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박미정(Mi-Jung PARK),박경(Kyung PARK)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4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남녀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사회공포증,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비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사회공포증과 자기비난 등 모든 변인간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사회공포증과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비난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불안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이 사회공포증 보다 자기비난의 매개효과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았다. 특정 상황 보다는 일상생활의 상호작용에서 자기비난을 통하여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경험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내면화된 수치심의 성격적인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두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지적인 전략으로 자기비난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회불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how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in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social phobia. For this, 253 university students bas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the variables addres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static correl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self-criticism was significant, and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ham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anxiety. There, internalized shame was proved to be mediated by self-criticism in relation to social anxie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ocial phobia, respectively, the ability to explai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was higher than that of social phobia.

      • KCI등재

        남자고등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양선경,송원영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내면화된 수치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으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를 매개로 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대안모형으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만을 통해서만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두 모형을 비교하였다. 충청남도 지역의 고등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사회불안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설문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의 부적절감은 사회불안과 상관이 높았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ocess of social anxiety among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prescribed internalized shame.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s of research, the study set a model which supposes tha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is mediator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 total of 382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particular, the sense of inadequacy, which is a subordinate concept of the internalized shame, was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howed a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hese results should be studied not only in cognitive factors contributing to social anxiety but also in the individual inner workings of psychological factors.

      • KCI등재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정재익,양난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which a total of 35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nationwide. Measuring tools included SAD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ECRR-K (Korea version of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Scale), ISS(Internalized Shame Scale), and K-SCS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esting.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nsecure attachment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on the other hand,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Internalized shame display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Self-compassion display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Second, from the result of verify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mpassio 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it was found that int ernalized shame and self-compassion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and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 nxiety and social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ulated that applying training program of reducing internalized shame and boosting self-compassion to college students, who have insecure attachment, in the actual counseling process will significantly alleviate the level of social anxiety they experience.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35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는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 한국판 친밀관계경험검사,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자비는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최종 모형에서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회피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는 완전매개 하였고, 애착불안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상담 장면에서 불안정애착을 지닌 대학생들에게 내면화된 수치심을 낮추는 동시에 자기자비를 증진시키는 학습 및 훈련을 함께하면 이들이 경험하는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할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인선,최한나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causal structure model separately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self-efficacy regarding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ocial anxiety and verify empirically the model’s goodness-of-fi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ameters based on the theories and advanced research findings related with social anxiety. To attain the goal, the paper formulates its study questions as follows: First, is this study’s hypothesis model established with advanced research as its ground appropriate for the data? Second, does covert narcissism influence social anxiety significantly with the mediation of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self-efficacy? To solve the above study questions, this article adopts the following procedures: 265 students of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 agree to fill in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heet. After checking if the data collected are appropriate for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verifies whether the hypothesis model is appropriate and also the 2 parameters’ mediating effects are significant. The study model is verified with Mplus7, and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eir mediating effects is verified through Delta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ed up as below: First, the study’s hypothesis model is found to be appropriate for the data.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ocial anxiety,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self-efficacy do complete mediation separately. This study implies that its hypothesis model explaining social anxiety by adopting covert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self-efficacy as its variables is appropriate. Moreover,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it has been found that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self-efficacy play mediating role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s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to understand dynamics among variables more clearly and also suggests effective therapeutic hypotheses and intervention after figuring out adaptation factors easier to be dealt with in the actual counseling situation to treat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각각 매개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매개변인들의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5명의 연구대상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본 연구의 가설모형은 자료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각각 정적, 부적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사회불안에 정적,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에서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사회불안 변량의 6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변인으로 채택하여 사회불안을 설명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총 간접효과에서 각각의 매개변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약 60%,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약 40%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역할이 다소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의 관계: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김나담,안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peech anxiety in senior elementary school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speech anxiety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reducing speech anxiety.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94 students in grades 5 and 6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P city. The subjects performed the Speech Anxiety Scale(Lim, 1994) and, Internalized Shame Scale(ISS)(Cook, 1987), Self-encouragement Scale(Kim & Oh,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the path analysis model.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peech anxiety was shown, and a significant inadequat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encouragement was shown. Self-encouragement wa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speech anxiety. Seco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on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speech anxiet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ternalized shame, the lower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bu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the lower the level of speech anxiety. Conclusions Although internalized shame on speech anxiety is still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ways to alleviate speech anxiety through the promotion of self-encouragement skills.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의 관계를 탐색하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 간의 관계를 자기격려가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P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발표불안척도(임만택, 1994), 내면화된 수치심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ISS)(Cook, 1987), 자기격려척도(김애진, 오익수, 2010)를 실시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 사이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격려 사이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자기격려 역시 발표불안과 유의한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격려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내면화된수치심이 클수록 자기격려 수준이 낮아지지만, 자기격려 수준이 높을 경우 발표불안 수준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발표불안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의 영향이 여전히 크지만 자기격려 기술의 증진을 통한 발표불안 완화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자기 비난과 거부 민감성의 매개효과

        정순주,홍정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 비난과 거부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인천을 위주로 하여 만 18세∼35세의 성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22년 2월 21일부터 2022년 3월 2일까지 온라인플랫폼을 이용하여 자기 보고식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 응답 중 최종 392부를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version 4.0(Model 6; Hayes, 20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 비난, 거부 민감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모든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비난의 단순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거부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거부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 비난과 거부 민감성을 순차적으로 거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으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내면화된 수치심의 성향을 지닌 초기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치료를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 KCI등재

        성인애착이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성애,윤성민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through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nger-in. In this study, 448 subjects older than age across the country completed self-report surveys. Data were analyzed for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4.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ger-in, and internalized shame.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the others. Second, internalized sham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anger-in. Third, self-compas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nalized shame. Fourth, the mediated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was controlled by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anger-in. These findings show that self–compassion has a buffering effect that reduces the internalized shame that has a signiticant impact 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in).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이 매개효과가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내면화된 수치심 사이에서 자기자비의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세 이상의 성인 4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3.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애착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 간에는 정적상관을, 애착회피와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 간에도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기자비와 기타 변인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애착불안과 분노억제 간, 애착회피와 분노억제 간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자기자비는 애착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 그리고 애착회피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를 조절했다. 넷째, 애착불안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분노억제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자기자비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애착회피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분노억제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자기자비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와 상담의 실제 장면에서의 시사점 및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고, 이에 따른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의 매개효과

        구교성,구훈정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 석편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긍정적 사회적 상 황에 대한 해석 편향 중 긍정적 평가에 대한 액면가 요인 인 ‘상대방이 호의적으로 평가한 것이라는 해석편향’ 그리고 ‘상대방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해석 편향’ 두 가지 해석편향을 각 각 매개로 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남녀 160명을 대상으로 Liebowiz 사회불안 척도,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가치절하 척도, 긍정적 사건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각 측정변인 간 상관분석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 안 관계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 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상대방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해석편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상대방이 호의적으로 평가한 것’이라는 해석편향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a mediating effect of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social ev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This thesis starts on the assumption in research that internalized shame shows two different bias when the one takes a positive evaluation: accepting the evaluation as a favor or suspicious about other’s authenticity. In order to get a result, I did a survey targeting 160 adults of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in terms of Liebowiz Social Anxiety Scale(LSAS),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Outcomes Scale(DPSOS), Discounting of Positive Event Scale(DPES) and Internalized Shame Scale(ISS). Through the collected data, this thesis analyzes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measurement variable and a mediating effect of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social ev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s a result, in th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pretation bias of doubting the authenticity of the positive evaluation no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everity; but a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pretation bias that others favorably evaluated oneself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everity.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about this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의 매개효과

        박정은(Park Jeong Eun),정남운(Chung Nam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8월 약 1주일 동안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리서치 전문회사를 통해 배포한 후, 결과를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 받아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341부를 Mplus 7.4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서표현 양가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는 정적, 사회적 지지 지각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표현 양가성 중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사회적 지지 지각 및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정적,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사회적 지지 지각과는 부적,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지각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서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관계관여적, 자기방어적)과 사회적 지지 지각은 각각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경우에 있어 이중매개 효과는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시사점, 한계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Participants are 341 adults over 18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stionnaire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ere used by using Mplus 7.4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internalized sham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erception of support sens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each of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they support dually mediated in order variables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On the other hand, each of self-defensive emotional conflict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that they dually mediated in order variables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수정,김영근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NS addiction tendency, mediated through social anxie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393 adults int their 20’s and 30’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2.0 and the SPSS Process macr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deration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was influenced by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20-30대 성인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조절하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절된 매개모형을 설정해 분석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3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393부의 자료를 얻어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불안, SNS 중독 경향성,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를 사회불안이 부분 매개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되고,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20-30대의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인한 SNS 중독 경향성 문제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 사회불안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