed, and, 4) emotion should be considered primarily in all instructional situations.

      • 뇌교육 학습방법의 도덕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김봉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

        우리나라에서 뇌와 교육을 연계한 연구는 2000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의료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뇌를 연구하기 진행했고, 결국 뇌과학의 전성시대가 되었다. 교육분야에서도 다양한 뇌관련 주제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교과교육학에서는 뇌와 연계한 구체적인 학습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도덕교육과 관련해서는 `도덕적 뇌(the moral brain)`라는 표현이 등장한 것처럼 뇌와 도덕성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뇌교육 학습방법과 그 특징을 파악하고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도덕교육의 주요 내용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와 그 활용에 대한 기대를 탐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뇌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가치와 관련이 있으며, 뇌교육의 학습방법은 도덕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도덕적 정서 능력(도덕적 민감성 갖기, 공감 능력 기르기), 도덕적 판단 능력(도덕적 가치·덕목 이해하기, 올바른 의사결정하기, 행위 결과 도덕적으로 상상하기), 윤리적 성찰능력(심미적 감수성 기르기, 자연과 유대감 갖기, 반성과 마음 다스리기)` 등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뇌관련 관심 주제 및 뇌지식에 대한 인식

        박수원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1

        최근 세계적으로 뇌기반 교육의 적용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학교현장을 변화시킬 만큼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뇌기반 교육의 적용을 위해서는 교육자들이 뇌지식을 함양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전제 하에 예비교사가 뇌지식 중 어떠한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 지를 살펴보고 뇌지식의 중요성 및 뇌지식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요소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521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인지과정과 관련된 주제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뇌지식을 이해하는 것이 교육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습문제를 진단하고 대책을 마련하거나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어 뇌와 관련된 지식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 교실상황에의 적절성이 뇌지식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요소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기반 교육의 실제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가진다. 예비교사들이 뇌지식을 함양하는 것이 교육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교원양성과정에서 뇌에 대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심리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뇌기반 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예비교사들에게 인지과정 및 학습과 관련된 뇌지식을 제공하고, 실제 교실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Even though there has been consistent emphasis on the issues of applying knowledge of the brain in education, not much change has been made in practical educational fields. Based on the premise that understanding brain knowledg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eachers to apply brain-based education in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interests in brain knowledge, their perspectives on the importance of brain-literacy and the requisites for the application of brain-based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521 pre-service teachers (269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252 middle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cognitive process was the most interesting idea among pre-service teachers. Also, they responded that understanding the brain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educational fields, especially in the diagnosis of problems in learning and arranging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 relevance of brain-based education to actual class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application of brain-based educa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psychological basis for the effective brain knowledge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efficacy of brain-based education, the knowledge of cognitive process including learning and memory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researchers and applied to the real education system.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뇌교육과 뇌기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박수원,조은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social perceptions about the 'brain education' and 'brain-based education'. By scraping through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big data about both 'brain education' and 'brain-based education' were collated,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requencies, similarities, centralities and topic modeling were applied to the data thereafter.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centrality, and 'effect', 'popularity', and 'story' revealed the highest centralities in brain education data. For the brain-based education data, 'learning', 'research', 'science', and 'program'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e 'paradigm' and 'learning science'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to brain-based education. The topic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topics of brain educ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program of brain education', 'organization of brain education', and 'effects of brain education', whereas the topics of brain-based educ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research foundation of brain-based education', 'application targets of brain-based education', and 'goals of brain-based education'. Thes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in social perceptions between 'brain education' and 'brain-based education'. Discussions took place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뇌교육과 뇌기반교육을 사회적으로 어떻게 정의하고 활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이에 인터넷 상의 빅데이터 자료를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였고, 검색된 단어들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유사도 분석, 중심성 분석, 토픽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뇌교육과 관련된 검색 자료에서는 ‘아이’가가장 높은 빈도와 중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 ‘인기’, ‘스토리’와 같은 단어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확인되었다. 뇌기반교육은 ‘학습’, ‘연구’, ‘과학’, ‘프로그램’과 같은 단어들이 높은 빈도를 보였고, ‘패러다임’, ‘학습과학’ 과 같은 단어들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토픽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뇌교육은 ‘뇌교육 프로그램’, ‘뇌교육 기관’, ‘뇌교육의 효과’가 인터넷 상의 자료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주제들로 구분되었으며, 뇌기반교육은 ‘뇌기반교육의 연구기반’, ‘뇌기반교육의 적용 대상’, ‘뇌기반교육의 목표’로 주제를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교육과 뇌기반교육에대한 사회의 인식이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뇌교육과 뇌기반교육의 방향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개발 방향 탐색

        김태은 ( Kim Tae E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0 뇌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 준거를 개발한 후,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한 분석 준거를 토대로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중에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60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개발된 분석 준거 및 내용을 토대로 11명의 전문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 등 기술통계 값을 활용하고,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과 유형 등을 고려하여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때, 삶의 철학, 상호교류, 감정정화, 두뇌균형, 습관형성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셋째, 뇌교육 기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신체활동, 정서활동, 인지활동 등으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정서·인지가 모두 포함된 통합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체험중심 인성교육, 반복을 통한 습관 형성, 비전과 목표수립 및 행동실천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피드백이 되는 등 추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두뇌친화적 환경, 정서조절, 본질적 자신감 형성, 가치관 정립 순으로 프로그램 원리 및 전략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brain education 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y developing the analysis standard for in-depth analysis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analysis criteria that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60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among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Based on the analysis specifications and content developed,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ere utiliz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type of the program. Second,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t is designed to include the philosophy of life, personal interaction, emotional catharsis, brain balance, habit formation.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conducted to ensure that they include physical activities, emotional activities, and cognitive activities. Fourth,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based personality education, habit formation through repetition, vision and goal setting, and behavioral practice. Hence,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manageable program that provides feedback so that can be implemented continuously in daily life. Fifth, it is necessary to use program principles and strategies in order of brain-friendly environment, emotion control, intrinsic self-confidence, and value establishment so as to have the effect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