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유학자의 일상과 의례생활 -『모당일기』를 중심으로-

        김미영 ( Kim Mi-young )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1 No.-

        손처눌(1553~1634)은 16~17세기에 걸쳐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유학자이다. 그는 중앙관직으로의 진출을 포기하고 평생을 재야에 묻혀 성리학적 이념을 실천하며 보냈는데, 그의 삶의 중심에는 항상 주자가례가 있었다. 이런 경향은 1600년 1월 8일부터 1630년 1월까지 작성된 『모당일기』에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모당일기』를 중심으로 17세기 유학자의 일상과 의례생활을 살펴봄으로써 당대 주자가례의 전개 양상을 이해하고자 했다. 손처눌은 1600년 48세 때 일기를 작성하기 시작해 1630년 1월 78세 때까지 이어졌다. 『모당일기』는 손처눌이 관직 진출을 포기하고 재야학자로서의 삶을 보내던 중, 임진왜란으로 인해 혼란해진 성리학적 질서를 수립하려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기록되기 시작했다. 이런 이유로 『모당일기』의 대부분은 성리학적 이념을 체화하면서 주자가례에 바탕 한 예禮를 실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30년간 전개된 손처눌의 일상을 들여다봤다. 그 결과 『모당일기』에 나타난 일상의 종류는 의례ㆍ독서ㆍ교류ㆍ교육ㆍ생업ㆍ경조사ㆍ문병 등으로 정리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그의 일상에서 정형화된 패턴이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첫째 유형은 매일 혹은 매월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사당참배와 기제사 등의 의례활동으로, 이들의 공통점은 수행 시기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더불어 매일 반복된 성리학 경전을 읽는 독서활동도 정형성이 강한 영역에 속한다. 둘째 유형은 정기적 속성은 갖고 있지 않으나 일상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향교나 서원에서의 강독과 강론을 하는 교육활동, 지인들과 만나서 술자리를 가지면서 풍류를 즐기는 등의 교류활동, 농작물 경작과 과일 채취 등의 생업활동이다. 이들 활동은 수행 일자가 고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30년간의 일기에서 꾸준히 반복되었다는 점에서 정형성과 비정형성의 중간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유형은 사안이 발생했을 때 부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관례의 빈객, 혼례의 상객, 상가 조문을 비롯해 친인척과 지인들에게 문병을 가는 것 등이다. 이들은 행위 유발 요소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수행된다는 점에서 정형성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모당일기』에 기록된 일상을 볼 때 의례활동은 정형성의 강도와 수행 빈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다음으론 독서와 교육 등의 학문활동이다. 이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보편적인 일상 유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의례 영역의 경우 정형성이 비교적 약한 관례ㆍ혼례ㆍ상례 등의 경조사까지를 포함하면, 일상에서 의례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높아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독서 영역에 강독과 강론 등의 교육을 추가하면 학문활동 역시 높은 비율을 나타낸다. 이처럼 17세기 유학자들의 일상은 의례와 학문을 중심으로 전개된 셈인데, 이는 주자가례의 실천 및 유학의 이론적 심화를 위해 노력하고자 했던 의지의 표출이라 할 수 있다. 『모당일기』에는 조상의 기일에 올리는 기제사, 네 계절에 지내는 시제時祭, 묘소에서 행하는 묘제墓祭, 부모를 위한 녜제禰祭, 절기에 행하는 속절제[節祀] 등 다양한 집안 의례가 나타난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기제사로, 손처눌이 30년 동안 거행한 기제사의 종류는 총 16종(기제사 13종, 생신제 3종)이다. 기제사의 대상은 직계ㆍ외계外系ㆍ처계妻系로 나타났으며, 생신제의 대상은 조부·아버지·어머니이다. 이로 볼 때 적어도 17세기만 하더라도 주자가례에 입각한 부계 중심의 친족체계가 완전히 정착하지 않고 외손봉사 등의 양계친족관행이 지속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의례생활에서 양계적 속성이 공존하면서도 부계 우위적 관념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즉 외가와 처가의 제사는 외조부모, 장인, 장모로 국한되어 있는 반면에 직계 조상의 제사는 집안 창시자(증조부모)까지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는 아마도 외가와 처가의 제사는 봉사손奉祀孫(아들)이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 심정적心情的으로 행해지는 ‘정례情禮’의 일종이고, 직계 조상의 제사는 가계家系 계승을 위해 실행되는 ‘정례正禮’로 간주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울러 『모당일기』에 나타난 기제사와 묘제를 중시하는 관념은 주자가례적 예의 수행을 중심에 두면서도 고유습속에 대한 실천 의지도 강하게 지니고 있었음을 방증하는 사례로 인정된다. 이렇듯 17세기 유학자들은 성리학적 이념의 현실적 구현을 위해 주자가례의 충실한 수행을 추구해왔는데, 그 중심에 의례생활과 학문생활이 자리하고 있었다. 즉 성리학적 이념에 부합하는 삶을 영위하면서 내면적 충실을 추구함과 동시에 주자가례의 실행을 통해 사회질서를 수립하고자 했던 것이다. 아울러 『모당일기』에 나타난 의례생활의 전개 양상을 볼 때 17세기는 주자가례의 규범적 원칙이 완전히 정착하지 않은 채 양계적 속성과 고유습속 등이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n Cheo-nul(1553~1634) was a Confucian scholar in the Daegu area, actively in the 16<sup>th</sup> and 17<sup>th</sup> centuries. He gave up on the career in public office and spent most of his life outside the government while practicing the Neo-Confucian philosophy centered around Jujagarye. Such lifestyle is shown in the Modang Journals written from January 8, 1600, until January 1630. Accordingly,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Jujagarye at the time by examining the everyday life and rites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17<sup>th</sup> century through the Modang Journals. Son Cheo-nul began to write journals at the age of 48 in 1600, which continued until January 1630 when he turned 78. The Modang Journals were written by Cheo-nul when he was living as a scholar after giving up on public office, amid the social mood trying to establish the Neo-Confucian order while overcoming the chaos created by the Japanese Invasion. For this reason, the Modang Journals are mostly about practicing Ye based on Jujagarye while accumulating Neo-Confucian ideas. This study looked into the everyday life of Son Cheo-nul unfolded over the course of 30 years to examine the specific aspect. Types of everyday activities that appeared in the Modang Journals were summarized as rites, reading, exchange, education, livelihood, family occasion, and visiting of sick persons.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regular patterns appeared in these everyday activities. The first pattern was formalities, like worship and rites repeated daily or monthly. These rites were performed at fixed times. Daily reading of Neo-Confucian scriptures was also a repetitive pattern. The second pattern was repeated periodically in the course of everyday life, involving educational activities of reading with comments or preaching at a Confucian school or lecture hall, exchange activities of enjoying the arts while drinking with friends, and livelihood activities of cultivating crops and gathering fruits. These activities can be seen as the midpoint between the typical and atypical because they are repeated in the journals written for 30 years, though without a fixed schedule. The third pattern was performed non-regularly whenever issues occurred, including visiting of customs as a guest, attending wedding ceremonies, offering condolences, and visiting sick relatives and friends. The third pattern is almost atypical in that these activities were only carried out when there was a cause. As such, based on everyday life recorded in the Modang Journals, rit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intensity of patterning, followed by reading and education. This aspect can be seen as a common typ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the ratio of rites in everyday life further increases by including relatively atypical events like customs, weddings, and funerals. Likewise, the ratio of academic activities is increased by adding reading with comments and preaching to the reading category. As such, the everyday lif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17<sup>th</sup> century was centered around rites and learning, expressing their commitment to practice Jujagarye and deepen the Confucian theory. Various family rites appear in the Modang Journals, such as ancestral rites, seasonal rites, grave rites, rites for parents, and Sokjeol rites performed at solar terms. Ancestral rites took the biggest part, and Son Cheo-nul performed 16 different kids of ancestral rites (including birthday rites) in 30 years. Thirteen of them were ancestral rites, and three were birthday rites. The ancestral rites targeted direct ancestor, maternal ancestors, and wife’s ancestors. The birthday rites targeted Son’s grandfather, father, and mother. Based on these rites, customs like non-agnatic ritual succession was continued in the 17<sup>th</sup> century instead of settling the paternal system grounded on Jujagarye. This general tendency was already shown in other journals written during the same time period. Meanwhile, paternal superiority also appeared in rites. In other words, whereas rites for the maternal family and wife’s family were limited to grandparents, father-in-law, and mother-in-law, rites for direct ancestors included the progenitor of the family (great-grandparents). This is probably because rites for the maternal family and wife’s family were ‘emotional rites’ performed due to the absence of a descendant to perform the rites while rites for direct ancestors were ‘formal rites’ carried out succeed the family lineage. In this way, Confucian scholars in the 17<sup>th</sup> century faithfully practiced Jujagarye in everyday life in pursuit of the Neo-Confucian philosophy. Rites and academic life were at the center of their everyday life. They attempted to establish social order through the practice of Jujagarye while pursuing inner devotion to the Neo-Confucian ideology. Moreover, the development of rites in the Modang Journals showed that bilineal properties and unique customs were blended in the 17<sup>th</sup> century, instead of settling down the normative principles of Jujagarye.

      • KCI등재

        17~19세기 남원(南原) 삭녕최씨가(朔寧崔氏家)의祭祀 운영 방식 고찰 -≪선세제차윤행사목(先世祭次輪行事目)≫을 중심으로-

        김명화 ( Myeong Hwa Kim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7 No.-

        조선시대 제사 운영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자료는 당시 사람들이 남긴 고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많이 남아있지 않은 실정이다. 제사는 집안의 사적인 의례 과정으로 세세히 문서를 남겨가며 운영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조선시대 제사 운영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문서는 양반가의 族契·宗契文書이다. 족계·종계는 종족을 중심으로 결집하는 계모임으로 주로 조상에 대한 제사 봉행을 위해 만들어 진다. 이때의 제사는 주로 墓祭를 말한다. 南原 朔寧崔氏의 ≪先世祭次輪行事目≫은 종계의 연장선상에서 만들어진 문서이다. 따라서 본고는 남원 삭녕최씨의 ≪선세제차윤행사목≫을 검토하여 17~19세기 남원 삭녕최씨의 제사 운영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 事目은 남원 삭녕최씨 通禮公派 중에서도 종손계열인 承旨公 宗中의 제사 봉행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제사 봉행 대상은 落南祖 崔秀雄부터 8세 여덟 형제까지이다. 제사 봉행 방식은 墓祭와 忌祭祀로 나뉘는데 남원 삭녕최씨의 ≪선세제차윤행사목≫에서 나타나는 묘제의 대상은 17세기 중후반 4대조 이내의 조상에서 5대조 이상의 遠祖로 변화하였고, 묘제의 성격은 17세기 중후반 寒食과 秋夕에 대한 節日祭에서 1년에 한 차례 제사지내는 時祭로 변하였다. 이와 더불어 묘제 거행 방식은 17세기 중후반 아들딸 구분 없이 輪行하다가 19세기 초반 宗契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남원 삭녕최씨의 기제사는 17세기 후반 4대 봉사를 아들딸 구분 없이 동등하게 윤행되다가 딸이 제외되고 아들들만이 윤행하는 방식으로 변한다. 이를 통해 주자가례의 수용 이후 나타나는 묘제와 기제사의 거행 방식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처럼 남원 삭녕최씨가의 제사 운영 방식은 17세기 중후반 묘제와 기제사를 자손들이 輪行하다가 이후 세대가 멀어지며 제사의 윤행이 끊어진다. 하지만 19세기 초반에 계속해서 생겨나는 조상의 묘제를 종계 차원에서 봉행하고, 기제사는 8세 여덟 형제의 8계열이 각각의 소종계에서 윤행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The sources for managing ancestor worship service in the Joseon era can be obtained from old documents written in that age. However, there are few sources about it, because ancestor worship service was private ritual process in a house, and therefore it did not need to be written in detail as document. In spite of it, documents to show method for managing ancestor worship service in the Joseon era are Jokkye(族契) and Jongkye(宗契) documents in the Yangban(兩班) class families. Jokkye and Jongjye are credit union groups consisting of families in bloodline and they were mainly composed for conducting worship services to ancestors. This ritual service usually meant worship service to family ancestors. Seonsejechayunhaengsamok(先世祭次輪行事目) of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was composed in the extension of a Jongy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method to manage ancestor worship service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during the 17th and 19th centuries by reviewing this family``s Seonsejechayunhaengsamok. This Samok provides information about ancestor worship services in the family of Seungjigong, the eldest line of Tongryegong sect among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The worshiped ancestors included from Naknamjo Choi Soo-woong to 8 generations of eight brothers. The method of the worship service was divided into memorial service before the grave and that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The ancestors worshiped in Seonsejechayunhaengsamok had been great-great-grandparents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and changed to forefathers more than five gener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before the grave had changed from seasonal services in Hansik(寒食) and Chuseok(秋夕)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to an anniversary service once a year. And then, the method to manage memorial service before the grave had been conducted by taking turns regardless of gender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but in the early 19th century it was managed primarily by Jongye. For anniversary worship services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it had been conducted by taking turns regardless of gender for four generations of forefathers in the late 17th century but it became to be managed by male descendants only excluding female descendants. Through this, after the acceptance of Zhu Xi``s Confucian Clan Rules, changes in the method to manage worship service before the grave and that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were revealed. As seen above, the method to manage ancestor worship service in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had changed from taking turns of those before the grave and on an anniversary of an ancestor``s death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to being conducted by Jongye for increasing anniversary worship servi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 KCI등재

        17세기초 경당 장흥효 가문의 제사 관행

        우인수(禹仁秀)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본 논문은 장흥효가 남긴 일기를 통해 17세기 초 안동지역 유학자 가문의 제사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7세기 초는 주자가례에 입각한 제례가 완전히 정착하기 직전 시기이기 때문에 과도기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가 큰 시기이다. 먼저 기제사의 경우 4대 봉사를 하고 있었다. 장흥효는 고조부모와 증조부모의 기제사를 재종제와 분할하여 봉사하고 있었다. 그는 고조모와 증조부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고, 재종제는 고조부와 증조모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다. 조부모와 부모의 제사는 장흥효가 대부분 전담하고 있는 가운데 윤회봉사의 흔적이 약간 남아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자봉사가 아직까지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았던 과도기의 모습이다. 장흥효는 부계 친족 외에도 외가와 처가의 제사를 주관하여 지내거나 또는 그 제사에 참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관심의 크기는 부계 친족에 비교될 정도가 아닐 정도로 약하였다. 부계 중심으로 점차 굳어져가고 있던 상황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라고 하겠다. 다음으로 사시제四時祭는 춘하추동의 중간달인 2?5?8?11월에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사시제의 설행 여부는 주자가례의 정착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하나의 잣대이다. 경당일기에는 사시제를 지낸 흔적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은 아니고, 처음에는 11월에 한차례 지낸 듯하다.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으로 분명하게 확인되는 것은 1622년부터였다. 일년에 한번 지내던 사시제를 네 번으로 늘려서 완전하게 지내게 되는 과도기의 모습을 경당일기에서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었다. 명절 제사도 절사節祀 또는 속절례俗節禮라고 표현하면서 당연히 지냈다. 특기할 점은 매번 4대 명절에 즈음하여 조상 묘소를 찾는 성묘를 행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명절날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묘제는 우리 민족의 오랜 습속이었다. 장흥효 집안에서도 4대 명절의 성묘를 거의 행하면서 주자가례에 입각한 가묘에서의 제사도 행하는 절충적인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 점에서도 과도기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분할봉사와 윤회봉사의 관행이 점차 주자가례의 정착에 따라 조선후기의 장자 봉사로 변화해가는 큰 흐름 속에서 볼 때, 장흥효 집안의 제사 방식은 바로 그 과도기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이고도 명확한 사례인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grasp the aspects of ancestral rites of Confucian clan in Andong a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through the diary that Jang Heung-hyo had left. Since the early 17th century was the time just before ancestral rites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been completely established, it was a very significant perio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aspects. First, in case of Gijesa(忌祭祀), it had been performed for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Jang Heung-hyo had shared the Gijesa of great great grandparents and great grandparents with his younger male second cousin. He had been a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eat great grandmother and great grandfath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remained some traces of Yunhoe-Bongsa(輪回奉祀) while Jang Heung-hyo had been al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andparents and parents. Those were the transitional aspects of period that Jangja-Bongsa(the rite by the eldest son) had not been completely established. Jang Heung-hyo had hosted or attended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other than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Howeve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had become weakened not much to compare with that in the rites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It should be a specific example showing the circumstance of gradual establishment around the paternal line. Next, Sije(四時祭) are the rites held at shrine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Whether to hold the rites or not is one of the major standards measuring the settlement degree of Zhu Xi"s Family Rituals. Traces of having held Sije are evident everywhere in the Gyeong-Dang Diary. However, from the beginning, Sije had not been held four times a year, but at first they seem to have been held once in November. It was not clearly identified until 1622 that the seasonal rites had been held four times a year. The transitional aspects that Sije having been held once a year was extended to four times a year could be confirmed in the Gyeong-Dang Diary. Myungjeol-Jesa(rites for the traditional holidays) had also been expressed as seasonal rites(節祀) or common seasonal ceremonies(俗節禮), and naturally performed. A noteworthy feature was that on the every occasion of four traditional seasons, the visit to the ancestral graves had been conducted. On the traditional holidays, Myojae, which is an ancestral rite held before the grave, was our nation’s old custom. Also in the Jang Heung-hyo’s family, Sungmyo of four traditional seasons had been almost held and ancestral rites at ancestral hall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appeared in the eclectic form. The transitional aspects can be confirmed from these points. In view of big trend of transition from Bunhal-Bongsa(分割奉祀) and Yunhoe-Bongs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o Jangja-Bongsa(長子奉祀) by gradual establish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Jesa style of Jang Heung-hyo’s family was a specific and clear example illustrating those transitional aspects.

      • KCI등재

        일생의례의 상상적 구조와 해석 ―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마을을 중심으로 ―

        표인주 ( Pyo In-joo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호남학 Vol.0 No.65

        본고는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마을 일생의례를 대상으로 체험주의적 해석 방식에 근거하여 일생의례의 상상적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고,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일생의례의 의례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상도식과 은유적 사상이라는 두 축을 이루고 있는 마크 존슨의 ‘상상력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돌잔치는 생물학적 인간이 「균형」 도식에 근거하여 직립적 인간으로서 탄생하는 것을 축하하는 의례이다. 출산 및 육아 의례가 소멸되거나 약화되고 있지만, 돌잔치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인간이 생물학적 인간으로 탄생하여 직립적 인간으로 탄생하는 것을 축하하고 기념하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직립적 인간으로서 이동의 시작은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그 출발점이 바로 돌잔치라는 의례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돌잔치는 단순히 태어난 뒤 첫번째 생일이라는 생물학적 탄생의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직립적 인간으로 탄생하는 것을 기념하는 의례적 의미도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두 번째로 혼례식 올리기는 직립적 인간이 「연결」 도식에 근거하여 사회적 인간으로 탄생하는 것을 축하하는 의례이다. 혼례식은 직립적 인간이 혼인을 통해 가족을 만들기 위한 사회문화적 의례이다. 직립적인 인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가족을 탄생시키며, 또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즉 사회의 최소 단위이자 문화 형성의 기본 단위로서 문화적 전통을 이어가는 혈연공동체인 가족을 탄생시키는 의례가 바로 혼례식인 것이다. 그래서 혼례식은 수직적 구조 속에서 직립적 인간이었던 신랑과 신부가 수평적 구조에 적응할 수 있는 사회적 인간으로 탄생하는 과정을 의례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습염은 생물학적이고 사회적 인간이 「제약의 제거」 도식에 근거하여 내세적 인간으로 변신시키는 의례이다. 습염에서 망자가 이승에서 저승으로 이동하는데 방해하고 있는 장애물은 망자의 오염이다. 망자의 오염을 제거하여 저승으로 공간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확보하려는 의례적 절차가 바로 습염이다. 망자이동의 경로 확보는 곧 망자가 내세적 존재로의 변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변신한 망자가 인간의 유한성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게 되어 영험성을 구현하는 것은 물론 종교적 인간으로 탄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네 번째로 흉제와 기제사는 내세적 인간이 「경로」 도식에 근거하여 종교적 인간으로 탄생하고 신격화되는 것을 의례화한 것이다. 흉제는 생물학적·직립적·사회적 인간을 종교적 인간으로 변신시키기 위한 의례절차로서 이 기간 동안 망자는 이승적 존재이면서 저승적 존재라는 이중적인 모습을 지닌 내세적 존재로서 머무르게 된다. 그래서 흉제는 현세적이면서 내세적이고, 혹은 내세적이면서 저승적(종교적)인 경계의례로서 성격을 지닌다. 흉제의 기간이 끝나면 망자는 완전히 조상신적 자질을 가지고, 조상신으로서 신격화된다. 그것은 바로 기제사를 통해 실현된다. 기제사는 망자를 기억하기 위한 의례로서 삶과 관계된 기호를 소환하여 공유하고 지속시키려는 욕망의 의례적 표현이다. 망자의 조상신격화는 영혼의 정신적인 상징이고 기호적 상징으로서 신성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것은 망자가 초월적이면서 종교적 인간으로서 탄생하는 것을 말하고, 기제사는 다름 아닌 망자의 부활을 통해 조상신으로서 탄생을 기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오늘날까지도 돌잔치, 혼례식, 습염, 제사의례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일생의례가 가지고 있는 의례적 의미의 생명력 때문이다. 즉 인간의 생물학적 탄생을 출발점으로 직립적 인간으로 탄생하고, 다시 사회적 인간으로 탄생하여 인간의 삶을 충분히 영위한 뒤 생물학적 죽음을 통해 내세적 인간으로 변신했다가 종교적 인간으로 탄생하는 의례적 의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1년을 주기로 매번 의례적 의미의 재현을 통해 인간 삶을 조망하고 의미화 하기도 하는데, 그것은 바로 탄생기념일(생물학적·직립적 탄생일), 결혼기념일(사회적 인간 탄생일), 기일(종교적 인간 탄생일)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념일은 「주기」 도식에 근거하여 의례적 의미를 재생산하고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생의례를 통해서 보면 인간은 직선적인 시간과 순환형의 시간적 주기 속에서 다양한 의례적 경험을 통해 그 의미를 지속시켜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y the lifetime ritual of imaginative structure and meaning based on the empiricism interpretation method for Chilsuk village in Namgu, Gwangju. This study also identify the meaning of lifetime ritual persisted until the day. At first, first-birthday party is the ritual that biological human has a birth as an upright human based on the balance diagram. Second, wedding is the ritual celebrating an upright human who is born as a social human based on the connection diagram. Third, dressing for burial is the ritual to change a social human into an after-life human based on the removing limitation diagram. Fourth, memorial services after funeral and bed cleaning after molting is ritualized an after-life human is born and deified as a religious human based on the channel diagram. Finally, it is the vitality of ritual meaning in lifetime ritual that lifetime ritualsare persisted up to date. In other words, ritual meaning is continued to the biological birth of human as starting point, have a birth again as a social human and live its own life, changed to an after-life human through biological death and born to a religious human. Through this lifetime ritual, it can be identified that human has continued its meanings through the various ritual experiences in straightforward time and the circulative time cyc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교의례와 무속의례의 친연성

        김덕묵(Kim, Duk-Muk) 한국민속학회 2015 韓國民俗學 Vol.62 No.-

        한국사회에서 유교와 무속이 가지는 기능적 측면에 주목한 사회인류학자들의 연구는 유교는 남성적, 사회적, 무속은 여성적, 가족적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을 형성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사회인류학적 시각에서 벗어나 굿과 기제사에서 모셔지는 신, 의례의 구조, 상징과 의미 등에 주목하여 양자를 비교한 후 예(禮)의 측면에서 친연성을 살펴보았다. 유교의례와 무속의례에서 모셔지는 신은 유사한 세계관 속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양자가 지향하는 핵심은 예(禮)의 실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통념상 혈연의식과 조상숭배를 유교의 전유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특징은 연(緣)을 중시하는 무속의 성격에도 포함되며 나의 몸에는 조상의 피가 흐르고 조상에 의해 나의 길흉화복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은 조상숭배사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가족공동체 속에서만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가족주의를 넘어 모든 인간에 대한 ‘관계’로 이어진다. 인간의 족보를 거슬러 올라가면 가족, 친족, 민족을 넘어 인류가 결국 같은 핏줄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추구하는 무속의 보편성을 찾을 수 있다. 가족주의적 시각에서만 무속을 보게 된다면 무속의 사회성과 보편성을 간과할 수 있다. The research explored by the social anthropologists of Korea who called attention to functional aspects of Confucianism and Shamanism formed dichotomous view that regards Confucianism is masculine and social while Shamanism is feminine and familial. This paper takes a different position from such social anthropological view, compares the two focusing on God who is worshiped through Gut and Gijesa; structure, symbol and meaning of rites and then explores the affinity between them in terms of Proprieties. It could be regarded as Gods worshiped through rites of Confucianism and Shamanism areemerged from the similar world view and there is the practice of Proprieties in the center of where the two aim at. Moreover, according to conventional wisdom, the concept of blood ties and ancestral worship can be seen as purely Confucius practices but parallel features also can be found in Shamanism that highly regards Yeon(緣). The thought like ‘My body constitutes the blood of my ancestors and the fortunes of my life can be driven by them’ is developed to the thought of ancestor worship. However, it is not only valid in the familial community but applicable with the relationship among all men beyond familism. It is because if we trace back to the genealogy of human-beings, it can be seen as humankind are connected as one lineage beyond family, relatives and race. Here, it is found the universality of Shamanism that pursues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 If shamanism is studied only through the perspectives of families, then sociality and universality of shamanism can be overlooked.

      • KCI등재
      • KCI등재

        전통 기제사에서 추도예배로의 전환 과정

        이복규(Yi Bok-kyu) 비교민속학회 2005 비교민속학 Vol.0 No.30

        Focusing on the case of protestant minister Rev. Joonyeong Lee, who grew up in a ancestor-worshiping family but now became a senior pastor, the author looked into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traditional ancestor worship to Christian memorial service. Although it was only a case of many, the research found out that today's protestant worship service had been established through a very natural, reasonable and positive process in Korea.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initial Confucian model underwent a transitional stage where both Confucian and Christian ideas of worship were combined to coexist, finally resulting in a completely Christian memorial worship service. It is presumed that if the first Korean Christians had followed this model the expense could have been minimized so as to accelerate the evangelization. It is further assumed that the model is still useful in that regarding the worship service the conflict between non-Christian family members and Christian ones constantly arises even today. The flexible posture of waiting and embracing that Elder Geunseok Lee or Elder Yoonseung Lee has once suggested is also highly recommendable here. For those who still fail to understand the ways of Christianity, such traditional ways of ancestor worship as writing jibang, preparing tables of food, and taking a prostrate bow should be considered acceptable since it will be far better for mature Christians to wait for them to gradually adopt the idea of Christian memorial service by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Christian view of filial piety. Furthermore, the awareness that the costly food preparation for the deceased ancestors could be far better utilized if it were practiced for the living parents will have a good impact on the non-Christians. In this paper only the personal or familial history of a senior pastor who the author has known for years was discussed, but more informants need to be involved to do a more far-reaching, more in-depth analysis so that a generalized principle may be found However, one case could be a good start in that it did help the researcher to see what happened in the past, thus to find a due so as to solve today's problems. By and large, the whole attempt was quite significant as far as the author was concerned.

      • KCI등재
      • KCI등재

        전통적 기제사를 통해 본 조상관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02 비교민속학 Vol.23 No.-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cestors mean the deceased that have at least a son to carry on the paternal lineage and also to have the right and responsibility to succeed to his family. Deathday services for one's ancestor are confined within the lineal ascendants from first generation to fourth generation, who are one's elders equivalent to the largest range of a traditional extended family. And also these ascendants are the largest range of elders whom their descendants can meet actually, Therefore, their ancestors justly bear their individual attributes in descendants' memory. Ultimately, in Korean society each ancestor has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ified spirit with an individual spirit alive like a living being. When we investigate the social norm and practice of deathday services, we can understand that Korean idea of ancestors consist of anthropomorphism and idea of discriminating between spirit and human. That is to say, examining the ceremonial book and the practices of deathday services, we recognize that anthropomorphism is predominant over all the others, and the idea of discriminating between spirit and human is inherent in the level of distinguishing living persons from dead persons. On the one hand, ancestors are devotedly served just like one's living parents ; on the other hand they are regarded as beings to be distinguished from living persons, depending on Korean consciousness discriminating between life and death. It seems that these consciousness and idea are based upon the Confucian ceremonial book which was introduced from China. Meanwhile, an idea of ancestors appear in narratives about the deathday services as a form of anthropomorphism In these narratives, ancestors are recognized as only beings, with personality and sensitivity, to exert an influence on their descendants just like living persons, not as beings to have some property to be distinguished from living descendants. Such narratives are not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of Confucian memorial services generalized in the later Chos?n dynasty, but reflect some consciousness about the deathday services before Confucian memorial services were established, or reflect a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e formalities of Confucian memorial services. I think that anthropomorphism in narratives is the ancient and fundamental Korean idea of ancestor. Therefore, an idea of ancestor peculiar to the Korean is anthropomorphism I believe thar this idea has received some ideas of discriminating between spirit and huma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Confucian rites from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