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이민숙,김나영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7 임상사회사업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정신보건 문제와 관련하여 자살의 잠재적 원인으로 보고 되고 있는 노인우울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지지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우울 및 자살방지를 위한 사회사업가의 개입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조사는 서울, 경기 일원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남, 여 노인 중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있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법으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노인들은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고(평균 3.16, D = .655), 사회적 지지가 노인우울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울 정도는 평균 2.06(SD = .338)이다.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사회적 지지가 없다고 느끼는 노인이 심각한 우울에 빠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를 확대할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발이 건강한 노년기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depression of the old, which affects suicide of the old, and which is a potential factor of suicide attempt along with a high prevalence rate, an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Through the review, the present researcher tried to provide a basis to establish social workers’ intervention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suicide of the old by identifying the actual conditions of suicide of the old and the effect of the support and depression on suicide of the old.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following matters were set up: First, what level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are the old aware of? Second, does depression relate to social support? The object for the survey in the present study is old men and old women of over 60 years old who are living throughout Seoul and Kyonggi. The survey was made by conducting an interview by use of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PSS 12.0 was used in analyzing frequency,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ith respect to each vari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for the old who responded to the present survey is average 3.16(SD = .655), which shows that the old have receiv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upport. And it was analyzed that social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ol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is average 2.06(SD = .338). Secon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show a negative correlation and social support plays a very significant variable in depression of the old. That is, it was established that the old who feel lack of social support fall in a serious depression. In order to protect the old from depesson, it would be advisable to provide the old, specifically, the old who live alone, with a prevention program against suicide and depression, and sufficient supports in terms of social work.

      • KCI등재

        노인학대,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및 정신사회적 요인과 노인 우울 간의 관련성

        강월숙,문재우,박재산 한국보건사회학회 2011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9

        To identify the impact of abuse, Self-Esteem, ADL, Psychosocial Factors on elderly depres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elderly people in Seoul and Kyunggi-do from November 8 to November 26 in 2010. Data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Ver. 12.0 and AMOS 7.0 softw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First,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had a positive impact on depression (p<0.01), and stress as psychological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depression(p<0.01). Second, the elderly abuse had a negative impact on self-esteem(p<0.001), and self-esteem had a negative impact on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severer elderly abuse, the higher depression. Third,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impact on depression(p<0.001).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the lower depression. Fourth, the family conflict had a positive impact on stress(p<0.01), as a result the higher family conflict, the severer depression in the elderly. Fifth, the family intimacy had a negative impact on depression(p<0.01), as a result the higher family intimacy, the lower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conclusion, self-esteem, ADL, stress factors had a direct impact on elderly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social support, family conflict and family intimacy were indirect factors affecting on the elderly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motion of self-esteem, the resolution of family conflict, and the security of emotional support through family intimacy will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mental healthy elderly .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요인과 노인학대에 의한 자아존중감이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일부 지역에 위치한 노인복지관 65세 이상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8일부터 26일까지 3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한 모든 자료처리는 SPSS Ver.12.0을 이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은 AMOS Ver. 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첫째, 노인의 일상생활동작능력(ADL)은 우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정신적 요인으로서 스트레스 또한 우울에 정(+)의 영향(p<0.001)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인학대는 자아존중감에 음(-)의 영향(p<0.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음(-)의 영향(p<0.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학대가 심할수록 우울의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정신적 요인인 스트레스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p<0.001)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가족간 갈등은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가족간 갈등이 심할수록 노인들의 우울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가족친밀감은 스트레스에 음(-)의 영향(p<0.01)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 바, 가족친밀감이높을수록 노인 우울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자아존중감, ADL, 스트레스 요인은 노인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가족간 갈등, 가족친밀감 요인은 노인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인을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증진, 가족간 갈등 해소와 가족 친밀감 향상을 통한 정서적 지지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

        정현주(Hyun Joo Chung),윤지연(Ji Yeon Yun),이홍수(Hong Soo Lee),이상화(Sang Hwa Lee),심경원(Gyung Won Sh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2 No.2

        연구배경 :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해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정신질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노인우울증의 올바른 이해와 적절한 치료 및 사회적 중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7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11개 종합병원 가정의학과 또는 재활의학과 노인병 클리닉에 내원한 60세 이상의 노인환자 302명을 대상으로 기 완성된 한국형 포괄적 노인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노인우울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여러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중 분석이 가능하고 심한 인지기능의 장애가 없는 203명의 환자들을 연구에 포함시켰으며 여러 변수들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 1986년 Sheikh와 Yesavage가 개발한 단축형 노인우울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증이 있는 군과 우울증이 없는 군으로 나누어 chi-square test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각각의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AS 8.1/PC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203명중 우울증이 있는 노인은 120(59.1%)명으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고 이변량 분석상 우울증의 관련요인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 사회적 지지도가 낮은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영양 상태가 불량한 경우, 본인 스스로가 느끼는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질병수가 3개 이상인 경우,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장애를 보인 경우,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는 경우였다. 다변량 분석 상 우울증의 관련요인으로 연령이 낮을 수록(p=0.001).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p=0.001), 사회적 지지도가 낮은 경우(p=0.004)이었다. 결론 :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으로 연령, 사별유무, 사회적 지지도 등이 유의하였으나 연구의 제한점으로 인해 본 결과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Background : Elderly psychiatric problems, especially depression, are more prevalent nowadays because of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We investigated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in order to under stand the disease more properly because it is essential for proper medical management and social interventions. Methods : 302 geriatric patients aging 60 or more who visited family medicine clinics, rehabilitation clinics and geriatrics clinics of 11 general hospitals nationwide from July to October, 1999 were enrolled. We used Korean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Tool to assess variables related to geriatric depression. Among them 203 patients who meet the analyzable data criteria and who had cognitive availability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patients were labeled into depression and non-depression groups according to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SGDS; by Sheikh and Yesavage, 1986) score. We compared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between two groups. For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s by SAS 8.1/PC were used. Results : 120 patients (59.1 %) of total 203 patients were labeled depression. According to bi-variate analysis.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were lower education level. widowed state, low social support, low physical activity. poor nutritional status, poor self-related health, suffering three or more diseases, low ADLs score and cognitive impairment.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younger age(p=0.001), widowed state (p=0.001) and low social support (p=0.00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 : We concluded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were age. widowed state, and social support. More studies are required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of other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 노인의 여가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춘옥(Kim Choon ok) 한국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6 No.2

        노년기를 상실의 시기가 아닌 새로운 창조의 시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노인의 여가활동에서 여가몰입 경험을 통하여 정신건강 측면인 우울을 해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노인의 생활을 보다 가치 있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보다 전문적인 여가서비스 향상과 능동적인 여가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이 노인 복지적 측면에서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서울시 및 경기도 거주 노인여가시설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93명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몰입 및 우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차이를 평균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성별은 0.05 유의수준에서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력 및 종교, 배우자유무, 동거 가족형태, 건강상태, 여가시설이용기간, 경제상태는 행위몰입과 인지몰입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연령과 여가시설종류는 행위몰입에 개인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의 차이에 대한 평균분석결과 0.0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여가몰입 및 우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이 인지하는 여가몰입정도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상태인 우울(긍정적정서, 부정적정서) 및 삶의질(신체적 삶의질, 정신적 삶의질, 사회적 삶의질)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이 인지하는 여가몰입은 삶의 질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2는 채택되었다. 셋째,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이 인지하는 우울의 정도는 삶의 질 및 하위요인인 신체적 삶의 질, 정신적 삶의 질, 사회적 삶의 질에 0.05 유의수준에서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이 인지하는 우울정도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삶의 질은 우울 의 긍정적, 부정적 인지정도에 따라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여가몰입 인식 정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4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이 인지하는 여가몰입 정도는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switch the old age to the period for new creation other than the period of loss, it's about the time for us to do something so that the elderly can lead more valuable and satisfactory life by assisting them in solving their depression from the aspect of mental health through leisure commitment experi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ly , there comes up the necessity of having to inquire into the plan for more professional leisure service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the elderly's activ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This study, on the basis of such necessity,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by surveying and analyzing 293 elderly people above 60 of age, who used the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ocated in seoul city and Gyeonggin-do.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contents of difference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n leisure commitmen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elderly's pers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test and post verification as follows. As a result of looking into whether the person characteristics has an influence on leisure commitmen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through the average analysis, it was found that gender had no meaningful influence as it didn't show any difference both in cognitive commitment and in behavioral commitment at a level of 0.05 significance level.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both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in relation to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type of the family living together, use-period of leisure facilities, and economic conditions; age and sorts of leisure facilities were found to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as a result of averag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behavioral commitment, having an influence on leisure commitmen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econd, The research result revealed that the level of leisure commitment perceived by the elderly using a leisure facility has an influencing relationship on depression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s a state of mind in a daily life and the quality of life(quality of physical life, quality of a mental life and quality of a social life). Accordingly, Research Hypothesis 2 'The Elderly's Leisure Commitment will have an Influence o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was adopted. Third, The level of depression perceived by the elderly using a leisure facility was found to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at a meaningful level of 0.05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ub-factors such as the quality of physical life, quality of mental life, and quality of social life, and adopted was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perceived by the elderly might have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ly, the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show a difference in influenti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affirmative, or negative perception of depression. Fourth, this study conducted the 4-stag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Depression might play an intermediary rol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level of leisure commitment perception of the elderly using a leisure facility ha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level of leisure commitment perceived by the elderly who used a leisure facility.

      • KCI등재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전기와 후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진섭,김제선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패턴을 갖는지 그리고 이러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종단연구이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노인일지라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여성 독거노인을 전기(the young-old) 와 후기노인(the old-old)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 서로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패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적 모형에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궤적의 초기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그 외 도시보다는 대도시 지역에 사는 노인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이 초기 우울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의 변화율(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대도시에 사는 노인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친교활동이 적을수록, 사회활동을 많이 할수록 우울수준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의 초기값과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사이에 일부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후기노인의 경우 초기에 사회활동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의 변화폭은커지는 반면 전기노인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없었다. 전기노인이 후기노인 보다 초기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우울의변화폭이 컸다. 후기노인에게서만 초기에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초기 우울값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study of fe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in our society, to determine how their depression changes over time and what factors affect their depression.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age among the same older adults, this study divided the female older adults into the young-old and the old-old to see how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in each group differ from each othe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mong fe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appears to have a declining pattern over time. In the conditional model, factors affecting the initial level of the depression trajectory among women living alone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lower initial depression values among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rather than non-metropolitan areas, better subjective health, and those who did not exercise. Next, we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rate of change (slope) in depression among female living alone older adults and found that the higher the age, the larger the metropolitan area,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the less socializing, and the more socializing, the greater the decrease in depression level. Final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hways affecting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depression among fe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between the early and late older adults. Specifically, the higher the initial level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 greater the change in depression among the late older adult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early older adults. In the early older adults, better initial subjective health was associated with a larger change in depression than in the late older adults. Only in the late older adults did those who regularly exercised in the early years have higher initial depression values than those who did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es, suggestions were made to reduce depression among fe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 KCI등재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최연희(Choi, Yeon Hee),김수현(Kim, Su Hyun)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2

        The study was to identify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epression in the aged of urban areas. Subjects in the study were 302 community residents in Daegu who were over 61 years ol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family relations, CED-depression and family inventor of life events and changes.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suicidal ideation,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health status between those who experience depression and those who do not. In depression group, suicidal ide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relationship and health status, and positively related to stres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suicidal ideation were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health status in depression group. Health care providers have to considerate depression factor as a useful information in order to develope suicidal prevention program on old age. Such as,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 is necessary for high risk of suicidal elderly. 본 연구는 도시 재가 정상노인과 우울노인간의 따른 자살생각, 가족관계, 스트레스 및 건강 상태의 차이와 관계정도를 확인하고 우울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302명이었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우울노인군이 정상노인군보다 자살생각과 스트레스 변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가족관계와 주관적 건강상태 변수에서는 우울노인군이 정상노인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우울노인군에서 자살생각은 가족관계와 주관적 건강상태와 역상관관계를, 스트레스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노인군에서 가족관계가 나쁠수록,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인지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았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69.6%이었다. 결론적으로 건강상태가 좋지 못하고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노인이거나 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노인에 대해 자살위험을 우선적으로 사정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시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노인의 건강수준과 경제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성의 조절효과 -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비교

        박선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8 신학과 사회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between the level of health and econom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The sample was collected through 218 Christian senior citizens and 176 non-Christian senior citizens who were older than 65-year old residing in and around Seoul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churches, and Gyungrodang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SPSS 18.0. The summary of key outcomes was as follows: 1) The average points from a 1-point-scale for depression were .208(SD=.240) by Christians and .443(SD=.297) by non-Christians. It signifies that the depression of Christians is about 2 times lower than that of non-Christians. 2) The effect of IADL on depression of older people was modified by religious spirituality, and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s were modified by existential spirituality for Christians. It means that religious spirituality reduces the negative effect of IADL on depression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reduce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economic status on depress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ADL on depression of the olders was modified by religious spirituality, and the effects of ADL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s were modified by existential spirituality for non-Christians. It implies that religious spirituality reduces the negative effect of ADL on depression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reduces the negative effects of ADL and economic status on depression. Based on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required to reinforce religious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for social welfare practice of senior citizen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여부에 따른 노인의 건강수준과 경제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지역의 노인종합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교회, 경로당 등을 이용하고 있는 재가 기독교노인 218명과 비기독교노인 176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V.18.0 프로그램으로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노인의 우울수준은 기독교노인이 1점 만점에 평균 .208(SD=.240), 비기독교노인이 .443(SD=.297)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노인의 우울수준이 비기독교노인의 절반 정도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위계적 조절회귀분석결과, 기독교노인의 경우, 종교적 영성은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과 상호작용 항에서 그리고 실존적 영성은 만성질환의 수와 상호작용 항에서, 경제상태와 상호작용 항에서 통계적 유의성과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독교노인의 경우, IADL이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종교적 영성이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여러 가지 만성질환들과 경제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실존적 영성이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비기독교노인의 경우, 종교적 영성은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상호작용 변수에서 그리고 실존적 영성은 ADL과 상호작용 변수에서, 경제상태와 상호작용 변수에서 조절효과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비기독교노인의 경우, ADL의 우울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종교적 영성이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하며, ADL과 경제상태의 우울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실존적 영성이 약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자기효능감이 요보호독거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희년,서홍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0 노인복지연구 Vol.0 No.4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pression levels and self-efficacy on the depression of 380 lonely frail elders in Gimhae area. Based on the study findings, practical countermeasure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t was showed that 52.2% of the study subjects had mild and medium levels of depression, and other 33.4% had severe degree of depression. But, Only 11.5% of subjects admitted that they suffered from depression which showed very low level of self-recognition. Among sub-factors of the care-receiver efficacy scale, self-care strategies, relational coping with caregivers, performance-related quality of life, and accepting help were clarified as impacting factors of elderly's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nd economic conditions, and gender were also turned out as meaningful factors to effect on depression. Therefore, encouraging elders to decide and plan activities for themselves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Instead of delivering services without considering elder's opinions, the practitioners need to work together with elders for whole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cess for improving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condition of lonely frail elders. 본 연구는 경남 G시에 거주하고 있는 380명의 요보호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자기효능감이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며, 이를 토대로 요보호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과 정신건강의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52.2%가 경․중증도의 우울을, 33.4%가 심각한 수준의 우울증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대상자의 11.5%만이 우울증상이 있다고 응답하여 우울증에 대한 요보호독거노인들의 인식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수발자 효능감 척도(care-receiver efficacy scale)를 사용하여 자기효능감이 요보호독거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 척도의 하위요인들 중에서 자기 케어 전략, 케어제공자와의 관계상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대처, 삶의 질과 관련된 역할수행, 그리고 도움 수용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외에 주관적인 건강상태, 성별, 그리고 주관적인 경제 수준도 요보호독거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보호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들은 노인들에게 일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는 개입의 전체 과정에 이들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등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함이 요구된다.

      • KCI등재

        노인의 신체활동 변화에 의한 우울 분석: 코로나19 영향을 중심으로

        김춘종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pression of older adults who experienced changes in physical activities due to COVID-19,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depression of older adult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overcoming such de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raw data of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was used and research subjects were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65. Decision tre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analysis SPSS 25.0 and the method for expanding the tree structure was set as CHAID that selects independent variable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leep disorder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ategorizing depression risk groups of older adults who had decreased physical activities because of COVID-19, and it was followed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assistance and walking. Cases for increased ratio of depression risk groups of senior citizens were sleep disorder,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assistance, and walking 0 to 3 times a week. Meanwhile, there was lower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who had no sleeping disorders, were not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assistance, and who walked 4-7 times a week. Second, for senior citizens who had increased physical activities due to COVID-19, sleep disorde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categorizing depression risk groups of older adults, followed by period of residing in their city or town, social gatherings (friends, neighbors), walking, and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assistance. Cases for increasing the ratio of depression risk groups of older adults were having sleeping disorders and when residing in the city or township for less than 10 years. Meanwhile, even if they had sleeping disorders, elderly depression dropped when engaging in walking activities (60 minutes or longer a day, 4 days or more a week). Therefore, even if sleep disorder is an important factor for categorizing depression risk groups of older adults, regular walking had a positive impact on depression of older adults. 이 연구는 코로나19에 의해 신체활동이 변화한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위험요인들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 우울을 이해하고 중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Community Health Survey)의 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만 65세 이상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나무구조로 확장시키는 방법은 종속변인과 강하게 연관된 독립변인을 선택하는 CHAID(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에 의해 신체활동이 감소한 노인의 경우 우울 위험군을 분류하는 데 가장 중요한 독립변인은 수면장애였으며, 다음으로 기초생활수급자, 걷기 실천으로 나타났다. 노인 우울 위험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는 수면장애가 있으면서, 기초생활수급자이고, 걷기 실천을 주0~3일 참여하는 경우이다. 반면 수면장애가 없으면서,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고, 걷기 실천을 주 4~7일 참여할 경우 노인 우울이 감소하였다. 둘째, 코로나19에 의해 신체활동이 증가한 노인의 경우 우울 위험군을 분류하는 데 가장 중요한 독립변인은 수면장애였으며, 다음으로 시ㆍ군구거주 기간, 사회적만남(친구, 이웃), 걷기 실천, 기초생활수급자로 나타났다. 노인 우울 위험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는 수면장애가 있으면서, 시ㆍ군구거주 10년 미만인 경우이다. 반면 수면장애가 있더라도 걷기 실천 수준(일일 60분 이상, 주 4일 이상)을 충족할 경우 노인 우울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노인 우울 위험군을 분류하는 데 수면장애가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나, 규칙적인 걷기 실천으로 노인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우울증의 매개효과 -

        순덕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1

        This study was started to analyzes the impact of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s on the life satisfaction,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examined how customized care services affec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licy suggestion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 model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on 1,750 elderly people who were service users at institutions providing customized care services in seoul province. The data of 1,740 people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 life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life education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Depression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refore,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duca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providing more life education services rather than directly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reduce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licy suggestion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provide the most basic welfare services to solve food, clothing, and shel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re hour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ird, the type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hould be expanded in various ways. Fourth,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programs to expand life education service hours and prevent or reduce depression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우울증,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관계 파악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우울증과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발전방향성 및 정책적 제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우울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 1,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양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완료한 1,740명의 자료를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하위요인 중 생활교육이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교육이 우울증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우울증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생활교육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우울증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 신체건강교육과 정신건강교육의 생활교육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높이기보다는 생활교육서비스를 많이 제공하면 우울증이 낮아지고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발전방향과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복지서비스를 충실히 제공해야 한다. 둘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용시간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종류를 다양하게 확대시켜야 한다. 넷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통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들에게 생활교육서비스 시간을 확대하고 우울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