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무·금융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고은희 ( Koh Eun-hee ),주소현 ( Joo So-hyun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2

        재무·금융교육은 그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하여 사회적인 합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CMA프로그램을 이용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서로 다른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재무·금융교육 효과는 어떠한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의 국내에서 발표된 재무·금융교육 관련 학술 연구들 3,929편 중에서 메타분석을 통한 효과 크기를 분석할 수 있는 29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이들 연구에서 전체 129개의 사례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CM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재무·금융교육의 효과를 알아본 메타분석 결과, 재무·금융교육의 전체평균효과 크기는 0.205로 확인되었다. 재무·금융교육을 교육과 상담으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각각 0.210과 0.111로 나타나 교육이 상담보다는 큰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재무·금융교육의 효과를 금융이해력과 만족도에 대한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금융이해력에 대한 효과크기는 0.205로 나타났으나 만족도에 대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금융이해력의 하위 변인인 지식, 태도, 행동에 대한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행동-지식-태도 순으로 효과가 있음이 나타나 지식전달위주의 교육보다는 실제적인 행동 변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금융이해력의 행동을 재무관리와 노후준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노후준비에 대한 교육이 전반적인 재무관리에 대한 교육보다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후준비와 같은 구체적인 주제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더욱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재무·금융교육에 대해 대상자에 따른 조절효과분석을 한 결과, 미성년과 성인, 대학생과 직장인 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재무·금융교육의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는데 지속적인 재무·금융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주제별로 구체적인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a social consensus on the need and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there is a huge variety in research results on its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summarize the different research results through meta-analysis using the CMA program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nancial education. In this study, 29 studies from which the effect size could be analyzed through meta-analysis from 3,929 academic studies related to financial education published in Korea between January 2007 to October 2018 were selected, and from these 29 studies, a total of 129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pon examining the effects of financial education using the CMA program, the mean effect size was found to be 0.205.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by dividing financial education into education and counseling, the effect sizes were found to be 0.210 and 0.111, respectively, an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had a much bigger effect than counseling. In addition, the effects of financial educa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effects on financial literacy and satisfaction, and the effect size on financial literacy was found to be 0.205, but the effect on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e effects on financial literacy were further analyzed to the sub-constructs of financial literac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and the effect size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behavior-knowledge-attitude. This finding shows that compared to education focusing on conveying knowledge, education focusing on actual behavioral changes was more effective. When splitting the behavior into financial management and retirement planning, it was found that education for retirement planning had a bigger effect size than education on general financial management. This means that providing education on more concrete topics such as retirement planning was more effective for participants.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minors and adults and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wage earner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financial education is effective, and it shows that continuous financial education is needed and a detailed, customized program must be developed per topic.

      • KCI등재

        캐나다 금융교육의 현황 및 사례

        김재근 ( Jaegeu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캐나다의 금융교육 현황과 사례를 주요 주별로 분석하고, 나아가 연방 정부에서 추진 중인 금융교육 국가전략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캐나다는 철저한 교육 자치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금융교육의 양상도 주별로 차이가 크다. 앨버타 주에서는 고등학교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진로 및 생활관리’에서,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에서는 ‘수학’ 교육과정의 K-12 전 학년에서 금융이해력을 다루고 있다. 온타리오 주에서는 중등의 ‘진로탐구’와 초등의 ‘수학’에서, 퀘벡 주는 ‘경제’ 과목을 통해 금융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캐나다 연방 정부 차원에서의 금융교육으로는 금융소비자청(FCAC)의 설립, ‘금융교육 국가전략’의 추진, 국가 수준의 ‘금융역량조사’ 실시 등이 있다. 캐나다의 금융교육의 특징으로 첫째, 교육과정의 의무화와 융합화 경향, 둘째, 국가수준의 금융교육 강화, 셋째, 금융소비자 보호, 넷째, 쉽고 다양한 금융교육 등이 논의되었다. 이러한 캐나다의 금융교육 사례는 아직까지 금융교육이 학교 교육에서 의무화 되어 있지 않고, 또한 국가 수준의 금융교육 추진이 아직은 저조한 우리나라에 좋은 참고가 되어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d Canada’s financial education in terms of both provincial cases and federal strategies for the implications for Korean financial education. Since Canada does not have a federal department or national system of education, provincial and territorial governments set up and run their own school systems. Financial literacy is included in different courses in different provinces: Career and Life Management course(Alberta), Mathematics(British Columbia), Career Studies(Ontario), and Economics(Quebec). On the other hand, there also are federal governmental efforts for the Canadians’ financial literacy. FCAC(Financial Consumer Agency of Canada) ensures financial entities comply with consumer protection measures, and promotes financial education. National Strategy for Financial Literacy tries to empower Canadians to meet their financial challenges through education. Canadian Financial Capability Survey examines Canadian’s financial competence periodically. Canada’s financial education has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has implications for Korea. First, mandatory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and integration with diverse disciplines. Second, national wide and federal efforts for the financial education. Third, financial literacy for the protection of financial customers. Lastly, easy and diverse approach to financial education.

      • KCI등재

        금융교육 국가 전략의 수립과 실행

        이윤호 ( Yun-ho Lee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3

        이 글은 대표적인 금융교육 선진국인 미국과 영국의 금융교육 국가 전략 사례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금융교육 국가 전략이 어떠한 모습으로 수립되고 실행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논하고 있다.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시행으로 금융교육의 법적 토대가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금융교육 정책은 종전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금융교육 일선 집행 기능이 아니라 금융교육 국가 전략의 상위 주체로서 금융교육 국가 전략의 수립, 민간 협력기관들의 동원과 조정, 효과적인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의 평가와 확인 및 자료의 집중 등 중추 기능에 주력해야 한다. 금융교육정책은 성과 목표가 불분명한 가운데 금융교육 투입 목표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다. ‘찾아가는 금융교육’의 틀에서 벗어나 ‘찾아오는 금융교육’을 위한 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 새로운 금융교육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시도하고 그에 대한 효과성 확인을 거쳐 효과성이 확인된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 금융교육적 개입에 관한 진단과 처방, 가설과 검정을 염두에 둔 실태 조사가 수행되고, 자료들을 한곳에 모아두는 금융교육 증거 허브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aper intends to draw and present implications regarding how Korea's national strategy for financi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the future from the analysis of the cases of the U. S. and the U. K.. Although the legal foundation for financi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laid with the enforcement of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the financial education policy has not changed much from the previous one. Though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s the upper body of the national financial education strategy, should be the backbon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trategy for financial education, the mobilization and coordination of government and private partner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the evaluation and confirm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nd the concentration of data, it is still focusing on the front-line execution function of financial education as before. The financial education policy lists only the financial education input goals while the performance goals are unclear. They should prepare a system for ‘financial education for visiting consumers.’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hecked, and budgets should be invested centering on the programs whose effectiveness has been confirmed. A fact-finding survey that can diagnose and prescribe financial education interventions should be carried out, and a financial education evidence hub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금융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희망

        박형준 ( Hyung Joon Park ),한진수 ( Jinsoo Hahn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8 경제교육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 금융교육과 학교 밖 전문가나 단체를 통한 금융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학생들이 희망하는 금융교육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초ㆍ중ㆍ고교 학생 3,3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 안 금융교육은 교과 수업과 교과 외 창의적 체험 활동이나 방과 후 학교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대체로 학교 금육교육의 분량이 적은 편이고 내용이 어려운 편이라고 응답하였다. 비교적 많은 학생들이 학교 밖 전문가나 단체를 통한 금융교육을 경험하였다. 학생들은 학교 밖 금융교육에서 교육 내용을 가장 만족스러운 점으로 꼽았고, 부족한 시간과 어려운 내용이나 용어를 가장 불만족스러운 점으로 지적하였다. 학생들이 희망하는 금융교육은 주로 실용적인 내용이었으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교 밖 금융교육을 더 선호하였다.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금융교육 수업 방식은 활동형 체험이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와 학교 밖 금융 기관이나 회사, 단체들이 협력하여 금융교육의 양과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what students encounter in financial education in or out of schools, and to explore what they hope to learn in financial education. The data from this study were based on a survey of 3,372 students: 1,080 in elementary schools, 1,130 in middle schools, and 1,162 in high schools. Financial education in schools wa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school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 activity.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 content of financial education in schools was very insufficient and difficult. Many students took part in financial education offered by financial experts or group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financial education out of schools very much, and dissatisfied with deficient time and difficult contents or terms. Students wanted to learn handy financial education with activity-based learning. Finally, we discussed a range of strategies advancing financial education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with schools and financial agencies or companies together.

      • KCI등재

        금융교육의 흐름을 반영한 가정과교육에서의 금융소비자교육 방향 탐색

        김은정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that reflects the flow of domestic and foreign financial edu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the core competencies, core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financial educ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reviewed the changes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n Korea's financial education standard pla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presented in the literature, the curriculum design process was developed by deriving contents suitable for the goals, core competenc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for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design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revised and reflect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6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 and the final draft was presented.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for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n future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he need for supporting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new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be established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orientation towa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it might be meaningful that application plans for the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designed. Therefore, follow-up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as an optional subject would be needed. 본 연구는 국내외 금융교육의 흐름을 반영한 가정과교육에서의 금융소비자교육의 방안을 탐색하고 방향을 제시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금융교육의 내용 영역, 핵심역량, 핵심 내용을 비교 및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금융교육표준안과 가정과교육과정에서의 금융소비자교육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문헌 자료에 나타난 자료들을 토대로 가정과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금융소비자교육의 목표, 핵심역량과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적합한 내용들을 도출하여 교육과정 설계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정과교육 전문가 6인의 검증을 통해 수정 반영하고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금융소비자교육의 가능성과 학교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고교학점제를 지향하는 차기 교육과정에서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의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며, 가정과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금융소비자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내 금융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정세창(Jung, Se-chang)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금융선진국이 되기 위한 요건으로 금융소비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제도적 토대인 국내 금융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유용한 정책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리보다 먼저 금융교육에서 시행착오를 거듭하였고, 현재 금융선진국인 미국과 영국의 금융교육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금융교육 사례는 공적기구와 비영리 민영기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해외사례 검토 결과 금융교육의 운영형태, 금융교육협의회 의장의 지위, 연차보고서의 발간, 금융교육 콘텐츠 제공 언어, 공급자 중심의 금융교육, 금융교육 강사 및 교사용 지침서, 금융교육의 의무화와 관련하여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금융교육의 운영형태는 미국의 위원회 형태와 영국의 전담기구 형태 중 장단점 논의를 거쳐 우리에게 적합한 형태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금융교육협의회 의장은 금융위원회 위원장으로 승격하여야 할 것이며,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고, 금융교육 콘텐츠는 다양한 언어로 제공하여야 하며,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의 금융교육으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며, 금융교육 강사 확대 및 실무와 사례 위주의 교과서와 교사용 지침서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국과 영국에서처럼 중고등 학교에서 금융교육이 의무화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financial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we examine the status and problems of domestic financial education and the overseas cases. [Methodology]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ses of financial education in the US and the UK. The cases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public institutions and non-profit private institutions. [Findings]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overseas cases, we fou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operational form of financial education, the position of the chairman of the Financial Education Commission, publication of the annual report, the language of financial education content provision, supplier-oriented financial education, financial education instructors and teachers’ guide, and the mandatory financial education. [Implications] As for the operational form of financi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cide which form is suitable for us after discussing the pros and cons between the US and the UK. Financial annual report should be published and the content provision provided in various languages, and financial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rom a supplier-oriented to a consumer-oriented financial education. Financial education instructors should be expanded, and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centered on practices. Finally, as in the US and the UK, financial education should be made compulsory in middle and high schools.

      • KCI등재

        영국의 금융교육

        이윤호 ( Yun-ho Lee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2

        이 글의 목적은 영국의 금융교육에 대해 분석 소개하고 그로부터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영국 정부는 자금연금청(Money and Pensions Service)을 금융교육 전담 기구로 두고 있다. 자금연금청에서는 2020년에 ‘금융 복리를 위한 국가 전략’을 수립하여, 5개의 의제와 양적 및 질적 목표를 제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일상 경제생활에서의 전형적인 재무적 의사결정을 도와주기 위한 체계적인 안내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국의 학교 금융교육은 여러 과목을 통해서 분산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금융교육 교과는 PSHE인데, 영국의 경우 초중등 학생을 위한 학교 경제교육이 가계 재무 금융교육을 중심으로 편제되어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선택 과목인 경제학이나 경영학에서 이루어지는 금융교육은 거시적 및 기업 재무 맥락의 내용으로 금융소비자 입장의 개인재무 금융교육과는 거리가 있다. 글의 결론에서는 영국의 금융교육이 우리나라 금융교육에 대해서 갖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d analyze financial education in the UK to obtain useful implications for financial education in Korea. The UK government has the organization of the Money and Pensions Service for financial education. Money and Pensions Service has established a national strategy for financial well-being, and is presenting and implementing five agendas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oals. It also provides a service that provides systematic guidance and information on typical financial decision-making in everyday economic life. School finance education in the UK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persed through several subjects. The representative financial education subject is PSHE, though it is not a legal, where financial education is placed at the center of economic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inancial education in economics or business studies, which are elective subjects, is far from personal finance education for financial consumers as it is the content of a macro perspective and the context of corporate finance. In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e implications of financial education in the UK for financial education in Korea are presented.

      • KCI등재

        전업직장인, 상담학 학습, 진로, 현상학적 연구

        김태환,김재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초등학생들에게 필요한 금융교육 내용 요소가 무엇인지를 제시함으로써 초등 사회과 금융교육에의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금융교육이 선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영국, 미국, 호주, 싱가포르, 그리고 OECD/INFE 등 해외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을 면담(Focus Group Interview)하여 초등 금융교육 내용 요소를 탐색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과교사 면담 결과에 기반하여 초등학교 금융교육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내용 요소들이 현장에서 어떻게 학습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금융교육 수업과정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해외 금융교육 사례와 초등학교 교사들의 면담 내용을 종합하여 초등 사회과 금융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 요소와 관련하여‘돈과 소득, 소비와 지출, 저축과 투자, 신용과 금융 안전’ 네 가지 영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 요소가 초등학교 수업에서구체적으로 다루어지는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 ‘저축과 투자’ 영역과 관련한 금융교육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초등 금융교육 분야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 강화와 내용 확대를 위한 노력이필요하며, 금융교육을 위한 풍부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학술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급변하는 금융 환경 변화에맞추어 금융교육의 내용도 유연하게 바뀌어야 하며, 초등학생들의 금융 역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이해력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nt elements of financi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Methods we analyzed overseas cas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ustralia, Singapore, and OECD/INFE, which have advanced financial education,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explore the content elements of elementary financi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and the results of the teacher interviews, we derived the content elements of elementary financial education and presented a financial education curriculum that shows how these content elements can be taught in the field. Results Through a synthesis of international financial education practices and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 identified four content areas that should be covered in primary social studies financial education: money and income, consumption and spending, saving and investing, and credit and financial security. In order to provide examples of how these content elements are specifically addressed in elementary school, a financial education lesson plan was developed for the area of saving and investing.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n the field of elementary financial educ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and expand the content of financial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at rich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financi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academ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content of financial education should be flexible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financial environment, and that financial literacy surveys should be conducted periodic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dentify their financial capabilities.

      • KCI등재

        금융교육 교과내용 내 ‘금융시장’ 정위화(正位化)를 통한 새로운 금융교육 체계 탐색

        김준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1

        This study aims to provide deeper insights through an innovative and comprehensive research that provides a way to compare and contrast the problems of existing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in school system. The study questions the narrowness in underlying understandings of financial education without financial markets, including formal content system of financial education. Thus, this paper offers a novel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inancial markets system in financial education based on existing academic literature, and suggests how financial markets newly position into the current financial education content. The educational management approaches can be extended into the realms of entire content system in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it can be fruitful to understand financial markets in a dynamic and holistic manner with attention to extended individual and society dimensions in order to fully benefit from financial education and to make financial education a driving force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is paper provides a theoretical model that highlights some of the main factors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economy and financial markets. Research suggests that beyond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 to act at real economy, learning on financial markets also involves the development of overall deep understanding about economic decision making. Yet most accounts of financial education do not include this concept. This is one of the first comprehensive studie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financial markets as the essence of the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how the extended concept of financial markets can impact potential of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in the modern economy and society. The outcome of this study provides unique insights into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financial markets positioned in new financial education system, contribute to theory in the areas of financial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yields important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state of financial education and to employ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in the area of financial education. 본 연구는 교양 금융교육의 효율화를 위하여 현행 금융교육 교육내용 및 내용체계에 대한 평가와 함께, 국민경제와 개인의 경제생활영위 및 금융교육 체계 내에서의 금융시장의 핵심적 기능과 중요성을 제시하고, 기존의 금융교육 교육내용 체계 내에 결여되어 있는 핵심연결고리인 ‘금융시장’을 제 위치에 정위화(正位化)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폐금융자본주의 체계하의 경제에서 금융시장은 화폐 및 금융경제시스템의 핵심역할을 하며 시장참가자, 거래되는 금융상품 및 금융자산을 포괄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이자율 및 금융자산 가격정보를 실물경제에 보내는 실물경제의 조정자 기능을 하기에 금융시장과 전체 경제활동 및 순환 간의 연관관계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학습은 금융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행 금융교육 교과내용 체계 내에서는 금융시장이 체계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금융교육 교과주제들이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와 형성하고 있는 상호 연관관계에 대한 체계화가 결여되어 있어 개인의 금융경제활동 전체를 조망하기에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금융교육 교과내용 체계 내 금융시장의 정위화(正位化)를 통해 금융교육 교과내용체계의 새로운 구조와 개선된 체계의 원형(原型)을 정립하고 금융시장 교육방안의 표준을 제시한다. 경제 내 중추기능을 갖는 금융시장을 중심으로 교과내용들과의 상호 연관관계와 영향관계에 대한 조망의 틀을 새로운 금융교육 체계로 제시함을 통해, 원리와 개념 간 상호 영향관계를 세밀히 연결시켜 학습자가 실제 경제생활에서 최적의 의사결정에 쉽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새로운 금융교육 체계는 추후 금융교육 교과내용의 새로운 설계시 준거(準據)가 되는 표준(標準)으로 역할 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에 본 연구의 가치와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사회과 금융교육 관련 내용 분석

        이소연(Lee, Soyeo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7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금융관련 내용 요소의 변천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두 10건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내용 요소 선정의 목적이나 내용 요소의 종류와 양은 교육과정 시기별로 달랐지만 모든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금융관련 내용 요소를 추출해낼 수 있었다. 또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금융교육은 저축과 절약 중심의 금융교육이 이루어졌던 시기, 내용요소의 축소가 이루어지는 금융교육 쇠퇴기, 명시적 형태의 금융교육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금융교육이 명시화된 2007개정 교육과정 이전에 다루어진 내용 요소는 단원의 특성이나 다른 단원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때 금융교육보다는 오히려 소비자교육의 목표 달성에 적합한 형태라 볼 수 있었다. 학교 금융교육은 사회과교육의 필수 내용영역으로 자리하게 되었으며, 점차 발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첫째, 모든 학교급을 아우르는 유기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문제이다. 금융역량은 어느 한 순간 길러지는 것이 아니기에, 전체 학교급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금융교육의 방안은 계속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에서 금융교육을 시행하는 방법의 다양화에 관한 문제이다. 교과목의 수는 많고 수업시 수는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금융교육을 확장하는 방안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내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자유학기제는 금융교육의 저변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이를 위해서는 학계의 체계적인 준비와 관련기관의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refore, an analysis was conducted by targeting a total of 10 cases(the 1st - the 2015 revi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able to extract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all time. In addition, financial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nancial education as savings and conservation education”, “downturn in accordance with the reduction of contents”, “financial education as explicit education”. Finally, prior to 2007 revision,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was close to the nature of consumer education. Financial education was to become the essential content area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are moving increasingly i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Nevertheless, it remained a problem for the activation of financial education in school. Because the financial capacity is not being brought up in an instant, we need to create a structured curriculum across all classes. And, it is difficult to extend class time for financial education to subject classes. Therefore we have to find various ways above and beyond subject classes for financial education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