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공립보육시설의 기능강화를 위한 시설장 의견조사

        신나리,송신영,이은경 육아정책연구소 2009 육아정책연구 Vol.3 No.1

        The roles and needs for public child care centers have been issued in Korea for a while because large amount of child care centers are in Korea operated by individual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to promote functions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for families with special needs and take responsibilities for their roles in their community to help families and professional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to directors of all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Korea. A total of 560 directors out of 1,769 director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infant cares were provided by most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among a variety of child care services types for families with special needs. On the other hand, part-time child care service were rarely provided and perceived as an improper service at child care center. Second, the directors reported that public child care centers are not appropriate to play a major role for families and professional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in their community. Rather, other centers/facilities among various sectors of the child care delivery system such as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can be in charge of such services for community members.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공립보육시설에서 제공하는 취약보육과 지역 내 보육시설 및 영유아가구를 대상으로 한 거점형 기능에 대한 현황과 지원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국공립보육시설이 취약보육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과 지역사회 내에서의 거점형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절한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국공립보육시설 시설장 560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취약보육 중 영아보육은 국공립보육시설 외에도 실제 민간보육시설에서 주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국공립보육시설의 취약보육 유형에서는 제외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시간제보육 또한 보육시설에서 제공하기 부적절한 취약보육유형으로 나타났다. 반면 급증하는 다문화가정과 한부모 및 조손가정의 영유아들을 취약보육 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국공립보육시설의 거점형 기능 수행에 대해 시설장들은 이를 국공립보육시설에서 모두 전담하여 수행하기보다는 지역 내 보육정보센터와 같은 전달체계 상의 지원체계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 모델’의 적용방안 연구

        안현미(Ahn Hyun-M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6

        본 연구는 지방자치화시대의 다양하고 지역특수적 보육 욕구에 따른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모델’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이는 한국의 보육 환경, 즉 지배적인 민간보육시설, 낮은 보육공공성, 지역간, 시설간 보육시설의 서비스격차 문제를 완화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던 지역거점 보육서비스 시범사업 내용을 SWOT 분석 방법을 토대로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 모델’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국공립보육시설이 이미 지역사회 중요한 자원으로서 지역거점화 보다는 지역 네트웤의 한 체계로서 복지제공자 역할만이 확대되었다. 그래서 지역거점으로서 국공립보육시설이 구조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재구축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 첫째, 지역거점 보육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담당자(인적자원), 즉 사회복지사 또는 보육교사가 필요하다. 둘째, 중추적인 국공립보육시설은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등의 통합적 환경구축이 선행되어야한다. 지역사회 내 자원연계를 위해서는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의 인적자원, 예를 들면 보건교사, 특수교사 등과 물적자원, 예를 들면 상담실, 강당, 놀이공간 등이 필요하다. 셋째, 자원연계구축을 위한 네트웤 구성과 협력체 형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복지관, 학교, 도서관, 병의원, 보건소, 동사무소, 복지관련 센터, 보육관련센터 등의 기관과의 자원연계 구축이 요구된다. This study suggests a 'regional public educare facility model', an alternative for providing high quality child care services considering various and special care needs of community. This model intends to resolve the current child care problems, characterized by a dominant private child care, a lower public care, and a service gap between public and private care. This study assessed 'local-based care service demonstration project' done at Seoul and Kyungki using SWOT analysis. Results reveals that local-base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are important community resources and have a play role of a service provider as the part of a regional network. In order to rebuild local-based public child care facility, following policies should be accomplished. First, we need a social worker or a child care teacher, who are able to be in charge of a local-based care-system. Second, main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need to build the infrastructure us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order to network resources within community. Human resources include a nurse, and a special teacher. Material resources include a counseling room, a auditorium, and playground. Third, we also need to build network and cooperate with other organizations, such as welfare center, school, library, hospital, public health center, welfare related center, child care related center.

      • KCI등재

        서울시 보육서비스 전달체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형우(Lee, Hyung-U),정종원(Jeong, Jong-W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1

        보육서비스의 성과는 서비스제공기관의 전달체계 개선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보육서비스의 전달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우리의 경우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여러 유형이 혼합되어 보육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공립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의 보육서비스의 전달체계가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달체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보육서비스의 생산과 공급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시 보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국공립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 간에는 질적양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보육시설은 민간보육시설에 비해 관리적 요인(인적 요인, 리더십, 규모)과 환경적 요인(시설환경, 보육환경, 외부환경) 등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 성과 또한 국공립시설이 민간보육시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서비스의 전달체계의 한 유형으로서의 국공립시설을 확충이 필요하며, 나아가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재정, 인력, 시설 등의 지원을 함으로써 보육서비스의 소기의 성과를 달성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ervice performance of the child care services can be achieved by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of service producing agencies. The delivery of child care services is done in various forms. In our cases, the multiple types of child care services are provided by the public and the private facilities. This study compares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with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about the impact on service performance.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has focused on proposing policy challenges for more efficient production and supp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argeting child care facility workers of Seoul metropolitan, there are lots of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ervices. Comparison between the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and the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e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appeared to be superior in managerial factors(human resources factors, leadership, scale) and environmental factors (facility environment, child care environment, the external environment), etc. And, servic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also appeared to be higher than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hild care services, the expansion of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is a significant challenge and further, the supports for the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finance, personnel and facility are needed.

      • KCI등재

        국공립 보육시설과 사립 보육시설의 질 비교

        권정윤,한유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7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공립 보육시설과 사립 보육시설을 구조적, 과정적, 소비자 관점의 질 등 세 가지 질의 관점에서 비교하고, 이들 세 가지 유형의 보육의 질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국공립 보육시설 8개소와 사립 보육시설 8개소를 관찰하고, 이 보육시설들을 이용하는 어머니 29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보육시설과 사립보육시설은 구조적 질과 소비자 관점의 질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과정적 질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립과 사립 보육시설의 과정적 질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로서의 부모들은 공립 보육시설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보육시설의 구조적인 질은 과정적 질, 소비자 관점의 질과 상관이 있으나 과정적인 질은 소비자 관점의 질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정은(Kang, Jeong-Eun),송다영(Song, Dayo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여성연구 Vol.79 No.-

        근래에 들어 한국사회 최대 관심사 중의 하나는 보육정책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벌여나가는가에 있다. 그러나 최근의 보육정책은 주로 아동별 보육료 지원에 초점이 맞춰지는 반면, 아동을 가르치는 보육교사의 질적 제고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전인적 발달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이들의 아동보육과정에서의 교사효능감 향상에 초점을 두었다. 보육시설에서 가장 아동을 직접적으로 돌보는 교사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아동을 위한 보육의 질이나 학습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대비시키고, 이 중에서도 기존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왔던 환경변인으로서 국공립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등 시설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이 질적으로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국공립보육시설(직장보육시설 포함)의 교사는 조직내 업무지원정도나 교사에 대한 학습지원 충분도에 의하여 민간보육시설이나 가정보육시설 교사에 비하여 교사효능감이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문에서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rns is how to effectively develop childcare policy in Korea. However, recent childcare policy has focused on subsidies to families who have children less than 6 years, and educ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for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has relatively less been concerned.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tance of policy investment to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in order for children to hav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The study, especially, targets at the enhancement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among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The more teachers haver higher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 more they have higher quality of caring and more fruitful outcome in teaching. For this, the study contrasts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versus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mong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Especially, this research tries to reveal that type of childcare center, a variable factor which has been not specifically considered in related prior studies, such as public childcare facility, private childcare facility, home care facility, and company childare facility, is most influential factors to differentiate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Research results show that, by virtue of in more work-related total support in an organization and enough education opportunities, teachers of public childcare facility and company childcare facility insure stronger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an those of the other two facilities. In conclusion, policy suggestions are given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ultimately the development in childcaring sector.

      • KCI등재후보

        국공립 · 민간 보육시설 안전사고 실태에 대한 차이분석

        김정훈(Kim, Joung h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공립.민간 보육시설에 따른 안전사고 실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통해 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다. 그리고 국공립.민간 보육시설의 안전사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안전의식 제고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서울시에 소재하는 국공립.민간보육시설을 중심으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교사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시설별로 안전사고 발생 비율, 사고 발생 시간대, 안전사고 유형, 사고처리 및 사후관계에서 국공립.민간 보육시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고성별, 상해보험 가입 유무, 안전사고 기록사항, 사고처리 인지유무, 안전사고 발생 후 부모 연락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보육시설에서의 유아기의 안전에 관련한 국공립.민간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안전에 관한 인식과 시설 발전방안을 제언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tus of negligent accidents in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which will allow for the creation of healthy and safe environments for children to grow up in. The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negligent accidents in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so as to increase safety awareness among child care professionals. According to the survey of 265 principals and teachers at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Seou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time, and types of negligence accident occurrences, and handling and follow-up of acciden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resence of accident insurance, and contacting parents after the accident. Using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safety awareness of child care professionals and for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to increase safety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후보

        100명 이상 국공립 및 법인 보육시설의 장애아동 편의시설 실태 및 욕구조사: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현아,조윤경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장차법」에 의해 100명 이상인 국․공립 및 법인 보육시설의 경우 2011년 4월 11일까지, 또한 2013년 4월 11일까지 모든 국․공립 및 법인 보육시설이 편의시설을 제공토록 시행령에 명시함에 따라, 내년도 시행에 대비하여 준비가 필요한 통합시설로 지정되어 있거나 100명 이상의 영유아를 보육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및 법인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보육환경에 따른 보육시설 설비 및 설치와 편의제공에 관한 현재 구비사항과 필요도를 조사하였다. 해당 102개 기관에서 시설장 100명, 보육교사 102명 총 202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시설장은 보육시설 운영의 주체이며 교사보다 많은 정보를 접하므로 두 집단 간 실태와 필요도에 따른 인식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두 집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실태는 미비한 사항이 많았고 필요도는 높다는 일치된 결과를 나타냈다.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시설에 적합한 편의제공의 지원방안과 통합보육시설의 바람직한 편의제공 실행에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According to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public and the foundation-sponsored child care centers accommodating more than 100 children are obligated to provide services for disabled by April 11, 2011 and such obligation will be imposed to all the public and the foundation-sponsored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by April 11, 2013.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preparation and needs of convenient facilitie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surveyed 202 teachers (100 directors and 102 child care teachers) from 102, the public and the foundation-sponsored centers accommodating more than 100 children. The result was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P/C 12.0 program. For open ended question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directors and teachers showed no difference in percentage of child care facilities and installations. Both groups responded that present conditions were low level and needs of them were high state. Based on the results, the appropriate ways to support the centers providing appropriate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in convenient facilities.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장이 인식한 국공립보육시설 민간위탁 운영의 실태 및 개선방안

        최도자(Choi, Do Ja)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국공립보육시설장의 신부유지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국공립보육시설의 위탁제도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타당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공립 보육시설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고 부모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보육시설 운영을 통해 국공립보육시설이 공보육의 모델로서 책임을 다할 수 있고자 한다. 전국 국공립시설장 5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국공립원장들은 현 위탁제도하에서 신분이 매우 불안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위탁관련 조례가 없이 원칙 없는 위탁이 이루어 지고 있거나, 심지어 위탁제도가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시설자의 연령상한선을 65세로 하고, 1회 위탁기간은 5년, 초기 위탁 시 시설장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공개경쟁을 하고, 재 위탁 시 단독우선 평사 후 일정수준 이상이면 재계약, 표준화된 위탁심의안 제시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ignment system for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a bid to suggest more rational and valid reform measures, as this system had a huge impact on the status of the heads of the daycare centers. It’s basically meant to fortify the function and role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to ensure a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in response to the needs of parents and society, and ultimately to help the facilities serve as responsible and strong role models for public day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90 director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cross the n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most of the heads investigated found the current consignment system not to guarantee their status. Come of the facilities were consigned without any particular principles due to a lack of consignment regulations, and sometimes that system was taken advantage of for political purpose. To remedy the situations, they believed that the upper age limit of the head of daycare center should be fixed at 65, and that the consignment term should be no longer than five years at a time. They considered it necessary to introduce open competition in the event of the first consignment, and the consignee would be recontracted in case of meeting or surpassing the standard set by the daycare center. Besides, they called for standardized consignment deliberation guidelines.

      • 아동복지시설(국공립보육시설)의 질 향상을 위한 평가인증을 위한 기초연구

        곽미영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6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3 No.1

        보육시설의 양적 증대는 사회적 요구와 가족의 시급한 당면과제의 해결이란 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이다. 그러나 보육시설의 통해 아동의 건전한 발달과 미래의 주역들의 잠재능력을 극대화한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질적인 면에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보육시설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사회적 책무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을 종합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평가인증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금 실시되고「평가인증제」에 대한 국공립 보육시설 관계자의 인식을 파악하여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평가인증제」의 서울시 국공립 보육시설의 평가기준에 대한 타당도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이 평가기준이 국공립보육시설의 자체평가 및 국가수준에서 국공립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평가체제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저 출산시대 보육의 질 함양을 위한 보육정책의 방향모색

        조혜경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05 아동보육연구 Vol.1 No.1

        보육의 질 함양을 위한 조건으로 보육교사 처우개선을 통한 전문성 향상, 보육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보육재정 지원, 국공립보육시설의 확충 등 세 가지 이슈를 구성요소로 보았다. 저출산 시대에 양질의 보육을 위한 보육정책방향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보육교사의 처우개선을 통한 전문성 함양을 위해 제도적인 인력관리 체계를 갖추고 근무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보육시설의 보육재정지원은 정부의 대폭적인 예산확보를 통해 보육료 지원 확대방안으로 보육의 공공성을 확장해야 한다. 셋째, 국공립보육시설 확대를 통해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의 공공성을 확보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